맨위로가기

시몬 스테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시몬 스테빈(1548년/1549년 ~ 1620년)은 네덜란드의 수학자, 물리학자, 기술자이다. 1585년 소수 계산법을 체계화하고, 역학 분야에서 힘의 평행사변형 법칙을 발견하는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업적을 남겼다. 또한, 네덜란드어로 과학 용어를 번역하여 네덜란드어의 과학 발전에 기여했다. 그의 업적은 요새 구축, 수리 공학, 복식부기, 음악 이론 등 다방면에 걸쳐 있으며, 벨기에 브뤼헤에는 그를 기리는 동상과 광장이 조성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6세기 벨기에 사람 - 오를란도 디 라소
    르네상스 후기 벨기에 출신 작곡가 오를란도 디 라소는 2,000곡이 넘는 다양한 언어와 장르의 작품을 남겼고 뮌헨 궁정 악장으로 활동하며 종교 음악과 세속 음악 모두에서 뛰어난 업적을 남겼다.
시몬 스테빈 - [인물]에 관한 문서

2. 생애와 업적

''Oeuvres mathematiques'', 1634년판


시몬 스테빈(Simon Stevin, 1548년 ~ 1620년)은 네덜란드수학자, 물리학자, 기술자이다. 벨기에의 브뤼헤에서 태어났으며, 스테비누스라고도 불린다. 그의 삶은 자세히 알려져 있지 않으나, 앤트워프에서 상점 점원으로 일하다가 폴란드, 덴마크북유럽을 여행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후 오라녜 공(公) 모리츠 왕자의 조언자이자 개인교사가 되었고, 브뤼헤 시청, 네덜란드 육군 등에서 근무했다.

스테빈은 다방면에서 과학적 연구를 수행했으며, 특히 축성기사로서 명성이 높았다. 1582년에는 상인들을 위해 이자 계산표를 출판했고, 1585년에는 《10분의 1에 관하여》라는 소책자를 통해 소수 계산에 대한 최초의 조직적 해설을 제시하여 계산술 발전에 기여했다.

역학 분야에서 스테빈은 아르키메데스정역학을 발전시켜 《균형의 원리》(1586)를 저술, 고체유체의 정역학을 다루고 도르래 이론을 전개하여 가상변위의 원리에 도달했다. 또한 '힘의 평행사변형 법칙'을 발견하고, 정수압에서 수압기의 가능성을 예상하는 등 많은 업적을 남겼다.

스테빈은 수학 용어를 네덜란드어 고유어로 번역하는 데 힘썼으며, 그 결과 네덜란드어는 유럽에서 드물게 라틴어, 그리스어에 의존하지 않는 다수의 수학 용어를 보유하게 되었다. 예를 들어, '수학(mathematics)'에 해당하는 네덜란드어는 'wiskunde'이며, 이는 '어떤 것이 확실한가에 대한 기술'이라는 뜻이다.

스테빈의 사다리꼴 평면에서의 평형 법칙 증명, "스테비누스의 비문"으로 알려져 있다.


그는 육상 요트를 발명하고, 풍차의 효율을 개선하는 등 실용적인 발명에도 힘썼다. 또한 정수압 역설을 발견하고, 조석 현상을 의 인력으로 설명하는 등 과학적 발견도 이루어냈다.[18]

2. 1. 초기 생애

스테빈은 1548년 현재 벨기에에 속하는 브뤼헤에서 안테우니스 스테빈과 카텔린네 판 데 포르트 사이에서 태어났다. 그의 삶에 대해서는 정확한 생몰년도를 포함하여 알려진 바가 극히 드물며, 두 명의 자녀와 부인이 있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2] 정확한 출생일과 사망일, 사망 장소는 불확실하다. 라이덴 대학교에 ''Simon Stevinus Da Brugensis''(브뤼헤 출신 시몬 스테빈이라는 뜻)라는 이름으로 입학했기 때문에 브뤼헤 출신으로 추정된다. 그의 이름은 보통 스테빈(Stevin)으로 쓰이지만, 아버지에 관한 일부 문서에서는 ''Stevijn''([ˈste:vεɪn] 발음)이라는 철자를 사용하는데, 이는 16세기 네덜란드어에서 흔히 있었던 철자 변화였다.[3]

시몬 스테빈의 어머니 카텔리네(Cathelijne 또는 Catelyne)는 이프르의 부유한 가문 출신이었고, 그녀의 아버지 휴베르트(Hubert)는 브뤼헤의 포르터(poorter, 시민)였다. 카텔리네는 나중에 카펫과 견직물 무역에 종사하고 시민사격대(schuttersgilde)인 신트 세바스티안(Sint-Sebastiaan) 회원이었던 요스트 사이온(Joost Sayon)과 결혼했다. 결혼을 통해 카텔리네는 칼뱅파 가문의 일원이 되었으며, 시몬 스테빈은 칼뱅파 신앙으로 자랐을 것으로 추정된다.[6]

스테빈은 비교적 부유한 환경에서 자라 좋은 교육을 받았을 것으로 여겨진다. 고향의 라틴어학교에서 교육을 받았을 가능성이 크다.[4] 1571년 특별한 목적지 없이 브뤼헤를 떠났다. 칼뱅주의자였을 가능성이 큰데, 가톨릭 신자였다면 나중에 오라녜 공 모리스 휘하에서 그가 차지했던 신뢰받는 직책에 오르기는 어려웠을 것이기 때문이다. 스페인 통치자들의 프로테스탄트 박해를 피하기 위해 브뤼헤를 떠났을 것으로 추정된다. ''Wisconstighe Ghedaechtenissen''(수학적 회고록)의 언급을 바탕으로, 먼저 안트베르펜으로 이동하여 상인의 사무원으로서 경력을 시작했을 것이라고 추론된다.[5] 일부 전기 작가들은 1571년부터 1577년 사이에 프로이센, 폴란드, 덴마크, 노르웨이, 스웨덴북유럽의 다른 지역을 여행했다고 언급한다. 더 긴 기간에 걸쳐 이러한 여행을 완료했을 가능성도 있다. 1577년 시몬 스테빈은 브뤼헤로 돌아와 브뤼헤 의회 의원들에 의해 시청 사무원으로 임명되었으며, 1577년부터 1581년까지 그 직책을 수행했다. 브뤼헤의 대영주령인 브뤼헤 프리의 얀 드 브뤼네 사무실에서 근무했다.

2. 2. 네덜란드에서의 활동

1581년 스테빈은 고향 브뤼헤를 떠나 라이덴으로 가서 라틴어 학교에 다녔다.[4] 1583년 2월 16일 그는 "브뤼헤 출신 시몬 스테빈"(Simon Stevinus Brugensis)이라는 이름으로 라이덴 대학교에 입학했는데, 이 대학교는 1575년 빌렘 1세에 의해 설립되었다. 여기서 그는 빌렘 1세의 둘째 아들이자 상속자인 나사우 백작 모리스와 친구가 되었다.[6] 스테빈은 1590년까지 대학교 등록부에 기록되어 있으며, 졸업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빌렘 1세 암살 후 모리스가 아버지의 직책을 맡자, 스테빈은 모리스의 주요 고문이자 가정교사가 되었다. 모리스는 여러 차례 스테빈의 조언을 구했고, 그를 공직에 임명했다. 처음에는 1592년부터 "waterstaet"[18](정부의 토목 공사, 특히 수자원 관리 기관)의 책임자가 되었고, 나중에는 네덜란드 연합 공화국 군대의 사무총장이 되었다.[7] 모리스는 또한 스테빈에게 라이덴 대학교 내에 공학 학교를 설립해 줄 것을 요청했다.

스테빈은 1612년 헤이그로 이주하여 집을 샀다. 그는 1610년 또는 1614년에 결혼하여 네 명의 자녀를 두었다. 1620년 라이덴이나 헤이그에서 사망했을 때 미망인과 두 명의 자녀를 남긴 것으로 알려져 있다.[6]

1600년에는 라이덴 대학교 공과대학 설립을 위한 위원장이 되었다. 기술학교 네덜다우체 마티마틱(Nederduytsche Mathematique)의 조직화를 추진하는 한편, 교육에서는 라틴어가 아닌 플라망어로 강의를 하는 규정을 만들었다.[31]

1603년에는 마우리츠의 추천으로 네덜란드 육군 주계총감이 되어 1620년 사망할 때까지 그 직책에 재직했다.

2. 3. 주요 업적

스테빈은 수학, 물리학, 수리공학, 측량 등 다양한 분야에서 선구적인 업적을 남긴 인물이다.

  • 1582년, 상인들을 위한 이자 계산표를 출판하였다.
  • 1585년, 《10분의 1에 관하여》(''De Thiende'')라는 소책자를 통해 소수 계산법을 체계적으로 해설하고, 소수 표기법과 계산법의 가치를 높이 평가하여 계산술 발전에 기여하였다. 이 표기법은 후에 비에타에 의해 개량되었으며, 스테빈이 제안한 십진법 기반 화폐 및 도량형 제도는 프랑스 혁명 때 실현되었다.
  • 역학 분야에서는 아르키메데스의 정역학을 발전시켜 《균형의 원리》(1586)를 저술, 고체와 유체의 정역학을 다루고 도르래 이론을 전개하여 가상변위의 원리에 도달했다. 특히 영구 운동의 불가능성을 전제로 빗면 균형 조건을 연구하여 '힘의 평행사변형 법칙'을 발견했다.
  • 정수압(靜水壓)에서 수압기의 가능성을 예상하고 부체의 균형을 다루었으며, 훗날 네덜란드 수륙영선 최고감독관에 임명되었다.
  • 네덜란드어 수학 용어 정립에 기여하여, 라틴어나 그리스어에 의존하지 않는 고유어 수학 용어를 확립하는 데 힘썼다. (예: 수학(mathematics) → wiskunde)

  • 1600년경, 육상 요트를 발명하여 오라녜 공 모리스(Maurice of Nassau, Prince of Orange)와 함께 스헤페닝언(Scheveningen)과 페텐(Petten) 사이 해변에서 사용했다. 이 마차는 바람의 힘만으로 말보다 빠른 속도를 냈다.[18]
  • 수리공학 분야에서는 홍수 제어를 위한 수문과 여수로를 개선하고, 『풍차에 관하여』(Van de Molens)를 통해 풍차 효율을 3배 향상시키는 개선안을 제시했다. 1586년에는 관련 특허를 획득했다.[8][7]
  • 평면에서 틀을 구분하여 정다면체와 준정다면체를 모델링하는 방법을 최초로 제시하고, 안정 평형과 불안정 평형을 구분했다.[18]
  • ''De Driehouckhandel''을 통해 삼각법에 기여했다.
  • ''무게 측정술 원리 제1권, 제2부: 명제들 [사선 무게의 성질], 41쪽, 정리 XI, 명제 XIX''[9]에서 "화환" 그림을 사용하여 경사면에서 힘의 균형 조건을 유도했다.
  • 피에르 바리뇽 이전에 힘의 분해를 보였다.[18]
  • 정수압 역설을 발견하여 액체 내 압력이 용기 모양과 바닥 면적과 무관하며 높이에만 의존함을 보였다.[18]
  • 용기 측면의 주어진 부분에 대한 압력 측정값을 제시했다.[18]
  • 인력을 사용하여 조석을 최초로 설명했다.[18]
  • 1586년, 실험을 통해 무게가 다른 두 물체가 같은 가속도로 낙하함을 증명했다.[10][11]
  • 1605년, 『수학적 사색』(Wiskonstighe Ghedachtenissen)을 출판하여 연차 기간 손익계산서와 정산표를 설명하고, 국가 재정 관리에 복식부기 도입을 제안했다.
  • 미완성 원고 『Van de Spiegheling der singconst』(약 1605년)에서 서양 최초로 2의 12제곱근에 대한 평균율을 언급했다. (1884년 출판)[32]

3. 수학

네덜란드의 수학자·물리학자·기술자인 시몬 스테빈(스테비누스라고도 불림)은 수학, 물리학, 그리고 수리공학, 측량과 같은 응용 과학 분야에서 다양한 업적을 남겼다. 특히, 그는 소수 계산법과 대수학 분야에서 중요한 공헌을 했다.

스테빈은 1582년 이자 계산표 책을 출판하여 상인들에게 편의를 제공하였으며, 1585년에는 《10분의 1에 관하여》(De Thiende)라는 소책자를 통해 소수 계산에 대한 최초의 조직적인 해설을 제시했다.[18] 이 책에서 그는 소수(십진분수)의 표기법과 계산법의 가치를 높이 평가하고, 소수 사용을 장려하여 계산술 발전에 기여했다. 비록 그의 표기법은 다소 복잡했지만, 훗날 바르톨로메우스 피티스쿠스와 존 네이피어에 의해 개선되었다.[18] 스테빈이 제안한 십진법에 기반한 화폐 및 도량형 제도는 프랑스 혁명 때 실현되었다.

그는 또한 1594년에 저술한 《산술》을 통해 서구 세계에 최초로 2차 방정식의 일반적인 해법을 제시했다. 이는 거의 천 년 전 인도의 브라마굽타에 의해 처음으로 기록된 것이다. 스테빈은 수를 정수나 유리수 분수로 제한하는 고전적인 규정을 없애고 실수가 연속체를 형성한다는 개념을 제시했다. 그의 실수 개념은 후대 과학자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19]

스테빈은 중간값 정리를 증명하고, 구간을 10개의 같은 부분으로 나누는 분할 정복 알고리즘을 사용하는 등 다양한 수학적 업적을 남겼다. 그의 소수 이론은 아이작 뉴턴의 무한급수 연구에 영감을 주었다.[22]

또한 스테빈은 많은 수학용어를 네덜란드 고유어로 번역하는 데 힘을 기울여 네덜란드어는 유럽어 중 드물게 라틴어, 그리스어에 의지하지 않은 다수의 수학용어를 보유하게 되었다. 예를 들어 수학(mathematics)에 해당하는 네덜란드어는 wiskunde이며 이는 <어떤 것이 확실한가에 대한 기술>이라는 뜻이다.

3. 1. 소수 계산법

네덜란드의 수학자, 물리학자, 기술자인 시몬 스테빈은 1585년에 《10분의 1에 관하여》(De Thiende)라는 소책자를 통해 소수 계산에 대한 최초의 조직적인 해설을 제시했다.[18] 이 책에서 그는 소수(십진분수)의 표기법과 계산법의 가치를 높이 평가하고, 소수 사용을 장려하여 계산술 발전에 기여했다.

스테빈의 소수 표기법은 현재와는 약간 달랐다. 예를 들어, 19.178을 "19⓪1①7②8"과 같이 표기했다. 여기서 동그라미 안의 숫자는 소수점 이하 각 자리의 자릿수를 나타낸다. 이러한 표기법은 다소 복잡했지만, 훗날 바르톨로메우스 피티스쿠스(Bartholomaeus Pitiscus)와 존 네이피어(John Napier)에 의해 개선되었다.[18]

스테빈의 소수 표기법


스테빈은 십진법에 기반한 화폐 및 도량형 제도를 프랑스 정부에 제안했고, 이는 프랑스 혁명 때 실현되었다. 그는 십진법 화폐, 측정 단위 및 무게의 보편적인 도입은 시간 문제일 뿐이라고 확신했다.[17][18]

스테빈은 덧셈, 뺄셈, 곱셈, 나눗셈과 같은 기본적인 산술 연산을 소수를 사용하여 쉽게 할 수 있도록 했다. 그의 저서는 단위분수이집트 분수와 같은 개념을 포함하고 있으며, 무슬림 수학자들이 사용했던 십진법을 유럽에 널리 알리는 데 큰 역할을 했다.[15][16]

3. 2. 대수학

스테빈은 1594년에 그의 저서 ''산술''을 저술했다. 이 책은 서구 세계에 최초로 2차 방정식의 일반적인 해법을 소개했는데, 이는 거의 천 년 전 인도의 브라마굽타에 의해 처음으로 기록되었다.

바르텔 린더트 판 데르 바르덴에 따르면, 스테빈은 "수를 정수(유클리드) 또는 유리수 분수(디오판토스)로 제한하는 고전적인 규정을 제거했으며...실수는 연속체를 형성했다. 그의 실수에 대한 일반적인 개념은 후대의 모든 과학자들에 의해 암묵적 또는 명시적으로 받아들여졌다".[19] 최근 연구에 따르면 스테빈은 실수의 개발에 있어서 카를 바이어슈트라스의 추종자들이 인정했던 것보다 더 큰 역할을 했다고 한다.[20] 스테빈은 다항식에 대한 중간값 정리를 증명하여 코시의 증명을 예상했다. 스테빈은 구간을 10개의 같은 부분으로 나누는 분할 정복 알고리즘을 사용했다.[21] 스테빈의 소수는 아이작 뉴턴의 무한급수에 대한 연구에 영감을 주었다.[22]

4. 물리학

스테빈은 수학, 물리학과 같은 (공학 관련) 과학과 수리공학, 측량과 같은 응용 과학의 발전과 실용적인 적용에 있어 선구자였다. 그의 과학적 연구는 여러 방면에 걸친 것이었으며, 문학적·군사적인 양면의 기술자로서도 활약하였고, 특히 축성기사로서의 명성은 매우 높았다. 최대의 공헌은 역학분야의 업적으로서, 아르키메데스적 정역학은 스테빈에 의하여 대성되었다. 《균형의 원리》(1586)에서는 고체와 유체의 정역학을 다루었으며, 도르래의 이론을 전개하여 가상변위의 원리에 이르고 있다. 특히 영구 운동이 불가능한 것을 전제로 빗면에 관한 균형의 조건을 음미하였고, '힘의 평행사변형의 법칙'을 발견한 공적은 매우 크다.[18] 이밖에 정수압(靜水壓)에서 수압기의 가능성을 예상하였고, 부체의 균형을 다루기도 하였다. 훗날 네덜란드의 수륙영선 최고감독관의 지위에 올랐다.

스테빈은 평면에서 그 틀을 구분하여 정다면체와 준정다면체를 모델링하는 방법을 최초로 보여준 사람이다. 그는 또한 안정된 평형과 불안정한 평형을 구분했다.[18]

''무게 측정술 원리 제1권, 제2부: 명제들 [사선 무게의 성질], 41쪽, 정리 XI, 명제 XIX''[9]에서 그는 삼각 기둥의 평면에 균일하게 간격을 두고 놓인 둥근 질량을 포함하는 "화환" 그림을 사용하여 경사면에서 힘의 균형 조건을 유도했다(옆 그림 참조). 그는 세 번째 변이 수평이라고 가정했을 때 필요한 무게는 그 위에 놓인 변의 길이에 비례하고 무게의 효과는 유사한 방식으로 감소한다고 결론지었다. 감소 계수는 삼각형의 높이를 변의 길이로 나눈 값(수평면과 변이 이루는 각도의 사인)임이 암시적으로 나타난다. 이 개념의 증명 그림은 "스테비누스의 비문"으로 알려져 있다. E. J. 다이크스터후이스가 지적했듯이, 경사면에서의 평형에 대한 스테빈의 증명은 영구 운동을 사용하여 귀류법을 암시한다는 점에서 잘못될 수 있다. 다이크스터후이스는 스테빈이 "명시적으로 공식화되기 오래전에...에너지 보존 법칙을 직관적으로 사용했다"고 말한다.[2]

그는 인력을 사용하여 조석을 최초로 설명한 사람이다.[18]

1588년, 수력학에서의 발명의 실용화를 둘러싸고 당시 세계적으로 유명한 법학자인 그로티우스(Hugo Grotius)의 아버지 요한 코르네츠 드 프로이트(Johan Cornets de Groot)와 공동 관계를 맺었다. 그들은 새롭게 고찰한 시스템에 따라 기존의 수차를 많이 개량하였다.

4. 1. 힘의 평행사변형 법칙

피에르 바리뇽보다 앞서 힘의 분해를 보여주었는데, 이는 힘의 합성 법칙의 간단한 결과임에도 이전에는 주목받지 못했다.[18] 1586년에는 고대 그리스의 수학자이자 물리학자, 기술자, 천문학자, 발명가인 아르키메데스의 연구를 발전시켜 『힘의 평형 원리 (De beghinselen der weeghconst)』를 저술하였다. 여기에는 힘의 벡터 합성 이론, 수압에 관해 서술하고, 지렛대 원리의 증명, 염주를 이용한 사고 실험을 통해 영구 운동의 불가능성과 사면의 법칙을 증명하여 힘의 평행사변형 법칙의 발견에 이르렀다. 참고로, 『힘의 평형 원리』의 부록에는 스테빈이 실시한 실험으로, 무게가 10배 차이 나는 두 물체를 낙하시키면 거의 동시에 낙하한다는 실험 결과가 제시되어 있다.[18]

4. 2. 정수압 역설

스테빈은 액체 내 압력이 용기의 모양과 바닥 면적과는 무관하며 오직 높이에만 의존한다는 정수압 역설을 발견했다.[18] 그는 또한 용기 측면의 주어진 부분에 대한 압력의 측정값을 제시했다.[18]

4. 3. 델프트 탑 실험

1586년, 그는 실험을 통해 무게가 다른 두 물체가 같은 가속도로 낙하한다는 것을 증명했다.[10][11] 이 실험에서 무게가 10배 차이 나는 두 물체를 낙하시키면 거의 동시에 낙하한다는 결과를 얻었다. 이 내용은 같은 해에 출판한 『힘의 평형 원리』 부록에 제시되어 있다.

5. 공학

시몬 스테빈은 수학, 물리학과 같은 과학뿐만 아니라 수리공학, 측량과 같은 응용 과학의 발전과 실용적인 적용에 있어 선구자였다. 그의 동시대인들에게 가장 인상적인 것은 육상 요트라 불리는 돛을 단 마차를 발명한 것이었다. 1600년경 스테빈은 오라녜 공 모리스(Maurice of Nassau, Prince of Orange)와 26명의 다른 사람들과 함께 스헤페닝언(Scheveningen)과 페텐(Petten) 사이의 해변에서 이 마차를 사용했는데, 바람의 힘만으로 추진되었으며 말보다 빠른 속도를 냈다.[18] 이 마차의 모형은 1802년까지 스헤페닝언(Scheveningen)에 보존되어 있었으나, 마차 자체는 그 이전에 이미 분실되었다.

오라녜 공 모리스를 위해 시몬 스테빈이 설계한 풍력 마차 또는 육상 요트(Zeilwagen)(자크 드 게인의 판화)

5. 1. 요새 구축

시몬 스테빈은 문학적·군사적인 양면의 기술자로서 활약하였고, 특히 축성기사로서의 명성은 매우 높았다.

5. 2. 수리 공학

스테빈은 홍수를 조절하기 위한 수문과 여수로를 개선하는 데 힘썼다. 이미 물을 퍼내는 데 풍차가 사용되고 있었지만, 그는 『풍차에 관하여』(Van de Molens)에서 톱니 맞물림을 위한 더 나은 체계를 포함하여 바퀴가 느리게 회전해야 한다는 등의 개선안을 제시했다. 이러한 개선으로 간척지에서 물을 퍼내는 데 사용되는 풍차의 효율이 세 배나 향상되었다.[8] 그는 1586년에 자신의 혁신에 대한 특허를 받았다.[7]

6. 기타 업적

스테빈은 수학, 물리학, 기술 등 여러 분야에서 다양한 업적을 남겼다. 1582년 상인들을 위해 이자 계산표를 출판했고, 1585년 《10분의 1에 관하여》라는 소책자를 통해 소수 계산에 대한 최초의 체계적인 설명을 제시했다. 그는 소수(십진분수)의 가치를 높이 평가하고 사용을 장려하여 계산술 발전에 기여했다. 그의 표기법은 다소 복잡했지만, 이후 비에타에 의해 개선되었다. 그가 제안했던 십진법 기반 화폐 및 도량형 제도는 프랑스 혁명 때 실현되었다. 이러한 내용은 《응용산술》이라는 저서에 요약되어 있다.

역학 분야에서 스테빈은 아르키메데스의 정역학을 발전시켰다. 《균형의 원리》(1586)에서는 고체와 유체의 정역학을 다루었고, 도르래 이론을 통해 가상변위의 원리에 도달했다. 특히 영구 운동이 불가능하다는 것을 전제로 빗면에서의 균형 조건을 연구하여 '힘의 평행사변형 법칙'을 발견했다. 또한 정수압에서 수압기의 가능성을 예상하고, 부체의 균형을 다루기도 했다. 이후 그는 네덜란드의 수륙영선 최고감독관의 지위에 올랐다.

6. 1. 복식부기

스테빈은 젊은 시절 앤트워프에서 서기로 일했던 경험이나 루카 파치올리와 제롤라모 카르다노 같은 이탈리아 작가들의 저술을 통해 복식부기를 이론적으로 알고 있었을 가능성이 있다.[14][18] 하지만 스테빈은 국가 재정에 비인격적 계정(회계)을 사용할 것을 최초로 권장한 인물이다. 그는 모리스 공작을 위해 이를 실제로 적용했고, 프랑스의 정치가 슐리에게도 이를 권장했다.[14][18]

1605년에 출판한 『수학적 사색』(Wiskonstighe Ghedachtenissen)에서 연차 기간 손익계산서와 정산표에 대해 설명하고 있으며, 이는 회계사와 부기사에게 중요하게 여겨진다. 이 책에서 스테빈은 국가 재정 관리에도 복식부기를 도입할 것을 제안하고 있다.

6. 2. 음악 이론

''Van de Spiegheling der singconst''(반 데 스피겔링 데르 싱콘스트)


서양에서 2의 12제곱근과 관련된 평균율에 대한 최초의 언급은 시몬 스테빈의 미완성 원고 ''Van de Spiegheling der singconst''(약 1605년)에 나타났으며, 이는 사후 300년이 지난 1884년에 출판되었다.[12] 그러나 그의 계산은 부정확하여 그가 얻은 많은 수치(현의 길이)는 정확한 값과 1 또는 2 단위 차이가 났다.[13] 그는 조세포 자를리노의 제자였던 이탈리아의 루트 연주자이자 음악 이론가인 빈첸초 갈릴레이(갈릴레오 갈릴레이의 아버지)의 저술에서 영감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6. 3. 네덜란드어 과학 용어 정립

스테빈은 네덜란드어가 과학 저술에 탁월하다고 생각하여 많은 수학 용어를 네덜란드어로 번역했다. 그 결과 네덜란드어는 그리스어라틴어에서 유래하지 않은 많은 수학 용어를 가진 서유럽 언어 중 하나가 되었다. 여기에는 ''wiskunde''(수학)라는 단어 자체도 포함된다.[18]

스테빈 덕분에 네덜란드어수학을 위한 "wiskunde"(''kunst van het gewisse of zekere'', 확실한 것 또는 알려진 것의 기술), 물리학을 위한 "natuurkunde" (자연의 기술), 화학을 위한 "scheikunde" (분리의 기술), 천문학을 위한 "sterrenkunde" (별의 기술), 기하학을 위한 "meetkunde" (측정의 기술)과 같은 적절한 과학 어휘를 갖게 되었다.[18]

그가 만들어낸 단어 중 일부는 변화를 겪었다. 'aftrekken'(''빼다'')와 'delen'(''나누다'')는 동일하게 유지되었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menigvuldigen'은 'vermenigvuldigen'(''곱하다'', 추가된 'ver'는 그것이 행위임을 강조)이 되었다. 'Vergaderen'(''모으다'')는 'optellen'(''더하다'', 문자 그대로 ''합산하다'')이 되었다. 지름을 뜻하는 네덜란드어 'middellijn'는 문자 그대로 중앙을 통과하는 선을 의미한다. 'zomenigmaal'('''', 문자 그대로 '그만큼의 배수')라는 단어는 현대 네덜란드어에서 'quotiënt'로 대체되었다. 'teerling'(''주사위'', 주사위라는 의미로 여전히 사용되고 있지만)과 같이 현대 네덜란드어 수학 용어로 들어오지 못한 다른 용어도 있는데, 이는 정육면체 대신 사용되었다.

7. 유산 및 영향

벨기에와 브뤼헤 시는 시몬 스테빈을 기리기 위해 그의 생애 이후로 장소, 동상 및 기타 주제의 이름을 계속해서 사용하고 있다.


  • 1839년, 브뤼헤 시와 서플랑드르 주 정부는 스테빈을 기리기 위해 시몬 스테빈 광장(Simon Stevinplein)을 조성했다. 이 광장에는 외젠 시모니스(Eugène Simonis)가 제작한 스테빈의 동상이 있으며, 1847년에 공식적으로 공개되었다.[23] 이 동상에는 스테빈이 증명한 경사면 상의 평형 법칙을 보여주는 두루마리가 있다.
  • 2012년 5월 25일, 벨기에 정부 운영 페리 및 선박 회사인 VLOOT dab는 남부 북해의 오스텐드 항구에서 해양 연구를 위해 건조된 선박인 RV 시몬 스테빈(RV Simon Stevin)을 진수했다. 이 선박은 영국 해협의 동쪽에 위치한다.[24]
  • 네덜란드 연구위원회(NWO)는 2018년 스테빈의 이름을 딴 과학상인 스테빈 상(Stevin Prize)을 제정하여 과학 연구와 사회에 도움이 되는 실용적인 응용 사이의 간극을 메우는 데 기여한 업적을 조명했다.[25]
  • 테크니슈 대학교 아인트호벤의 기계 공학 학생회인 W.S.V. 시몬 스테빈[26]은 시몬 스테빈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학생회는 스테빈을 기념하여 바의 이름을 "De Weeghconst"라고 지었고, 직접 제작한 육상 요트 함대를 소유하고 있다.

참조

[1] 백과사전 Stevin, Simon https://www.oxfordmu[...] Oxford University Press
[2] 서적 Simon Stevin: Science in the Netherlands around 1600 Martinus Nijhoff Publishers
[3] 웹사이트 Het tijdschrift ''De Vlaamse Stam'', jaargang 34, pp. 323–328 http://users.ugent.b[...]
[4] 서적 The Wonderful World of Simon Stevin: 'Magic is No Magic' WIT Press
[5] 서적 The Principal Works of Simon Stevin, vol I, Mechanics N.V. Swets & Zeitlinger
[6] 웹사이트 2004-01-01
[7] 학술지 Simon Stevin of Bruges (1548–1620)
[8] 비디오 The Story of Science: Power, Proof & Passion – EP4: Can We Have Unlimited Power?
[9] 웹사이트 The Principal Works of Simon Stevin http://www.dwc.knaw.[...]
[10] 문서 Appendix to De Beghinselen Der Weeghconst
[11] 서적 Ripples in Spacetime: Einstein, Gravitational Waves, and the Future of Astronomy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2017-07-31
[12] 웹사이트 Van de spiegheling der singconst http://diapason.xent[...] Diapason.xentonic.org 2009-06-30
[13]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Western Music Theo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4] 백과사전 Stevin, Simon (1548–1620) https://egrove.olemi[...] Garland Publishing
[15] 웹사이트 Al-Kashi 2009-07-01
[16] 서적 Numbers: Their History and Meaning Dover Publications
[17] 서적 Numbers: Computers, philosophers, and the search for meaning https://archive.org/[...] Facts on File
[18] 백과사전
[19] 서적 A History of Algebra. From al-Khwarizmi to Emmy Noether https://archive.org/[...] Springer-Verlag
[20] 학술지 A Burgessian Critique of Nominalistic Tendencies in Contemporary Mathematics and its Historiography
[21] 학술지 Stevin Numbers and Reality https://doi.org/10.1[...]
[22] 학술지 Ten misconceptions from the history of analysis and their debunking
[23] 웹사이트 The Statue of Simon Stevin in Brugge, Belgium https://www.gpsmycit[...]
[24] 웹사이트 RV Simon Stevin strengthens marine science clout https://www.vliz.be/[...]
[25] 웹사이트 NWO Stevin Prize https://www.nwo.nl/e[...]
[26] 웹사이트 http://www.simonstev[...]
[27] 웹사이트 Wiskonstighe Ghedachtenissen http://www-history.m[...]
[28] 웹사이트 Stevin, Simon, Les œuvres mathématiques http://architectura.[...]
[29] 문서 ステヴィンはオランダ人である。
[30] 웹사이트 ステビン - Yahoo!百科事典、日本大百科全書 http://100.yahoo.co.[...] Yahoo! JAPAN、 小学館
[31] 문서 ステヴィンはラテン語ではなくフランドル語で大部分の論文を著している。
[32] 웹사이트 Van de spiegheling der singconst http://diapason.xent[...] Diapason.xentonic.org 2009-06-30
[33]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western music theo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