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보스포루스 해협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보스포루스 해협은 흑해와 마르마라해를 연결하는 약 30km 길이의 해협으로, 터키 이스탄불을 관통하며 유럽과 아시아를 구분한다. 그리스 신화에서 유래된 이름은 "암소가 건넌 곳"을 의미하며, 역사적으로 상업적, 군사적으로 중요한 요충지였다. 현재는 1936년 몽트뢰 조약에 따라 터키가 관리하며, 3개의 다리와 여러 해저 터널이 건설되어 교통의 요지로 활용된다. 아름다운 자연경관과 역사 유적지로 관광객들에게 인기가 높으며, 해협 주변에는 오스만 제국 시대의 얄리(물가 저택)와 궁전, 역사적인 건축물들이 즐비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스탄불주의 지리 - 칼케돈
    칼케돈은 기원전 685년 메가라 식민지로 건설되어 무역으로 번성하고 여러 신전이 건설되었으며, 로마 제국 시대에는 자유 도시의 지위를 얻었지만 여러 침입을 겪었고, 451년에는 칼케돈 공의회가 개최되었으며, 여러 순교자들과 저명한 인물들을 배출한 고대 도시이다.
  • 튀르키예의 해협 - 다르다넬스 해협
    다르다넬스 해협은 에게해와 마르마라해를 잇는 좁고 긴 해협으로, 흑해와 지중해를 연결하는 중요한 국제 해상 교통로이며, 고대에는 헬레스폰토스로 불렸고, 전략적 요충지로서 수많은 역사적 사건의 무대가 되었으며, 현재는 터키 영토이나 몬트뢰 조약에 따라 국제 항로로 기능하고 차나칼레 1915 다리가 건설되었다.
  • 튀르키예의 해협 - 터키 해협
    터키 해협은 흑해, 에게해, 지중해, 대서양, 인도양을 연결하는 국제 수로이며, 보스포루스 해협과 다르다넬스 해협으로 구성되고, 고대부터 전략적 요충지로서 여러 조약을 통해 관리되어 왔다.
  • 이스탄불주의 지형 - 금각만
    금각만은 보스포루스 해협에서 유럽 대륙으로 뻗어 이스탄불 구시가지와 갈라타 사이에 위치한 만으로, 역사적, 경제적, 군사적 중요성을 지니며 문화적, 종교적 변화를 겪어왔고 현재는 이스탄불의 주요 관광 명소이다.
  • 이스탄불주의 지형 - 마르마라해
    튀르키예 내에 위치한 마르마라해는 다르다넬스 및 보스포루스 해협을 통해 에게 해, 흑해와 연결되며, 마르마라 섬을 포함한 여러 섬이 있고 환경 오염 문제에 직면해 있다.
보스포루스 해협
위치 정보
터키 해협의 위치를 나타내는 지도. 보스포루스는 빨간색, 다르다넬스 해협은 노란색으로 표시됨. 터키 영토는 녹색으로 강조 표시됨.
터키 해협의 위치
명칭
한국어보스포루스 해협
터키어İstanbul Boğazı (이스탄불 보아즈)
터키어 (다른 이름)Boğaziçi (보아지치)
라틴어Bosporus
그리스어Βόσπορος (보스포로스)
기본 정보
위치터키 북서부
종류해협
구성터키 해협의 일부
길이31km
최소 너비700m
최대 깊이110m
지리
흐름흑해에서 마르마라해로 흐름
접경 국가터키
기타
로마자 표기Bosporus (보스포루스), Bosphorus (보스포러스)
기타(해협)

2. 이름

보스포루스 해협의 이름은 그리스 신화에서 유래했다. 제우스가 암소(bos)로 변신시킨 이오가 이 해협(poros)을 건넜다는 전설에서 "암소가 건넌 곳"이라는 뜻의 "보스포루스"라는 이름이 붙여졌다.[7] 즉, 보스포루스(Bosporus 또는 Bosporos)란 고대 그리스어로 "소(bos, Βόσ)가 건넌 개울(poros, πορος)"이라는 의미이다. 이오는 보스포루스 해협을 건너기 전까지 지구를 방황하도록 저주받았으며, 해협에서 티탄 프로메테우스를 만나 위로를 받았다. 프로메테우스는 이오가 제우스에 의해 인간의 모습을 되찾고 헤라클레스의 조상이 될 것이라고 예언했다.[7]

이오는 크리소폴리스(오늘날의 위스퀴다르) 근처에 상륙했는데, 이곳은 '암소'로 명명되었다. 같은 장소는 다말리스(Δάμαλιςgrc)로도 알려져 있었는데, 이는 아테네 장군 카레스가 그의 아내 다말리스를 위해 기념비를 세웠고, 그 기념비에는 거대한 암소 조각상이 포함되어 있었기 때문이다.[8]

영어 철자는 '-ph-' (''Bosphor'')로 표기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중세 라틴어( ''Bosphor'', ''Bosphorus'', ''Bospherus'')와 중세 그리스어에서 가끔 Βόσφοροςgrc로 나타나는 것에서 유래했다.[9]

역사적으로 보스포루스 해협은 "콘스탄티노플 해협" 또는 트라키아 보스포루스로도 알려져 크리미아의 킴메리아 보스포루스와 구별되었다.

터키어에서는 "해협의 안쪽"을 의미하는 보아지치 (Boğaziçitr)라는 이름으로 불린다. "이스탄불 해협"으로도 알려져 있다.

3. 지리

보스포루스 해협은 흑해와 마르마라 해를 잇는 좁고 긴 해협으로, 다르다넬스 해협과 함께 흑해와 지중해를 연결하는 중요한 해상 교통로이다. 해협의 길이는 약 30km이며, 폭은 가장 좁은 곳이 698m, 가장 넓은 곳이 3,700m이다. 수심은 36m에서 124m 사이로 다양하다.

해협 양쪽은 모두 터키의 이스탄불시에 속해 있다. 해협 남쪽의 마르마라 해 입구 서쪽에는 이스탄불 구시가지가 자리 잡고 있다. 이곳은 과거 비잔티움, 콘스탄티노플로 불리던 유서 깊은 도시이다.

해협 북쪽에는 루멜리 페네리(Rumeli Feneri) 등대와 아나돌루 페네리(Anadolu Feneri) 등대가 있고, 남쪽에는 아흐르카피 페네리(Ahırkapı Feneri) 등대와 카디쾨이 인지부르누 페네리(Kadıköy İnciburnu Feneri) 등대가 있어 선박의 안전한 항해를 돕는다. 여기서 '페네리(Fener)'는 터키어로 등대를 의미한다.

보스포루스 해협에는 쿠루체슈메(Kuruçeşme) 바로 앞에 갈라타사라이 섬이라는 매우 작은 섬이 있다.

해협의 상세한 지리적 수치는 다음과 같다.

길이31km
북쪽 입구 너비3329m
남쪽 입구 너비2826m
최대 너비3420m (우무르예리와 뷔유크데레 리마니 사이)
최소 너비700m (칸딜리곶과 아시얀(Aşiyan) 사이)
평균 수심65m
최대 수심110m (칸딜리와 베벡 사이)
최소 수심18m (카디쾨이 인지부르누 부근) 또는 13m (아시얀곶 부근)[14]



황금뿔(Golden Horn)은 보스포루스 해협에서 뻗어나온 하구로, 역사적으로 콘스탄티노플을 방어하는 해자 역할을 했으며, 19세기까지 여러 제국의 황실 해군 기지로 사용되었다. 현재는 이스탄불 중심부의 역사적인 지역이다.

3. 1. 해협의 형성

흑해 범람설은 보스포루스 해협의 형성 원인과 시기에 대한 가설 중 하나이다. 이 가설은 1997년 콜럼비아 대학교의 두 과학자가 제기했으며, 기원전 5600년경(2003년 기원전 6800년으로 수정됨)에 지중해와 마르마라 해의 수위 상승으로 인해 보스포루스 해협이 범람하면서 흑해가 담수호에서 염수호로 바뀌었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많은 지질학자들은 해협이 지질학적 시간 척도상 비교적 젊음에도 불구하고, 훨씬 더 오래되었다고 주장한다.[13]

2010년 8월, 리즈 대학교(University of Leeds) 연구진은 보스포루스 해협 해저에서 끊임없이 흐르는 '수중 채널'을 발견했다. 이 채널은 육지에 있었다면 세계에서 여섯 번째로 큰 강이 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16] 이 해저 채널은 육지의 강과 유사하지만, 해수보다 밀도가 높은 모래, 진흙, 물의 혼합물이 해저로 가라앉아 흐르는 밀도류에 의해 형성된다. 이러한 채널은 퇴적물을 심해로 운반하여 퇴적층을 형성하는 주요 경로이다.[16]

흑해 대홍수설(Black Sea deluge hypothesis)에 따르면, 마지막 빙하기가 끝날 무렵 거대한 빙상이 녹으면서 해수면이 72.5m 상승했고, 이로 인해 닫혀 있던 보스포루스 해협이 홍수로 압도되었다. 그 결과 당시 담수였던 흑해 호수의 면적이 50% 증가하고 사람들이 해안에서 쫓겨났다. 해저 탐험가 로버트 발라드(Robert Ballard)는 옛 해안선을 따라 정착지를 발견했으며, 과학자들은 담수와 염수 미생물 군집을 통해 이 홍수가 기원전 5500년(7500 BP)에 발생했다고 추정했다.

4. 역사

보스포루스 해협은 고대부터 흑해와 지중해를 잇는 중요한 해상 통로이자 상업적, 군사적 요충지였다. 러시아우크라이나를 포함한 많은 국가들의 주요 해상 접근로였으며, 해협 통제권은 근대 여러 갈등의 원인이 되기도 했다. 1877년-1878년 러시아-튀르크 전쟁과 제1차 세계 대전 중 갈리폴리 전투에서 다르다넬스 해협 공격의 목표가 되었고,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당시에는 곡물 수송로의 중요성이 부각되었다.[21]

20세기 이전에도 흑해와 마르마라해가 "밀도류"의 예를 보이며 서로 흘러들어간다는 사실은 알려져 있었다. 2010년 8월, 보스포루스 해협 해저에서 현탁액 성분의 '수중 채널'이 발견되었는데, 이는 육지에 있었다면 세계에서 여섯 번째로 큰 강이 되었을 것이다.[16]

흑해 대홍수설에 따르면, 마지막 빙하기 말에 빙상이 녹으면서 해수면이 72.5m 상승했을 때 보스포루스 해협이 홍수로 압도되어 담수였던 흑해 호수가 50% 증가하고 사람들이 해안에서 쫓겨났다. 로버트 발라드는 옛 해안선을 따라 정착지를 발견했고, 과학자들은 담수와 염수의 미생물 군집을 통해 해당 홍수(flood)를 기원전 5500년(7500 BP)으로 추정했다.

4. 1. 고대 그리스, 페르시아, 로마, 비잔티움 제국 시대 (1453년 이전)

기원전 5세기, 흑해 연안의 스키타이 항구에서 곡물을 수입하던 그리스 도시국가 아테네비잔티움메가라 식민지 등 해협을 통제하는 도시들과 중요한 동맹 관계를 유지했다.

페르시아 제국의 왕 다리우스 1세는 흑해 북쪽을 배회하는 스키타이 기병들을 정복하려는 시도로, 배를 연결하여 만든 거대한 다리를 이용하여 보스포루스 해협을 건넜다.[22] 이 다리는 아시아의 가장 먼 지리적 끝자락을 유럽과 연결했으며, 적어도 1,000미터 이상의 개방된 수역을 포함했다.[23] 수년 후, 크세르크세스 1세는 그리스 침공 중에 다르다넬스 해협(헬레스폰트)을 가로지르는 유사한 폰툰 다리(Xerxes' Pontoon Bridges)를 건설했다(기원전 480년).

비잔티움 제국은 보스포루스 해협을 "스테논(Stenon)"이라고 불렀고, 이 지역에서 다음과 같은 주요 지명을 사용했다.[24]

유럽 쪽아시아 쪽



해협의 전략적 중요성은 로마 제국 황제 콘스탄티누스 1세가 서기 330년에 새로운 수도 콘스탄티노폴리스를 건설하기로 결정한 요인 중 하나였다. 이 도시는 이후 동로마 제국의 수도가 되었다.

기원전 수천 년경 지중해의 해수면 상승으로 흑해와 연결되었다는 가설(흑해 홍수설)이 있다.

4. 2. 오스만 제국 시대 (1453년 ~ 1922년)

1453년 5월 29일, 오스만 제국은 콘스탄티노폴리스를 정복하였다. 오스만 제국은 보스포루스 해협 양쪽에 아나돌루히사르(1393년)와 루멜리히사르(1451년) 요새를 건설하여 해협에 대한 지배력을 강화했다.[25] 이 사건은 비잔티움 제국의 멸망과 보스포루스 해협의 지배권이 오스만 제국으로 넘어갔음을 의미한다. 오스만 제국은 콘스탄티노폴리스를 새로운 수도로 삼고 제국을 확장했다.

보스포루스 해협, 유럽과 아시아의 성. 토마스 앨럼(Thomas Allom)의 19세기 판화. 성은 각각 루멜리히사르(Rumelihisarı)와 아나돌루히사르(Anadoluhisarı)이다.


16세기부터 18세기 사이 전성기를 맞이한 오스만 제국은 보스포루스 해협의 전략적 중요성을 이용하여 흑해 지역 전체를 장악하고 러시아 군함의 진입을 금지시켰다.[26]

이후 여러 국제 조약이 해협 접근을 규제해왔다. 1833년 7월 8일 체결된 휜카르 이스켈레시 조약에 따라 러시아의 요구가 있을 경우 보스포루스 해협과 다르다넬스 해협은 다른 열강의 군함에게 폐쇄되도록 되어 있었다.[27] 1841년 7월 13일 런던 해협 조약에 따라 전시 중 술탄의 동맹국 군함을 제외한 모든 군함의 통행을 금지하여 오스만 제국의 "고대 규칙"을 재확립하였다. 이는 러시아가 지중해에 직접 접근할 수 없었던 반면, 영국 해군의 세력에 유리하게 작용하였다.[28]

19세기 동안 콘스탄티노플에 주재하는 많은 외국 열강들은 보스포루스 해협 상류에 하계 대사관을 두고 무더운 여름철에는 직원들을 그곳으로 옮겼다. 이러한 하계 대사관들은 대부분 유럽 쪽 해안에 있었는데, 예니쾨이(오스트리아), 타라비야(독일, 영국, 프랑스, 이탈리아), 그리고 뷔유크데레(스페인, 러시아)에 위치했다.

4. 3. 터키 공화국 시대 (1923년 이후)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1920년 세브르 조약은 보스포루스 해협을 비무장 지대로 만들고 국제 연맹의 통제하에 두었다. 1923년 로잔 조약은 해협을 터키에 반환했지만, 모든 외국 군함과 상선의 자유로운 통행을 허용했다. 터키는 결국 이 조약 조건을 거부하고 해협 지역을 재군사화했다. 이는 1936년 7월 20일 몬트뢰 조약(터키 해협의 지위에 관한)에 따라 공식화되었다. 이 조약은 현재까지 유효하며, 터키가 흑해 비연안 국가의 해군 함정 통행을 제한할 권리를 유지하는 것을 제외하고 해협을 국제 수로로 간주한다.

2012년 이스탄불 유럽 쪽의 보스포루스 해협 남쪽 입구에서 바라본 모습


터키는 1945년 2월까지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중립을 지켰으며, 이 기간 동안 교전국 군함의 해협 통과는 금지되었지만 일부 독일 보조선의 통과는 허용되었다. 외교 회담에서 소련 대표들은 해협에 해군 기지를 확보하는 데 관심을 표명했다. 이는 스탈린이 카르스, 아르트빈, 아르다한의 터키령(1877~1878년 러시아-튀르크 전쟁에서 터키가 잃었지만 1921년 카르스 조약으로 되찾음)을 소련에 반환할 것을 요구한 것과 함께 터키가 외교에서의 중립을 포기하게 된 계기가 되었다. 터키는 1945년 2월 독일에 대해 선전포고를 했지만 공격적인 행동은 하지 않았다.[29][30][31]

터키는 1952년 NATO에 가입하여 상업 및 군사 수로로서 해협의 전략적 중요성을 더욱 높였다.

21세기 초, 터키 해협은 석유 산업에서 특히 중요해졌다. 노보로시스크와 같은 항구에서 나오는 러시아 석유는 주로 보스포루스 해협과 다르다넬스 해협을 통해 미국으로 수출되었다.

2011년, 터키는 보스포루스 해협 서쪽에 길이 약 50km의 이스탄불 운하(Istanbul Canal) 건설을 제안했는데, 이는 유조선 및 기타 화물선으로 인한 보스포루스 해협의 위험을 줄이기 위한 것이었다.[32][33] 이 프로젝트는 매우 논란이 많았고, 2022년 기준으로 운하 건설을 위한 노선이 확정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 착공되지 않았다.[34]

운하 공사 부분을 빨간색으로 표시


보스포루스 해협의 통항 선박이 과밀해짐에 따라, 서쪽(유럽 쪽)에 이스탄불 운하를 건설하는 계획이다. 일부는 퀴취크체크메제 호수를 이용하며, 총 길이 45km, 너비 150m, 수심 25m를 예상하고 있다.[58] 2011년 에르도안 총리(이후 대통령)가 제안했다. 공사 기간은 7년, 비용은 750억튀르키예 리라로 추산되고 있다. 막대한 비용, 산림 보호, 파괴로 인한 물 부족 위험, 흑해를 둘러싼 미·러 대립에 휘말릴 우려 등으로 이스탄불의 이마몰 시장 등 야당인 공화인민당, 세계자연보전기금(WWF) 터키, 120명이 넘는 터키 전직 외교관들이 계획에 반대하거나 비판적인 입장을 표명하고 있다.

2021년 6월, 에르도안 대통령에 의해 기공식이 열리고 총 공사비 150억달러로 추산되는 공사가 시작되었다.[59] 민간 선박 통항에 거의 비용이 들지 않는 보스포루스 해협과 달리, 이스탄불 운하 이용에는 통항료가 부과될 전망이기 때문에 막대한 비용 회수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5. 교통



보스포루스 해협은 흑해지중해를 잇는 유일한 수로로, 상업 및 군사적으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러시아우크라이나를 포함한 많은 국가들의 주요 해상 접근로이며, 1877년-1878년 러시아-튀르크 전쟁, 제1차 세계 대전 중 갈리폴리 전투 등 근대사의 여러 분쟁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당시에는 곡물 수송로로서의 중요성이 부각되기도 했다.[21]

5. 1. 해상 교통

보스포루스 해협은 공공 및 민간 소유의 수많은 여객선, 차량 수송용 페리, 그리고 작은 고무보트부터 요트에 이르는 다양한 레저용 및 어선들이 매일 통과하는 곳이다.

해협은 화물선유조선을 통해 상당한 양의 국제 상업 해운 교통량도 처리한다. 루멜리 페네리와 아나돌루 페네리(북쪽 끝), 아흐르카프 페네리와 카디쾨이 인지부르누 페네리(남쪽 끝) 사이에는 대규모 해상 교통에 위험한 지점이 많아 급격한 방향 전환과 시야 확보가 필요하다. 특히 칸딜리 지점과 아시얀 사이 구간은 해류 속도가 7kn에서 8kn에 달하며 45도 방향 변경이 필요하다. 남쪽 예니쾨이에서는 80도 방향 변경이 필요하다. 칸딜리와 예니쾨이에서는 방향 변경 전후로 전후방 시야가 완전히 차단되어 반대 방향에서 접근하는 선박이 굽은 길을 볼 수 없다는 점에서 이러한 궤적 변경의 어려움은 더욱 커진다. 이러한 지형적 위험은 유럽과 아시아 쪽 도시를 연결하는 해협을 가로지르는 많은 페리 교통량으로 인해 더욱 증폭된다. 따라서 좁은 수로의 특징적인 모든 위험과 장애물이 이 중요한 해상 항로에 존재하며 매우 심각하다.

2011년 터키 정부는 흑해에서 마르마라 해로 이어지는 두 번째 항로로 이스탄불 주 서쪽 가장자리를 따라 남북으로 약 80km 길이의 인공 운하 건설을 논의하기 시작했다. 이는 보스포루스 해협의 선박 운항 위험을 줄이기 위한 제안이었다.[32][33] 논란이 되고 있는 이스탄불 운하 프로젝트는 계속 논의되고 있다.[35][36][37]

2022년 터키는 화물선 통행료를 1983년 이후 처음으로 톤당 4달러로 500% 인상했다.[38]

보스포루스 해협은 상당히 깊으며 선박의 깊이와 길이에 대한 명확한 제한은 없지만, 길이 150미터 또는 깊이 10미터가 넘는 선박은 통행을 미리 예약해야 한다. 300미터가 넘는 선박은 특별 통행 절차를 따라야 한다. 공기 흘수 제한은 57미터이다.[39][40]

5. 2. 육상 교통

보스포루스 해협에는 세 개의 다리가 건설되어 있다. 첫 번째 다리는 1973년에 완공된 15일 7월 순교자 다리로, 당시에는 보스포루스 다리로 불렸다. O1 고속도로의 일부이며 길이는 1074m이다.

15일 순교자 다리(보스포루스 다리), 1973년 완공


두 번째 다리는 파티흐 술탄 메흐메트(보스포루스 II) 다리로, 1988년 첫 번째 다리에서 북쪽으로 약 5km 지점에 완공되었다. 길이는 1090m이며, 범유럽 고속도로의 일부이다.

파티흐 술탄 메흐메트 다리, 1988년 완공


세 번째 다리는 야부즈 술탄 셀림 다리로, 2016년에 완공되었다. 이 다리는 보스포루스 해협 북쪽 끝 부근, 유럽 쪽의 가리프체 마을과 아시아 쪽의 포이라즈쾨이 마을 사이에 있으며, 길이는 2164m이다.[41][42][43] "북부 마르마라 고속도로"의 일부이며, 기존 흑해 연안 고속도로와 통합되어 도시 교통을 우회하는 통행량을 처리할 수 있다.[41][42]

야부즈 술탄 셀림 다리, 2016년 완공


이름개통일설계총 길이너비높이최장 경간아래 간격차선 수
15일 7월 순교자 다리1973년 10월 30일현수교1560m33.4m165m1074m64mO1 고속도로 6차선
파티흐 술탄 메흐메트 다리1988년 7월 3일현수교1510m39m105m1090m64mO2 고속도로 8차선
야부즈 술탄 셀림 다리2016년 8월 26일하이브리드 케이블-현수교2164m58.4m322m1408m73mO7 고속도로 8차선 및 복선 철도 1개


5. 3. 해저 터널

마르마라이는 13.7km 길이의 해저 철도 터널 건설 프로젝트로, 2013년 10월 29일에 터널이 개통되었다.[44] 터널의 약 1400m는 해협 아래 약 55m 깊이로 지나간다.

보스포루스 수도 터널은 길이 5551m의 해저 수도 터널로,[45] 2012년에 건설되어 뒤즈제주(보스포루스 해협 동쪽, 북서부 아나톨리아)의 멜렌 크릭의 물을 이스탄불의 유럽 쪽으로 185km 옮기도록 설계되었다.[45][46]

유라시아 터널은 이스탄불 유럽 쪽의 카즐리체시메와 아시아 쪽의 괴즈테페를 연결하는 5.4km 길이의 해저 고속도로 터널이다. 2011년 2월에 공사가 시작되어 2016년 12월 20일에 개통되었다.[47]

대이스탄불 터널은 자동차와 전철을 위한 3층 터널로 건설될 예정이다.[57]

6. 관광

보스포루스 해협은 아름다운 자연경관과 역사 유적지로 유명하며, 많은 관광객이 찾는 곳이다. 해협 양안에는 오스만 제국 시대에 건설된 620여 채의 얄리(yalı, 물가 저택)가 있다. 톱카프 궁전, 돌마바흐체 궁전, 츠라안 궁전, 베일레르베이 궁전 등 오스만 제국의 궁전과 역사적인 건축물들이 해협 주변에 위치한다.

해협 연안에는 오스만 제국이 콘스탄티노폴리스 정복의 발판으로 건설한 아나돌루히사르, 루멜리히사르 두 요새돌마바흐체 궁전 등 오스만 제국의 별궁, 이집트 총독 무함마드 알리 가문을 비롯한 오스만 제국 고관의 별장 등 역사적 건축물이 늘어서 있다.[50]

루멜리히사르, 보스포루스 해협에 있는 성 중 하나, 해협을 가로지르는 두 개의 현수교가 보인다.


이스탄불 구시가지에서 흑해 입구까지 운행하는 정기 관광선은 외국인 관광객들에게 인기가 높다. 해협을 가로지르는 대부분의 공공 페리는 이스탄불의 역사적인 반도에 있는 에미뇌뉘에서 출발하여 흑해 근처의 아나돌루 카바으까지 운항하며, 운항 중 유럽과 아시아 해안의 여러 지점에 잠시 정차한다. 오르타쾨이를 포함한 보스포루스 해협을 따라 여러 지점에서 관광 크루즈를 이용할 수 있다. 가격은 상당히 다양하며, 일부 크루즈는 음악과 식사를 제공한다.[50]

7. 건축

오스만 제국 시대 보스포루스 해협 연안에 건설된 많은 얄리(물가 저택)는 오랫동안 해협의 상징적인 건축물이었다. 원형을 유지하고 있는 얄리들은 터키에서 가장 비싼 부동산에 속한다.[51] 대부분의 얄리는 원래 바로 물가에 위치해 있으며, 보트를 보관할 수 있는 개인 부두와 항구를 갖추고 있었다.

오스만 제국 시대 보스포루스 해협의 얄리(물가 저택)


아흐메트 라심 파샤의 얄리


19세기 후반과 20세기 초, 이집트 왕족은 보스포루스 해협을 좋아하여 해안가에 아름다운 건물들을 남겼다. 여기에는 현재 이집트 영사관이 있는 베벡(Bebek)의 건물과 히디브 빌라(주불클루 위 언덕 높이 위치)가 포함된다.[51]

8. 문화

그리스 신화 속 인물 이오제우스에 의해 암소(βοῦς|보우스grc)로 변했는데, 이오가 건넜던 개울(πόρος|포로스grc)이 바로 보스포루스 해협으로 여겨진다. 즉, '보스포루스(Bosporus)'는 고대 그리스어로 "소가 건넌 개울"이라는 뜻이다.[7] 이오는 보스포루스 해협에서 티탄 프로메테우스를 만났고, 프로메테우스는 이오가 제우스에 의해 인간의 모습을 되찾고 헤라클레스의 조상이 될 것이라고 예언했다.[7]

고대 그리스 신화에는 심플레가데스(Symplegades)라는 거대한 떠다니는 바위들에 대한 이야기가 전해진다. 이 바위들은 보스포루스 해협 양쪽을 지키며 해협을 통과하는 배들을 으스러뜨렸다고 한다. 그러나 아르고 영웅 이아손이 무사히 통과하면서 바위들은 고정되었고, 이후 그리스인들이 흑해로 자유롭게 드나들 수 있게 되었다.

터키어로 보스포루스 해협은 "해협의 안쪽"을 의미하는 보아지치 (Boğaziçitr)라고 불리며, "이스탄불 해협"으로도 알려져 있다.

참조

[1] 백과사전 Bosporus https://web.archive.[...] Oxford University Press
[2] 백과사전 Bosporus http://www.collinsdi[...] HarperCollins
[3] 백과사전 Bosporus https://www.ldoceonl[...] Pearson
[4] 백과사전 Bosporus https://www.ahdictio[...] HarperCollins
[5] 백과사전 Bosporus http://encyclopedia2[...] Columbia University Press
[6] 서적 Memoir on the propriety of the word Oxford, as applied to a seminary of learning; read to the Instituto of Padoua, in the month of July last. https://books.google[...] William Grapel 1820
[7] 백과사전 Βόσπορος http://www.perseus.t[...] Clarendon Press 1940
[8] 서적 Handbuch der alten Geographie für Gymnasien und zum Selbstunterricht https://archive.org/[...] J. J. Bonné
[9] 백과사전 Bosporus https://www.perseus.[...] Clarendon Press 1879
[10] 서적 Geographi graeci minores https://books.google[...] Didot
[11] 서적 Verleichendes wörterbuch der alten, mittleren und neuen geographie https://archive.org/[...] Becker
[12] 웹사이트 Galatasaray Adası hizmete açıldı https://www.fanatik.[...] 2022-07-27
[13] 학술지 Persistent Holocene outflow from the Black Sea to the eastern Mediterranean Sea still contradicts the Noah's Flood Hypothesis: A review of 1997–2021 evidence and a regional paleoceanographic synthesis for the latest Pleistocene–Holocene http://dx.doi.org/10[...] 2022-04-01
[14] 웹사이트 Türk Boğazları ve Marmara Denizi'nin Coğrafi Konumu-İstanbul Boğazı https://web.archive.[...] Directorate-General of Maritime Affairs of Turkey
[15] 학술지 Flow, water mass changes, and hydraulics in the Bosphorus 10.1029/2000JC000485 2002-03-07
[16] 보도자료 Leeds Researchers Study Undersea Rivers with a Yellow Submarine http://www.leeds.ac.[...] University of Leeds 2010-08-02
[17] 웹사이트 Robotic sub records flow of undersea river https://web.archive.[...] 2010-08-02
[18] 학술지 Observations of Mediterranean flow into the Black Sea 10.1029/1998JC900023 1999-02-15
[19] 학회 "Recent canyon heads evidenced at the Bosporus outlet" 2002
[20] 학술지 Morphology and evolution of an anastomosed channel network where saline underflow enters the Black Sea 10.1111/j.1365-3091.[...] 2009-03-09
[21] 뉴스 Ukrainian grain to pass through Bosphorus on Tuesday under landmark deal https://www.reuters.[...] 2022-08-01
[22] 웹사이트 Darius at the Bosporus https://www.research[...] 2010-05-13
[23] 서적 The History of Herodotus: a new English version, Volume 3 https://archive.org/[...] John Murray
[24] 참고문헌 Öztürk 2011
[25] 웹사이트 The Bosphorus, with the Castles of Europe & Asia. 1846 — Allom, Thomas http://m.vam.ac.uk/c[...] Victoria and Albert Museum 2007
[26] 참고문헌 Metz 1995
[27] 참고문헌 Metz 1995
[28] 서적 The Turkish Straits https://books.google[...] Martinus Nijhoff Publishers
[29] 웹사이트 The Turkish Factor in the Geopolitics of the Post-Soviet Space https://web.archive.[...] Foreign Policy Research Institute 2003-01-10
[30] 웹사이트 [Russian and] Soviet Relations with Greece and Turkey: A Systems Perspective http://www.robertcut[...] 1999-03-28
[31] 뉴스 Against who and where are we going to stand? https://web.archive.[...] 2009-05-04
[32] 잡지 Turkey to build Bosphorus bypass https://www.newcivil[...] 2011-04-20
[33] 뉴스 Startskud for gigantisk kanal gennem Tyrkiet http://ing.dk/artike[...] 2011-04-29
[34] 웹사이트 Route of Canal Istanbul Kanal İstanbul https://www.kanalist[...]
[35] 뉴스 İstanbul Canal project to open debate on Montreux Convention https://web.archive.[...] 2010-10-08
[36] 뉴스 Turkey debates whether international treaty is obstacle to plan to bypass the Bosporus https://www.washingt[...] 2011-04-29
[37] 웹사이트 Turkey's Ambitious Infrastructure Projects https://worldview.st[...] Stratfor 2013-05-16
[38] 웹사이트 Five Fold Increase of Transit Fees for Bosphorus & Dardanelles https://e-ulgener.co[...] 2022-12-14
[39] 웹사이트 Bosphorus (Istanbul) Strait http://northmaritime[...] North Maritime 2014
[40] 간행물 Maritime Traffic Regulations for the Turkish Straits and the Marmara Region, entered into force on 1 July 1994 https://www.un.org/d[...] United Nations 1994-07-01
[41] 웹사이트 3rd Bosphorus bridge opening ceremony http://www.trtworld.[...] TRT World 2016-08-25
[42] 웹사이트 Istanbul's mega project Yavuz Sultan Selim Bridge to open in large ceremony http://www.dailysaba[...] 2016-08-25
[43] 웹사이트 Turkey Unveils Route for Istanbul's Third Bridge http://www.aa.com.tr[...] Anatolian Agency 2010-04-29
[44] 뉴스 Turkey's Bosporus tunnel to open sub-sea Asia link https://www.bbc.co.u[...] 2013-10-29
[45] 웹사이트 Melen hattı Boğaz'ı geçti http://www.cnnturk.c[...] 2012-05-21
[46] 뉴스 Melen Boğaz'ı geçiyor http://www.sabah.com[...] 2012-05-19
[47] 웹사이트 Eurasia Tunnel Project http://events.unicre[...] Unicredit - Yapı Merkezi, SK EC Joint Venture
[48] 학회발표 Submarine Cable Projects (2-03) http://hro-cigre.hr/[...] 2016-06-07
[49] 웹사이트 Submarine Cable Map 2017 http://submarine-cab[...]
[50] 웹사이트 Şehir Hatları A.Ş. ® https://www.sehirhat[...]
[51] 서적 From the Shores of the Nile to the Bosphorus: Traces of Kavalalı Mehmed Ali Pasha Dynasty in Istanbul Istanbul Arıştırmaları Enstitüsü
[52] 웹사이트 第3ボスポラス橋が開通=「新しいトルコ」象徴 http://www.jiji.com/[...] 時事通信社 2016-08-27
[53] 웹사이트 CNN Türk: "Melen hattı Boğaz'ı geçti" (21-05-2012) http://www.cnnturk.c[...] CNN Türk 2012-05-21
[54] 웹사이트 外務省: [ODA] 広報・資料 ODAメールマガジン 第157号(トルコ) https://www.mofa.go.[...] 外務省 2009-04-08
[55] 뉴스 トルコ、海峡トンネルが開通 欧州-アジア結ぶ動脈に https://www.nikkei.c[...] 2013-10-29
[56] 뉴스 欧州とアジア結ぶ「ユーラシア・トンネル」開通 トルコ https://www.sankei.c[...] 2016-12-21
[57] 뉴스 İstanbul'a 3 katlı tüp geçit http://www.milliyet.[...] 2015-02-27
[58] 뉴스 【危うい野心 エルドアンとトルコ】(下)命運握る巨大運河計画/人気の源 成長路線に影 http://www.tokyo-np.[...] 2018-11-21
[59] 웹사이트 トルコ大統領、巨大運河を起工 総工費1.6兆円 - 日本経済新聞 https://www.nikkei.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