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오코넬 거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코넬 거리는 아일랜드 더블린의 주요 도로이자 상업, 문화의 중심지이다. 17세기 드로게다 거리에서 시작되어 18세기 새크빌 거리로 확장되었으며, 19세기에는 상업 중심지로 발전했다. 1916년 부활절 봉기와 아일랜드 내전으로 큰 피해를 입었지만 재건을 거쳐 현재의 모습을 갖추었다. 더블린의 첨탑(Spire of Dublin)을 비롯한 여러 기념물과 주요 건물들이 위치해 있으며, 성 패트릭 데이 퍼레이드와 같은 행사가 열린다. 20세기 후반 재개발 과정에서 건축적 일관성 부족과 역사적 건물 철거 등의 문제점을 겪었으나, 1998년 오코넬 거리 통합 지역 계획을 통해 거리의 재건과 보존을 위한 노력이 이루어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오코넬 거리
일반 정보
공식 명칭 (아일랜드어)Sráid Uí Chonaill
공식 명칭 (영어)O'Connell Street
이전 명칭Drogheda Street
Sackville Street
별칭Gardiner's Mall
위치더블린, 아일랜드
좌표북위 53° 20′ 58″, 서경 6° 15′ 37″
길이0.5 km
방향남북
북쪽 종점파넬 스트리트
남쪽 종점리피 강
대중교통트램
지하철 역O'Connell Street (Upper)
O'Connell Street (GPO) (루아스)
관련 웹사이트해당 사항 없음
주요 시설
주요 건물중앙 우체국
클레리스
메트로폴 호텔
이미지
동상 및 기념물의 지상 모습
다니엘 오코넬 기념비. 19세기 지도자 다니엘 오코넬을 기념하는 존 헨리 폴리의 작품으로, 거리 입구에 위치한다.

2. 역사

17세기에 헨리 무어 제1대 드로게다 백작이 조성한 드로게다(Drogheda) 거리에서 유래했다.[1] 당시 드로게다 거리는 현재 오코넬 거리 폭의 1/3 정도였으며, 파넬 스트리트에서 애비 스트리트 교차점까지 뻗어 있었다.[2]

1740년대에 은행가이자 부동산 개발업자인 루크 가디너가 드로게다 거리의 상부 부분을 매입하여 대규모 개발을 추진했다.[8] 그는 드로게다 거리 서쪽을 허물고 길이 약 320.04m, 폭 약 45.72m의 주거 광장을 조성하여 현재 오코넬 거리의 규모를 확립했다.[9] 새로운 거리의 서쪽에는 여러 부동산이,[11] 동쪽에는 많은 저택이 건설되었는데, 그중 가장 웅장한 곳은 6대 드로게다 백작이 임대했던 드로게다 하우스로 대성당 거리 모퉁이에 있었다.[9] 가디너는 거리 중앙에 낮은 화강암 벽과 오벨리스크로 둘러싸인 몰(Mall)을 조성하고,[9] 몇 년 후 나무를 심었다. 그는 당시 아일랜드 총독이었던 도싯 공작 라이오넬 크랜필드 새크빌을 기리기 위해 새로운 개발 지구의 이름을 새크빌 스트리트(Sackville Street)로 명명했다.[12] 새크빌 거리는 '새크빌 몰'(Sackville Mall)[6]과 '가디너 몰'(Gardiner's Mall)[7]로도 알려졌다.



가디너 가문이 이 지역에서 소유한 토지가 제한적이어서, 가문이 개발한 로툰다 병원은 파넬 광장 아래 거리에서 벗어나 새크빌 스트리트와 축을 이루지 못했고, 이로 인해 경관이 단절되었다.[9] 가디너는 새로운 거리를 강까지 연결하려 했지만 1755년에 사망했고, 그의 아들 찰스 가디너가 재산을 물려받았다.[8]

1757년 와이드 스트리츠 위원회가 의회로부터 재정 지원을 받으면서 더블린 도시 계획을 위한 공사가 시작되었다.[9] 이 위원회는 칼라일 다리 건설을 주도하여, 1792년에는 보행자 전용으로, 1795년에는 모든 교통 수단이 통행할 수 있도록 개통하면서[9] 오코넬 거리가 상업적으로 성공하는 데 큰 역할을 하였다.

19세기에 새크빌 거리는 더블린의 주요 상업 중심지로 번성했다. 하부 새크빌 거리는 맞춤형 소매점들이 들어서며 큰 성공을 거두었지만,[12] 상부 새크빌 거리는 오래된 타운하우스와 눈에 띄지 않는 사업체들이 섞여 있어 상대적으로 발전이 더뎠다.[11] 1853년에는 세계 최초의 백화점 중 하나인 델라니스의 '몬스터 스토어'가 문을 열었고, 이는 나중에 클레리스 백화점으로 이어졌다.[12] 임페리얼 호텔,[12] 메트로폴 호텔,[12] 그레샴 호텔[12] 등 고급 호텔들이 들어서면서 오코넬 거리의 명성을 높였다.



19세기 후반, 터키식 목욕탕이 문을 여는 등 상부 새크빌 거리에도 변화가 시작되었다.[13] 스탠다드 생명 보험은 더블린 지점을 건설했고,[13] Findlater 가문과 길비 와인 상인도 상점을 열었다.[13] 이 도로는 더블린 트램 시스템의 중심지가 되었고, 많은 트램 노선이 넬슨 기둥에서 교차했다.[14] 1900년경, 새크빌 거리는 "아일랜드의 메인 스트리트"라고 불릴 정도로 중요한 상업 및 쇼핑 중심지가 되었다.[14]

1882년 오코넬 기념비가 공개되고 칼라일 다리가 오코넬 다리로 개명되면서, 거리 이름도 오코넬 거리로 바뀌는 것에 대한 논의가 시작되었다.[15]

2. 1. 17세기: 드로게다 거리

헨리 무어 제1대 드로게다 백작이 조성한 드로게다(Drogheda) 거리는 오늘날 오코넬 거리의 기원이다.[1] 당시 드로게다 거리는 현재 오코넬 거리 폭의 1/3 정도였으며, 파넬 스트리트에서 애비 스트리트 교차점까지 뻗어 있었다.[2]

2. 2. 18세기: 새크빌 거리와 가디너 몰

1740년대에 은행가이자 부동산 개발업자인 루크 가디너가 드로게다 거리의 상부 부분을 매입하여 대규모 개발을 추진했다.[8] 그는 드로게다 거리 서쪽을 허물고 길이 약 320.04m, 폭 약 45.72m의 주거 광장을 조성하여 현재 오코넬 거리의 규모를 확립했다.[9]

새로운 거리의 서쪽에는 여러 부동산이,[11] 동쪽에는 많은 저택이 건설되었는데, 그중 가장 웅장한 곳은 6대 드로게다 백작이 임대했던 드로게다 하우스로 대성당 거리 모퉁이에 있었다.[9] 가디너는 거리 중앙에 낮은 화강암 벽과 오벨리스크로 둘러싸인 몰(Mall)을 조성하고,[9] 몇 년 후 나무를 심었다. 그는 당시 아일랜드 총독이었던 도싯 공작 라이오넬 크랜필드 새크빌을 기리기 위해 새로운 개발 지구의 이름을 새크빌 스트리트(Sackville Street)로 명명했다.[12] '새크빌 몰'(Sackville Mall)[6]과 '가디너 몰'(Gardiner's Mall)[7]로도 알려졌다.

그러나 가디너 가문이 이 지역에서 소유한 토지가 제한적이어서, 가문이 개발한 로툰다 병원은 파넬 광장 아래 거리에서 벗어나 새크빌 스트리트와 축을 이루지 못했고, 이로 인해 경관이 단절되었다.[9] 가디너는 새로운 거리를 강까지 연결하려 했지만 1755년에 사망했고, 그의 아들 찰스 가디너가 재산을 물려받았다.[8]

2. 3. 와이드 스트리츠 위원회와 칼라일 다리 건설

1757년 와이드 스트리츠 위원회가 의회로부터 재정 지원을 받으면서 더블린 도시 계획을 위한 공사가 시작되었다.[9] 이 위원회는 칼라일 다리 건설을 주도하여, 1792년에는 보행자 전용으로, 1795년에는 모든 교통 수단이 통행할 수 있도록 개통하면서[9] 오코넬 거리가 상업적으로 성공하는 데 큰 역할을 하였다.

2. 4. 19세기: 상업 중심지로의 발전

19세기에 새크빌 거리는 더블린의 주요 상업 중심지로 번성했다. 하부 새크빌 거리는 맞춤형 소매점들이 들어서며 큰 성공을 거두었지만,[12] 상부 새크빌 거리는 오래된 타운하우스와 눈에 띄지 않는 사업체들이 섞여 있어 상대적으로 발전이 더뎠다.[11]

1853년에는 세계 최초의 백화점 중 하나인 델라니스의 '몬스터 스토어'가 문을 열었고, 이는 나중에 클레리스 백화점으로 이어졌다.[12] 임페리얼 호텔,[12] 메트로폴 호텔,[12] 그레샴 호텔[12] 등 고급 호텔들이 들어서면서 오코넬 거리의 명성을 높였다.

19세기 후반, 터키식 목욕탕이 문을 여는 등 상부 새크빌 거리에도 변화가 시작되었다.[13] 스탠다드 생명 보험은 더블린 지점을 건설했고,[13] Findlater 가문과 길비 와인 상인도 상점을 열었다.[13] 이 도로는 더블린 트램 시스템의 중심지가 되었고, 많은 트램 노선이 넬슨 기둥에서 교차했다.[14] 1900년경, 새크빌 거리는 "아일랜드의 메인 스트리트"라고 불릴 정도로 중요한 상업 및 쇼핑 중심지가 되었다.[14]

1882년 오코넬 기념비가 공개되고 칼라일 다리가 오코넬 다리로 개명되면서, 거리 이름도 오코넬 거리로 바뀌는 것에 대한 논의가 시작되었다.[15]

2. 5. 오코넬 거리로의 명칭 변경

17세기에 드로게다(Drogheda)라는 이름의 거리에서 유래된 이 거리는 1740년대에 은행가이자 부동산 개발업자인 루크 가디너에 의해 개발되었다. 그는 드로게다 스트리트의 서쪽을 허물어 오늘날 간선 도로의 규모를 확립하고, 도싯 공작 라이오넬 크랜필드 새크빌을 기리기 위해 새크빌 스트리트(Sackville Street)로 명명했다. '새크빌 몰'(Sackville Mall)[6]과 '가디너 몰'(Gardiner's Mall)[7]로도 알려졌다.

1792년 보행자용으로, 1795년 모든 교통 수단에 대해 제임스 갠돈이 설계한 칼라일 다리가 개통되면서 상업적으로 성공하게 되었다.

3. 20세기 초: 격동의 시기

1913년 더블린 파업, 1916년 부활절 봉기, 1922년 아일랜드 내전 등 20세기 초 오코넬 거리는 격동의 시기를 겪었다. 이러한 사건들로 인해 거리의 상당 부분이 파괴되고 재건되는 과정을 거쳤다.

1913년 더블린 파업 당시 노동운동가 제임스 라킨의 체포 과정에서 발생한 폭동으로 2명이 사망하고 200여 명이 체포되었다.[17]

1916년 부활절 봉기 때는 아일랜드 공화주의자들이 중앙 우체국을 점거하고 아일랜드 공화국 선언문을 선포하면서 영국군의 포격으로 거리의 상당 부분이 파괴되었다. 특히 카테드럴 스트리트 북쪽의 거리 동쪽 전체와 중앙 우체국과 애비 스트리트 사이의 서쪽 테라스가 큰 피해를 입었다.[18] 부활절 봉기 직후 더블린 재건 (비상 조항) 법 1916이 제정되어 재건 사업이 진행되었으며, 시 건축가 호레이스 테니슨 오'루크가 감독했다.[19]

아일랜드 내전 중에는 더블린 전투가 벌어져 거리 북쪽 끝부분을 중심으로 다시 한번 파괴가 일어났다. 1916년부터 1922년 사이에 오코넬 거리의 약 4분의 3이 파괴되거나 철거되었다.[21]

이러한 파괴와 재건의 결과, 오코넬 거리의 대부분의 건물은 20세기 초에 지어졌다. 21세기까지 남아있는 유일한 조지 왕조 시대의 타운하우스는 42번지에 위치해 있으며, 로열 더블린 호텔이 소유하고 있다.[20] 이 건물은 원래 더블린 트리니티 칼리지의 교수였던 로버트 로빈슨의 집이었으며, 이후 다니엘 오코넬의 가톨릭 상업 클럽으로 사용되었다.[20] 중앙 우체국 건물 외에, 적대 행위 이후 재건된 중요한 건물로는 1922년에 재개장한 백화점 클레리스[21]와 1927년에 재개장한 그레샴 호텔이 있다.

3. 1. 더블린 파업 (1913)

1913년 8월 31일, 오코넬 거리에서는 더블린 파업 중 최악의 사건이 발생했다.[17] 노동자 권익 옹호 운동가 제임스 라킨이 연설하던 중, 경찰이 군중을 향해 돌진하여 체포했다. 이 과정에서 폭동이 발생하여 2명이 사망하고 200여 명이 체포되었으며, 많은 사람이 다쳤다.[17]

3. 2. 부활절 봉기 (1916)

1916년 부활절 봉기(Easter Rising) 때, 아일랜드 공화주의(Irish republicanism)자들은 중앙 우체국(General Post Office)을 점거하고 아일랜드 공화국 선언문(Proclamation of the Irish Republic)을 선포했다.[17] 이로 인해 영국 해군(Royal Navy)의 건보트 헬가와 다른 포병 부대가 거리 북쪽을 향해 포격을 가해 며칠 동안 거리가 폭격을 받았다.[17] 주변 지역에서는 소화기 및 저격수의 사격도 계속되었다. 결국 토요일에 반군은 불타는 중앙 우체국을 버리고 항복해야 했다.[17]

이 봉기로 오코넬 거리의 많은 부분이 파괴되었다. 피해를 입은 지역은 카테드럴 스트리트 북쪽 거리 동쪽 전체와 중앙 우체국과 애비 스트리트 사이의 서쪽 테라스 등을 포함한다.[18] 혼란을 틈타 빈민가 주민들이 오코넬 거리의 상점들을 약탈하기도 했다.[18] 이 사건으로 약 2500000GBP의 피해가 발생하여, 도시 상업에 큰 타격을 입혔다.[18]

부활절 봉기 직후, 재산 손실 (아일랜드) 위원회(Property Losses (Ireland) Committee)에 거리 파괴에 대한 청구가 쇄도했다.[18] 더블린 재건 (비상 조항) 법 1916(Dublin Reconstruction (Emergency Provisions) Act 1916)이 제정되어 재건을 통제하고, 상업 활동을 현대화하며, 일관되고 위엄 있는 방식으로 재건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19] 시 건축가 호레이스 테니슨 오'루크(Horace Tennyson O'Rourke)가 재건을 감독했다.[19]

1918년에서 1923년 사이에 건설된 오코넬 거리 아래쪽 건물들


1922년에 재건된 Clerys 백화점 (2006년 사진)


새로운 중앙 우체국은 1818년 정면 뒤에 건설되었다.[19] 1924년에 공사가 시작되어 헨리 스트리트 쪽에 새로운 소매점, 프린세스 스트리트로 연결되는 쇼핑 아케이드, 윗층에 사무실이 건설되었다. 오코넬 스트리트 현관 아래의 공공 사무소는 1929년에 재개장했다.[19]

3. 3. 아일랜드 내전 (1922)

1922년 7월 오코넬 거리에서는 아일랜드 내전더블린 전투(Battle of Dublin)가 벌어졌다. 오스카 트레이너(Oscar Traynor)가 이끄는 조약 반대파는 아일랜드 국민군(Irish National Army)이 근처 포 코트(Four Courts)의 공화당 수비대를 공격하자 거리를 점령했다.[17] 전투는 6월 28일부터 7월 5일까지 이어졌는데, 국민군은 장갑차(Armoured car (military))의 엄호를 받으며 포병을 근거리로 가져와 공화당이 점령한 건물들을 폭격했다.[18] 이 과정에서 캐슬 브루하(Cathal Brugha)가 근거리에서 총격을 받고 사망했다.[19]

일주일 동안 벌어진 전투의 영향은 주로 거리 북쪽 끝부분에 집중되었으며, 카테드럴 스트리트 북쪽의 파넬 광장까지 이르는 테라스 대부분이 파괴되었고, 북서쪽의 몇몇 건물도 파괴되었다.[20] 1916년에서 1922년 사이에 거리의 약 4분의 3이 파괴되거나 철거되었다.[21]

4. 현대: 재건과 발전

오코넬 거리는 17세기에 드로게다(Drogheda)라는 이름으로 처음 생겨났다. 1916년 부활절 봉기아일랜드 내전을 거치면서 거리의 많은 부분이 파괴되었다. 특히 1922년 더블린 전투에서는 조약 반대파가 거리를 점거하고, 아일랜드 국민군이 포병을 동원해 이들을 공격하면서 1916년부터 1922년 사이에 거리의 약 4분의 3이 파괴되거나 철거되었다.[21]

이후 재건 과정이 진행되었으나, 계획 부족으로 인해 건축적 일관성을 잃고 여러 문제점에 직면했다.[21] 1966년에는 넬슨 기둥이 폭파되면서 오코넬 거리의 상징적인 랜드마크가 사라졌다.[15]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거리의 활력을 되찾기 위해 더블린 시의회는 1998년 '오코넬 거리 통합 지역 계획'(IAP, O'Connell Street Integrated Area Plan)을 발표했다.[33] 이 계획은 보행 환경 개선, 거리 가구 교체, 기념물 복원, 더블린의 첨탑 설치 등을 포함하는 종합적인 복원 프로젝트였다. 2006년 6월, 모든 공공 영역 작업이 완료되면서 IAP는 4000만유로의 비용으로 마무리되었다.[33]

4. 1. 20세기 중후반: 재개발과 문제점

1916년 부활절 봉기 때, 아일랜드 공화주의자들은 중앙 우체국을 점거하고 아일랜드 공화국 선언문을 선포했다. 이로 인해 영국 해군의 건보트 헬가와 포병 부대가 거리 북쪽을 향해 발포하면서 며칠 동안 거리가 폭격을 받았다.[18] 이어진 전투와 혼란 속에서 거리의 상당 부분이 파괴되었고, 주변 빈민가 주민들은 상점들을 약탈했다. 이 사건으로 약 2500000GBP의 피해가 발생했으며, 일부 사업체는 1923년까지 폐쇄되거나 다시 문을 열지 못했다.[19]

부활절 봉기 직후, 더블린 재건 (비상 조항) 법 1916이 제정되어 재건 과정을 통제했다. 시 건축가 호레이스 테니슨 오'루크의 감독 하에 재건이 진행되었으며, 중앙 우체국은 1929년에 재개장했다.[19] 1922년 아일랜드 내전더블린 전투로 인해 오코넬 거리는 또다시 파괴되었다. 조약 반대파가 거리를 점령하고, 아일랜드 국민군이 포병을 동원해 이들을 공격하면서 전투가 벌어졌다.[20] 이로 인해 1916년부터 1922년 사이에 거리의 약 4분의 3이 파괴되거나 철거되었다.[21]

광범위한 파괴와 재건에도 불구하고, 오코넬 거리는 이후 계획 부족으로 인해 건축적 일관성을 잃고 여러 문제점에 직면했다.[21] 1960년대와 1970년대에는 여러 빅토리아 시대와 1920년대 건물들이 철거되고 현대적인 건물들이 들어섰다. 예를 들어, 1961년에는 CIÉ가 여객 정보 사무소를 짓기 위해 두 개의 주택 외관을 철거했고,[13] 1973년에는 GPO 옆의 메트로폴 영화관과 캐피톨 영화관이 철거되었다.[23][24] 1972년에는 파인들레이터의 식료품점 및 와인 상점 건물이 철거되고 5층짜리 사무실 건물로 대체되었다.[22]

1966년에는 넬슨 기둥이 폭파되면서 오코넬 거리의 상징적인 랜드마크가 사라졌다. 프랭크 맥도날드는 이 사건을 거리의 운명이 바뀐 시점으로 보며, 기둥의 상실이 이 지역의 특징과 결속력 쇠퇴를 초래했다고 주장한다.[15]

4. 2. 오코넬 거리 통합 지역 계획 (IAP)

더블린 시의회는 1998년 오코넬 거리의 쇠퇴를 막고 이전의 영광을 되찾기 위한 '오코넬 거리 통합 지역 계획'(IAP, O'Connell Street Integrated Area Plan)을 발표했다.[33] 이는 단순한 외관 개선을 넘어 보행자와 차량의 상호 작용, 거리 관리, 건축물 보존 등 거리의 모든 측면을 포괄하는 종합적인 복원 프로젝트였다.

IAP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오코넬 거리 통합 지역 계획 (IAP) 주요 내용
항목내용
보도 확장 및 도로 축소보행자 중심 환경 조성을 위해 보도를 넓히고 차량 통행 공간을 줄임.
가로수 교체기존 가로수를 모두 제거하고 새로운 수종으로 교체함.
새로운 거리 가구 설치맞춤형 디자인의 가로등, 쓰레기통, 소매점 키오스크 등 새로운 거리 가구를 설치하여 거리 미관을 개선함.[29]
기념물 복원찰스 스튜어트 파넬, 짐 라킨, 존 그레이 경,[31] 다니엘 오코넬 기념비 등 거리의 주요 기념물을 복원함.[32]
더블린의 첨탑 설치1966년 폭파된 넬슨 기둥 자리에 더블린의 첨탑을 설치하여 새로운 랜드마크를 조성함.[30]



계획 추진 과정에는 여러 어려움도 있었다. 2003년 6월에야 계획이 최종 승인되었으며, 2006년에는 폭동으로 인해 공사가 중단되기도 했다.[34]

2006년 6월, 모든 공공 영역 작업이 완료되면서 IAP는 4000만유로의 비용으로 마무리되었다.[33]

5. 현재의 오코넬 거리

오코넬 거리는 더블린시 북쪽에 있으며, 오코넬 다리에서 북쪽으로 파넬 광장까지 뻗어 있다. 이 거리는 대략 약 603.50m 길이에 너비는 약 45.72m이며, 중앙 통로 양쪽에 다양한 기념물과 동상이 있는 넓은 양방향 차선으로 이루어져 있다.[1][2] 이전에는 더블린에서 벨파스트로 가는 주요 도로인 N1의 일부였다. 오코넬 거리에는 루아스 트램 정류장 두 곳(오코넬 GPO, 오코넬 어퍼)이 있다.[2] 또한 더블린 버스를 비롯한 여러 버스 회사의 버스 정류장이 있어, 도심 횡단 및 북쪽 방향으로 가는 많은 버스가 이곳에 정차한다.[3][4][5]

6. 주요 랜드마크 및 시설

오코넬 거리에는 여러 랜드마크와 시설들이 있다.


  • '''(GPO)''': 1916년 부활절 봉기 때 아일랜드 공화주의자들이 점거하고 아일랜드 공화국 선언문을 선포했던 역사적인 건물이다.[18] 영국 해군의 건보트 헬가와 포병 부대의 폭격으로 큰 피해를 입었으나,[18] 1924년 재건을 시작하여 1929년에 재개장했다.[19]
  • '''클레리스(Clerys)''': 1853년 세계 최초의 맞춤형 백화점 중 하나로 문을 열었으며,[12] 아일랜드 내전더블린 전투로 파괴되었다가 1922년 8월에 재개장했다.[21]
  • '''그레샴 호텔(Gresham Hotel)''': 1817년에 시작하여[19] 이후 더 큰 규모로 개조되었으며, 아일랜드 내전으로 파괴되었다가 1927년에 재개장했다.[19]

6. 1. 기념물 및 동상

1842년의 새크빌 거리


1879년 건립된 존 그레이 경 동상 (토마스 파렐 디자인)


오코넬 거리 북쪽 끝 파넬 기념비


오코넬 거리에는 여러 기념물과 동상이 있다. 다음은 남쪽에서 북쪽 순서로 배열된 목록이다.

  • 다니엘 오코넬 동상: 오코넬 다리 쪽에 위치한다. 존 헨리 폴리가 디자인 및 조각하고, 그의 조수 토마스 브록이 완성했다. 1866년 건설 시작, 1883년 공개.[15]

  • 윌리엄 스미스 오브라이언 동상: 토마스 파렐 작품. 1870년 도리에 거리 입구 오코넬 다리 섬에 설치, 1929년 오코넬 거리로 이전.[15]

  • 존 그레이 경 동상: 토마스 파렐 작품. 받침대와 조각상 모두 흰색 시칠리아 대리석, 1879년 공개.[13] ''프리먼스 저널'' 소유주, 더블린 시의원으로 바트리 저수지 기반 더블린 수도 공급 시스템 건설에 기여.[13]

  • 제임스 라킨 동상: 오이신 켈리 작품. 위클로 화강암 받침대 위 청동 조각상,[13] 1980년 공개.[13]

  • 찰스 스튜어트 파넬 기념비: 오코넬 거리 북쪽 끝, 파넬 광장 바로 남쪽에 위치. 아일랜드계 미국인 조각가 아우구스투스 생 고덴스 제작. 37피트 높이 오벨리스크, 골웨이 화강암 기둥, 존 레드먼드 조직, 대중 기부금 지불,[13] 1911년 공개.[13]

6. 2. 주요 건물


  • '''중앙 우체국(GPO):''' 1916년 부활절 봉기 때 아일랜드 공화주의자들이 점거하고 아일랜드 공화국 선언문을 선포했던 역사적인 건물이다.[18] 봉기 당시 영국 해군의 건보트 헬가와 포병 부대의 폭격으로 큰 피해를 입었으나,[18] 1924년 재건을 시작하여 1929년에 재개장했다.[19] 새크빌 스트리트 정면과 현관을 제외하고는 모두 파괴되었으며, 현재의 건물은 1818년 정면 뒤에 건설되었다.[19]

  • '''클레리스(Clerys):''' 1853년 세계 최초의 맞춤형 백화점 중 하나로 문을 연 'Delany's New Mart "Monster Store"'가 그 기원이다.[12] 19세기 후반에 Clery 가문에 인수되었으며,[12] 아일랜드 내전더블린 전투로 파괴되었다가 1922년 8월에 재개장했다.[21] 2015년까지 운영되었다.

  • '''그레샴 호텔(Gresham Hotel):''' 1817년 21번과 22번에 인접한 조지아 시대의 타운하우스에서 시작하여[19] 이후 더 큰 규모로 개조되었다.[19] 아일랜드 내전으로 파괴되었다가 1927년에 재개장했다.[19]

7. 한국과의 관계

오코넬 거리는 더블린의 주요 관광 명소 중 하나로, 한국을 포함한 수많은 해외 관광객들이 방문하고 있다. 특히, 이 거리의 역사적인 배경과 다양한 랜드마크는 한국인들에게도 큰 관심을 받고 있다. 2024년 현재 대한민국과 아일랜드는 수교 이후 긴밀한 협력 관계를 유지하며 다양한 분야에서 교류하고 있다.

참조

[1] 뉴스 Plan to reduce speed limit to 30km/h throughout most of Dublin city centre https://www.irishtim[...] 2009-04-15
[2] 웹사이트 O'Connell Street https://www.google.c[...] Google Maps 2021-03-10
[3] 간행물 From Horse Drawn Trams to LUAS: A Look at Public Transport in Dublin from the 1870's to the Present Time https://www.jstor.or[...] 2006
[4] 웹사이트 O'Connell Street Bus Stops - Dublin Bus https://www.dublinbu[...] 2021-03-10
[5] 웹사이트 Buses and Trams from O'Connell Street https://www.transpor[...] 2021-03-10
[6] 뉴스 The Demise of O'Connell Street http://www.universit[...] 2018-02-05
[7] 뉴스 Last Georgian house on Dublin's O'Connell Street is at risk from neglect https://www.irishtim[...] 2019-02-07
[8] 웹사이트 Gardiner, Luke https://dib.cambrid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0-10-04
[9] 웹사이트 Wide Streets Commission http://www.iar.ie/Ar[...] 2020-09-29
[10] citation Hibernia Curiosa: A Letter from a Gentleman in Dublin to his Friend at Dover in Kent, Giving a general View of the Manners, Customs, Dispositions, &c. of the Inhabitants of Ireland. https://archive.org/[...] London (W. Flexney); Dublin (J. Potts and J. Williams)
[11] 서적 An Irish Sketch Book http://www.sacred-te[...]
[12] 뉴스 Hurrah! Clerys to reopen today – just in time for Christmas https://www.thejourn[...] 2013-11-21
[13] 웹사이트 Sackville Street, Upper https://www.libraryi[...]
[14] map Map of Dublin, Ireland, with suburbs, administrative divisions, details of the tram systems https://commons.wiki[...] Dublin Civic Survey Committee
[15] 웹사이트 History of Monuments - O'Connell Street Area https://www.dublinci[...] 2024-05-27
[16] 뉴스 The proposed re-naming of Sackville Street - an injunction granted against the Corporation 1885-07-13
[17] 웹사이트 Dublin Lockout 1913 https://www.bbc.co.u[...] 2020-10-05
[18] 뉴스 How the 1916 Rising cost €200m in compensation claims https://www.rte.ie/b[...] 2018-10-12
[19] 웹사이트 DUBLIN RECONSTRUCTION (EMERGENCY PROVISIONS) BILL https://api.parliame[...] 1916-08-17
[20] 웹사이트 Catholic Commercial Club, 42 O'Connell Street Upper, Dublin, Dublin City https://www.building[...] 2020-10-27
[21] 뉴스 Ten fascinating facts about Clerys https://www.irishtim[...] 2015-06-12
[22] 웹사이트 CO. DUBLIN, DUBLIN, O'CONNELL STREET UPPER, NO. 046-49 (GILBEY) https://www.dia.ie/w[...] Irish Architectural Archive 2020-10-13
[23] 웹사이트 CIN009 Metropole https://www.dublinci[...] Dublin City Council 2020-10-14
[24] 웹사이트 CIN002 Capitol https://www.dublinci[...] Dublin City Council 2020-10-14
[25] 뉴스 Retail chain's bumpy trading unlikely to affect Irish stores https://www.irishtim[...] 1999-06-09
[26] 뉴스 Last Georgian house on Dublin's O'Connell Street is at risk from neglect https://www.irishtim[...] 2019-02-07
[27] 뉴스 Lipstick on a pig? Why Dublin has failed to pretty-up O'Connell Street https://www.irishtim[...] 2019-05-05
[28] 뉴스 Why can't we save O'Connell Street? https://www.irishtim[...] 2015-10-10
[29] 웹사이트 O'Connell Street http://www.steintec.[...] 2020-10-16
[30] 웹사이트 The story behind the Spire of Dublin, O'Connell Street's iconic landmark https://www.irelandb[...] 2019-11-13
[31] 뉴스 O'Connell Street statues to be cleaned in €300,000 programme https://www.irishtim[...] 2005-04-14
[32] 뉴스 Restored O'Connell monument to be unveiled https://www.irishtim[...] 2005-05-23
[33] 웹사이트 O'Connell Street http://www.steintec.[...] Steintec 2020-10-03
[34] 뉴스 Officers injured in Dublin riot http://news.bbc.co.u[...] 2006-02-25
[35] 뉴스 Clerys closes doors as court appoints liquidators https://www.irishtim[...] 2015-06-12
[36] 뉴스 Work to begin on Clerys department store redevelopment https://www.irishtim[...] 2020-10-04
[37] 뉴스 Miriam Lord: A parade in Dublin you could only dream about https://www.irishtim[...] 2020-10-04
[38] 뉴스 Proclamation read out on empty O'Connell Street to mark the 104th anniversary of the Easter Rising https://www.thejourn[...] 2020-10-04
[39] 웹사이트 Luas Cross City https://www.luascros[...]
[40] 뉴스 New home for Dublin's 'Floozy' http://news.bbc.co.u[...] 2020-10-17
[41] 웹사이트 Dubliners re-Joyce at return of the Floozie http://www.independe[...] Irish Independent 2011-02-25
[42] 뉴스 124-year-old Fr Mathew statue needs a new home due to Luas https://www.independ[...] 2020-10-17
[43] 웹사이트 Warm welcome for return of pioneering priest https://www.irishcat[...] 2018-09-27
[44] 웹사이트 Friends of Saint-Gaudens Memorial – Saint-Gaudens' works – Parnell Monument http://www.sgnhs.or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