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스만 3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스만 3세는 1754년 즉위한 오스만 제국의 술탄으로, 1699년에 태어나 1757년에 사망했다. 그는 형인 마흐무트 1세가 사망한 후 즉위했으며, 음악을 혐오하여 궁정의 음악가를 내쫓는 등 독특한 통치를 펼쳤다. 오스만 3세는 아나톨리아와 루멜리아 지역의 폭력 행위에 대응하고, 성지 내 종교 간 현상 유지를 위한 칙령을 발표했다. 주요 건축 업적으로는 누루오스마니예 모스크가 있으며, 1757년 사망 후 사촌 무스타파 3세가 왕위를 계승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에디르네 출신 - 메흐메트 2세
메흐메트 2세는 1432년에 태어나 1451년 오스만 제국의 술탄이 되어 1453년 콘스탄티노폴리스를 정복하고 오스만 제국을 강대국으로 만들었으며 1481년에 사망했다. - 에디르네 출신 - 마흐무트 1세
마흐무트 1세는 18세기 오스만 제국의 술탄으로, 반란으로 옹립되어 서구화 개혁을 추진하고 전쟁과 건축 사업을 벌였으나, 제국 쇠퇴를 겪었다. - 오스만 왕조 - 무스타파 1세
무스타파 1세는 정신 질환으로 두 차례 퇴위당하며 오스만 제국 역사상 영향력이 미미했던 술탄으로, 연장자 계승 원칙 확립에 기여했으나 짧은 재위 기간과 정치적 혼란이 컸다. - 오스만 왕조 - 오스만 1세
오스만 1세는 오우즈 투르크 카이으 부족 출신으로 룸 셀주크 제국 쇠퇴기에 오스만 베일리크를 세우고 비잔티움 제국과의 전투에서 승리하며 오스만 제국의 창시자가 되었다. - 18세기 오스만 제국 사람 - 이브라힘 파샤
이브라힘 파샤는 1789년 오스만 제국에서 태어나 이집트 군인이자 정치가로 활동하며, 아라비아와 그리스 독립 전쟁에서 군사적 업적을 세우고 시리아 총독을 역임했으며, 1848년 사망했다. - 18세기 오스만 제국 사람 - 마흐무트 1세
마흐무트 1세는 18세기 오스만 제국의 술탄으로, 반란으로 옹립되어 서구화 개혁을 추진하고 전쟁과 건축 사업을 벌였으나, 제국 쇠퇴를 겪었다.
오스만 3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칭호 | 오스만 칼리파 아미르 알무민 두 성지의 수호자 |
직책 | 오스만 황제(파디샤) |
이름 | 오스만 빈 무스타파 |
왕조 | 오스만 |
종교 | 수니 이슬람 |
통치 | |
재위 기간 | 1754년 12월 13일 – 1757년 10월 30일 |
즉위식 | (정보 없음) |
이전 통치자 | 마흐무트 1세 |
후임 통치자 | 무스타파 3세 |
개인 정보 | |
출생일 | 1699년 1월 2일 |
출생지 | 에디르네 에디르네 궁전, 오스만 제국 |
사망일 | 1757년 10월 30일 (향년 58세) |
사망지 | 이스탄불 톱카프 궁전, 오스만 제국 |
매장지 | 새 모스크, 투르한 술탄 영묘, 이스탄불 |
아버지 | 무스타파 2세 |
어머니 | 셰흐수바르 술탄 |
배우자 | |
배우자 | 레일라 카든 퓔라네 카든 제브키 카든 에미네 페르훈데 카든 |
기타 | |
![]() |
2. 즉위 전 생애
오스만 3세는 1699년 1월 2일 에디르네 궁전에서 무스타파 2세와 셰흐수바르 술탄 사이에서 태어났다.[2] 마흐무트 1세의 이복 동생이었다. 1703년 아버지가 왕위에서 물러나자 카페스에 갇혀 51년 동안 살았다.[2]
1705년 4월 17일, 다른 왕자들과 함께 비밀리에 할례를 받았다. 아흐메트 3세의 측근 왕자 중 한 명이었으며, 나중에 술탄과 함께 도시 안팎으로 여행을 하기도 했다. 1730년 10월 1일, 그의 형 마흐무트의 외교 사절단과 함께 왕위를 기다리는 가장 큰 왕자가 되었다.[2]
2. 1. 출생과 유년 시절
오스만 3세는 1699년 1월 2일 에디르네 궁전에서 무스타파 2세와 셰흐수바르 술탄 사이에서 태어났다.[2] 그는 마흐무트 1세의 이복 동생이었다. 1703년 아버지가 왕위에서 물러나자, 이스탄불로 돌아와 카페스에 갇혀 51년 동안 살았다.1705년 4월 17일, 다른 왕자들과 함께 비밀리에 할례를 받았다. 그는 아흐메드의 측근 왕자 중 한 명이었으며, 나중에 술탄과 함께 도시 안팎으로 여행을 하기도 했다. 1730년 10월 1일, 그의 형 마흐무트의 외교 사절단과 함께 왕위를 기다리는 가장 큰 왕자가 되었다.[2]
2. 2. 카페스 유폐
무스타파 2세가 1703년 퇴위하면서, 오스만 3세는 이스탄불로 돌아와 카페스에 갇히게 되었다.[2] 그는 카페스에서 51년 동안 유폐 생활을 하였다.1705년 4월 17일, 오스만 3세는 다른 왕자들과 함께 비밀리에 할례를 받았다.[2] 그는 아흐메트 3세의 측근 왕자 중 한 명이었으며, 이후 아흐메트 3세와 함께 도시 안팎을 여행하기도 했다. 1712년에는 아흐메트 3세의 여행에 동행했다는 기록이 있다.
1730년 파트로나 할릴의 난으로 형인 마흐무트 1세가 즉위한 후, 오스만 3세의 행적은 묘연하나, 카페스에 유폐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3. 즉위와 통치
오스만 3세는 평생을 궁궐 내 감옥에서 보냈기 때문에 즉위 후 몇 가지 특이한 행동을 보였다. 이전 술탄들과 달리 음악을 혐오하여 궁궐에서 모든 음악가를 내쫓았으며, 바론 드 토트에 따르면, 오스만 3세는 화를 잘 내고 겸손한 통치자였다.[2]
오스만 3세는 통치 초기, 함께 일할 관리를 신중하게 선택했다. 그의 통치 기간 동안 대재상을 비롯한 고위 정부 직책의 잦은 교체는 이전 술탄 시대에 만연했던 권력 남용을 줄이려는 노력으로 볼 수 있다.[2]
1756년 3월, 심한 폭풍우로 이집트 갤리선이 쿰카피에 좌초되는 사건이 발생했다. 600명의 승객이 대피하지 못하고 배에 갇혔으나, 오스만 3세가 직접 해안으로 와 조선소에서 바지선을 가져와 모든 승객을 구조했다. 그는 이러한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이스탄불에 아흐르카피 등대 건설을 명령했다.[2]
1757년 오스만 3세는 성지의 기독교, 무슬림, 유대교의 다양한 장소에 대한 현상 유지를 보존하는 칙령을 발표했다.[3]
오스만 3세는 통치 2년 차에 어머니 셰흐수바르 술탄을 잃었고, 1756년 12월 22일에는 맏아들 메흐메드가 질병으로 사망했다. 왕자의 장례식에는 5,000명이 참석했으며, 동시대 자료는 이 왕자가 쾨세 무스타파 파샤의 주도로 독살되었다고 언급했다.[2]
3. 1. 즉위 과정
1754년 이복형 마흐무트 1세가 사망하면서 오스만 3세가 제위에 올랐다. 오스만 3세는 즉위 6일 후, 어머니 셰흐슈바르 술탄을 톱카프 궁전으로 불러들였다.[2]3. 2. 주요 정책 및 사건
오스만 3세의 통치 기간은 짧았지만, 잦은 재상 교체와 정치적 불안정, 그리고 여러 재난으로 특징지어진다.오스만 3세는 즉위 초부터 잦은 고위 관리 교체를 단행했는데, 이는 이전 술탄 시대에 만연했던 권력 남용을 줄이려는 시도로 해석된다.[2] 그는 재위 기간 동안 대재상을 6번이나 교체했는데, 이는 뇌물 수수, 허위 보고, 화재 책임, 민중의 불만 등 다양한 이유 때문이었다. 또한, 오스만 3세의 유폐 시절 그를 돌보았던 환관 아흐메트 아가가 궁정 내에서 큰 권력을 행사했다.
오스만 3세는 1757년에 성지 내 기독교, 이슬람교, 유대교 간의 현상 유지를 명하는 칙령을 발표했다.[3]
1755년에는 사촌 셰흐자데 메흐메트를 살해하라는 명령을 내렸으나, 당시 대재상 헤키모울루 알리 파샤가 거부하여 실행되지 않았다. 그러나 1756년 대재상이 된 쾨세 바히르 무스타파 파샤는 이 명령을 실행하여 메흐메트를 살해했다.[2]
오스만 3세의 통치 기간 동안 아나톨리아와 루멜리아 지역에서 발생한 폭력 사태에 대응하기 위한 조치가 취해졌다. 보줄루스와 지한베일리 부족, 아르메니아인, 에르주룸과 시바스 주변의 강도들에 대한 조치가 이루어졌으며, 카라오스마놀루 하지 무스타파 아가는 체포되어 처형되었다.[2]
오스만 3세 시대에는 여러 자연재해가 발생했다. 1755년 1월에는 보스포루스 해협이 결빙되어 사람들이 걸어서 건널 수 있을 정도였다. 또한, 제국의 수도 이스탄불에서는 여러 차례 대화재가 발생했다. 1754년 12월, 1755년 7월과 9월, 그리고 1756년 7월에 발생한 대화재로 이스탄불의 많은 지역이 파괴되었다.
3. 3. 사회 문화 정책
오스만 3세는 이전 술탄들과 달리 음악을 혐오하여 궁정 내 모든 음악가를 내쫓았다.[2] 또한 여성을 싫어하여 궁중에서 쇠로 된 신발을 신고 다녔으며, 여성들은 그 소리를 듣고 황제를 피했다고 한다.오스만 3세는 튤립 시대와 마흐무트 1세 시대에 유행했던 화려한 문화를 억제하려는 여러 조치를 취했다. 여성 복장 규제, 시장에서의 유흥 금지, 금요 예배 구경 금지, 비무슬림 복장 규제 등을 시행했다.[2] 그러나 이러한 기강 숙정 시도는 18세기 초부터 이어진 경제 성장과 대량 소비 사회의 정착으로 인해 큰 효과를 거두지 못했다.[2]
1755년부터 기독교도나 유대교도 등 이교도에 대한 관용이 사라지기 시작했다.[2] 1757년에는 성지의 기독교, 무슬림, 유대교의 다양한 장소에 대한 현상 유지를 보존하는 칙령을 발표하기도 했다.[3]
4. 건축
오스만 3세는 누루오스마니예 모스크를 건설한 것으로 유명하다. 마흐무트 1세 치세에 착공되어 오스만 3세 시대에 완공되었다.
오스만 3세는 누루오스마니예 모스크 외에도 이흐사니예 모스크와 그 마스지드를 건설했으며, 1755-56년에 자신의 이름을 딴 분수를 지었지만 122년 만에 파괴되었다.[2]
4. 1. 누루오스마니예 모스크
마흐무트 1세 치세에 착공되어 오스만 3세 시대에 완공된 누루오스마니예 모스크는 오스만 3세의 주요 건축 유산이다. 누루오스마니예 단지는 모스크 외에도 세 개의 학교, 메드레세, 공장, 도서관, 영묘, 임시 방, 망사 주택, 분수, 여관, 상점 등으로 구성된 복합 시설이었다.[2] 오스만 3세는 1755-56년에 위스퀴다르 궁전과 정원이 있던 곳에 주택과 상점을 포함한 새로운 구역을 건설했으며, 오늘날에도 이흐사니예로 남아있는 이흐사니예 모스크와 그 마스지드를 건설했다.[2] 그는 또한 1755-56년에 자신의 이름을 딴 분수를 지었지만, 이 분수는 건설된 지 122년 만에 파괴되었다.4. 2. 기타 건축물
오스만 3세는 1755-56년에 위스퀴다르 궁전과 정원이 있던 곳에 주택과 상점을 포함한 새로운 구역을 건설했다. 그는 또한 오늘날에도 이흐사니예로 남아있는 이흐사니예 모스크와 그 마스지드를 건설했다.[2]오스만 3세는 1755-56년에 자신의 이름을 딴 분수를 지었지만, 이 분수는 건설된 지 122년 만에 파괴되었다.
5. 사망
오스만 3세는 1757년 10월 30일 밤에 사망했다. 이른 아침 의식이 거행되었고, 그의 사촌 무스타파 3세가 왕위에 올랐다. 새로운 술탄은 오스만을 누루오스마니예가 아닌, 예니 모스크 영묘에 매장하도록 명령했다.[1]
5. 1. 사망과 장례
오스만 3세는 1757년 10월 30일 밤에 사망했다. 이른 아침 의식이 거행되었고, 그의 사촌 무스타파 3세가 왕위에 올랐다. 새로운 술탄은 오스만 3세를 누루오스마니예 모스크가 아닌 예니 모스크 영묘에 매장하도록 명령했다.[1]1757년, 오스만 3세는 위통으로 금요 예배를 급히 중단한 이틀 뒤에 붕어했다. 유해는 누루오스마니예 모스크가 아닌 튀르한 발리데 모스크에 매장되었다. 이것은 새로 즉위한 무스타파 3세의 혜안(황제의 의향)이라고도 한다.
5. 2. 계승
오스만 3세는 1757년 10월 30일 밤에 사망했다. 이른 아침 의식이 거행되었고, 그의 사촌 무스타파 3세가 왕위에 올랐다.[1] 새로운 술탄은 오스만을 누루오스마니예가 아닌, 예니 모스크 영묘에 매장하도록 명령했다.[1]1757년, 오스만 3세는 위통으로 금요 예배를 급히 중단한 이틀 뒤에 붕어했다.[2] 유해는 누르오스마니예 모스크가 아닌, 튀르한 발리데 모스크에 매장되었다.[2] 이것은 새로 즉위한 무스타파 3세의 혜안(황제의 의향)이라고도 한다.[2]
6. 가족 관계
오스만 3세는 네 명의 첩을 두었으나 슬하에 자녀는 없었다.[4][5][6][7][8]
이름 | 설명 |
---|---|
레일라 카딘 | 바쉬카딘(첫 번째 첩). 1757년 오스만 사후 하지 메흐메드 에민 베이와 결혼, 아들 페이줄라 베이를 낳음. 1794년 위스퀴다르 사망. |
퓔라네 카딘 | 두 번째 카딘. 지위 외 정보 없음. |
제브키 카딘 | 세 번째 카딘. 건물 개조 공사 후원, 푼드클리에 터키-바로크 양식 분수 건설. |
에미네 페르훈데 카딘 | 네 번째 카딘. 1791년 8월 사망. |
6. 1. 부인
오스만 3세는 네 명의 첩을 두었으나, 이복형 마흐무트 1세처럼 자녀는 없었다. 터키 역사학자 사카오을루는 두 사람이 카페스에 갇혀 있을 때 거세당했을 가능성을 제기했지만, 다른 역사학자들은 오스만 3세가 즉위 당시 55세였고, 형과 달리 3년 만에 사망했기 때문에 자녀를 갖지 못했을 수 있다고 지적한다.[4]오스만 3세의 첩은 다음과 같다:[5][6][7][8]
- 레일라 카딘: 오스만 통치 기간 동안 바쉬카딘(첫 번째 첩)이었다. 1757년 오스만 사후 하지 메흐메드 에민 베이(1785년 7월 16일 사망)와 결혼하여 아들 페이줄라 베이(1792년 8월 12일 사망)를 낳았다. 1794년 위스퀴다르에서 사망했다.
- 퓔라네 카딘: 두 번째 카딘. 지위 외에는 알려진 바가 없다.
- 제브키 카딘: 세 번째 카딘. 여러 건물 개조 공사를 후원했으며, 푼드클리에 터키-바로크 양식의 분수를 지었다.
- 에미네 페르훈데 카딘: 네 번째 카딘. 1791년 8월 사망했다.
참조
[1]
서적
History of the Ottoman Empire from its Establishment till the Year 1828
https://books.google[...]
Constable and Co.
[2]
간행물
Osman III
https://islamansiklo[...]
TDV Encyclopedia of Islam
[3]
서적
Cities of the Middle East and North Africa: A Historical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ABC-CLIO
2012-11-29
[4]
서적
Bu mülkün kadın sultanları: valide sultanlar, hatunlar, hasekiler, kadınefendiler, sultanefendiler
Oğlak Yayıncılık ve Reklamcılık
2008
[5]
서적
Padişahların kadınları ve kızları
Ankara, Ötüken
[6]
서적
Tarih ve toplum: aylık ansiklopedik dergi – Volume 24
İletişim Yayınları/Perka A. Ş.
[7]
서적
Devletler ve Hanedanlar Cilt 2
[8]
서적
Sultan Mülkıünlu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