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영광 법성진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영광 법성진성은 전라남도 영광군 법성포에 위치한 석성이다. 동-서 너비 약 200m, 잔존 최대 높이 300cm 내외, 성벽 너비 700cm 내외의 규모이며, 현재 동벽 75m, 북벽 250m, 서벽 125m, 남벽 10m가 남아 있다. 성벽에는 전라도 관내의 군현명, 쌓은 척, 감관, 도색 등의 이름이 새겨져 있어 당시의 제도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평가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영광군 (전라남도)의 문화유산 - 영광 법성진 숲쟁이
    영광 법성진 숲쟁이는 전라남도 영광군 법성포에 위치한 숲으로, 법성포 마을을 보호하는 방풍림이자 민속 행사가 열리던 지역 문화 중심지로서, 조선 시대 법성진성과 인접해 단오, 용왕제 등의 문화 행사가 열렸으며 현재 사적 제396호로 지정되어 보존되고 있다.
  • 영광군 (전라남도)의 문화유산 - 영광 내산서원 소장 필사본 건거록(간양록) 등 문적일괄
    영광 내산서원 소장 필사본 건거록(간양록) 등 문적일괄은 임진왜란과 정유재란 시기 강항의 경험과 사상을 담은 문헌 자료로, 《건거록(巾車錄)》, 《운제록(雲堤錄)》, 《강감회요(綱鑑會要)》, 《문선주(文選註)》 등을 포함하며 당시 사회상과 시대적 과제를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이다.
  • 전라남도의 기념물 - 추월산
  • 전라남도의 기념물 - 순천왜성
    순천왜성은 임진왜란 때 고니시 유키나가 등이 호남 공략 거점으로 삼아 순천에 약 3개월 만에 축조한 왜성으로, 남해안 왜성들을 연결하는 군사 요충지였으며 현재 전라남도기념물로 지정되어 왜교성 전투와 축성 방식으로도 주목받는다.
  • 전라남도의 성 - 순천왜성
    순천왜성은 임진왜란 때 고니시 유키나가 등이 호남 공략 거점으로 삼아 순천에 약 3개월 만에 축조한 왜성으로, 남해안 왜성들을 연결하는 군사 요충지였으며 현재 전라남도기념물로 지정되어 왜교성 전투와 축성 방식으로도 주목받는다.
  • 전라남도의 성 - 장성 입암산성
    장성 입암산성은 전라남도 장성군 입암산에 위치한 산성으로, 1256년 송군비가 축조한 것으로 전해지며 조선 시대 개축과 임진왜란을 거치면서 중요한 방어 시설로 활용되었고, 15km에 달하는 성벽과 남문, 북문, 장기간 방어를 위한 물 확보 설계가 특징이며 주변 관광 명소와 등산로가 정비되어 있다.
영광 법성진성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영광 법성진성
영광 법성진성
국가대한민국
위치전라남도 영광군 법성면 진내리 947 외 일대
유형기념물
지정 번호205
지정일2002년 11월 27일
시대조선시대
면적15,970m2

2. 역사

영광 법성진성은 남쪽으로 바다와 접한 구릉의 남사면에 있으며, 평면상 직사각형 형태이다. 돌로 쌓은 석성으로, 동-서 너비 약 200m, 잔존 최대 높이 300cm 내외, 성벽 너비 700cm 내외의 규모이다. 남벽이 모두 파괴되어 남-북 길이는 정확히 알 수 없으나 동-서 길이는 250m이다. 현재 남아 있는 성벽 길이는 동벽 75m, 북벽 250m, 서벽 125m, 남벽 10m로 총 460m인데, 밖으로 돌출된 치(雉) 부분을 포함하면 더 길어진다. 성벽은 외벽에 돌을 쌓아 올리고 안쪽에는 잡석과 흙을 섞어 채워 넣었다.

성 안에서 출토된 기와, 자기, 토기유물이 모두 조선시대 유물인 것으로 보아 조선시대에 사용된 성으로 추정된다. 성벽에는 성을 쌓기 위해 동원된 전라도 관내 군현명, 쌓은 척(尺), 감관(監官), 도색(都色) 등의 이름이 새겨져 있어, 당시 인원 동원 및 성 축조 관련 제도 등을 파악하는 데 좋은 자료로 평가된다.

법성진성은 성벽이 비교적 잘 남아 있고, 성벽에 새겨진 글 등 조선시대 진성(鎭城)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서 역사적·학술적 가치가 크다.

2. 1. 문헌 기록

新増東國輿地勝覽중국어에는 둘레 1,688척, 높이 12척으로, 東國輿地志중국어에는 둘레 1,688척으로, 法聖鎭鎭誌중국어에는 둘레 3,062척, 높이는 8척 7촌으로 기록되어 있다.

3. 구조

법성진성은 남쪽으로 바다와 접한 구릉의 남사면에 있으며, 평면상 직사각형 형태이다. 성 안에서 출토된 기와, 자기, 토기 등의 유물은 모두 조선시대의 것으로, 조선시대에 사용된 성으로 추정된다.

신증동국여지승람에는 둘레 1,688척, 높이 12척으로, 동국여지지에는 둘레 1,688척으로, 〈법성진진지(法聖鎭鎭誌)〉에는 둘레 3,062척, 높이는 8척 7촌으로 기록되어 있다.

3. 1. 규모

법성진성은 돌로 쌓은 석성으로, 동-서 너비 약 200m, 잔존 최대 높이 300cm 내외, 성벽 너비 700cm 내외의 규모이다. 현재 남아 있는 성벽의 길이는 동벽 75m, 북벽 250m, 서벽 125m, 남벽 10m로 총 길이는 460m이다.

3. 2. 성벽

성벽은 바깥벽을 돌로 쌓고, 그 안쪽은 잡석과 흙을 섞어 채운 형태이다. 성벽에는 성을 쌓기 위해 동원된 전라도 관내의 군현명, 쌓은 척(尺), 감관(監官)·도색(都色) 등의 이름이 새겨져 있다. 이를 통해 인원 동원 및 성 축조와 관련한 당시 제도를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3. 3. 시설물

동벽은 북쪽 성벽이 잘 남아 있으며, 동벽과 북벽이 만나는 모서리 부분은 광주이동통신 중계탑이 설치되면서 파괴되었다. 북벽은 대부분 흙으로 덮여 있는데, 북벽 중간에서 동쪽으로 약간 치우친 지점에 반원형으로 돌출된 치가 설치되어 있다. 서벽은 남쪽 일부를 제외하고는 비교적 잘 남아 있다. 서벽 중간 지점에는 문터로 추정되는 부분이 있고, 이 문터를 중심으로 북쪽과 남쪽에 각각 치가 설치되어 있다.

4. 가치와 의의

법성진성은 성벽이 비교적 잘 남아 있고, 성벽에 새겨진 글 등을 통해 조선시대 진성 연구에 중요한 자료를 제공하므로, 역사적·학술적 가치가 크다. 특히, 성벽에 새겨진 글은 당시 인원 동원 및 성 축조와 관련한 제도를 파악하는 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