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우량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염우량은 충청남도 공주 출신의 정치인으로, 공주공립보통학교와 영명고등학교를 졸업하고 호국군 사관학교 1기를 졸업했다. 그는 공주보안대장, 반탁투쟁위원회 공주군지부장 등을 역임했으며 자유당 창당에 참여하여 공주 갑구 당위원장을 지냈다. 1954년 제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자유당 후보로 당선되어 국회의원을 지냈으며, 1956년에는 자유당 원내부총무를 역임했다. 이후 신민당을 탈당하여 한국독립당에 입당, 제7대 총선에 출마했으나 낙선했으며, 1969년 개헌 추진위원회에 참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공주영명고등학교 동문 - 정낙훈
정낙훈은 충청남도 공주 출신으로 군수, 충청북도지사, 농림부 장관 등을 역임하고 제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당선되었다. - 공주영명고등학교 동문 - 진윤성
대한민국의 역도 선수 진윤성은 화교 아버지와 한국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나 2019년 세계 역도 선수권 대회에서 메달을 획득하고 2020년 도쿄 올림픽에 참가했다. - 공주중동초등학교 동문 - 나웅배
나웅배는 롯데제과, 해태제과, 한국타이어 사장 등을 지낸 기업인 출신으로, 제11대부터 14대 국회의원과 경제기획원 장관, 통일원 장관, 재정경제원 장관 등을 역임한 경제학자이자 정치인이다. - 공주중동초등학교 동문 - 박찬호
박찬호는 한국인 최초로 메이저 리그에 진출하여 아시아 출신 투수 최다승 기록을 세운 전직 야구 선수로, 메이저 리그와 KBO 리그에서 활약했으며 국가대표로도 금메달을 획득했다. - 공주시 출신 - 정진석 (정치인)
정진석은 1960년 충청남도 공주 출생으로 한국일보 기자 출신이며, 16, 17, 18, 20, 21대 국회의원을 역임하고 이명박 정부에서 대통령 정무수석비서관을 지냈으며, 20대 국회에서 새누리당 원내대표와 국회 부의장을 역임했다. - 공주시 출신 - 신영철 (법조인)
신영철은 서울대학교 법대를 졸업하고 사법시험에 합격하여 서울중앙지방법원장과 대법관을 역임했으며, 촛불 시위 관련 재판 관여 의혹으로 탄핵소추안이 발의되었으나 부결된 후 현재는 변호사로 활동한다.
| 염우량 | |
|---|---|
| 기본 정보 | |
| 한자 표기 | 廉友良 |
| 출생 | 1907년 1월 11일 |
| 사망 | 1987년 9월 27일 (향년 80세) |
| 본관 | 파주 염씨 |
| 정치 경력 | |
| 소속 정당 | 자유당 |
| 국회의원 | 제4대 국회의원 |
2. 약력
충청남도 공주 출신이다. 공주공립보통학교와 영명고등학교를 졸업하고, 호국군 사관학교(1기)를 졸업했다. 이후 공주보안대 대장, 반탁투쟁위원회 공주군 지부장, 독립촉성국민회 공주군 지부장, 민족대표자대회 공주군 대의원, 공주능인고등공민학교장 등을 역임했다.[1]
해방 이후 충청남도 공주 지역에서 공주보안대장, 반탁투쟁위원회 공주군지부장 등으로 활동했다.[1] 이후 자유당 창당에 참여했으며, 1954년 제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자유당 공천으로 충청남도 공주 갑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1] 1956년에는 자유당 원내부총무를 지냈다.[4] 1967년에는 신민당을 탈당하고 한국독립당에 입당하여[5] 제7대 국회의원 선거에 출마했으나 낙선했다. 1969년에는 박정희 정권의 3선 개헌을 위한 「개헌추진위원회」에 참여했다.[6]
자유당 창당에 참여했으며, 이후 자유당 공주 갑구 당위원장을 지냈다. 1954년 제3대 총선에서 공주 갑구에 자유당 후보로 출마하여 당선되어 국회의원이 되었다.[1] 1956년에는 자유당 원내부총무로 선출되었다.[4]
1967년 5월에는 신민당을 탈당하고 한국독립당에 입당했으며,[5] 같은 해 제7대 총선에 출마했으나 낙선했다. 1969년 3월 19일에는 개헌추진위원회에 참여한 것으로 확인된다.[6] 이후의 행적은 알려지지 않았다.
3. 정치 활동
3. 1. 해방 직후
해방 이후 충청남도 공주 지역을 기반으로 활동했다. 공주보안대장을 지냈으며, 반탁투쟁위원회 공주군지부장을 맡아 반탁 운동에 참여했다. 또한 민족대표자대회 공주군대의원으로 활동하고, 공주능인고등공민학교장을 역임했다.[1]
3. 2. 자유당 창당과 국회의원 당선
자유당 창당에 참여했으며, 이후 자유당 공주 갑구 당위원장을 역임했다. 1954년 제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충청남도 공주 갑 선거구에서 자유당 공천으로 출마하여 당선되었다.[1] 1956년에는 자유당 원내부총무로 선출되었다.[4]
3. 3. 야당 활동과 3선 개헌 추진 참여
1967년 5월 신민당을 탈당하고 한국독립당에 입당하였다.[5] 같은 해 제7대 국회의원 선거에 출마했으나 낙선하였다. 이후 1969년 3월 19일에는 박정희 정권이 추진하던 3선 개헌을 위한 「개헌추진위원회」에 참여하였다.[6]
4. 역대 선거 결과
wikitext
| 연도 | 선거 종류 | 대수 | 직책 | 선거구 | 소속 정당 | 득표수 (득표율) | 순위 | 결과 |
|---|---|---|---|---|---|---|---|---|
| 1948년 | 총선 | 1대 | 국회의원 | 충남 공주군 갑 | 대동청년단 | 5,207 (18.33%) | 2위 | 낙선 |
| 1950년 | 총선 | 2대 | 국회의원 | 충남 공주군 갑 | 무소속 | 5,307 (17.68%) | 2위 | 낙선 |
| 1954년 | 총선 | 3대 | 국회의원 | 충남 공주군 갑 | 자유당 | 14,227 (53.64%) | 1위 | 당선 (초선) |
| 1958년 | 총선 | 4대 | 국회의원 | 충남 공주군 갑 | 자유당 | 8,810 (30.13%) | 2위 | 낙선 |
| 1960년 | 총선 | 5대 | 국회의원 | 충남 공주군 갑 | 자유당 | 1,922 (6.04%) | 8위 | 낙선 |
5. 평가
(내용 없음)
참조
[1]
웹사이트
대한민국헌정회
https://rokps.or.kr/[...]
2023-01-27
[2]
웹사이트
"(133)파주 염씨(坡州廉氏)-53,539명"
http://www.seoulecon[...]
2015-02-19
[3]
웹사이트
激烈한 論戰을 展開
https://www.busan.co[...]
1957-01-27
[4]
웹사이트
自由? 六議員 除名 再審 建議
https://www.busan.co[...]
1956-06-25
[5]
웹사이트
韓獨에 집단入黨
https://newslibrary.[...]
1967-05-15
[6]
웹사이트
"저사람은나보다政治(정치)잘해"
https://newslibrary.[...]
2023-10-03
[7]
웹인용
파주염씨 소개
http://www.pajuyom.k[...]
파주염씨 인터넷족보
2008-04-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