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개구리속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옛개구리속(Leiopelma)은 뉴질랜드에 서식하는 4종의 현존 종과 멸종된 종을 포함하는 개구리 속이다. 이 속은 꼬리개구리과와 함께 개구리목의 가장 초기 분기군 중 하나를 형성하며, 양서류 전체 계통 분류에서도 꼬리개구리과 다음으로 초기에 분기된 그룹으로 나타난다. 2012년 기준 개구리목의 계통 분류는 복잡하며, 옛개구리속은 꼬리개구리과와 자매군 관계에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원와아목 - 꼬리개구리
꼬리개구리는 겉으로 보이는 꼬리 모양 부속지로 구별되는 개구리류로, 북미 북서부 시냇물에 서식하며 독특한 생태적 특징과 번식 방식으로 멸종위기 야생생물로 보호받고 있다. - 레오폴트 피칭거가 명명한 분류군 - 남아메리카폐어
남아메리카폐어는 남아메리카 아마존강 유역에 서식하며, 아프리카폐어과와 관련이 깊고, 최대 125cm까지 성장하며, 유체는 수생 곤충을, 성체는 조류 등을 섭취하고, 건기에는 휴면하며 우기에는 번식한다. - 레오폴트 피칭거가 명명한 분류군 - 자라과
자라과는 부드러운 등갑과 물갈퀴가 있는 발을 가진 거북목의 한 과로, 수생 생활에 적응하여 아프리카, 유라시아, 아메리카 대륙 등지에 분포하며 서식지 파괴와 남획으로 생존에 위협을 받는 종도 있고 식용이나 애완동물로 이용되기도 한다.
| 옛개구리속 - [생물]에 관한 문서 | |
|---|---|
| 분류 정보 | |
| 계 | 동물계 |
| 문 | 척삭동물문 |
| 강 | 양서류 |
| 아강 | 진양서류 |
| 목 | 개구리목 |
| 아목 | 원와아목 |
| 과 | 옛개구리과 (Leiopelmatidae) |
| 과 명명자 | Mivart, 1869 |
| 속 | 옛개구리속 (Leiopelma) |
| 속 명명자 | Fitzinger, 1861 |
| 영어 이름 | New Zealand primitive frogs (뉴질랜드 원시 개구리) |
![]() | |
![]() | |
| 하위 분류 | |
| 속 | 무카시가에루속 Leiopelma |
| 종 | L. archeyi L. hamiltoni L. hochstetteri L. pakeka |
2. 하위 종
옛개구리속에는 현존하는 종과 멸종된 종이 있다.
; 현존 종
현재 옛개구리속에는 4종이 뉴질랜드에 서식하고 있다.[6][7]
- ''Leiopelma archeyi'' Turbott, 1942영어
- ''Leiopelma hamiltoni'' McCulloch, 1919영어
- ''Leiopelma hochstetteri'' Fitzinger, 1861영어
- ''Leiopelma pakeka'' Bell, Daugherty & Hay, 1998영어
; 멸종 종
과거에는 더 다양한 옛개구리속 종들이 존재했지만, 현재는 멸종되었다.[6][7] † ''Leiopelma auroraensis''와 † ''Leiopelma markhami'', † ''Leiopelma waitomoensis'' 등이 이에 속한다.
2. 1. 현존 종
현재 옛개구리속에는 4종이 뉴질랜드에 서식하고 있다.[6][7]- ''Leiopelma archeyi'' Turbott, 1942영어
- ''Leiopelma hamiltoni'' McCulloch, 1919영어
- ''Leiopelma hochstetteri'' Fitzinger, 1861영어
- ''Leiopelma pakeka'' Bell, Daugherty & Hay, 1998영어
2. 2. 멸종 종
과거에는 더 다양한 옛개구리속 종들이 존재했지만, 현재는 멸종되었다.[6][7] † ''Leiopelma auroraensis''와 † ''Leiopelma markhami'', † ''Leiopelma waitomoensis'' 등이 이에 속한다.3. 계통 분류
옛개구리속(Leiopelma)은 꼬리개구리과와 함께 개구리목의 가장 초기 분기군 중 하나를 형성한다.[8] 2012년 연구에 따르면, 양서류 전체 계통 분류에서 옛개구리속은 꼬리개구리과 다음으로 초기에 분기된 그룹으로 나타났다.[8]
2012년 기준 개구리목의 계통 분류는 복잡하다.[8] 옛개구리속은 꼬리개구리과와 자매군이며, 무당개구리과와 산파두꺼비과가 이들과 가깝다.[8] 또한, 발톱개구리과, 멕시코맹꽁이과, 북아메리카두꺼비과, 파슬리개구리과, 메고프리스과, 쟁기발개구리과 등도 옛개구리속과 관련이 있는 과들이다.[8]
3. 1. 개구리목 내 위치
옛개구리속(Leiopelma)은 꼬리개구리과와 함께 개구리목의 가장 초기 분기군 중 하나를 형성한다.[8] 2012년 연구에 따르면, 양서류 전체 계통 분류에서 옛개구리속은 꼬리개구리과 다음으로 초기에 분기된 그룹으로 나타났다.[8]3. 2. 상세 계통도
2012년 기준 개구리목의 계통 분류는 복잡하다.[8] 옛개구리속은 꼬리개구리과와 자매군이며, 무당개구리과와 산파두꺼비과가 이들과 가깝다.[8] 또한, 발톱개구리과, 멕시코맹꽁이과, 북아메리카두꺼비과, 파슬리개구리과, 메고프리스과, 쟁기발개구리과 등도 옛개구리속과 관련이 있는 과들이다.[8]참조
[1]
저널
Archaeobatrachian paraphyly and Pangaean diversification of crown-group frogs
2005-02
[2]
간행물
Amphibian species of the world: an online reference
http://research.amnh[...]
American Museum of Natural History, New York, USA
2013
[3]
간행물
Peptides 30
2009
[4]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tolweb.org/Le[...]
2014-10-03
[5]
웹인용
DOC: Photo-stage and Archey's Frog
http://www.doc.govt.[...]
2005-12-05
[6]
웹인용
Holotype of ''Leiopelma markhami''
http://collections.t[...]
Museum of New Zealand Te Papa Tongarewa
2010-07-17
[7]
웹인용
Holotype of ''Leiopelma waitomoensis''
http://collections.t[...]
Museum of New Zealand Te Papa Tongarewa
2010-07-17
[8]
저널
Phylogenetic view of Amphibia
http://www.amphibiaw[...]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