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오스트레일리아조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스트레일리아조류는 육조류에 속하는 조류의 분류군으로, 느시사촌목, 매목, 앵무목, 참새목을 포함한다. 이 분류군은 매과, 참새목, 앵무목을 포함하는 Psittacopasserae와 같은 하위 분류를 갖는다. 계통 분류에 따르면, 수리류, 올빼미목, 파랑새류, 쥐새목, 뻐꾸기파랑새목, 비단날개새목, 코뿔새목, 파랑새목, 딱따구리목 등 다양한 목을 포함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신악하강 - 신악류
    신악류는 고악류와 자매군을 이루는 조류 분류군으로, 닭기러기류와 신조류의 두 주요 계통으로 나뉘며, 신조류 내부 계통 분류는 아직 논쟁 중이다.
  • 신악하강 - 신조류
    신조류는 현생 조류의 대부분을 포함하는 큰 분류군으로 미란도르니테스류, 비둘기류, Passerea의 세 가지 주요 분류군으로 나뉘며, 계통 발생은 논쟁의 여지가 많고 멸종 위기에 처한 종들을 보호하고 인간과의 지속 가능한 공존을 모색해야 한다.
오스트레일리아조류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학명Australaves
명명자Ericson, 2012
분류 등급분기군(Clade)
하위 분류군 등급분기군(Clades)
하위 분류군카리아마목(Cariamiformes)
진정매목(Eufalconimorphae)
황조롱이, ''[[Falco tinnunculus]]''
황조롱이, Falco tinnunculus
계통 진화 정보
화석 범위에오세 전기 - 홀로세, }}
분자 시계 기반 추정더 이른 기원 가능성이 있음

2. 하위 분류

육조류는 다음과 같은 목을 포함한다.

2. 1. 느시사촌목 (Cariamae)

느시사촌목은 남아메리카에 주로 분포하는 육조류이다.

2. 2. Eufalconimorphae

Eufalconimorphae는 매과참새목, 앵무목을 포함하는 Psittacopasserae를 아우르는 조류 분류군이다.

2. 2. 1. 매과 (Falconidae)

매과매목에 속하는 과이다.

2. 2. 2. Psittacopasserae

Psittacopasserae는 참새목과 앵무목을 포함하는 조류 분류군이다.

3. 계통 분류

2021년 브라운(Braun)과 킴볼(Kimball) 등의 연구에 의한 육조류 계통 분류는 다음과 같다.[13]

{| class="wikitable"

|-

|느시사촌목

|-

|

{| class="wikitable"

|-

|매목

|-

|

앵무목
참새목



|}

|}

3. 1. 수리류

2021년 브라운(Braun)과 킴볼(Kimball) 등의 연구에 의한 육조류 계통 분류에서 수리류는 콘도르목수리목을 포함한다.[13]

3. 1. 1. 콘도르목

2021년 브라운(Braun)과 킴볼(Kimball) 등의 연구에 의한 육조류 계통 분류에서 콘도르목은 수리류에 속한다.[13]

3. 1. 2. 수리목

2021년 브라운(Braun)과 킴볼(Kimball) 등의 연구에 의한 육조류 계통 분류에 따르면, 수리목은 오스트레일리아조류에 속하지 않는다.[13]

3. 2. 올빼미목 (Strigiformes)

2021년 브라운(Braun)과 킴볼(Kimball) 등의 연구에 의한 육조류 계통 분류에서 올빼미목수리목, 콘도르목과 함께 수리류에 속하며, 파랑새류와 자매군이다.[13]

3. 3. 파랑새류

2021년 브라운(Braun)과 킴볼(Kimball) 등의 연구에 따르면, 파랑새류에는 쥐새목, 뻐꾸기파랑새목, 비단날개새목, 코뿔새목, 파랑새목, 딱따구리목이 포함된다.[13]

3. 3. 1. 쥐새목 (Coliiformes)

쥐새과를 포함하는 목이다.[13]

3. 3. 2. 뻐꾸기파랑새목 (Leptosomiformes)

뻐꾸기파랑새목은 뻐꾸기파랑새를 포함하는 목이다.[13]

3. 3. 3. 비단날개새목 (Trogoniformes)

비단날개새를 포함하는 목이다.[13] 2021년 브라운(Braun)과 킴볼(Kimball) 등의 연구에 의한 육조류 계통 분류에 속한다.

3. 3. 4. 코뿔새목 (Bucerotiformes)

2021년 브라운(Braun)과 킴볼(Kimball) 등의 연구에 따르면, 육조류 계통 분류에서 코뿔새목파랑새목, 딱따구리목과 함께 분류된다.[13]

3. 3. 5. 파랑새목 (Coraciiformes)

육조류 계통 분류에서 파랑새목딱따구리목과 자매군이며, 코뿔새목과도 가깝다.[13]

3. 3. 6. 딱따구리목 (Piciformes)

딱따구리목은 파랑새류에 속하며, 코뿔새목, 파랑새목과 자매군이다.[13] 2021년 조류 계통 분류 연구에 따르면, 비단날개새목과 가장 가까운 관계에 있다.[13]

2021년 브라운(Braun)과 킴볼(Kimball) 등의 연구에 의한 육조류 계통 분류는 다음과 같다.[13]

{| class="wikitable"

|-

! 육조류

|-

|

수리류올빼미목파랑새류오스트레일리아조류



|}

3. 4. 오스트레일리아조류 (Australaves)

오스트레일리아조류는 느시사촌목, 매목, 앵무목, 참새목을 포함한다. 매목의 하위 분류에는 매과가 있고, 앵무목과 참새목은 Psittacopasserae에 속한다.[13]

3. 4. 1. 매목 (Falconiformes)

매목은 느시사촌목 다음 분류군이다. 매목에는 매과가 포함되어 있다.[13] 수리목과 계통 분류상 혼동이 있을 수 있다.

3. 4. 2. 앵무목 (Psittaciformes)

앵무목은 2021년 브라운(Braun)과 킴볼(Kimball) 등의 연구에 의한 육조류 계통 분류에 속한다.[13]

3. 4. 3. 참새목 (Passeriformes)

참새목은 참새, 까마귀, 제비 등을 포함하는 목이다. 2021년 브라운(Braun)과 킴볼(Kimball) 등의 연구에 의한 육조류 계통 분류에 포함된다.[13]

참조

[1] 논문 Fossil songbirds (Passeriformes) from the Early Eocene of Australia
[2] 논문 An unbiased molecular approach using 3′-UTRs resolves the avian family-level tree of life 2021
[3] 논문 Identifying localized biases in large datasets: A case study using the Avian Tree of Life. Mol Phylogenet Evol
[4] 논문 Evolution of terrestrial birds in three continents: biogeography and parallel radiations
[5] 논문 A comprehensive phylogeny of birds (Aves) using targeted next-generation DNA sequencing http://www.nature.co[...] 2024-07-23
[6] 논문 Phylogenetic definitions for 25 higher-level clade names of birds https://ueaeprints.u[...] 2022-01-01
[7] 논문 Whole-genome analyses resolve early branches in the tree of life of modern birds https://pgl.soe.ucsc[...] 2015-08-29
[8] 논문 Exceptionally preserved plant parenchyma in the digestive tract indicates a herbivorous diet in the Middle Eocene bird Strigogyps sapea (Ameghinornithidae) 2011
[9] 논문 Paleogene avifauna of the Holarctic https://www.vertpala[...] 2010-12-15
[10] 논문 Data Types and the Phylogeny of Neoaves 2021-01-05
[11] 서적 "Birds." Pp. 379-423 in Brett-Surman, M.K., Holtz, T.R., and Farlow, J. O. (eds.), ''The Complete Dinosaur (Second Edition)'' Indiana University Press (Bloomington & Indianapolis) 2012
[12] 간행물 "Evolution of terrestrial birds in three continents: biogeography and parallel radiations." http://www.naturhist[...] 2012
[13] 간행물 Data types and the phylogeny of Neoaves https://doi.org/10.3[...] 20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