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동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동우는 당 현종과 양귀비, 안록산 등을 등장인물로 하는 작품이다. 서장과 4절로 구성되어 있으며, 현종이 노래하는 형식으로 전개된다. 줄거리는 안록산의 등장과 출세, 현종과 양귀비의 맹세, 안사의 난과 피난, 마외역의 비극, 현종의 회한을 담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원나라의 희곡 - 잡극
잡극은 4막으로 구성된 시적 음악극으로, 각 막은 특정 음악적 모드 진행을 따르고 배우의 역할이 정해져 있으며, 중국 오페라 발전에 영향을 미쳤다. - 원나라의 희곡 - 비파기
《비파기》는 명나라 소설 《조정녀채이낭》을 바탕으로 가오밍이 창작한 희곡으로, 원작과 달리 주인공들이 고난을 극복하고 행복한 결말을 맞이하며, 효와 열을 강조하는 동시에 사회 비판적인 시각을 담아 다양한 예술 작품으로 각색되어 한국 전통 연극과 문학에도 영향을 미쳤다. - 당나라를 배경으로 한 작품 - 서유기
《서유기》는 현장 일행의 서역 구법 여행을 그린 16세기 중국 소설로, 불교, 도교, 유교 사상이 융합된 상상력 넘치는 이야기와 해학적인 문체로 동아시아 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저자는 오승은으로 알려져 있으나 논쟁 중이다. - 당나라를 배경으로 한 작품 - 연개소문 (드라마)
2006년 SBS에서 방영된 대하드라마 연개소문은 유동근, 이태곤 등이 연개소문 역을 맡아 고구려의 권력을 장악하고 군사 독재를 펼치는 과정을 그린 드라마로, 역사 왜곡 및 잔혹성 묘사 논란에도 불구하고 2006년 SBS 연기대상에서 수상하는 등 일부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 오동우 | |
|---|---|
| 기본 정보 | |
![]() | |
| 본명 | 오동우 |
| 출생 | 1988년 6월 3일 (35세) |
| 국적 | 대한민국 |
| 직업 | 뮤지컬 배우 |
| 활동 시기 | 2011년 ~ 현재 |
| 소속사 | PL엔터테인먼트 |
| 학력 | |
| 학력 | 서울예술대학교 연기과 |
| 출연 작품 | |
| 뮤지컬 | 쓰릴 미 렌트 트레이스 유 마마 돈 크라이 킹키부츠 록키 호러 쇼 젠틀맨스 가이드 스웨그에이지: 외쳐, 조선! 차미 와일드 와일드 프랑켄슈타인 멸화군 |
| 연극 | Q |
| 수상 | |
| 수상 내역 | 제7회 예그린뮤지컬어워드 남우조연상 |
2. 등장인물
(내용 없음)
2. 1. 주요 등장인물
- 장수규 - 유주절도사.
- 안록산 - 호인. 처음에는 장수규의 부하였으나, 후에 어양절도사가 되었다[1].
- 현종 - 당나라의 황제.
- 양귀비 - 현종의 총애를 받던 후궁. 현종이 꿈에서 방문한 달의 궁궐에 살던 항아와 용모가 닮아 궁중에 들어오게 되었다.
- 양국충 - 양귀비의 오빠이자 승상. "국구"라고 불린다.
- 장구령 - 승상.
- 이임보 - 좌승상[2].
- 고력사 - 환관.
- 진현례 - 우용무장군.
- 태자 - 현종의 아들.
2. 2. 기타 등장인물
- 장수규 - 유주절도사.
- 안록산 - 호인. 처음에는 장수규의 부하였으나, 후에 어양절도사가 되었다[1].
- 현종 - 당나라의 황제.
- 양귀비 - 현종의 총애를 받던 후궁. 현종이 꿈에서 방문한 달의 궁궐에 살던 항아와 용모가 닮아 궁중에 들어오게 되었다.
- 양국충 - 양귀비의 오빠이자 승상. "국구"라고 불린다.
- 장구령 - 승상.
- 이임보 - 좌승상[2].
- 고력사 - 환관.
- 진현례 - 우용무장군.
- 태자 - 현종의 아들.
3. 구성
서장(楔子|설자zho, 서)과 4개의 막으로 구성되며, 전편을 통해 주인공 현종이 노래한다.
4. 줄거리
『오동우』는 그 소재를 대부분 백거이의 『장한가』 및 진홍의 『장한가전』에서 가져왔다.
현종이 주인공이지만, 국난을 깨닫지 못하는 정치적으로 무능한 인물로 그려진다. 이야기는 안록산이 현종에게 용서받고 양귀비의 총애를 얻어 출세하는 것으로 시작된다. 칠석날 장생전에서 현종과 양귀비는 영원한 사랑을 맹세하지만, 안록산이 양국충 등을 제거한다는 명분으로 반란(안사의 난)을 일으키자 현종은 양귀비와 함께 장안을 버리고 피난길에 오른다. 피난길 중 마외역에서 군사들의 강압에 못 이겨 현종은 양국충과 양귀비의 처형을 명하는 비극(마외파)을 맞는다. 안사의 난 평정 후 상황이 된 현종은 양귀비를 그리워하며 회한 속에서 쓸쓸한 말년을 보낸다.
4. 1. 서장: 안록산의 등장과 출세
해와 거란 토벌에 실패한 안록산은 처벌을 받기 위해 그의 상관인 장수규에 의해 현종에게 보내진다. 당시 현종은 안락한 생활에 빠져 있었고, 장구령의 충고를 무시하고 안록산을 용서한다. 이후 양귀비는 안록산이 추는 호선무를 보고 그를 마음에 들어 하여 양자로 삼는다. 현종은 안록산을 재상으로 임명하려 했으나, 양국충의 반대에 부딪혀 결국 그를 어양절도사로 임명하게 된다.4. 2. 제1절: 장생전의 맹세
양귀비는 장생전에서 칠석 연회를 열었다. 현종도 이곳을 찾아와 양귀비와 영원히 부부가 될 것을 맹세했다.4. 3. 제2절: 안사의 난과 피난
국정을 마음대로 휘두르던 양국충과 이임보를 제거한다는 명분을 내세워 안록산은 장안 침공을 준비한다. 그러나 이러한 긴박한 상황을 알지 못하는 현종은 침향정에서 양귀비가 추는 예상우의 춤을 감상하고 있었다. 때마침 사신이 양귀비가 좋아하는 과일인 여지를 보내오기도 했다. 춤이 끝난 후에야 이임보가 안록산의 대군이 장안으로 쳐들어오고 있으며, 이에 대항하기 어려우니 장안을 버리고 피난(몽진)할 것을 현종에게 아뢴다.4. 4. 제3절: 마외파의 비극
진현례가 이끄는 군대에 따라 장안을 탈출하여 촉으로 피난길에 오른 현종 앞에 토지의 부로(토지신)가 나타난다. 그의 소원을 들은 태자는 반란군과 맞서 싸우기로 결정한다. 이후 군대는 마외역에서 행군을 멈추었고, 진현례는 현종 곁의 간신인 양국충을 처단해야 한다고 강력히 주장한다. 현종은 마지못해 양국충의 처형을 허락하지만, 진현례는 여기서 멈추지 않고 양귀비의 죽음까지 요구한다. 깊은 고뇌에 빠진 현종은 결국 고력사에게 명하여 양귀비가 스스로 목숨을 끊도록 한다.4. 5. 제4절: 현종의 회한
안사의 난이 평정되고, 태자가 황제로 즉위한다. 촉에서 장안으로 돌아와 서궁에 은퇴한 현종은 양귀비의 초상화를 그리게 하고 밤낮으로 그녀를 그리워한다. 꿈에서 양귀비를 만나지만, 오동나무 잎에 떨어지는 빗소리에 잠에서 깨어난다.참조
[1]
문서
史実と異るが、『長恨歌』に「漁陽鼙鼓動地来、驚破霓裳羽衣曲」とある。漁陽は今の天津市薊州区
[2]
문서
史実で李林甫は安禄山の乱以前に失脚している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