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오우치 히로모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우치 히로모리는 헤이안 시대 말기, 고시라카와 상황의 인세이 시대에 스오 국의 재청관인으로 활동했다. 1177년 시시가타니 음모 사건에 연루되어 유배되었으나 사면 후 재청에서 중책을 맡았으며, 주에이 연간부터 오우치노스케, 곤노스케를 칭했다. 겐페이 전쟁에서는 미나모토노 노리요리에게 스오 국을 전선 기지로 제공하며 겐지에 가담하여 세력을 키웠고, 단노우라 전투 이후 스오 국 재청의 최고 권력자가 되었다. 그의 자손들은 오우치노스케 직을 계승하며 오우치 가문의 번영을 이끌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야마구치현의 역사 - 스오국
    스오국은 7세기에 설치되어 야마구치현 동남부에 위치했던 옛 구니로, 율령국으로서 6개 군으로 구성되었으며 시대에 따라 지배 세력이 변동되어 메이지 유신 이후 야마구치현에 편입, 현재까지 문화유산이 남아있다.
  • 야마구치현의 역사 - 나가토국
    나가토국은 야마구치현 서부에 해당하는 옛 일본의 행정 구역으로, 7세기 아나토 국과 아부 국을 합쳐 설치되었으며 고대에는 외교와 방위의 요충지였다.
  • 스오국 사람 - 고다마 겐타로
    고다마 겐타로는 일본 제국의 육군 군인이자 정치가로서, 만주군 총참모장으로 러일 전쟁 승리에 기여하고 대만 총독으로서 식민 통치를 펼치며 한일 병합 조약 체결에 관여하는 등 긍정적, 부정적 영향을 모두 남겼다.
  • 스오국 사람 - 오우치 요시히로
    오우치 요시히로는 규슈, 야마구치 등을 지배한 유력 다이묘로, 남조 세력 격퇴에 기여하여 세력을 확장했으나, 쇼군 아시카가 요시미쓰와의 갈등으로 반란을 일으킨 후 사망했다.
  • 오우치씨 - 오우치 요시히로
    오우치 요시히로는 규슈, 야마구치 등을 지배한 유력 다이묘로, 남조 세력 격퇴에 기여하여 세력을 확장했으나, 쇼군 아시카가 요시미쓰와의 갈등으로 반란을 일으킨 후 사망했다.
  • 오우치씨 - 고쿠라성
    후쿠오카현 기타큐슈시 고쿠라기타구에 위치한 고쿠라성은 가마쿠라 시대 축성 추정, 센고쿠 시대와 에도 시대에 걸쳐 주인이 바뀌고 개축되었으며, 1959년 재건된 천수각 내부에 민속 박물관이 있고 속 일본 100명성으로 선정된 시민 휴식 및 관광 명소이다.
오우치 히로모리
기본 정보
씨족다타라 성 오우치 씨
이름오우치 히로모리
별명오우치노스케
시대
시대헤이안 시대 말기 - 가마쿠라 시대 초기
출생과 사망
출생미상
사망미상
관직
관위스오노곤노스케
가계
부모아버지: 오우치 모리후사 또는 오우치 모리나리
형제히로모리, 마노다 나가후사, 와시즈 모리야스, 시로, 우다 모리쓰나, 이에미쓰, 마스나리 요시모리
자녀오우치 미쓰모리, 와니이시 모리이에, 도쿠치 도오리

2. 생애

헤이안 시대 말기 고시라카와인(後白河院)이 인세이(院政)를 행하던 시기에 활동하였다. 당시 스오국은 법황의 지행국(知行国)이었다. 1177년 시시가타니 음모에 연루되어 유배되었으나 곧 사면되었고, 이를 계기로 스오국의 재청관인으로서 세력을 키우기 시작했다.[1][8] 이후 주에이 연간부터 오우치노스케(大内介)[2][9] 또는 곤노스케(権介)[3][10][11]를 칭하였다.

겐페이 전쟁 시기에는 겐지 측에 가담하여 스오국미나모토노 노리요리 등의 전선 기지로 제공하며 현지에서의 기반을 다졌다. 헤이케가 멸망한 단노우라 전투 이후에는 스오국 재청관인의 최고 권력자로서 지위를 굳혔으며,[12] 법황이 파견한 승려 조겐(重源)의 국무(国務) 집행을 방해하기도 하였다.[13] 이후 오우치노스케 직위는 그의 자손들에게 계승되었다.

2. 1. 초기 활동과 시시가타니 음모

헤이안 시대 말기 고시라카와인(後白河院)이 인세이(院政)를 행하던 시기, 스오국은 법황의 지행국(知行国)이었다. 지쇼 원년(1177년) 6월, 법황이 시시가타니(鹿ケ谷)의 별장에서 당시 권력자 다이라노 기요모리와 그 일족인 헤이케 타도를 모의한 시시가타니 음모 사건이 일어났다.

이 모의에 다타라 모리야스, 다타라 모리후사, 다타라 히로모리(오우치 히로모리), 다타라 다다토오 등이 연루되어 각각 이즈국, 히타치국, 시모쓰케국, 아와국으로 유배되었다. 그러나 같은 해인 1177년 10월 5일, 네 사람 모두 사면되었다.[1] 이 사건을 계기로 히로모리는 재청관인으로서 세력을 쌓아 중책을 맡게 되었다. 이후 히로모리는 주에이 연간부터 오우치노스케(大内介)[2]와 곤노스케(権介)[3]라는 칭호를 사용하기 시작했다.

2. 2. 겐페이 전쟁과 스오 국에서의 지위

헤이안 시대 말기 고시라카와인이 인세이를 행하던 시기 스오국은 법황의 지행국(知行国)이었다. 지쇼 원년(1177년) 6월, 법황이 시시가타니(鹿ケ谷) 별장에서 헤이케(平家) 타도를 모의한 시시가타니 음모 사건이 발각되자, 다타라 모리야스(多々良盛保), 다타라 모리후사(多々良盛房), 다타라 히로모리(多々良弘盛), 다타라 다다토(多々良忠遠) 등이 연루되어 각각 이즈, 히타치, 시모쓰케, 아와로 유배되었다. 지쇼 2년(1178년) 10월 5일 이들 네 명은 사면되었으나[8][1], 이 사건을 계기로 히로모리는 재청관인으로서 세력을 키우게 되었다. 이후 히로모리는 주에이(寿永) 연간부터 오우치노스케(大内介)[9][2] 또는 곤노스케(権介)[10][11][3]를 칭하였다.

겐페이 전쟁(源平合戦) 시기에는 교토를 떠나 서쪽 지역으로 이동하며 세력을 회복하던 헤이케를 토벌하기 위해 파견된 미나모토노 노리요리(源範頼) 등 겐지(源氏)에게 스오국을 전선 기지로 제공하며 겐지 측에 가담하여 현지에서의 지지 기반을 다졌다. 헤이케가 멸망한 단노우라 전투(壇ノ浦の戦い, 1185년) 이후, 히로모리는 스오국 재청관인의 최고 권력자로서 지위를 확고히 하였다.[12] 또한, 법황이 파견한 승려 조겐(重源)이 스오국에서 국무(国務)를 집행하려 하자, 현지 지토(地頭)들과 함께 이를 방해하기도 하였다.[13]

이후 오우치노스케 직위는 히로모리의 자손들에게 계승되었다.

참조

[1] 서적 玉葉
[2] 문서 梶原景時書状 1183
[3] 문서 東大寺文書 1181
[4] 서적
[5] 서적
[6] 서적
[7] 서적
[8] 서적 교쿠요
[9] 문서 가지와라노 가게토키(梶原景時)의 서장(書状) 1183
[10] 문서 동대사 문서 1181
[11] 문서
[12] 서적 아즈마카가미
[13] 서적 아즈마카가미 119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