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수 (불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수(五受)는 불교에서 마음이 경험하는 다섯 가지 느낌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고수(苦受, 육체적 괴로움), 낙수(樂受, 육체적 즐거움), 우수(憂受, 정신적 괴로움), 희수(喜受, 정신적 즐거움), 사수(捨受, 중립적인 느낌)로 구분된다. 상좌부의 아비담마에 따르면, 5수는 121가지 마음을 분별하는 기준으로, 각 마음의 상태를 파악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수 (마음작용) - 희수
희수는 정신적 대상과의 재회를 바라는 느낌으로, 불교에서는 과거의 선업으로 인한 과보로 설명하며, 마음과 기쁜 느낌이 상응할 때 5온 중 수온과 식온이 정신적 인식 대상과 화합하여 나타나는 경험이다. - 수 (마음작용) - 수 (불교)
수는 불교에서 인간의 존재를 구성하는 중요한 요소로, 감수 작용과 지각 작용을 의미하며 3수로 분류되고, 12연기설에서 애를 발생시켜 윤회와 해탈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이다. - 심소법 - 마음작용 (현양성교론)
마음작용은 《현양성교론》에서 마음과 상응하는 모든 법을 의미하며, 아뢰야식의 종자에서 생겨나 마음에 의지하여 함께 작용하는 대승불교의 교의에 따라 51가지로 분류된다. - 심소법 - 무치
- 불교 용어 - 불멸기원
불멸기원은 석가모니의 입멸을 기원으로 하는 불교력의 연호로, 기원전 544년 설과 기원전 543년 설에 따라 계산에 차이가 있으며, 태음태양력을 기반으로 윤년과 윤달을 통해 태양력과의 차이를 조정하고, 동남아시아 여러 국가에서 불교 관련 행사 및 휴일 표기에 사용된다. - 불교 용어 - 마음챙김
마음챙김은 불교 용어인 '사띠'와 '스므르티'에서 유래하여 현재 순간에 대한 자각과 수용을 의미하며, 스트레스 감소 및 정신 건강 증진을 위해 심리학, 의학 분야에서 활용되고 다양한 분야에서 유사한 개념이 존재하나 상업화 및 윤리적 문제에 대한 비판도 있다.
오수 (불교) | |
---|---|
불교 용어 | |
구분 | 불교 용어 |
뜻 | 다섯 가지 욕망, 즉 재물욕(財物慾), 색욕(色慾), 음식욕(飮食慾), 명예욕(名譽慾), 수면욕(睡眠慾)을 뜻한다. |
한자 표기 | 五欲 |
로마자 표기 | O-yuk |
산스크리트어 | Kāma |
상세 설명 | |
재물욕 (財物慾) | 재물에 대한 욕심을 의미한다. |
색욕 (色慾) | 이성에 대한 욕심을 의미한다. |
음식욕 (飮食慾) | 맛있는 음식을 탐하는 욕심을 의미한다. |
명예욕 (名譽慾) | 명예를 얻고자 하는 욕심을 의미한다. |
수면욕 (睡眠慾) | 잠을 자고자 하는 욕심을 의미한다. |
2. 5수
2. 1. 고수 (苦受)
고수(苦受)는 불열(不悅)의 신수(身受), 즉 육체적 괴로움의 느낌이다. 달리 말하면, 신수로서 손뇌(損惱: 손해를 입히고 괴롬힘, 비난하고 성냄)의 느낌지각정서이다. 몸이 즐겁지 않은 것을 고근(苦根)이라 하며, 신수 안에서 능히 손상되거나 고뇌스러운 것을 일컬어 고근(苦根)이라고 한다.2. 2. 낙수 (樂受)
낙수(樂受)는 열(悅)의 신수(身受), 즉 육체적 즐거움의 느낌이다. 달리 말하면, 신수로서 섭익(攝益: 섭수와 장익, 충족되고 이익됨)의 느낌지각정서이다. 또한 제3정려의 열(悅)의 심수(心受)도 낙수(樂受)라고 한다. 제3정려에는 신수가 존재하지 않고 5식신이 없기 때문에 '마음의 즐거움[心悅]'을 낙근이라 한다. 그러나 제3정려를 제외한 아래의 세가지 지(地)에서는 이 마음의 즐거움을 희근(喜根)이라하는데, 제3정려에서의 마음의 즐거움은 안정(安靜)된 것으로 희탐(喜貪)을 떠났기 때문에 오로지 낙근이라고 하지만, 그 아래 세 가지 지 중에서의 마음의 즐거움은 추동(麤動)으로 희탐을 갖기 때문에 오로지 희근이라고만 이름한다.2. 3. 우수 (憂受)
우수(憂受)는 불열(不悅)의 심수(心受), 즉 정신적 괴로움의 느낌이다. 달리 말하면, 심수로서 손뇌(損惱: 손해를 입히고 괴롬힘, 비난하고 성냄)의 느낌지각정서이다. 슬픔이나 근심과 관련된 불쾌한 감정이다. 의식과 상응하여 능히 손상 고뇌하는 수로서 마음이 즐겁지 않은 것을 우근(憂根)이라고 한다.2. 4. 희수 (喜受)
희수(喜受)는 열(悅)의 심수(心受), 즉 정신적 즐거움의 느낌이다. 달리 말하면, 심수로서 섭익(攝益: 섭수와 장익, 충족되고 이익됨)의 느낌2. 5. 사수 (捨受)
사수(捨受)는 괴롭지도 즐겁지도 않은, 즉 중립적인 신체적, 정신적 느낌이다. 열(悅)도 불열(不悅)도 아닌 신수와 심수를 통칭한다. 즉, 즐겁지도 괴롭지도 않은 육체적 느낌과 기쁘지도 근심스럽지도 않은 정신적 느낌을 통칭한다. 달리 말하면, 신수 또는 심수로서 섭익(攝益: 섭수와 장익)도 손뇌(損惱: 손상시키고 괴롬힘)도 아닌 느낌지각정서이다.세친의 《아비달마구사론》에 따르면, 사근은 신수와 심수 모두에 통한다.
3. 마음의 5수 분별
상좌부의 아비담마에 따르면 하나의 마음은 간략히 총 89가지 마음으로, 자세히는 총 121가지 마음으로 나뉘는데, 이 중에서 느낌 즉 5수로 분별하기 위해서는 121가지 마음 체계를 사용해야 한다.
121가지 마음을 5수에 따라 분별하면 다음과 같다.
마음의 이름 | 고수 (신체적 괴로움) | 낙수 (신체적 즐거움) | 우수 (정신적 불만족) | 희수 (정신적 기쁨) | 사수 (정신적 평온) | 소계 | 합계 | 총계 |
---|---|---|---|---|---|---|---|---|
욕계 마음pi | colspan="8" | | |||||||
해로운 마음 | 탐욕에 뿌리박은 마음 | 4 | 4 | 8 | 12 | |||
성냄에 뿌리박은 마음 | 2 | 2 | ||||||
어리석음에 뿌리박은 마음 | 2 | 2 | ||||||
해로운 마음 합계 | 0 | 0 | 2 | 4 | 6 | 12 | ||
원인 없는 마음pi | 원인 없는 해로운 마음 | 1 | 6 | 7 | 18 | |||
원인 없는 유익한 마음 | 1 | 1 | 6 | 8 | ||||
원인 없는 작용만 하는 마음 | 1 | 2 | 3 | |||||
원인 없는 마음 합계 | 1 | 1 | 0 | 2 | 14 | 18 | ||
욕계 아름다운 마음pi | 욕계 유익한 마음 | 4 | 4 | 8 | 24 | |||
욕계 과보의 마음 | 4 | 4 | 8 | |||||
욕계 작용만 하는 마음 | 4 | 4 | 8 | |||||
욕계 아름다운 마음 합계 | 0 | 0 | 0 | 12 | 12 | 24 | ||
욕계 마음 합계 | 1 | 1 | 2 | 18 | 32 | 54 | 54 | |
고귀한 마음pi | colspan="8" | | |||||||
색계 마음 | 색계 유익한 마음 | 4 | 1 | 5 | 15 | |||
색계 과보의 마음 | 4 | 1 | 5 | |||||
색계 작용만 하는 마음 | 4 | 1 | 5 | |||||
색계 마음 합계 | 0 | 0 | 0 | 12 | 3 | 15 | 27 | |
무색계 마음pi | 무색계 유익한 마음 | 4 | 4 | 12 | ||||
무색계 과보의 마음 | 4 | 4 | ||||||
무색계 작용만 하는 마음pi | 4 | 4 | ||||||
무색계 마음 합계 | 0 | 0 | 0 | 0 | 12 | 12 | ||
고귀한 마음 합계 | 0 | 0 | 0 | 12 | 15 | 27 | ||
세간의 마음 합계 | 1 | 1 | 2 | 30 | 47 | 81 | 81 | 81 |
출세간의 마음pi | colspan="8" | | |||||||
출세간의 유익한 마음 | 16 | 4 | 20 | 40 | ||||
출세간의 과보의 마음 | 16 | 4 | 20 | |||||
출세간의 마음 합계 | 0 | 0 | 0 | 32 | 8 | 40 | 40 | 40 |
총계 | 1 | 1 | 2 | 62 | 55 | 121 | 121 | 121 |
3. 1. 욕계 마음 (54가지)
3. 1. 1. 해로운 마음 (12가지)
해로운 마음은 탐욕, 성냄, 어리석음에 뿌리박은 마음으로, 우수(憂受) 2가지, 희수(喜受) 4가지, 사수(捨受) 6가지와 관련된다.3. 1. 2. 원인 없는 마음 (18가지)
원인 없는 마음은 해로운 과보의 마음, 유익한 과보의 마음, 작용만 하는 마음으로 구분되며, 고수, 낙수, 희수, 사수와 관련된다.3. 1. 3. 욕계 아름다운 마음 (24가지)
욕계 유익한 마음, 과보의 마음, 작용만 하는 마음은 희수(12가지)와 사수(12가지)와 관련된다.3. 2. 고귀한 마음 (27가지)
3. 2. 1. 색계 마음 (15가지)
색계 마음은 희수(12가지)와 사수(3가지)와 관련된다.3. 2. 2. 무색계 마음 (12가지)
무색계의 마음은 모두 사수(捨受)와 관련된다.3. 3. 출세간의 마음 (40가지)
3. 4. 121가지 마음과 5수
상좌부의 아비담마에 따르면, 5수는 121가지 마음을 분별하는 기준이 된다. 5수는 고수(1), 낙수(1), 우수(2), 희수(62), 사수(55)로 구성된다.마음의 이름 | 고수 (신체적 괴로움) | 낙수 (신체적 즐거움) | 우수 (정신적 불만족) | 희수 (정신적 기쁨) | 사수 (정신적 평온) | 소계 | 합계 | 총계 |
---|---|---|---|---|---|---|---|---|
121가지 마음 | 1 | 1 | 2 | 62 | 55 | 121 | 121 | 121 |
참조
[1]
서적
불광대사전
[2]
웹사이트
損惱
http://hanja.naver.c[...]
2013-02-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