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사까조선고급학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사까조선고급학교는 1973년 오사카부 히가시오사카시로 이전한 재일 조선인 사회의 교육 기관이다. 1952년 야오시에서 개교하여 민족 교육을 실시했으며, 1990년대 토지 반환 소송을 겪었다. 2020년 히가시오사카 조선중급학교와 통합하여 중고 일관 교육 체제를 구축했으며, 2025년 오사카시 히가시나리구로 학교 이전을 계획하고 있다. 럭비, 복싱 등 스포츠 분야와 언론, 음악 등 다양한 분야의 인재를 배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사카부의 학교 - 코리아국제학원
코리아국제학원은 1962년 서울 용산구에 재일 한국인 자녀의 민족 정체성 함양과 교육 기회 확대를 목표로 개교하여, 남북한 역사와 문화를 아우르는 교육과정을 제공하며 다양한 국적의 학생들이 함께하는 학교로, 운영 방식과 교육 과정에 대한 논란에도 불구하고 실천적인 학력 향상을 통해 사회에 기여하는 인재 양성을 목표로 한다. - 히가시오사카시의 교육 - 긴키 대학
킨키 대학은 1925년 오사카 전문학교로 시작하여 1949년 오사카 이공과대학과 통합 설립된 일본의 사립 종합대학으로, 이공학 및 수산 분야에서 선구적인 연구를 수행하며 간사이 지역을 중심으로 캠퍼스와 부속 학교를 운영하고 있다. - 히가시오사카시의 교육 - 오사카부립 중앙 도서관
오사카부립 중앙 도서관은 일본 오사카부에 위치하며, 1층부터 4층까지 열람실을 갖추고 208만 권 이상의 도서를 소장하고 있으며, 국제아동문학관을 운영하고 있다. - 히가시오사카시의 건축물 - 긴키 대학
킨키 대학은 1925년 오사카 전문학교로 시작하여 1949년 오사카 이공과대학과 통합 설립된 일본의 사립 종합대학으로, 이공학 및 수산 분야에서 선구적인 연구를 수행하며 간사이 지역을 중심으로 캠퍼스와 부속 학교를 운영하고 있다. - 히가시오사카시의 건축물 - 이코마 터널
이코마 터널은 일본 나라현과 오사카부를 연결하는 3개의 터널로, 구 이코마 터널은 폐쇄되었고 신 이코마 터널과 제2 신 이코마 터널이 운영 중이며, 일제강점기 당시 강제 동원된 조선인 노동자들이 건설에 투입되었다는 논란이 있다.
오사까조선고급학교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위치 | 히가시오사카시 |
광역 자치 단체 | 오사카부 |
국가 | 일본 |
학교 종류 | 조선학교 (한국 국제 고등학교) |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학교 정보 | |
과거 교명 | 오사카 조선고등학교 오사카 조선고급학교 히가시오사카 조선중급학교 |
국공사립 구분 | 사립학교 |
학교 종류 | 각종학교 |
설립 주체 | 학교법인 오사카조선학원 |
병합 학교 | 히가시오사카 조선중급학교 |
설립일 | 1952년 4월 10일 |
기념일 명칭 | 창립기념일 |
창립기념일 | 1961년 9월 10일 |
남녀공학 여부 | 남녀공학 |
학기 | 3학기제 |
학교 코드 | H227310000361 |
우편 번호 | 578-0984 |
주소 | 오사카부 히가시오사카시 히시에 2초메 18번 26호 |
좌표 | 위도: 34° 40' 33.9'' N 경도: 135° 36' 58.4'' E |
기타 | |
관련 정보 | 친 북한 학교 청원 지지 |
2. 역사
1973년, 오사카 조선고급학교는 현재 위치인 일본 오사카부 히가시오사카시로 이전했다. 이전을 통해 학교는 교육 환경을 개선하고 더 많은 학생들을 수용할 수 있게 되었다. 이후 학교는 재일 조선인 사회의 중요한 교육 기관으로 자리 잡았으며, 민족 교육의 중심지 역할을 수행했다.
1990년대에는 학교 부지가 원래 일본 제국 시대에 강제 징용된 조선인들의 토지였다는 주장이 제기되어 토지 반환 소송이라는 도전에 직면했다. 소송 과정에서 학교는 재일 조선인 사회의 지지와 연대를 받으며 긍정적인 여론을 형성하기 위해 노력했다. 2000년대 초, 소송은 일본 법원에서 심리되었고, 학교 측에 불리한 판결이 내려졌지만 학교는 항소하며 토지 반환을 위한 노력을 지속했다. 결국 학교는 토지 소유권을 부분적으로 인정받는 방향으로 합의를 이끌어냈다.
2020년 4월, 오사카조선고급학교는 히가시오사카 조선중급학교와 통합하여 중고 일관 교육 체제를 구축했다. 통합의 배경에는 교육 과정의 효율성을 높이고, 학생들에게 더욱 심도 있는 교육을 제공하려는 목표가 있었다. 학교는 '오사카조선고급학교'라는 교명을 유지하며, 두 학교의 교육적 강점을 융합하여 새로운 교육 모델을 제시하려 했다. 통합 이후 학교는 교육 시설을 개선하고, 교직원 간의 협력을 강화하여 학생들의 학습 환경을 개선하는 데 힘썼다.
오사까조선고급학교는 2025년 오사카시 히가시나리구로 학교 이전을 계획하고 있다. 이 이전 계획은 학교의 교육 환경 개선과 학생들의 학습권 보장을 목표로 추진되고 있다. 새로운 시설은 최신 교육 설비를 갖추고, 다양한 학습 활동을 지원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것이다. 또한, 이전 지역은 학생들의 통학 편의성을 고려하여 선정되었으며, 이는 학생들의 학습 시간 확보와 안전한 학교생활에 기여할 것이다. 학교는 지역 주민들을 위한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과 문화 행사를 제공함으로써 지역 사회와의 유대감을 강화하고, 지역 사회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2. 1. 초기 역사 (1952년 ~ 1973년)
1952년 5월 20일, 오사카조선고급학교가 오사카부 야오시에서 개교했다. 이는 재일 한국인들의 민족 교육에 대한 열망을 반영한 것이었다. 당시 한국은 한국 전쟁의 상처를 채 아물리기도 전이었고, 재일 한국인 사회는 민족적 정체성을 지키면서 일본 사회에 적응해야 하는 어려운 상황에 놓여 있었다. 오사카조선고급학교는 이러한 시대적 배경 속에서 민족 교육의 구심점 역할을 했다.개교 당시 오사카조선고급학교는 열악한 환경 속에서 시작되었다. 학교 부지와 건물 확보에 어려움을 겪었고, 재정적인 지원도 충분하지 않았다. 그러나 재일 한국인 사회의 적극적인 후원과 지지 덕분에 학교는 점차 기반을 다져나갔다. 학부모, 동포들은 학교의 운영과 발전을 위해 헌신적으로 노력했고, 이는 학교의 성장에 중요한 원동력이 되었다.
개교 초기, 오사카조선고급학교는 민족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한국어, 한국 역사, 한국 문화 등 민족 정체성을 확립하는 데 필요한 과목들을 교육 과정에 포함시켰다. 동시에, 일본어와 일본 사회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교육도 병행하여 재일 한국인 학생들이 일본 사회에 성공적으로 적응할 수 있도록 지원했다.
1958년, 오사카조선고급학교는 히가시오사카시로 학교를 이전했다. 새로운 부지에 학교 건물을 신축하고 교육 환경을 개선했다. 학교 이전은 오사카조선고급학교의 발전에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다. 학교는 더욱 발전된 교육 시설과 환경을 갖추게 되었고, 더 많은 학생들을 수용할 수 있게 되었다.
1973년까지, 오사카조선고급학교는 재일 한국인 사회의 민족 교육을 선도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학교는 수많은 졸업생들을 배출했고, 이들은 재일 한국인 사회의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며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오사카조선고급학교는 재일 한국인들에게 민족적 자긍심과 정체성을 심어주는 동시에, 일본 사회와의 조화를 이루는 데 기여했다.
2. 2. 히가시오사카 시대 (1973년 ~ 현재)
1973년, 학교는 현재의 위치인 일본 오사카부 히가시오사카시로 이전했다. 이전을 계기로 학교는 교육 환경을 개선하고, 더 많은 학생들을 수용할 수 있게 되었다. 이후 학교는 재일 조선인 사회의 중요한 교육 기관으로 자리 잡았으며, 민족 교육의 중심지 역할을 수행했다.1990년대에 들어서면서 학교는 토지 반환 소송이라는 중요한 도전에 직면했다. 학교 부지가 원래 일본 제국 시대에 강제 징용된 조선인들의 토지였다는 주장이 제기되었고, 토지 소유권을 둘러싼 법적 분쟁이 시작되었다. 소송 과정에서 학교는 재일 조선인 사회의 지지와 연대를 받으며, 긍정적인 여론을 형성하기 위해 노력했다.
2000년대 초, 소송은 일본 법원에서 심리되었고, 복잡한 법적 쟁점과 증거 부족으로 인해 학교 측에 불리한 판결이 내려졌다. 그러나 학교는 이에 굴하지 않고 항소했으며, 토지 반환을 위한 노력을 지속했다. 학교는 변호인단을 구성하고, 관련 증거를 수집하는 등 적극적으로 대응했다.
결국, 오랜 법적 다툼 끝에 학교는 토지 소유권을 부분적으로 인정받는 방향으로 합의를 이끌어냈다. 이 과정에서 학교는 재일 조선인 사회의 단결된 힘을 보여주었고, 민족 교육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강조했다. 현재 학교는 안정적인 환경 속에서 교육 활동을 이어가고 있으며, 재일 조선인 사회의 미래를 짊어질 인재 양성에 힘쓰고 있다.
2. 3. 교명 변경 및 통합 (2020년)
2020년 4월, 오사카조선고급학교는 히가시오사카 조선중급학교와 통합하여 중고 일관 교육 체제를 구축했다. 통합의 배경에는 교육 과정의 효율성을 높이고, 학생들에게 더욱 심도 있는 교육을 제공하려는 목표가 있었다. 이 과정에서 학교는 '오사카조선고급학교'라는 교명을 유지하며, 두 학교의 교육적 강점을 융합하여 새로운 교육 모델을 제시하려 했다. 통합 이후 학교는 교육 시설을 개선하고, 교직원 간의 협력을 강화하여 학생들의 학습 환경을 개선하는 데 힘썼다. 특히, 중학교 과정을 연계하여 고등학교 교육의 질을 향상시키고, 학생들의 진로 선택에 도움을 주기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했다.2. 4. 학교 이전 계획 (2025년 예정)
오사까조선고급학교는 2025년 오사카시 히가시나리구에서 학교 이전을 계획하고 있다. 이 이전 계획은 학교의 교육 환경 개선과 학생들의 학습권 보장을 목표로 추진되고 있다. 이전 부지는 새로운 교육 시설을 갖추기에 충분한 공간을 확보하고 있으며, 이는 학생들에게 더 나은 학습 환경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학교 이전은 재학생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새로운 시설은 최신 교육 설비를 갖추고, 다양한 학습 활동을 지원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것이다. 또한, 이전 지역은 학생들의 통학 편의성을 고려하여 선정되었으며, 이는 학생들의 학습 시간 확보와 안전한 학교생활에 기여할 것이다.
지역 사회 역시 학교 이전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오사까조선고급학교는 지역 사회의 중요한 교육 기관으로서, 학교 이전은 지역 사회의 교육 환경 개선에도 기여할 것이다. 학교는 지역 주민들을 위한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과 문화 행사를 제공함으로써 지역 사회와의 유대감을 강화하고, 지역 사회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3. 특징
오사카 조선고급학교는 다양한 교육 과정을 운영하며 학생들의 진로 선택을 지원했다. 문과반, 이과반 외에도 일본 국공사립학교 편입반 등을 운영하여 학생들의 학업 선택의 폭을 넓혔다. 민족 교육을 중시하며 학력 향상에도 힘썼으며, 대학 진학률을 높이기 위해 노력했다.
2023년 기준으로, 오사카 조선고급학교는 중등부 135명, 고등부 150명으로 총 285명의 학생이 재학 중이다.
3. 1. 교훈 및 상징
교표는 세 개의 펜과 세 개의 망치로 구성되어 있다. 세 개의 펜은 학문, 문화, 민주주의를 상징하며, 굳센 의지와 끊임없는 탐구를 통해 민족의 미래를 개척하겠다는 의지를 담고 있다. 세 개의 망치는 근로정신, 투쟁정신, 단결을 의미하며, 민족의 자주적 생존과 발전을 위한 실천적 의지를 나타낸다.3. 2. 교육 과정
오사까조선고급학교는 문과반, 이과반 외에도 일본 국공사립학교 편입반 등 다양한 학과 과정을 운영하며 학생들의 진로 선택의 폭을 넓혔다. 민족 교육을 중시하면서도, 학력 향상을 위해 노력하여 대학 진학률을 높이는 데 힘썼다.2023년 기준, 오사까조선고급학교의 학생 수는 중등부 135명, 고등부 150명으로 총 285명이다.
4. 학교 운영 관련 쟁점
오사카 조선고급학교는 재정난, 운영 주체의 갈등, 교육 과정의 문제 등 여러 쟁점에 직면해 왔다. 재정적인 어려움은 학교 운영의 가장 큰 난관이었다. 학비만으로는 학교를 유지하기 어려워, 재일 조선인 사회의 지속적인 지원이 필수적이었다. 하지만 경제 상황의 변화와 기성세대와 젊은 세대 간의 가치관 차이로 인해 재정 확보에 어려움을 겪었다.
학교 운영 주체를 둘러싼 갈등 역시 잦았다. 학교의 정체성, 교육 방향, 그리고 운영 방식에 대한 이견은 학교 내부의 분열을 초래했다. 특히, 조선학교의 민족 교육 방침과 일본 사회와의 관계 설정에 대한 입장 차이는 심각한 갈등의 원인이 되었다. 일부는 일본 사회와의 융합을, 다른 일부는 민족 정체성 유지를 더욱 강조하면서 대립했다.
교육 과정 역시 논란의 대상이었다. 북한식 교육 내용과 일본 학교와의 차이로 인해, 학생들의 일본 대학 진학에 불리함이 존재했다. 또한, 민족 교육의 내용과 방식에 대한 다양한 의견 차이가 있었으며, 이는 교육 과정의 개편을 어렵게 만들었다. 이러한 문제들은 오사카 조선고급학교가 재일 조선인 사회 내에서 지속적인 논쟁의 대상이 되게 했다.
4. 1. 토지 반환 소송
1998년, 오사카조선고급학교는 히가시오사카시를 상대로 학교 부지 사용과 관련된 소송을 제기했다. 이 소송은 학교 부지의 사용 권한 및 임대료 문제를 둘러싸고 벌어졌다.### 소송 배경
오사카조선고급학교는 재일 조선인들의 교육을 위해 설립된 학교로, 오랜 기간 동안 히가시오사카시의 부지를 사용해왔다. 그러나 시 당국은 학교 부지 사용에 대한 임대료를 인상하거나, 사용 권한에 제한을 두는 등 학교 운영에 어려움을 주는 정책을 펼쳤다. 이러한 상황은 학교의 재정적 부담을 가중시켰고, 교육 환경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에 학교 측은 시 당국의 조치에 반발하며 소송을 제기하기에 이르렀다.
### 소송 진행 과정
소송은 수년에 걸쳐 진행되었다. 학교 측은 부지 사용의 정당성을 주장하며, 시 당국의 부당한 처사에 대한 증거를 제시했다. 반면, 시 당국은 공공시설 운영의 효율성을 강조하며, 학교 측의 주장에 반박했다. 재판 과정에서 양측은 치열한 법적 공방을 벌였으며, 다양한 증거와 자료를 제출하며 자신들의 입장을 옹호했다. 특히, 재일 조선인 사회의 역사적 배경과 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되었고, 차별적인 정책에 대한 비판이 제기되었다.
### 소송 결과
2000년대 초반, 오사카 지방 법원은 학교 측의 손을 들어주는 판결을 내렸다. 법원은 시 당국의 부당한 처사를 인정하고, 학교 측의 부지 사용 권한을 보장하는 판결을 내렸다. 또한, 임대료 인상에 대한 시의 요구를 기각하고, 합리적인 수준의 임대료를 책정하도록 결정했다. 이 판결은 학교의 안정적인 운영을 위한 중요한 기반을 마련했으며, 재일 조선인 사회에 큰 희망을 안겨주었다.
### 학교에 미친 영향
토지 반환 소송의 승소는 오사카조선고급학교의 운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학교는 안정적인 재정 확보를 통해 교육 환경을 개선하고, 학생들에게 더욱 양질의 교육을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학교는 지역 사회와의 관계를 더욱 강화하고, 재일 조선인 사회의 정체성을 지키는 데 기여했다. 이 소송은 재일 조선인들의 권익 보호와 차별 철폐를 위한 중요한 선례가 되었으며, 민주주의적 가치를 실현하는 데 기여했다.
5. 출신 인물
오사카 조선고급학교는 럭비, 복싱 등 스포츠 분야를 비롯하여 언론, 음악, 연극, 영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약하는 인재들을 배출했다.
럭비부는 권정수 감독의 지도 아래 1960년대부터 재일 조선인 사회에서 럭비 명문으로 이름을 알렸다. 주요 선수로는 성앙덕, 김관태 등이 있으며, 졸업 후에도 많은 선수들이 럭비 선수 또는 지도자로 활동하며 재일 조선인 럭비 발전에 기여했다.
1957년 창설된 복싱부에서는 1960년대 전 일본 챔피언 이열리 선수, 재일 한국인 최초의 프로 복싱 챔피언 기노시타 테이루 선수 등 수많은 복싱 선수들을 배출했다. 이건태 선수 역시 오사카 조선 고급학교 복싱부 출신으로, 재일 한국인 복싱계에 영향을 미쳤다.
그 외 언론계의 저널리스트 고영기, 음악계의 작곡가 고창수, 연극 및 영화 분야에서 활동하는 치슨, 뮤지컬 배우 박유나 등이 있다.
5. 1. 축구
오사까조선고급학교 축구부는 량용기, 리영직 등 재일 조선인 사회를 대표하는 축구 선수들을 배출했다. 량용기는 2000년대 초반 J리그에서 활약하며 이름을 알렸으며, 북한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로도 활동했다. 리영직 역시 북한 대표팀에서 활약했으며, 2010년 FIFA 월드컵에 출전하기도 했다. 이 외에도 박승리 등 많은 선수들이 오사까조선고급학교 축구부에서 활약하며 재일 조선인 사회의 스포츠 발전에 기여했다.5. 2. 럭비
오사까조선고급학교 럭비부는 재일 조선인 사회에서 럭비 명문으로 이름을 알렸다. 권정수 감독의 지도 아래, 럭비부는 1960년대부터 두각을 나타내기 시작했다.주요 선수로는 성앙덕이 있었다. 그는 뛰어난 실력으로 럭비부의 핵심 선수로 활약했으며, 재일 조선인 럭비계에 큰 영향을 미쳤다. 김관태 역시 럭비부의 주축 선수로 활약하며 팀의 성장을 이끌었다.
졸업 후에도 많은 선수들이 럭비 선수 또는 지도자로 활동하며, 재일 조선인 럭비의 발전에 기여했다. 이들은 일본 각지의 럭비 리그에서 활약하며, 오사까조선고급학교 럭비부의 명성을 이어나갔다.
5. 3. 복싱
1957년, 오사카 조선 고급학교에는 20여 명의 복싱부가 창설되었다. 오사카 조선 고급학교 복싱부는 이후 수많은 복싱 선수들을 배출했다. 이 학교 출신으로는 1960년대 전 일본 챔피언이었던 이열리 선수와 재일 한국인 최초의 프로 복싱 챔피언인 기노시타 테이루 선수가 대표적이다. 이건태 선수 역시 오사카 조선 고급학교 복싱부 출신으로, 그의 활약은 재일 한국인 복싱계에 큰 영향을 미쳤다.5. 4. 기타
오사까조선고급학교는 다양한 분야에서 활약하는 인재들을 배출했다. 언론계에서는 저널리스트 고영기가 있으며, 음악계에서는 작곡가 고창수가 대표적이다. 또한, 연극 및 영화 분야에서 활동하는 치슨과 뮤지컬 배우 박유나도 이 학교 출신으로 알려져 있다.6. 교통 정보
오사카 조선고급학교는 오사카부 히가시요도가와구에 위치해 있다. 학교로 접근 가능한 주요 대중교통 수단은 다음과 같다.
- 전철: 한큐 교토 본선의 미야하라역에서 도보 10분 거리에 위치해 있다.
- JR: JR 신오사카역에서 도보 15분 거리에 있다. 신오사카역은 오사카의 주요 교통 허브로, 교토 방면으로 이동하기에도 편리하다.
- 버스: 오사카 시내 각 지역에서 출발하는 버스 노선이 학교 근처를 지나간다. 버스 정류장은 학교에서 가까운 거리에 위치해 있다.
학교는 위와 같이 대중교통 접근성이 뛰어나 학생들의 통학에 편리함을 제공한다.
6. 1. 철도
오사까조선고급학교는 기차를 이용하여 통학하는 학생들을 위해 요시다역(近鉄けいはんな線)과 가와치하나조노역(近鉄奈良線)을 이용하도록 안내하고 있다. 요시다역에서 학교까지는 도보 10분 거리이며, 가와치하나조노역에서는 도보 20분 거리에 위치해 있다.참조
[1]
웹사이트
List of International Schools
http://www.pref.osak[...]
Osaka Prefecture
2015-07-31
[2]
뉴스
Pro-Pyongyang school petition backed
http://the-japan-new[...]
2017-07-28
[3]
웹사이트
大阪民族教育の未来を担う/おいでよウリハッキョ vol.51 大阪朝鮮中高級学校
https://www.io-web.n[...]
2023-03-12
[4]
웹사이트
吹奏楽コンクールデータベース(団体名:大阪朝鮮高級学校)
http://www.musicabel[...]
2023-03-12
[5]
뉴스
大阪朝高運動場明渡し裁判 和解成立 最終報告集会
http://www1.korea-np[...]
2022-10-09
[6]
웹사이트
大阪朝鮮高級学校が東大阪市からの立ち退き請求事件和解へ
http://www5d.biglobe[...]
弁護士 原啓一郎
2009-12
[7]
뉴스
"<日조선학교, 전국 럭비대회서 3위 '파란'>"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0-01-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