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다이노가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다이노가타는 1528년 오와리국의 호족 미즈노 다다마사의 딸로 태어났다. 마쓰다이라 히로타다와 결혼하여 도쿠가와 이에야스를 낳았지만, 이후 이혼하고 히사마쓰 도시카츠와 재혼하여 여러 자녀를 두었다. 오다이노가타는 말년에 덴츠인이라는 법명으로 불리며 1602년 후시미성에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히사마쓰씨 - 마쓰다이라 사다카쓰 (1560년)
마쓰다이라 사다카쓰는 1560년 출생하여 센고쿠 시대부터 에도 시대 초기에 걸쳐 활약한 무장이자 다이묘로,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이복 동생이며, 가케가와 번과 구와나 번의 번주를 지냈고, 이에야스의 측근으로서 마쓰야마번 마쓰다이라가의 시조로 추앙받았다. - 히사마쓰씨 - 마쓰다이라 야스모토
마쓰다이라 야스모토는 오와리국 출신으로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이복 형제이며, 이에야스와 만나 마쓰다이라 성을 하사받고 가미노고성 성주, 오다와라성 수비를 거쳐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에도성을 지켰으며, 딸들은 정략 결혼을 하고 아들들은 도쿠가와 가문에 배속되었고 1603년에 사망했다. - 오가와 미즈노가 - 도이 도시카쓰
도이 도시카쓰는 에도 막부 초기에 도쿠가와 이에야스, 히데타다, 이에미쓰 3대 쇼군을 섬기며 막부의 정치, 행정, 재정 등 여러 분야에서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막번 체제 확립과 외교, 통화 제도 개혁에 기여했으나, 후반에는 정치적 영향력이 약화된 인물이다. - 오가와 미즈노가 - 미즈노 다다마사
미즈노 다다마사는 센고쿠 시대의 무장으로, 오와리 국 지타반도를 지배하며 오다 노부히데와 협력하고 마쓰다이라 가문과의 혼인 동맹을 통해 영토를 보전하려 했으며, 겐곤인에 묘소가 있다. - 1528년 출생 - 아케치 미쓰히데
아케치 미쓰히데는 센고쿠 시대의 무장으로 오다 노부나가를 섬겼으나 혼노지의 변을 일으켜 그를 살해했으며, 전략과 행정에 능하고 문화적 교양도 뛰어났지만 야마자키 전투에서 패배 후 살해당해 그의 삶과 죽음은 역사적 논쟁과 창작물의 소재가 되고 있다. - 1528년 출생 - 후안 데 가라이
후안 데 가라이는 16세기 스페인 제국의 군인, 탐험가, 정치가로서, 아순시온 총독을 거쳐 부에노스아이레스를 재건설하고 파라나 강 탐험을 통해 산타페 데 라 베라크루스 시를 건설했으며, 1583년 사망했다.
오다이노가타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오다이노카타 |
법명 | 전통원전 용예광악지향대선정니 |
인물 정보 | |
출생 | 교로쿠 원년 (1528년) |
사망 | 게이초 7년 8월 28일 (1602년 10월 13일) |
묘지 | 전통원 |
시대 | 센고쿠 시대 ~ 아즈치모모야마 시대 |
배우자 | 마쓰다이라 히로타다, 히사마쓰 도시카쓰 |
자녀 | 도쿠가와 이에야스, 마쓰다이라 야스모토, 마쓰다이라 야스토시, 마쓰다이라 사다카쓰 |
부모 | 아버지: 미즈노 다다마사, 어머니: 오토미노카타 (겐오니) |
가족 | 형: 미즈노 노부모토, 여동생: 묘슌 (묘사이)니, 기타 |
2. 생애
1560년 오케하자마 전투 이후, 도쿠가와 이에야스는 이마가와 가문으로부터 독립하여 오다 가문과 동맹을 맺었다. 이에야스는 히사마쓰 도시카쓰와 오다이노가타 사이에서 태어난 세 아들에게 마쓰다이라 성을 주고 가신으로 삼았으며, 오다이노가타를 어머니로 다시 맞이했다.[2]
1562년, 가미노고 성 전투의 공으로 남편 도시카쓰가 마쓰다이라 성을 받았으며,[8] 아들 마쓰다이라 야스모토가 가미노고 성에 들어가고, 도시카쓰와 오다이노가타는 오카자키성에서 살았다.
1576년 1월, 오다이노가타의 오빠 미즈노 노부모토가 오다 노부나가의 명령으로 이에야스에게 살해되면서 미즈노 가문은 일시적으로 멸망했다. 이때, 노부모토를 이에야스에게 안내한 히사마쓰 도시카쓰는 은퇴했다. 또한, 이에야스를 따르지 않고 오와리국에서 히사마쓰 가문의 영지를 이어받아 오다 가문을 섬기던 히사마쓰 도시카쓰의 아들 히사마쓰 노부토시(오다이노가타의 친아들이 아님)도 노부나가에게 모반 혐의를 받아 오사카 시텐노지에서 자결하고 영지를 몰수당했다.
남편 도시카쓰가 사망한 후, 오다이노가타는 안라쿠지에서 머리를 깎고 덴쓰인이라 불렀다.[5][9] 1584년 고마키·나가쿠테 전투 이후, 아들 마쓰다이라 사다카쓰가 하시바 히데요시의 양자가 되는 것을 강력하게 반대하여 이에야스가 이를 포기하게 만들었다.
1602년 6월, 고다이인과 고요제이 천황을 만나고 도요쿠니 신사를 참배하여 도쿠가와 가문이 도요토미 가문에 적대적이지 않음을 보여주었다. 같은 해 8월 29일, 이에야스가 머물고 있던 후시미성에서 사망했다.[5] 향년 75세였다. 유해는 다음 해 에도 고이시카와의 전통원에 안장되었다.[10] 법명은 덴츠인전 코가쿠 요요 지코(伝通院殿光岳蓉誉智香일본어)이다.
히가시우라정은 오다이노가타를 기리기 위해 오가와 지역에 오다이 공원을 조성하고 매년 "오다이 축제"를 개최하고 있다.[5]
2. 1. 출생과 초기 생애
교로쿠 원년 (1528년), 오와리국지타군의 호족 미즈노 다다마사와 오토미 사이에서 미즈노 다다마사의 거성인 오가와 성(현 아이치현 지타군 히가시우라정 오가와)에서 태어났다.아버지 다다마사는 오가와에서 가까운 미카와국에도 영지를 가지고 있었고, 당시 미카와에서 세력을 떨치던 마쓰다이라 기요야스의 요청에 따라 오토미노카타를 이혼하여 기요야스에게 시집보냈다.
다다마사는 마쓰다이라씨와 더욱 우호 관계를 돈독히 하기 위해 덴분 10년 (1541년), 마쓰다이라 히로타다에게 오다이를 시집보냈다. 덴분 11년 12월 26일 (서기 1543년 1월 31일), 오다이는 히로타다의 장남인 다케치요 (후의 도쿠가와 이에야스)를 오카자키성에서 출산했다.
덴분 12년 (1543년) 2월 3일, 미카와국 묘심사에 약사여래의 동상을 봉납하여 다케치요의 장수를 기원했다.
같은 해 7월 12일, 아버지 다다마사가 사망. 가독을 이은 형 노부모토는 덴분 13년 (1544년)에 이마가와 씨와 절연하고 오다 씨에 속했다. 이로 인해, 같은 해 9월, 이마가와 씨와의 관계를 고려한 히로타다에 의해 이혼당했다. 오다이는 친가인 미즈노 씨의 미카와국 가리야 성 (현 가리야시)으로 돌려보내져 시이노키 야시키에서 살았다고 한다. 이때, 비슷한 사정으로 마쓰다이라 이에히로에게 시집간 언니 오타케노카타도 이혼했다.
오다이는 덴분 16년 (1547년)에는 노부모토의 의향에 따라 지타군 아코이성 (사카베성, 현 아구이정)의 성주 히사마쓰 도시카쓰에게 재가했다. 이는 도시카쓰가 원래 미즈노 씨의 여성을 아내로 맞이했지만, 아내의 사후에는 미즈노 씨와 마쓰다이라 씨 사이에서 귀추가 정해지지 않았기 때문에 마쓰다이라 씨와의 관계 강화를 이유로 생각된다. 도시카츠와의 사이에서 3남 4녀를 낳았다. 또한, 이 기간에도 이에야스와 소식을 끊지 않았다.


2. 2. 마쓰다이라 히로타다와의 결혼과 이혼
1541년, 마쓰다이라 히로타다(松平広忠)는 오토미(於富)의 주선으로 그녀의 친딸인 14세의 오다이와 결혼하였다. 당시 히로타다는 16세였다. 이 혼인으로 오다이는 아들 다케치요(竹千代, 후일의 도쿠가와 이에야스)를 얻었다.[5]1543년 오다이의 아버지 미즈노 다다마사(水野忠政)가 사망하고, 뒤를 이은 오빠 미즈노 노부모토(水野信元)가 이마가와 씨와 절연하고 오다 씨에 속했다.[6] 이에 1544년 이마가와 씨와의 관계를 고려한 히로타다가 오다이를 이혼시켰다.[6] 오다이는 친정인 미즈노 씨의 가리야 성(刈谷城)으로 돌려보내져 시이노키 야시키에서 살았다.[6]
1547년, 오다이는 노부모토의 의향에 따라 지타군 아코이 성(아구이 정)의 성주 히사마쓰 도시카쓰(久松俊勝)와 재혼하였다.[7] 도시카쓰는 미즈노 가문 출신의 여인을 아내로 맞이했으나, 그녀가 사망한 뒤 미즈노 가문과의 관계 강화를 위해 오다이를 아내로 맞이한 것으로 보인다. 오다이는 도시카쓰와의 사이에서 3남 3녀를 낳았다.[7] 이 기간에도 오다이는 아들 이에야스와 소식을 끊지 않았다.[5]
최근에는 1544년 당시 아직 대립이 본격화되지 않았던 이마가와 씨나 오다 씨와의 관계보다는 미즈노 씨와 마쓰다이라 씨의 관계 자체에 이혼의 이유를 찾고 있다. 오다이와 히로타다의 혼인 자체가 히로타다의 숙부이자 실권을 잡고 있던 마쓰다이라 노부타카가 추진한 외교 정책에 따른 것이었다. 1543년 경 히로타다와 중신들의 대립으로 노부타카가 추방되면서, 노부타카와 관계가 깊었던 미즈노 씨에 대한 히로타다의 외교 정책이 변화했다고 생각된다.[11]
2. 3. 히사마쓰 도시카쓰와의 재혼
1544년 9월, 오다 노부나가의 아버지 미즈노 노부모토가 이마가와 요시모토와의 관계를 끊고 오다 노부히데를 따르자, 마쓰다이라 히로타다는 이마가와 씨와의 관계를 우려하여 오다이노가타와 이혼하였다.[2] 오다이노가타는 친정인 미즈노 씨의 미카와국 가리야 성(刈谷城)으로 돌아갔다.1547년, 오다이노가타는 노부모토의 뜻에 따라 지타 군 아구이 성(阿久比城)의 성주인 히사마쓰 도시카쓰와 재혼하였다.[2] 도시카쓰는 미즈노 씨 가문 출신의 여인을 아내로 맞이하였으나, 그녀가 사망한 뒤 미즈노 가문과의 재동맹을 위해 오다이노가타를 맞아들인 것으로 보인다. 오다이노가타는 도시카쓰와의 사이에서 3남 3녀를 낳았다.[2] 이 기간 동안 도쿠가와 이에야스와 정기적인 서신을 주고받았다.[2]
1560년 오케하자마 전투 이후, 이에야스는 이마가와 가문으로부터 독립하여 오다 가문과 동맹을 맺었고, 도시카쓰와 오다이노가타 사이에서 태어난 세 아들에게 마쓰다이라 성을 하사하여 가신으로 삼았으며, 오다이노가타를 어머니로 맞이했다.[2]
2. 4. 이에야스와의 재회
1541년, 마쓰다이라 히로타다는 오토미의 주선으로 그녀의 친딸인 오다이와 결혼했다. 오다이는 이 결혼에서 아들 다케치요(후일의 도쿠가와 이에야스)를 얻었다.[5]1543년 오다이의 아버지 미즈노 다다마사가 사망하고, 뒤를 이은 오빠 미즈노 노부모토가 이마가와 가문의 보호를 받던 도쿠가와 가문을 배반하고 오다 가문에 합류하면서 상황이 변했다. 이마가와 측에 충성을 보여야 했던 히로타다는 가신들에게 설득되어 오다이와 이혼하고, 그녀를 친정인 가리야 성으로 돌려보냈다. 당시 아들 이에야스의 나이는 2세였다.[5]
이후 1547년 오다이는 노부모토의 뜻에 따라 히사마쓰 도시카쓰와 재혼했다. 도시카쓰 역시 재혼이었으며, 미즈노 가문과의 관계 강화를 위한 정략결혼이었다. 두 사람 사이에서는 3남 3녀가 태어났으며, 오다이는 이 기간 동안에도 이에야스와 정기적으로 서신을 주고받았다.[7]
1560년 오케하자마 전투 이후, 이에야스는 이마가와 가문으로부터 독립하여 오다 가문과 동맹을 맺었다. 그는 히사마쓰와 오다이 사이에서 태어난 세 아들에게 마쓰다이라 성을 하사하고 가신으로 삼았으며, 오다이를 어머니로 다시 맞이했다.[8]
2. 5. 만년
1560년 오케하자마 전투 이후, 이마가와 가문으로부터 독립하여 오다 가문과 동맹을 맺은 도쿠가와 이에야스는 히사마쓰 도시카쓰와 오다이노가타 사이에서 태어난 세 아들에게 마쓰다이라 성을 하사하고 가신으로 삼았으며, 오다이노가타를 어머니로 맞이했다.[2] 1562년, 가미노고성 전투의 공으로 남편 도시카쓰가 동성을 받았으며,[8] 동성에는 아들 마쓰다이라 야스모토가 들어가고, 도시카쓰와 오다이노가타는 오카자키성에 거주했다.1576년 1월, 오다이노가타의 형 미즈노 노부모토가 오다 노부나가의 명령에 의해 이에야스에게 살해당하면서 미즈노 가문은 일시 멸망했다. 이 때, 진상을 알지 못하고 이에야스에게 노부모토를 안내한 히사마쓰 도시카쓰는 은퇴하였다. 또한 이에야스에게 가지 않고 오와리국의 히사마쓰 가문의 소령을 이어 오다 가에 섬기고 있던 히사마쓰 도시카쓰의 아들 히사마쓰 노부토시(도시카쓰의 전처의 아들로, 오다이노가타의 아들이 아님)도 노부나가에게 모반을 의심받아 오사카 시텐노지에서 자결했고, 소령은 몰수되었다.
오다이노가타는 도시카쓰가 사망한 후, 도시카쓰의 보리사인 안라쿠지에서 삭발하고 덴쓰인이라 불렀다.[5][9] 1584년 고마키·나가쿠테 전투 이후, 아들 마쓰다이라 사다카츠가 하시바 히데요시의 양자가 된다는 이야기가 나왔지만, 강력히 반대하여 이에야스가 단념하게 하였다.
1602년 6월, 고다이인과 고요제이 천황을 알현하고 도요쿠니 신사에 참배하여 도쿠가와 가문이 도요토미 가문에 적의가 없음을 나타냈다. 같은 해 8월 29일, 이에야스가 체재하고 있던 후시미성에서 사망했다.[5] 향년 75세. 유골은 다음 해 에도 고이시카와의 전통원에 매장되었다.[10] 법명은 덴츠인전 코가쿠 요요 지코(傳通院殿光岳蓉誉智香일본어)이다.
오다이노가타의 출생지인 히가시우라정은 그녀를 기념하여 오가와의 땅에 오다이 공원을 정비하고, 매년 "오다이 축제"를 개최하고 있다.[5]
3. 마쓰다이라 가문과의 이별에 대해
최근에는 1544년 당시 아직 대립이 본격화되지 않았던 이마가와씨나 오다씨와의 관계보다는 미즈노씨와 마쓰다이라씨의 관계 자체에 이혼의 이유가 요구되고 있다. 애초에 오다이노가타와 히로타다의 혼인 자체가 히로타다의 숙부이자 "명대(名代)"로서 실권을 잡고 있던 마쓰다이라 노부타카가 추진한 외교 정책에 근거한 것으로, 1543년경에 히로타다와 중신들과 대립한 노부타카가 추방된 것으로 인해 노부타카와 관계가 깊었던 미즈노씨에 대한 히로타다의 외교 정책이 변화했다고 생각된다.[11] 또한 노부모토의 정실은 히로타다와 가독을 다툰 마쓰다이라 노부사다 (히로타다의 큰 숙부)의 딸이었기 때문에[12], 노부사다와 적대 관계에 있던 마쓰다이라씨에 대한 노부모토의 외교 정책이 변화했을 가능성도 있다.[13]
4. 일화
마쓰다이라기』(권 5)에 따르면, 미즈노 타다마사는 두 딸 중 언니인 오타케를 가타하라 마쓰다이라 가문의 마쓰다이라 이에히로에게, 여동생 오다이를 마쓰다이라 종가의 마쓰다이라 히로타다에게 시집보냈다. 뒤를 이은 노부모토가 이마가와 측에서 오다 측으로 전향했을 때 이에히로와 히로타다는 이에 동조하지 않고 노부모토와 인연을 끊고 각각의 아내를 친가로 돌려보내기로 했다. 그런데, 오카자키 영지와 카리야 영지의 경계에 이르렀을 때, 오다이는 수행해 온 마쓰다이라 가문의 가신에게 여기서부터 오카자키 성으로 돌아가라고 명했다. 가신들은 그러면 히로타다의 주명에 거스르는 것이 된다고 말했지만, 오다이는 노부모토가 보낸 마쓰다이라 가신의 면목을 깎아내리는 행동을 하여 양가에 유감이 생길지도 모르니 부디 돌아가라고 지시하고, 근처에 있던 미즈노 가문 측의 영민에게 오다이를 태운 가마를 맡겨 오카자키 성으로 귀환했다(『마쓰다이라기』의 저자는 그 당시 시종 중 자신의 아버지가 있었다고 말하고 있다). 그 후, 오타케를 데려다준 가타하라 마쓰다이라 가문의 가신들은 성 안에서 노부모토에게 살해당했다고 전해진다[14]。 단, 가타하라 마쓰다이라 가문에 대해서는 실제로는 마쓰다이라 이에히로는 노부모토에게 동조하여 이혼하지 않고 오다 측으로 전향하여, 후에 히로타다나 이마가와 씨와 싸웠다고 생각되고 있다[15]。
5. 가족 관계
관계 | 이름 |
---|---|
남편 | 마쓰다이라 히로타다 |
아들 | 도쿠가와 이에야스 |
남편 | 히사마쓰 도시카쓰 |
아들 | 마쓰다이라 야스모토 |
아들 | 마쓰다이라 야스토시 |
아들 | 마쓰다이라 사다카쓰 |
딸 | 다케히메 |
딸 | 마쓰히메 |
딸 | 덴케이인 |
오빠 | 미즈노 노부모토 |
여동생 | 묘슌(묘사이)니 |
- 다케히메는 재혼하여 다다마사, 다다요시, 호시나 마사나오 등 많은 자식을 낳았다. 다다마사와 다다요시는 친형제이며, 이에히로, 노부요시, 다다요리와는 사촌이자 친형제 관계이다.
- 묘슌니는 이에나리의 어머니이며, 오다이노가타와 헤어진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양육에 관여했다. 또한 잇코슈(혼간지) 문도로서 미카와국에서 금지되었던 동종 부활에 힘썼다.[2]
5. 1. 마쓰다이라 히로타다와의 사이에서
마쓰다이라 히로타다와의 사이에서는 도쿠가와 이에야스를 낳았다.[1]5. 2. 히사마쓰 도시카쓰와의 사이에서
오다이노가타는 히사마쓰 도시카쓰와의 사이에서 세 아들과 세 딸을 낳았다.[2]이름 | 설명 |
---|---|
마쓰다이라 야스모토 | 시모사국 이자사 지역에서 하타모토로 존속 |
마쓰다이라 야스토시 | 야스토시의 후손은 다코 번주로서 존속 |
마쓰다이라 사다카쓰 | 사다카쓰의 직계는 이요 마쓰야마 번주로서 존속, 사다카쓰의 분가는 구와나번주, 이마바리번주로서 존속 |
다케히메 | 마쓰다이라 다다마사, 마쓰다이라 다다요시, 호시나 마사나오의 정실 |
마쓰히메 | 도다가의 마쓰다이라 야스나가의 정실 |
덴케이인 | 다케노야가의 마쓰다이라 이에키요의 정실 |
오케하자마 전투 이후, 도쿠가와 이에야스는 이마가와 씨족으로부터 독립하여 오다 가문과 동맹을 맺었고, 히사마쓰 도시카쓰와 오다이의 세 아들에게 마쓰다이라 성을 하사하여 가신으로 삼았으며, 오다이를 어머니로 맞이했다.[2]
6. 관련 작품
오다이노가타가 등장하는 영상 작품은 다음과 같다.
'''TV 드라마'''
- 1964년 ~ 1965년 NET TV 드라마 《도쿠가와 이에야스》 (배우: 무라마츠 에이코)
- 1983년 NHK 대하드라마 《도쿠가와 이에야스》 (배우: 오타케 시노부)
- 1992년 TV 아사히 드라마 《戦国最後の勝利者! 徳川家康|전국 최후의 승리자! 도쿠가와 이에야스일본어》 (배우: 츠카사 요코)
- 2000년 NHK 대하드라마 《아오이 도쿠가와 삼대》 (배우: 야마다 이스즈)
- 2017년 NHK 대하드라마 《오나 성주 나오토라》 (배우: 쿠리하라 코마키)
- 2020년 NHK 대하드라마 《기린이 온다》 (배우: 마츠모토 와카나)
- 2023년 NHK 대하드라마 《어떻게 할까 이에야스》 (배우: 마츠시마 나나코)
'''영화'''
6. 1. TV 드라마
- 徳川家康|도쿠가와 이에야스일본어 (1964년 ~ 1965년, NET, 배우: 무라마츠 에이코)
- 도쿠가와 이에야스 (1983년, NHK 대하드라마, 배우: 오타케 시노부)
- 戦国最後の勝利者! 徳川家康|전국 최후의 승리자! 도쿠가와 이에야스일본어 (1992년, TV 아사히, 배우: 츠카사 요코)
- 아오이 도쿠가와 삼대 (2000년, NHK 대하드라마, 배우: 야마다 이스즈)
- 오나 성주 나오토라 (2017년, NHK 대하드라마, 배우: 쿠리하라 코마키)
- 기린이 온다 (2020년, NHK 대하드라마, 배우: 마츠모토 와카나)
- 어떻게 할까 이에야스 (2023년, NHK 대하드라마, 배우: 마츠시마 나나코)
6. 2. 영화
7. 히가시우라 정 관광 마스코트 '오다이짱'
참조
[1]
서적
Tokugawa Ieyasu
Osprey Publishing
[2]
웹사이트
於大の方|東浦町観光協会
https://higashiura-k[...]
2024-09-19
[3]
웹사이트
戦国の男たちに振り回された徳川家康の生母や娘たち
https://www.rekishij[...]
2022-12-23
[4]
문서
実名は江戸初期編纂『寛永諸家系図伝』「[[水野氏]]」の忠政の女子に「御太方(たいはう)」とあり、同時期[[寛永]]18年([[1641年]])に幕府に提出された「水野勝成覚書」には甥の[[水野勝成|勝成]]が「たいほう」と冒頭系図に書き記している。朝廷から贈られた名前「大子」も読みは「たいこ」であろう。
[5]
웹사이트
於大の方
http://www.denzuin.o[...]
無量山傳通院
2023-08-20
[6]
웹사이트
於大の方
https://higashiura-k[...]
東浦町観光協会
2023-08-20
[7]
웹사이트
於大の方年表
http://www.denzuin.o[...]
無量山傳通院
2023-08-20
[8]
웹사이트
上ノ郷城跡について
https://www.city.gam[...]
蒲郡市
2023-08-20
[9]
웹사이트
「由緒・沿革」
http://www.anrakuzi.[...]
[10]
웹사이트
傳通院(でんづういん)
https://www.city.bun[...]
文京区役所
2023-08-20
[11]
간행물
論集 戦国大名今川氏
岩田書院
[12]
문서
新行紀一 「第3節 戦国領主 水野信元」、刈谷市史編さん編集委員会編 『刈谷市史 第2巻 本文(近世)』、1994年。
[13]
문서
ただし、信定と広忠の対立を否定する新説(村岡幹生「松平信定の事績」『戦国期三河松平氏の研究』岩田書院、2023年)もあり、今後の研究動向に注意を要する。
[14]
문서
新行紀一 「第3節 戦国領主 水野信元」、刈谷市史編さん編集委員会編 『刈谷市史 第2巻 本文(近世)』、1994年。
[15]
문서
小川雄「戦国・豊臣大名徳川氏と形原松平氏」戦国史研究会 編『戦国期政治史論集 西国編』岩田書院、2017年、42-43頁。ISBN 978-4-86602-013-6。
[16]
웹사이트
麒麟がくる:“於大の方”松本若菜 家康の母としての思い…「文を読むほどに、思いが爆発」
https://mantan-web.j[...]
2023-08-20
[17]
웹사이트
【第5弾】2023年 大河ドラマ「どうする家康」“重要な登場人物” を発表!
https://web.archive.[...]
NHK
2023-08-20
[18]
웹사이트
家康の母、於大の方(おだいのかた)
https://www.town.aic[...]
東浦町役場
2023-08-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