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악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신악류(Neognathae)는 고악류와 함께 현생 조류를 포괄하는 분류군으로, 닭기러기류(Galloanserae)와 신조류(Neoaves)로 나뉜다. 닭기러기류는 닭목과 기러기목을 포함하며, 신조류는 현생 조류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다양한 목으로 세분화된다. 신악류의 계통 분류는 분자 계통학적 연구를 통해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닭기러기류와 신조류 내의 계통 관계는 여전히 연구가 진행 중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신악류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분류 | |
학명 | Neognathae |
명명자 | Pycraft, 1900 |
하위 분류군 계급 | 하위 그룹 |
하위 분류군 | 판갈로안세라에 신조류 오돈토프테릭스목 |
형태 및 어원 | |
어원 | 그리스어 "νέος" (néos, 새로운, 젊은) + "γνάθος" (gnáthos, 턱) |
생물학적 정보 | |
화석 범위 | 후기 백악기 – 홀로세, 72–0 Ma |
2. 계통 분류
샤를 루시앵 보나파르트가 ''Conspectus''에서 신악류(Neognathae)를 정리하려는 시도를 했지만, 많은 조류학자들에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1980년대까지는 조류(Aves) 자체의 계통발생학적 가치가 적었다.[9] 그러나 그 이후 화석(특히 에난티오르니테스와 다른 중생대 조류)과 분자(DNA 및 단백질) 서열로부터 얻은 방대한 양의 새로운 자료를 통해 과학자들은 분류를 개선할 수 있었다.
신악류는 현재 전 세계적으로 두 개의 계통, 즉 "가금류" 분지인 닭기러기류와 신조류(때때로 "고등 신악류"라고 함)로 세분화되는 것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신조류의 세분화는 아직 잘 해결되지 않았지만, 미란도르니테스, 침상형류, 메타조류, 코로나조류와 같은 여러 단계통(monophyletic) 계통이 제안되었다.[11]
2020년 쿨(Kuhl) 등의 연구에 의한 조류의 계통 분류는 다음과 같다.[26]
조지 상스터(George Sangster)와 동료들이 2022년에 신악류에 대해 제시한 공식적인 ''계통 코드(PhyloCode)'' 정의는 "''갈루스 갈루스(Gallus gallus)''와 ''파서 도메스티쿠스(Passer domesticus)''를 포함하는 가장 작은 크라운 클레이드"이다.[10]
목록의 순서는 신악류의 계통 발생에 대한 현대적인 견해를 따르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는 널리 사용되는 클레멘츠 분류 체계 및 시블리-알퀴스트 분류 체계(Sibley-Ahlquist taxonomy)와 다르며, 현대 연구에서 더 잘 받아들여지는 각 체계의 요소들을 결합하고, 반박된 요소들을 최신 연구 결과로 업데이트했다.[12]
현생 조류를 포함하는 계통인 조류는 원시적인 고악류와 진화적인 신악류로 크게 나뉜다. 고악류에는 타조 등 육상성·반육상성의 몇몇 과 약 50종만이 포함될 뿐이며, 현생 조류의 대부분(종 수로 약 99.5%)은 신악류이다. 신악류는 고악류와 자매군이며, 신생대 초기의 분기로 여겨진다.
2. 1. 닭기러기류 (Galloanserae)
닭기러기류는 새의 분류군 중 하나로, 기러기목(기러기, 오리 등)과 닭목(닭, 꿩, 칠면조 등)을 포함한다.2020년 쿨(Kuhl) 등의 연구에 따르면 조류는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26]
신악류는 크게 "가금류" 분지인 닭기러기류와 신조류(때때로 "고등 신악류"라고 함)로 나뉜다.
닭기러기류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분자계통학 연구에 의해 닭기러기류와 쏙독새류를 제외하고는 신악류 내 계통 간의 관계는 확정적이지 않지만 새롭게 밝혀진 계통이다. 닭기러기류는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19]
2. 2. 신조류 (Neoaves)
신조류(Neoaves)는 현생 조류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큰 분류군이다. 닭기러기류(Galloanserae)와 함께 신악류(Neognathae)를 구성한다.[10] 신조류는 매우 다양한 종류의 새로 구성되어 있는데, 논병아리목(Podicipediformes)의 논병아리, 도요목(Charadriiformes)의 깝작도요, 두루미목(Gruiformes)의 두루미, 딱따구리목(Piciformes)의 오색딱따구리, 매목(Falconiformes)의 매(송골매) 등 다양한 종류의 새들이 포함된다.[26]2020년 연구에 따르면, 신조류는 다음과 같은 목(Order)들을 포함한다.[26]
- 논병아리목(Podicipediformes)
- 도요목(Charadriiformes)
- 두루미목(Gruiformes)
- 딱따구리목(Piciformes)
- 매목(Falconiformes)
- 슴새목(Procellariiformes)
- 비단날개새목(Trogoniformes)
- 비둘기목(Columbiformes)
- 뻐꾸기목(Cuculiformes)
- 사다새목(Pelecaniformes)
- 사막꿩목(Pteroclidiformes)
- 수리목(Accipitriformes)
- 쏙독새목(Caprimulgiformes)
- 아비목(Gaviiformes)
- 앵무목(Psittaciformes)
- 올빼미목(Strigiformes)
- 쥐새목(Coliiformes)
- 참새목(Passeriformes)
- 칼새목(Apodiformes)
- 펭귄목(Sphenisciformes)
- 홍학목(Phoenicopteriformes)
- 황새목(Ciconiiformes)
- 파랑새목(Coraciiformes)
- 느시사촌목(Cariamae)
- 열대새목(Phaethontiformes)
신조류 내의 세부적인 계통 관계는 아직 완전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미란도르니테스(Mirandornithes), 침상형류(Cypselomorphae), 메타조류(Metaves), 코로나조류(Coronaves)와 같은 여러 계통군이 제안되기도 했다.[11]
신조류는 닭기러기류를 제외한 대부분의 현생 조류를 포함하며, 종 수로는 약 99.5%를 차지한다. 신조류는 분자계통학적 연구 결과를 반영하여 35개의 목으로 구성된다.[15]
목 수준까지의 계통은 완전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다음 표와 같은 분류군이 제안되었다.[16]
닭기러기류(Galloanserae) | 닭목(Galliformes), 기러기목(Anseriformes) | |||
---|---|---|---|---|
신조류[19](Neoaves) | 열대조류목(Phaethontiformes), 비둘기과(Pteroclidiformes), 물총새과(Mesitornithiformes), 비둘기목(Columbiformes), 넓적부리도요과(Eurypygiformes), 호아친목(Opisthocomiformes), 두루미목(Otidiformes), 뻐꾸기목(Cuculiformes), 두루미목(Gruiformes), 구관조목(Musophagiformes), 도요목(Charadiiformes) | |||
가시개구리류[19](Mirandornithes)[20] | 가마우지목(Podicipediformes), 홍학목(Phoenicopteriformes) | |||
(Strisores)[18] | 쏙독새목(Caprimulgiformes), 극락조목(Apodiformes) | |||
물새류[19](Aequornithes)[18] | 가마우지목(Gaviiformes), 펭귄목(Sphenisciformes), 슴새목(Procellariiformes), 황새목(Ciconiiformes), 가마우지목(Pelecaniformes), 슴새목(Suliformes) | |||
육상조류[19](Telluraves) | 카리아무목(Cariamiformes), 매목(Falconiformes), 올빼미목(Strigiformes), 쥐잡이새목(Coliiformes), 긴발톱새목(Leptosomatiformes), 푸른날개목(Trogoniformes) | |||
딱따구리·물총새류[19](Picocoraciae)[18] | 코뿔새목(Bucerotiformes), 딱따구리목(Piciformes), 물총새목(Coraciiformes) | |||
진매형류[19](Eufalconimorphae)[16] | 매목(Falconiformes) | |||
앵무새·참새류[19](Psittacopasserae)[16] | 앵무새목(Psittaciformes), 참새목(Passeriformes) |
한국에는 닭기러기류와 신조류에 속하는 다양한 새들이 서식한다. 닭기러기류는 기러기목과 닭목을 포함한다. 신조류에는 논병아리목, 도요목, 두루미목, 딱따구리목, 매목, 슴새목, 비둘기목, 뻐꾸기목, 사다새목, 수리목, 쏙독새목, 아비목, 앵무목, 올빼미목, 참새목, 칼새목, 펭귄목, 홍학목, 황새목 등 다양한 목들이 속한다.
3. 한국의 신악류
3. 1. 닭기러기류
닭기러기류는 기러기목과 닭목을 포함하는 조류의 한 분류군이다.
3. 2. 신조류
신조류 또는 신조상목(Neoaves)에는 다음과 같은 목들이 속한다.
참조
[1]
논문
Late Cretaceous neornithine from Europe illuminates the origins of crown birds
https://www.reposito[...]
2020-03-01
[2]
논문
The unexpected survival of an ancient lineage of anseriform birds into the Neogene of Australia: the youngest record of Presbyornithidae
2016-02-01
[3]
논문
An unbiased molecular approach using 3'UTRs resolves the avian family-level tree of life.
2020
[4]
논문
Phylogenomics and Morphology of Extinct Paleognaths Reveal the Origin and Evolution of the Ratites
2016-12-15
[5]
논문
Oldest, smallest and phylogenetically most basal pelagornithid, from the early Paleocene of New Zealand, sheds light on the evolutionary history of the largest flying birds
2019
[6]
논문
The Making of Calibration Sausage Exemplified by Recalibrating the Transcriptomic Timetree of Jawed Vertebrates
2021
[7]
논문
A new time tree reveals Earth history's imprint on the evolution of modern birds
2015-12-01
[8]
논문
Bird neurocranial and body mass evolution across the end-Cretaceous mass extinction: The avian brain shape left other dinosaurs behind
2021
[9]
논문
Mindell & Brown (2005)
[10]
논문
Phylogenetic definitions for 25 higher-level clade names of birds
https://ueaeprints.u[...]
2022-01-01
[11]
논문
For a draft phylogeny of Neoaves that is based on a review of massive amounts of published sources, and probably rather close to "the real thing", see Mindell et al. (2005)
[12]
논문
Mindell et al. (2005)
[13]
논문
Complexity of avian evolution revealed by family-level genomes
https://doi.org/10.1[...]
[14]
서적
脊椎動物の多様性と系統
裳華房
[15]
웹사이트
IOC World Bird Names
http://www.worldbird[...]
[16]
웹사이트
Mesozoic retroposons reveal parrots as the closest living relatives of passerine birds
http://www.nature.co[...]
[17]
논문
A Phylogenomic Study of Birds Reveals Their Evolutionary History
[18]
논문
Metaves, Mirandornithes, Strisores and other novelties – a critical review of the higher-level phylogeny of neornithine birds
[19]
서적
生物の進化大事典
三省堂
2020-06-09
[20]
논문
A name for the flamingo-grebe clade
[21]
논문
Diversification of Neoaves: integration of molecular sequence data and fossils
http://www.cajsalisa[...]
[22]
논문
Current perspectives on the evolution of birds
[23]
논문
Metaves, Mirandornithes, Strisores and other novelties – a critical review of the higher-level phylogeny of neornithine birds
[24]
논문
On the morphology and phylogeny of the Palaeognathae (Ratitae and Crypturi) and Neognathae (Carinatae)
[25]
논문
A classification of the living birds of the world based on DNA-DNA hybridization studies
http://elibrary.unm.[...]
[26]
논문
An unbiased molecular approach using 3’UTRs resolves the avian family-level tree of life
https://academic.oup[...]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