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오모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모강은 에티오피아 남서부를 흐르는 강으로, 기베강과 와베강이 합류하여 형성되며 투르카나 호수로 흘러든다. 오모강 유역은 고고학적으로 중요한 지역으로, 오스트랄로피테쿠스와 호모속 화석을 비롯한 다양한 인류 화석과 석기가 발견되어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되었다. 또한, 오모강은 마고 국립공원과 오모 국립공원을 지나며, 댐 건설과 홍수 피해 등 환경 문제와 관련된 논란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모강 - 투르카나호
    케냐 북부에 위치한 투르카나호는 '옥해'라고도 불리며 짙은 염분과 풍부한 플랑크톤으로 청록색을 띠고, 아프리카 최대의 나일 악어 서식지이자 철새 기착지이며, 호모 루돌펜시스 등의 화석이 발견된 '인류의 요람'으로 불리지만 오모 강 댐 건설로 수량 감소 위기에 처해 유네스코 세계 유산으로 보호받고 있다.
  • 오모강 - 길겔 기베 1 발전소
    길겔 기베 1 발전소는 에티오피아에 건설된 수력 발전소이다.
  • 에티오피아의 유적 - 투르카나호
    케냐 북부에 위치한 투르카나호는 '옥해'라고도 불리며 짙은 염분과 풍부한 플랑크톤으로 청록색을 띠고, 아프리카 최대의 나일 악어 서식지이자 철새 기착지이며, 호모 루돌펜시스 등의 화석이 발견된 '인류의 요람'으로 불리지만 오모 강 댐 건설로 수량 감소 위기에 처해 유네스코 세계 유산으로 보호받고 있다.
  • 에티오피아의 강 - 청나일강
    청나일강은 에티오피아 타나 호에서 발원하여 수단을 거쳐 백나일강과 합류하여 나일강을 이루는 강으로, 에티오피아와 수단의 중요한 수자원이며 나일강 전체 수량의 80% 이상을 공급한다.
  • 에티오피아의 강 - 아와시강
    아와시강은 에티오피아 고원에서 발원하여 1,200km를 흐르는 강으로, 에티오피아 면적의 10%를 차지하는 유역에 중요한 수원 역할을 하지만 오염 문제에 직면해 있으며, 중류 유역은 인류 진화 연구에 중요한 호미니드 화석 발견지이다.
오모강
개요
오모 강 오모라티 근처
오모라티 근처의 오모 강
위치에티오피아
유네스코 세계유산 명칭오모 하류 계곡
유네스코 ID17
등재 연도1980년
수문학 정보
수계 등급해당 정보 없음
수계해당 정보 없음
종류해당 정보 없음
길이76km (일본어 위키백과 기준)
표고2000m (일본어 위키백과 기준)
유량해당 정보 없음
관측소해당 정보 없음
유역 면적해당 정보 없음
수원에티오피아 고원 (일본어 위키백과 기준)
하구투르카나 호
지리 정보
위치에티오피아 남서부
명칭
관련 정보
관련 강

2. 지리

오모강은 기베강과 와베강이 합류하여 형성되며, 대체로 남쪽으로 흐르다가 북위 7° 동경 37° 30' 부근에서 서쪽으로 크게 굽고, 다시 남쪽으로 굽어져 북위 5° 30'에서 큰 S자형으로 굽어진 후 투르카나 호수로 흘러 들어간다. 에티오피아 중앙 통계청에 따르면 오모-보테고 강의 길이는 760km이다.[2]

총 낙차는 약 700m로, 상류는 급류를 이루며 코코비 폭포 등으로 인해 끊어져 있다. 그레고리 지구대의 투르카나 호수로 흘러 들어가는 지점 위에서만 짧은 거리를 항해할 수 있다. ''에티오피아 스펙트럼 가이드''는 강우기인 9월과 10월에 오모강이 급류 래프팅의 인기 있는 장소라고 설명한다.[3]

마고 국립공원과 오모 국립공원을 지나 흐르며, 하마, 악어, 아프리카살무사 등 다양한 야생 동물이 강 근처와 강에서 서식한다.[4] 과거 잔제로 왕국과 가로 왕국의 동쪽 경계를 형성하기도 했다.

2. 1. 지류

오모강은 기베강과 와베강이 합류하여 형성된다. 기베강은 오모강의 가장 큰 지류이며, 와베강은 오모강 좌안에서 가장 큰 지류이다. 이 두 강의 크기, 길이, 흐름을 고려할 때 오모강과 기베강은 같은 강이지만 다른 이름으로 부르는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따라서 전체 강 유역은 때때로 ''오모-기베 강 유역''이라고 불린다.

오모강의 주요 지류는 기베강이며, 이 외에도 와비, 덴차, 고제브, 무이, 우스노 등 더 작은 지류들이 있다.[4]

3. 고고학적 발견

오모강 하류 유역에서는 1901년 프랑스 탐험대가 처음으로 고고학적 발견을 했다. 이후 1967년부터 1975년까지 국제 고고학 팀이 오스트랄로피테쿠스 턱뼈를 비롯한 여러 중요한 발견을 했다.[4][6] 그 이후로도 프랑스와 미국 합동 팀이 발굴을 계속 진행하고 있다.[7]

3. 1. 주요 화석 및 유물

오모강 하류 유역은 오스트랄로피테쿠스사람속사람과 화석과 석기가 발굴되어 1980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되었다.[21]

오모강을 건너는 모습


오모강 유역 전체는 지질학적으로나 고고학적으로도 중요하다. 하류 계곡에서 5만 점 이상의 화석이 확인되었으며, 여기에는 플라이오세플라이스토세 시대로 거슬러 올라가는 230개의 호미니드 화석이 포함된다.[5] ''오스트랄로피테쿠스''와 ''호모'' 속에 속하는 화석이 여러 고고학 유적지에서 발견되었으며, 가장 오래된 것이 약 240만 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석영암으로 만든 도구도 발견되었다.[1] 처음 발견되었을 당시에는 이 도구들이 올두바이 협곡에서 발견된 것보다 더 원시적인 소위 올도완 이전의 도구 제작 산업의 일부일 것이라고 생각했다. 이후 연구에 따르면, 도구의 조잡한 외관은 실제로 매우 열악한 원자재로 인해 발생했으며, 사용된 기술과 형태는 올도완에 포함될 수 있다.

이 지역의 첫 번째 고고학적 발견은 1901년 프랑스 탐험대에 의해 이루어졌다. 가장 중요한 발견은 1967년부터 1975년 사이에 국제 고고학 팀에 의해 이루어졌다.[4] 이 팀은 약 250만 년 된 ''오스트랄로피테쿠스''인의 턱뼈를 포함하여 여러 가지 항목을 찾아냈다.[6][4] 고고학자들은 또한 초기 플라이스토세 시대부터 플라이오세 시대까지의 올두완 호미니드의 화석 조각을 발견했다. 강둑에서 발견된 후기 ''호모 사피엔스'' 유해와 함께 석영 도구도 발견되었다.[4] 그 이후로, 프랑스와 미국의 합동 팀이 발굴을 진행했다.[7]

초기 호미니드 화석 외에도, 오모 계곡 내에서 다양한 포유류[1] 와 어류[8] 화석이 발견되었다.[1]

4. 생태

오모 강은 마고 국립공원과 오모 국립공원 등 야생 동물로 유명한 곳을 지나 흐른다.[4] 강 근처와 강에는 하마, 악어, 아프리카살무사를 포함한 많은 동물들이 서식하고 있다.

5. 문화

오모강 하류 계곡은 수천 년 동안 다양한 문화와 민족 집단이 이동하는 교차로 역할을 해왔다고 알려져 있다. 오늘날까지 무르시, 수리, 냥가톰, 디지, 메'엔 등 오모강 하류 계곡 사람들은 그들의 다양성으로 인해 연구되고 있다.[9]

6. 환경 문제 및 개발

오모강 유역에는 여러 발전소와 댐이 건설되어 있다. 특히 오모강의 지류인 길겔 기베강과 기베강의 이름을 딴 발전소와 댐이 많다.

길겔 기베 II 발전소는 오모 강에 위치한 수력 발전소로, 420 메가와트(MW)의 발전 용량을 갖추고 있다. 이 발전소는 길겔 기베 강에 있는 취수 터널 입구에서 물을 공급받으며, 이 터널 입구는 길겔 기베 강에 위치한 길겔 기베 I 댐 하류에 있어 수력 발전 계단을 형성한다.

6. 1. 댐 건설 논란

오모강 계곡


기베 3 댐은 에티오피아 오모 강에 건설된 높이 243m의 롤러 다짐 콘크리트 댐으로, 수력 발전소가 함께 있다. 이 댐은 에티오피아에서 가장 큰 수력 발전소로, 약 1870 메가와트(MW)의 발전 용량을 갖추고 있어 2007년 에티오피아 전체 설치 용량(814 MW)의 두 배가 넘는다.[11][12]

이 댐의 건설은 여러 논란을 낳았으며, 여러 NGO 단체들이 반대 캠페인을 벌였다. 국제 강(International Rivers)의 아프리카 프로그램 이사인 테리 해서웨이는 기베 3 댐을 "아프리카에서 건설 중인 가장 파괴적인 댐"이라고 비판하며, 이 프로젝트가 "이 지역에서 가장 취약한 50만 명의 사람들을 기아와 분쟁으로 내몰 것"이라고 주장했다.[13] 일부 국제 운동가들은 인권 문제를 제기하며 에티오피아 댐 프로젝트에 반대하는 온라인 청원을 시작하기도 했다.[14][15]

그러나 정부 전력 공급업체의 기베 3 프로젝트 매니저인 아제브 아스나케는 만약의 사태에 대비한 완화 조치가 마련되어 있다고 밝혔다. 그는 이 프로젝트로 인한 부정적인 결과는 없을 것이라고 예측하며, 이 지역 주민의 절반 이상이 식량 지원에 의존하고 있고 현재 공기업이 인구의 25%에게만 전력을 공급하고 있어 새로운 발전소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16]

6. 2. 홍수 피해

2006년 폭우로 오모강 하류가 범람하여 최소 456명이 사망하고, 8월 16일까지 5일 동안 2만 명 이상이 고립되었다.[17] 이 지역에서는 계절적인 폭우가 일반적이지만, 이번 참사는 과도한 방목과 산림 벌채가 원인으로 지목된다. 세계 식량 계획 대변인 폴레트 존스는 "에티오피아의 강은 퇴적물로 채워져 몇 년 전보다 더 적은 양의 물을 담을 수 있게 되었다"며, "강이 범람하는 데 필요한 강수량은 줄어들고 있다"고 말했다. 오모강의 계절적인 홍수는 강을 따라 사는 토착민들에게 매우 중요하다. 홍수는 비옥한 토사를 가져오고 강둑을 물로 채워 강둑 경작을 가능하게 한다. 투르카나, 다사나치, 하마르, 냥가톰, 카로, 크웨구, 무르시, 보디, 미엔을 포함하는 오모강 하류의 다양한 민족들은 홍수 후퇴 경작을 통해 식량의 상당 부분을 얻는다.[18]

2006년의 홍수는 지난 50년 동안 발생한 유일한 대규모 홍수였다.

참조

[1] 웹사이트 Lower Valley of the Omo http://whc.unesco.or[...] United Nations Educational, Scientific, and Cultural Organization 2021-09-18
[2] 간행물 Climate, 2008 National Statistics (Abstract) http://www.csa.gov.e[...] Central Statistical Agency website 2009-12-26
[3] 서적 Camerapix 2000
[4] 서적 Natural Wonders of the World Reader's Digest Association, Inc
[5] 논문 An integrated approach to taphonomy and faunal change in the Shungura Formation (Ethiopia) and its implication for hominid evolution 2003-04
[6] 문서 Crandall 2007
[7] 논문 Bovid ecomorphology and hominin paleoenvironments of the Shungura Formation, lower Omo River Valley, Ethiopia 2015-11
[8] 논문 Quaternary fossil fish from the Kibish Formation, Omo Valley, Ethiopia 2008-09
[9] 문서 Hurd 2006
[10] 웹사이트 Local History in Ethiopia http://www.nai.uu.se[...] 2016-05-02
[11] 웹사이트 Gibe III Hydroelectric Project Official Website http://www.gibe3.com[...] 2009-10-17
[12] 웹사이트 Ethiopia Energy Profile http://tonto.eia.doe[...] 2009-10-27
[13] 뉴스 Web campaign against Ethiopia Gibe III dam http://news.bbc.co.u[...] BBC 2010-03-23
[14] 뉴스 Web campaign against Ethiopia dam http://news.bbc.co.u[...] 2018-04-13
[15] 뉴스 Giant dam to devastate 200,000 tribal people in Ethiopia http://www.survivali[...] 2018-04-13
[16] 뉴스 Ethiopia - Gilgel Gibe III managers dismiss environmental concerns http://nazret.com/bl[...] nazret.com 2009-03-30
[17] 뉴스 More than 700 killed or missing in Ethiopian floods http://www.zeenews.c[...] Zeenews.com 2006-08-16
[18]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www.internati[...] 2009-10-17
[19] 간행물 NationalGeographic日本版 2010-03
[20] 간행물 NationalGeographic日本版 2010-03
[21] 웹사이트 Lower Valley of the Omo https://whc.unesco.o[...] 2007-10-3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