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즈와우두 크루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즈와우두 크루스는 브라질의 의사이자 세균학자이며, 공중 보건 분야에 기여한 인물이다. 1872년 상파울루에서 태어나 리우데자네이루 연방 대학교에서 의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으며, 프랑스 파스퇴르 연구소에서 세균학을 전공했다. 브라질로 돌아와 황열병과 가래톳페스트 퇴치에 힘썼으며, 천연두 백신 접종 의무화 시도 중 백신 반란에 직면하기도 했다. 국제 과학계에서 인정받아 금메달을 수상했으며, 망기뉴스 연구소(현 오즈와우두 크루스 재단) 운영을 통해 브라질 내륙 지역의 보건 개선에 기여했다. 1917년 44세의 나이로 사망했으며, 그의 업적을 기려 여러 기관과 지명이 명명되었고, 브라질 지폐에 초상화가 실리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브라질의 세균학자 - 카를루스 샤가스
브라질의 의사이자 과학자인 카를루스 샤가스는 샤가스병의 원인 병원체, 감염 매개체, 임상 증상을 밝혀내 질병의 전체 과정을 규명하고, 기니피그 폐에서 폐포자충을 처음 발견했으며, 브라질 의료 환경 개선에 기여했다. - 브라질의 의사 - 소크라치스
소크라테스는 브라질의 전 축구 선수이자 의사로서 코린치안스 민주주의 운동을 주도하며 브라질 민주화에 기여했고, 여러 클럽과 국가대표팀에서 활약하며 뛰어난 플레이메이킹 능력과 정치적 신념으로 명성을 얻었으며, 은퇴 후 의사와 저술가로 활동하다 2011년 사망했다. - 브라질의 의사 - 토스탕
토스탕은 "하얀 펠레"라는 별칭으로 불린 브라질의 전 축구 선수로, 크루제이루 EC 역사상 최다 득점자이자 1970년 FIFA 월드컵 우승에 기여했으며, 은퇴 후에는 의사, 저널리스트, 해설가로 활동했다. - 1917년 사망 - 마타 하리
네덜란드 출신 무용가 마르가레타 거트루이다 젤러로, 20세기 초 파리에서 이국적인 댄서 '마타 하리'로 명성을 얻었으나 제1차 세계 대전 중 독일 스파이 혐의로 처형당했고, 유죄 여부와 스파이 활동 정도는 논쟁거리이며 '팜 파탈' 또는 희생양으로도 여겨진다. - 1917년 사망 - 이상설
이상설은 대한제국 시기의 독립운동가로, 성균관 교수와 탁지부 재무관을 역임하며 헤이그 특사로 파견되어 독립을 호소하고, 국외에서 독립운동을 전개하다 러시아에서 사망했다.
오즈와우두 크루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오즈와우두 곤사우베스 크루스 |
출생일 | 1872년 8월 5일 |
출생지 | 상루이스두파라이칭가, 상파울루 주, 브라질 제국 |
사망일 | 1917년 2월 11일 |
사망지 | 페트루폴리스, 리우데자네이루 주, 브라질 |
국적 | 브라질 |
학력 및 경력 | |
모교 | 리우데자네이루 연방대학교 |
직업 | 의사 |
분야 | 의학 |
직장 | 오즈와우두 크루스 연구소 |
업적 | |
알려진 업적 | 없음 |
수상 | |
수상 | 없음 |
기타 | |
종교 | 알려진 바 없음 |
2. 생애 초반
오즈와우두 곤사우베스 크루스는 1872년 8월 5일 상파울루주 상루이스두파라이칭가에서 의사 벤투 곤사우베스 크루스와 아말리아 불룡이스 크루스 부부의 아들로 태어났다.[4] 어린 시절 가족과 함께 리우데자네이루로 이주했다. 1887년(15세) 리우데자네이루 연방 대학교 의과대학에 입학했으며,[4] 1892년 미생물 번식 매개체로서의 물의 역할에 관한 논문으로 의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5] 졸업 전 《브라지우 메지쿠》(Brasil Médico) 저널에 미생물학 논문 2편을 발표했다.[4]
오즈와우두 크루스는 산투스 항구가 가래톳페스트로 황폐해진 것을 보고 이 질병과의 싸움에 참여했다. 1900년 브라질 연방혈청치료연구소가 설립되자 기술원장을 맡았고,[4] 1902년에는 브라질 연방혈청치료연구소(현 오즈와우두 크루스 재단) 사무총장이 되었다.[4]
크루스는 루이 파스퇴르의 질병 세균 이론 연구에 영감을 받았다. 1897년부터 8년 동안 프랑스 파리 파스퇴르 연구소에서 에밀 루에게 미생물학, 혈청 요법, 면역학, 세균학을 배웠다.[4] 그는 부유한 포르투갈 출신 상인 장인의 재정 지원을 받았다.
3. 경력
1903년, 공중보건국장(현 브라질 보건부 장관)에 임명되어 황열병, 가래톳페스트 등 전염병 퇴치를 위한 위생 캠페인을 주도했다.[4] 1909년에는 공중 보건 국장 직에서 물러나 자신의 이름을 딴 망기뉴스 연구소(현 오즈와우두 크루스 재단) 운영에 전념하며 브라질 내륙 지역의 보건 및 생활 조건 개선에 기여했다. 파라 주에서 황열병을 퇴치했고, 아마조나스주에서의 위생 캠페인은 마데이라-마모레 철도 건설을 가능하게 했다.[4]
1912년, 브라질 예술 문학 아카데미의 5순위 회원으로 선출되었고,[6] 1915년에는 건강 문제로 오즈와우두 크루스 연구소 소장직에서 사임했다. 1916년, 닐루 페사냐 리우데자네이루주지사에 의해 페트로폴리스 시장으로 임명되어 도시화 프로젝트를 추진했지만, 건강 악화로 사임했다.[7]
3. 1. 브라질에서의 경력
크루스는 산투스 항구가 가래톳페스트로 황폐해진 것을 보고 즉시 이 질병과의 싸움에 참여했다. 1900년 브라질 연방혈청치료연구소가 설립되었는데, 오즈와우두 크루스는 기술원장을 맡았다.[4] 1902년에는 브라질 연방혈청치료연구소(현 오즈와우두 크루스 재단) 사무총장이 되었다.[4]
1903년, 크루스는 공중보건국장(현 브라질 보건부 장관)에 임명되었다. 그는 연방혈청치료연구소를 기반으로 황열병, 가래톳페스트 등 전염병 퇴치를 위한 위생 캠페인을 주도했다.[4] 황열병 퇴치를 위해 모기 및 서식지 제거, 가옥 소독, 환자 격리 등의 방법을 사용했다. 가래톳페스트에 대해서는 환자 의무 보고, 환자 격리, 혈청 치료, 쥐 박멸 등을 시행했다.[4]
3. 2. 천연두 백신과 관련된 논란
1904년 천연두 유행에 대응하여, 크루스는 천연두 백신 접종 의무화 법안을 제안했다. 브라질에서는 1837년부터 어린이 천연두 예방 접종 의무화 법률이 있었으나 시행된 적은 없었다. 1904년 6월 9일, 크루스의 제안으로 브라질 연방 정부는 의무적인 천연두 백신 접종을 다시 시행하는 법안을 의회에 제출했다.[4]
이 법안은 매우 엄격하고 가혹한 조항을 담고 있어 국민들을 공포에 빠뜨렸다. 이 정책에 반대하는 신문들은 크루스와 연방 정부를 비난하는 격렬한 캠페인을 시작했고, 크루스에 대한 대중의 반대는 급격히 증가했다. 국회의원들과 노조원들도 항의 성명을 발표했고, 브라질에서는 백신 접종 반대 동맹이 조직되었다.[4]
11월 10일에는 리우데자네이루에서 천연두 백신에 반대하는 백신 반란이 일어났다. 경찰과의 폭력적인 대치, 파업, 바리케이드, 총격전이 벌어지면서 연방 정부에 항의하는 인구가 증가했다. 11월 14일에는 사관학교 생도들이 반란에 가담했지만 격렬한 총격 끝에 해산되었다. 정부는 계엄령을 선포했고, 11월 16일에 반란은 진압되었으나 천연두 백신 의무 예방 접종은 중단되었다.[4]
1908년에 브라질에서 천연두가 크게 유행하여 약 9,000명이 넘는 사람들이 사망했다. 이로 인해 크루스가 제시한 백신 접종 정책은 정당화되었고, 그의 공로가 인정되었다.[4]
3. 3. 후대의 공적
크루스는 국제 과학계에서 이미 명성이 높았다. 1907년 독일 베를린에서 열린 제14차 국제 위생 및 인구 통계 회의에서 리우데자네이루의 위생 개선에 기여한 공로로 금메달을 받았다.[4] 1909년, 공중 보건 국장 직에서 물러나 자신의 이름을 딴 망기뉴스 연구소(현 오즈와우두 크루스 재단) 운영에 전념했다. 그는 연구소에서 중요한 과학 탐험대를 조직하여 브라질 내륙 지역의 보건 및 생활 조건에 대한 더 나은 이해를 가능하게 하고, 해당 지역의 발전에 기여했다. 크루스는 파라 주에서 황열병을 퇴치했다. 아마조나스주에서의 위생 캠페인은 마데이라-마모레 철도 건설을 가능하게 했는데, 이 철도는 노동자들 사이에서 말라리아와 황열병으로 인한 사망자가 급증하여 중단되었던 공사였다.[4]
1912년 5월 11일, 크루스는 하이문두 코헤이아의 뒤를 이어 브라질 예술 문학 아카데미의 5순위 회원으로 선출되었다.[6] 1915년, 건강 문제로 인해 오즈와우두 크루스 연구소의 소장직에서 사임하고 페트로폴리스로 이주했다. 1916년 8월 18일, 닐루 페사냐 리우데자네이루주지사에 의해 페트로폴리스 시장으로 임명되었고, 광범위한 도시화 프로젝트를 추진했지만, 얼마 지나지 않아 건강 악화로 사임하게 된다.[7]
4. 사망과 유산
크루스는 1917년 2월 11일 새벽에 리우데자네이루 주 페트로폴리스에서 신부전으로 인하여 향년 44세를 일기로 사망했다.[7] 그의 유해는 리우데자네이루에 위치한 상 주앙 바우치스타 공동묘지에 매장되었다.[8] 크루스의 짧고 알찬 삶의 결과로 브라질에서 많은 분야에서 실험 의학의 시작을 알리는 매우 중요한 과학 및 보건 기관이 탄생했다. 크루스는 오늘날까지 브라질의 과학, 기술, 공중 보건에 강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1986년에는 브라질에서 그의 초상화가 그려진 50크루자두 지폐가 발행되었다.
브라질에는 그를 기려 여러 동네, 학교, 공공 기관의 이름이 명명되었다. 예를 들어, 리우데자네이루 오스왈두 크루스 구역, 상파울루의 오스왈두 크루스 고속도로, 그리고 앞서 언급한 오즈와우두 크루스 재단 보건 연구소가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Osvaldo Cruz
http://www.academia.[...]
2020-03-18
[2]
문서
Cruz
[3]
웹인용
Ruy Barbosa ou Rui Barbosa? Euclides ou Euclydes? Queiroz ou Queirós?
http://dicionarioegr[...]
2016-02-06
[4]
웹인용
A trajetória do médico dedicado à ciência
https://portal.fiocr[...]
2021-03-29
[5]
웹인용
A vehiculação microbiana pelas aguas
http://www.labdigita[...]
2021-03-29
[6]
웹인용
Osvaldo Cruz
https://www.academia[...]
2021-03-29
[7]
웹인용
Vida pessoal
http://oswaldocruz.f[...]
2021-03-29
[8]
웹인용
Morte de Oswaldo Cruz
http://www.projetome[...]
2021-03-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