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와칸 탕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와칸 탕카(Wakan Tanka)는 수우어족의 언어로 "위대한 신비"를 의미하며, 수족의 종교에서 우주의 근본 원리를 나타낸다. 와칸 탕카는 기독교의 신과 달리 인격화된 존재가 아니며, 모든 것에 깃들어 있다고 여겨진다. 수족은 와칸 탕카 아래에서 모든 것이 평등하다고 믿으며, 사욕과 독점을 경멸하고 공유의 가치를 중요하게 생각한다. 하지 무렵에 행해지는 선댄스 의식, 성스러운 파이프 차눈파를 사용한 기도, 번개와 와킨얀(썬더버드) 숭배, 스웨트 로지 의식 등을 통해 와칸 탕카에게 헌신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와칸 탕카
종교 및 신앙
이름와칸 탕카
어원라코타어로 "위대한 신비" 또는 "신성한 존재"
설명라코타족을 비롯한 수족의 전통적인 종교에서 숭배하는 최고신 또는 위대한 영혼
신성
속성창조
지혜

정의
사랑
표현태양




공기
동물
식물
인간
특징
숭배 방식기도, 명상, 의식, 희생 등을 통해 숭배함.
역할세상의 창조와 유지, 인간의 삶에 대한 인도와 보호.
관련 개념마니투 (Manitou, 알곤킨족의 유사한 개념)
정령 신앙
다신교 (일부 해석에 따라)
참고
관련 인물블랙 엘크 (Black Elk, 수족의 성자)
관련 장소블랙 힐스 (Black Hills, 수족의 성지)

2. 어원 및 다른 언어 표현

수우어에서 ''와칸 탕카''(Wakan Tanka) 또는 '''''와칸'''''(Wakan)은 오마하-폰카어, 아이오와-오토-미주리어, 칸사어, 오세이지어에서는 '''''와칸다'''''(Wakanda)로, 콰파우어에서는 '''''와카타케'''''(Wakatakeh)로 알려져 있다.

2. 1. 수우어족

수우어에서 ''와칸 탕카''(Wakan Tanka) 또는 '''''와칸'''''(Wakan)은 오마하-폰카어, 아이오와-오토-미주리어, 칸사어, 오세이지어에서는 '''''와칸다'''''(Wakanda)로 알려져 있으며, 콰파우어에서는 '''''와카타케'''''(Wakatakeh)로 알려져 있다.

3. 우주의 진리

와칸 탕카는 "위대한 신비"로, 영어로는 "그레이트 스피릿"(대정신) 또는 "신"이라고 설명되기도 하지만, 실제로는 "우주의 근본 원리"이다. 기독교와 같이 인격화된 존재가 아니며, 우상도 존재하지 않는다. 수족의 주술사 타카 이시테(레임디어)는 와칸 탕카에 대해 "하나의 힘"이며, "수염을 기른 노인이라든가, 그런 사람의 모습을 한 존재는 결코 아니다"라고 말하고 있다. 와칸 탕카는 이 세상 모든 것에 깃들어 있다.

"우주의 진리"이자 "창조주"인 "와칸 탕카"에는 시작도 끝도 없으며, 이 "위대한 신비" 아래에서 "두 발 달린 것도 네 발 달린 것도, 돌도 풀도 나무도" 모두가 평등하다. 인디언의 정신 세계에서는 인간 외의 것을 부를 때도 "곰의 사람들", "돌의 사람들", "새의 사람들"과 같이 불리며, 인간과 인간 외의 존재를 뚜렷하게 구분하지 않는다. 수족에서는 익토미를 시작으로 다양한 정신이 숭배되고 있지만, 이들 또한 모두 인간과 함께 "와칸 탕카" 아래에 있는, 인디언의 형제자매인 것이다. 인디언 사회에는 "상사"나 "부하", "상명하달"과 같은 상하 관계라는 것이 없다. 모든 것들은 "위대한 신비" 아래에서 평등하며, 존중받아야 할 존재이기 때문이다.

와칸 탕카(위대한 신비) 아래에서는 모든 것이 평등한 존재이며, 기독교의 신이라도 인디언과 대등한 존재가 된다. 19세기의 인디언이 남긴 말에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백인들은 교회에서 예수에 대해 이야기하지만, 우리 인디언들은 티피에서 예수와 이야기를 나눈다." 일신교인 기독교도 "우주의 진리"의 하나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인디언에게는 모순 없이 고래의 신앙과 양립하는 것이다[8] . 반대로 기독교인에게는 "위대한 신비"가 "예수보다 지고의 존재"로 비치기 때문에, 인디언들은 백인들로부터 "인디언은 신을 갖지 않은 야만인이다"라는 종교적 박해에 항상 노출되어 왔다[9] .

수족을 비롯한 인디언들은 이 "위대한 신비"의 뜻대로 살아간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위대한 신비" 아래에서 "모든 것이 연결되어 있으며, 모든 것은 공유된다"고 생각하는 인디언에게 그 뜻에 거스르는 "사욕"이나 "욕망", "독점"은 경멸받는다. 인디언 사회에서는 현재에도 가족이 죽으면 가재 도구 전부를, 예상치 못한 수입이 있으면 이것을 "기브어웨이"(수족의 말로는 "오토한")로 방출한다. "부를 축적하는 것"은 인디언 사회에서는 부끄러운 일로 여겨진다.

와칸 탕카에게 바치는 최대의 의식이, 하지 무렵에 행해지는 "선댄스 의식"이다. 레임디어는 이 의식에서의 고행에 대해 이렇게 설명하고 있다.

: "이 세상에 있는 모든 것은 와칸 탕카가 창조한 것이며, 모든 것은 이미 와칸 탕카의 아래에 있다. 그렇기 때문에 인간으로서는, 단 하나 자신만의 소유물인 이 몸을 아낌없이 제물로 와칸 탕카에게 바쳐 보인다. 그것이 선댄스 의식이다."

4. 기독교와의 관계

와칸 탕카는 "위대한 신비"로, 영어로는 "그레이트 스피릿"(대정신) 또는 "신"이라고 설명되지만, 실제로는 "우주의 근본 원리"이며, 기독교와 같은 인격화된 존재가 아니고, 우상도 존재하지 않는다. 수족의 주술사 타카 이시테(레임디어)는 와칸 탕카에 대해 "하나의 힘"이며, "수염을 기른 노인이라든가, 그런 사람의 모습을 한 존재는 결코 아니다"라고 말하고 있다.[8] 와칸 탕카는 이 세상 모든 것에 깃들어 있다.

와칸 탕카(위대한 신비) 아래에서는 모든 것이 평등한 존재이며, 기독교의 신이라도 인디언과 대등한 존재가 된다. 19세기의 인디언이 남긴 말에 "백인들은 교회에서 예수에 대해 이야기하지만, 우리 인디언들은 티피에서 예수와 이야기를 나눈다."라는 말이 있다. 일신교인 기독교도 "우주의 진리"의 하나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인디언에게는 모순 없이 고래의 신앙과 양립하는 것이다.[8] 반대로 기독교인에게는 "위대한 신비"가 "예수보다 지고의 존재"로 비치기 때문에, 인디언들은 백인들로부터 "인디언은 신을 갖지 않은 야만인이다"라는 종교적 박해에 항상 노출되어 왔다.[9]

5. 사욕과 공유의 가치

와칸 탕카(위대한 신비) 아래에서는 모든 것이 평등하며, 그 뜻에 거스르는 "사욕", "욕망", "독점"은 경멸받는다. 인디언 사회에서는 가족이 죽으면 모든 가재 도구를, 예상치 못한 수입이 있으면 "기브어웨이"(수족 말로는 "오토한")로 방출한다. "부를 축적하는 것"은 인디언 사회에서는 부끄러운 일로 여겨진다.[8]

수족을 비롯한 인디언들은 "위대한 신비"의 뜻대로 살아간다고 생각한다. "모든 것이 연결되어 있으며, 모든 것은 공유된다"고 믿기 때문이다. 수족의 주술사 타카 이시테(레임디어)는 선댄스 의식에서의 고행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 "이 세상에 있는 모든 것은 와칸 탕카가 창조한 것이며, 모든 것은 이미 와칸 탕카의 아래에 있다. 그렇기 때문에 인간으로서는, 단 하나 자신만의 소유물인 이 몸을 아낌없이 제물로 와칸 탕카에게 바쳐 보인다. 그것이 선댄스 의식이다."

6. 선댄스 의식

와칸 탕카에 바치는 최대의 의식은 하지 무렵에 행해지는 "선댄스 의식"이다.[8] 레임디어는 이 의식에서의 고행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 이 세상에 있는 모든 것은 와칸 탕카가 창조한 것이며, 모든 것은 이미 와칸 탕카의 아래에 있다. 그렇기 때문에 인간으로서는, 단 하나 자신만의 소유물인 이 몸을 아낌없이 제물로 와칸 탕카에게 바쳐 보인다. 그것이 선댄스 의식이다.

7. 성스러운 파이프, 차눈파

인디언은 성스러운 파이프를 사용하여 "위대한 신비"에게 기도를 바친다. 수 부족의 말로, 성스러운 파이프는 "차눈파"라고 불린다. 수 부족을 비롯해 모든 것을 "위대한 신비" 아래에 있다고 생각하는 인디언 사회는 이 "성스러운 파이프"에 의한 의식을 중심으로 한 합의제로 운영된다. 누군가 개인이 "지도자"가 되거나 "사령관"이 되어 부족민을 "통솔"하는 시스템을 취하지 않는다. 모든 것은 "위대한 신비"의 뜻 아래에 있기 때문이다. 인디언 사회에는 "왕"이나 "왕족", "개인 권력자"는 존재하지 않는다[10]

차눈파를 돌려 마실 때의 맹세의 중요성은 다른 부족과 마찬가지로 절대적이다. 그것은 "창조주 와칸 탕카에게 차눈파와 연기를 통해 맹세를 나눈다"는 것이기 때문이다. 만약 와칸 탕카와의 맹세를 어기는 자가 있다면, 그 자는 벼락을 맞아 죽는다고 한다.

8. 번개와 와킨얀

위대한 신비 와칸 탕카는 번개(톤완)를 지상에 가져와 수족이 사는 대평원을 친다. 와칸 탕카는 한때 암흑에 싸여 있던 대지에 최초의 빛, 은총의 섬광을 가져왔다. 이 번개의 굉음은 수족에게 인간의 첫 말이 되었다고 전해진다.

동서남북 하늘에 각각 네 존재가 산다는 번개의 화신 '와킨얀'(썬더버드)'은 와칸 탕카의 일부이다. 은총이자 파괴자이기도 한 번개는 선과 악을 함께 가진 위대한 힘이며, 와칸 탕카의 상징이다. 번개는 와칸 탕카의 일부이므로, 수족은 번개에 맹세한 말을 어길 수 없다. 이를 어기면 차눔파에서의 맹세와 마찬가지로 번개에 의해 죽게 된다고 한다.

만약 수족이 와칸 탕카의 상징이자 와킨얀인 번개의 꿈을 꿨을 경우, 그것은 와칸 탕카의 꿈의 알림이며, 그 수족은 와칸 탕카의 뜻에 따르기 위해 모든 언행을 거꾸로 연기하는 '헤요카'(일종의 광대)가 되어야 한다. 그때, 꿈에서 본 것을, 그것이 아무리 부끄러운 일이라도 대중 앞에서 실연해 보여야 한다. 그렇게 하지 않으면 해 질 녘까지 번개를 맞게 된다고 한다. 번개의 비전을 받은 헤요카 인간은 와칸 탕카에게 바치는 의식의 중요한 광대이기도 하다.

9. 스웨트 로지

와칸 탕카는 더러워진 인간이 의식에 참여하는 것을 싫어한다. 이 때문에 수족은 모든 의식 전에 스웨트 로지 (이니피) 의식을 행하여 몸을 정화해야 한다. 스웨트 로지의 구조 또한 와칸 탕카와 연결되는 상징으로 가득 차 있다.[1]

또한 "돌"(인얀)은 툰카실라, 그리고 와칸 탕카의 지혜를 축적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특히 "둥근 돌"은 "시작도 끝도 없다"라는 와칸 탕카의 진리에 연결되는 것으로 신성시되어 스웨트 로지 의식에서는 화로석으로 사용된다.[1]

이 스웨트 로지에서의 "발한의 의식"에서는 참가자는 "사욕"을 와칸 탕카에게 내놓아야 한다. 욕망을 버리는 것이 와칸 탕카의 뜻이며, 그렇게 함으로써 참가자에게 비전 (계시)이 주어진다.[1]

참조

[1] 서적 The Indians' Book https://books.google[...]
[2] 간행물 Smithsonian Contributions to Knowledge, Volume 4 https://books.google[...] Smithsonian Institution 1852
[3] 서적 The Holy Bible, in the language of the Dakotas: translated out of the original tongues https://books.google[...] 1883
[4] 웹사이트 Great https://www.lakotadi[...] New Lakota Dictionary Online 2019-07-11
[5] 간행물 The International Folk-lore Congress of the World's Columbian Exposition, Chicago, July, 1893 https://books.google[...] Charles H. Sergel Company 1898
[6] 서적 Before the great spirit: the many faces of Sioux spirituality University of New Mexico Press
[7] 서적 Crow Dog: Four Generations of Sioux Medicine Men HarperCollins
[8] 서적 イーグルに訊け 飛鳥新社
[9] 서적 Ojibwa Warrior: Dennis Banks and the Rise of the American Indian Movement University of Oklahoma Press
[10] 서적 AMERICAN INDIANS: Stereotypes & Realities Clarity Press, Inc.
[11] 서적 The Indians' Book https://books.google[...]
[12] 간행물 Smithsonian Contributions to Knowledge, Volume 4 https://books.google[...] Smithsonian Institution 1852
[13] 서적 Before the great spirit: the many faces of Sioux spirituality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New Mexico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