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한사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영한사전은 영어 단어를 한국어로 번역하여 수록한 사전으로, 최초의 영한사전은 호러스 그랜트 언더우드가 1890년 요코하마에서 간행한 "영한자뎐"이다. 이후 여러 종류의 영한사전이 출판되었으며, 대한민국에서는 두산동아의 프라임 영한사전, 민중서림의 엣센스 영한사전 등이 널리 사용된다. 온라인에서도 다양한 영한사전을 이용할 수 있다.
호러스 그랜트 언더우드가 쓴 "한영" 및 "영한"은 한국 최초의 영한사전 및 한영사전으로, 1890년 요코하마에서 간행되었다.[1] 1891년에는 제임스 스코트가 서울에서 《''English-Corean Dictionary''》를 냈고, 1914년에는 조지 하버 존스가 도쿄에서 《''An English Korean Dictionary''》를 펴내는 등 초창기 영한사전들이 등장했다.[1] 서재필은 한국인 최초로 영한사전을 쓰려 했으나 미완성으로 끝났다.
현재 대한민국에서 구할 수 있는 중사전은 다음과 같다.
2. 역사
해방 이후 대한민국에서는 류형기 목사가 《신생영한사전》(1946)과 《신생한영사전》(1947)을 펴냈다. 이양하와 권중휘는 《스쿨영한사전》(1949)과 《포켓영한사전》(1954)을 출간했다. 민중서관의 《포켓영한사전》은 1950~60년대에 가장 대표적인 영한사전이었다.[1]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영조소사전》(1961)을 시작으로, 《영조사전》(1972), 《영조대사전》(2002)이 출간되었다.[1]
2. 1. 한국 영한사전의 역사
호러스 그랜트 언더우드가 쓴 "한영" 및 "영한"은 한국 최초의 영한사전 및 한영사전으로, 1890년 요코하마에서 간행되었다.[1] 1891년에는 제임스 스코트가 서울에서 《''English-Corean Dictionary''》를 냈고, 1914년에는 조지 하버 존스가 도쿄에서 《''An English Korean Dictionary''》를 펴내는 등 초창기 영한사전들이 등장했다.[1] 서재필은 한국인 최초로 영한사전을 쓰려 했으나 미완성으로 끝났다.
해방 이후 대한민국에서는 류형기 목사가 《신생영한사전》(1946)과 《신생한영사전》(1947)을 펴냈다. 이양하와 권중휘는 《스쿨영한사전》(1949)과 《포켓영한사전》(1954)을 출간했다. 민중서관의 《포켓영한사전》은 1950~60년대에 가장 대표적인 영한사전이었다.[1]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영조소사전》(1961)을 시작으로, 《영조사전》(1972), 《영조대사전》(2002)이 출간되었다.[1]
2. 1. 1. 개화기 ~ 일제강점기
호러스 그랜트 언더우드가 집필한 "한영" 및 "영한"은 최초의 영한사전 및 한영사전으로, 1890년 요코하마에서 간행되었다.[1] 이 사전은 처음에는 한영, 영한을 분리하여 간행되었다가 후에 합본되었다.[2] 한영편은 197면, 영한편은 97면으로 간략한 분량이었다.[3] 두 번째 영한사전은 1891년 제임스 스코트가 서울에서 낸 《''English-Corean Dictionary''》이며, 1914년 조지 하버 존스가 도쿄에서 낸 《''An English Korean Dictionary''》도 초창기의 영한사전이다.[1]
한편 서재필은 한국인 최초로 영한사전을 쓰려 했지만 미완성으로 끝났다.
2. 1. 2. 광복 이후 ~ 현재
대한민국에서 해방 이후 류형기 목사가 《신생영한사전》(1946), 《신생한영사전》(1947)을 펴냈다. 이후 이양하, 권중휘가 《스쿨영한사전》(1949, 850면), 《포켓영한사전》(1954, 1366면)을 펴냈다. 그 외에 《제네랄 콘사이스 英韓辭典》(1954, 영어연구회, 이상사)[4], 《스타영한사전》(1957, 영어연구회, 이상사)[5]가 있었으며, 민중서관의 《포켓영한사전》은 1950년대, 60년대에 가장 대표적인 영한사전이었다.[1]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최초의 영어사전은 《영조소사전》(1961)이며, 《영조사전》(1972), 《영조대사전》(2002)이 나왔다. 《영조대사전》은 25만 표제어를 3천여 쪽에 걸쳐 싣고 있으며, 한자를 완전히 배제한 것이 특징이다. 《조영대사전》은 2002년에 출판되었다.[1]
2. 2.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영한사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최초의 영어사전은 《영조소사전》(1961)이며, 이어 《영조사전》(1972), 《영조대사전》(2002)이 나왔다. 《영조대사전》은 25만 표제어를 3천여 쪽에 걸쳐 싣고 있으며, 한자를 완전히 배제한 것이 특징이다. 《조영대사전》은 2002년에 출판되었다.[1]
3. 종류
사전명 출판사 현재판 (발행) 초판 발행 쪽수 비고 프라임 영한사전 두산동아 6판 (2008) 1971년 3024 엣센스 영한사전 민중서림 11판 (2008) 1971년 2968 스탠더드 영한사전 민중서림 초판 (2011) 2011년 3120 뉴에이스 영한사전 금성출판사 3판 (2004) 1986년 2752 그랜드 영한사전 금성출판사 2판 (2006) 1987년 3200 26만 어휘 엘리트 영한사전 시사영어사 개정판 (1995) 1987년 2560 21세기 슈퍼 클래식 영한사전 동화사 1994년 2880 신세기 클래식 영한사전 동화사 1994년 2624 현대 영한사전 교학사 개정판 (2000) 1999년 3072 e4u 영한사전 시사영어사 초판 (2001) 2001년 3168 23만 어휘 메인 영한사전 민중서림 초판 (2006) 2006년 2646 프로 영한사전 교학사 초판 (2006) 2006년 2976 넥서스 영한사전 넥서스 초판 (2007) 2007년 2352 옥스포드 영한사전 이퍼블릭 초판 (2009) 2009년 2005 롱맨 영한사전 능률영어사 초판 (-) -년 -
하위 섹션인 '대한민국' 섹션에서 자세한 내용을 다루고 있으므로, 여기서는 간략하게 표로 제시한다.
3. 1. 대한민국
사전명 | 출판사 | 현재판 (발행) | 초판 발행 | 쪽수 | 비고 |
---|---|---|---|---|---|
프라임 영한사전 | 두산동아 | 6판 (2008) | 1971년 | 3024 | |
엣센스 영한사전 | 민중서림 | 11판 (2008) | 1971년 | 2968 | |
스탠더드 영한사전 | 민중서림 | 초판 (2011) | 2011년 | 3120 | |
뉴에이스 영한사전 | 금성출판사 | 3판 (2004) | 1986년 | 2752 | |
그랜드 영한사전 | 금성출판사 | 2판 (2006) | 1987년 | 3200 | 26만 어휘 |
엘리트 영한사전 | 시사영어사 | 개정판 (1995) | 1987년 | 2560 | |
21세기 슈퍼 클래식 영한사전 | 동화사 | 1994년 | 2880 | ||
신세기 클래식 영한사전 | 동화사 | 1994년 | 2624 | ||
현대 영한사전 | 교학사 | 개정판 (2000) | 1999년 | 3072 | |
e4u 영한사전 | 시사영어사 | 초판 (2001) | 2001년 | 3168 | 23만 어휘 |
메인 영한사전 | 민중서림 | 초판 (2006) | 2006년 | 2646 | |
프로 영한사전 | 교학사 | 초판 (2006) | 2006년 | 2976 | |
넥서스 영한사전 | 넥서스 | 초판 (2007) | 2007년 | 2352 | |
옥스포드 영한사전 | 이퍼블릭 | 초판 (2009) | 2009년 | 2005 | |
롱맨 영한사전 | 능률영어사 | 초판 (-) | -년 | - |
3. 2. 영영한사전
제목 | 출판사 | 비고 |
---|---|---|
롱맨 영영한사전 | 금성출판사 | 2판 |
옥스퍼드 영영한사전 | 교학사 | |
엣센스 영영한사전 | 민중서림 | |
프라임 영영한사전 | 두산동아 | |
콜린스 코빌드 영영한사전 | ||
Merriam-Webster CORE Dictionary | 현대영어사 윤선생영어교실 | 2012년 발행 |
4. 온라인 영어사전
참조
[1]
서적
영한사전 비판
궁리출판
2005
[2]
웹사이트
한일 관계 역사 연구회 :: 네이버 카페
http://cafe.naver.co[...]
[3]
웹사이트
http://www3.yonsei.a[...]
[4]
RISS
http://www.riss.kr/s[...]
[5]
RISS
http://www.riss.kr/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