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완두은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완두은하는 녹두은하(Green Peas, GPs)라고도 불리며, 산소가 풍부하고 강한 방출선을 보이는 소형 은하이다. 슬론 디지털 스카이 서베이(SDSS) 프로젝트에 참여한 시민 과학자들에 의해 2007년에 처음 발견되었으며, 초기 우주에서 흔했던 은하의 일종으로 여겨진다. 완두은하는 별 형성이 활발하게 일어나며, 낮은 금속 함량과 높은 이온화율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초기 우주와 재이온화 현상 연구에 중요한 단서를 제공하며, 라이먼 알파 방출 은하, 밝은 콤팩트 은하, 블루베리 은하 등 다른 유형의 은하와 비교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7년 과학 - 맥노트 혜성
    맥노트 혜성은 2006년 발견되어 2007년 태양에 근접하며 밝게 빛났고, 이케야-세키 혜성 이후 가장 밝은 혜성이었으며 오르트 구름에서 기원한 쌍곡선 궤도를 따라 태양계를 지나갔다.
  • 2007년 과학 - 2007년 3월 19일 일식
    2007년 3월 19일 일식은 부분 일식으로 러시아 극동, 몽골, 중국 북부, 알래스카 등에서 관측되었으며, 세부 정보, 시간 정보, 주기, 2007년의 다른 일식 및 월식, 이전 및 다음 일식에 대한 정보 등을 제공한다.
  • 시민과학 - SETI@home
    SETI@home은 외계 지적 생명체의 신호를 찾기 위해 개인용 컴퓨터의 유휴 자원을 활용하는 분산 컴퓨팅 프로젝트로, 전파망원경 데이터를 분석하여 인공적인 전파 신호를 식별하며 분산 컴퓨팅 가능성을 입증하고 기술 발전에 기여했다.
  • 시민과학 - DIY 생물학
    DIY 생물학은 생물학 분야의 접근성 확대를 목표로 개인이나 소규모 단체가 과학 연구에 참여하도록 장려하는 운동으로, 오픈 소스 장비와 커뮤니티 실험실을 통해 접근성을 높이며, 생물정보학, 유전 공학 등을 주요 연구 주제로 다룬다.
  • 2007년 발견한 천체 - 2007 TU24
    2007 TU24는 2007년에 발견된 지구 근접 소행성으로, 초기에는 지구 충돌 위험 평가를 받았으나 추가 관측 결과 안전한 거리에서 지구를 지나가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2008년 지구 근접 통과 시 레이더 관측을 통해 접촉 이중 소행성으로 밝혀졌다.
  • 2007년 발견한 천체 - 229762 그쿤홈디마
    229762 그쿤홈디마는 나미비아 언어에서 유래된 이름으로 명명된 태양계 외곽 천체이며, 위성 Gǃòʼé ǃHú를 가지고 620년 주기로 태양을 공전하며, 2046년에 근일점에 도달할 예정이다.
완두은하
기본 정보
완두은하
완두은하
별칭완두 (Green Peas)
유형청색 콤팩트 은하
별 형성 은하
적색편이0.111 - 0.36
거리15억 ~ 50억 광년
발견2009년
발견자갤럭시 동물원 프로젝트 참가자
명칭 유래색깔과 모양이 완두콩과 유사하여 붙여짐
특징
질량태양 질량의 30억 배 정도
크기지름 약 5,000 광년
별 형성률매우 높음 (우리 은하의 100배 이상)
금속함량매우 낮음 (태양의 1/10 ~ 1/2)
스펙트럼 특징강한 산소 방출선 ([O III])
형태콤팩트하고 불규칙한 형태
추가 정보
연구 중요성초기 우주 은하 진화 연구에 중요한 자료 제공
관측 도구허블 우주 망원경,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 등
관련 연구초기 은하의 재이온화 과정 연구
추가 설명일부 학자들은 최초의 은하의 모습일 가능성이 있다고 추정함

2. 발견 역사

완두은하는 2007년 시작된 온라인 시민 과학 프로젝트인 은하 동물원(Galaxy Zoo, GZ)을 통해 처음 발견되었다.[15][16] 프로젝트 초기, 인터넷 포럼에서 활동하던 시민 과학자들이 슬론 디지털 스카이 서베이(SDSS) 이미지에서 유독 눈에 띄는 작고 동그란 녹색 천체들을 발견하고 이에 대한 논의를 시작했다.[4] 이 천체들은 강한 스펙트럼선, 특히 [OIII] 방출선 때문에 SDSS 이미지 합성 과정에서 녹색으로 보였으며, "완두은하"(Green Peas, GPs)라는 별칭을 얻게 되었다.[1][17]

시민 과학자들의 자발적인 노력으로 100개 이상의 완두은하 후보가 수집되었고, 이는 2009년 Carolin Cardamone을 비롯한 연구팀이 영국 왕립 천문학회 월간 보고서(MNRAS)에 완두은하를 "매우 강력한 별 형성 활동을 보이는 새로운 종류의 콤팩트 은하"로 소개하는 논문을 발표하는 기반이 되었다.[1] 이 논문에서는 완두은하 발견에 크게 기여한 10명의 시민 과학자들의 공로를 명시적으로 인정했다.[1]

초기 연구 과정에서 완두은하가 완전히 새로운 발견인지, 그리고 그 정확한 물리적 특성(특히 금속량)이 무엇인지에 대한 논의가 있었다.[19][5] 이후 연구를 통해 완두은하는 밝은 콤팩트 은하(LCG)의 일종으로 분류되었고,[21] 낮은 금속량과 격렬한 별 형성 활동 등 독특한 특징을 가진다는 점이 밝혀졌다. 또한, 완두은하와 유사하지만 더 가깝고 어두운 "블루베리 은하"(Blueberry galaxies, BGs)도 발견되어 연구되고 있다.[47][48]

특히 2016년에는 일부 완두은하(예: J0925+1403)에서 라이먼 연속체(LyC) 광자가 은하 밖으로 탈출하는 현상이 관측되면서 큰 주목을 받았다.[55][9] 이는 우주 초기의 재이온화 과정을 일으킨 첫 세대 은하들과 유사한 특성으로 여겨져, 완두은하가 초기 우주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59] 완두은하의 발견과 연구는 시민 과학이 현대 천문학 연구에 기여한 대표적인 성공 사례로 평가받는다.[36]

2. 1. 2007년 ~ 2010년: 초기 발견과 연구

은하 동물원(Galaxy Zoo, GZ)은 최대 100만 개의 은하를 은하 형태 분류하는 것을 목표로 2007년 7월에 시작된 온라인 프로젝트이다.[15][16] 프로젝트가 시작되고 얼마 지나지 않아, 2007년 7월 28일 은하 동물원 인터넷 포럼이 열린 지 이틀 만에 시민 과학자 'Nightblizzard'가 은하로 보이는 녹색 천체 두 개에 대한 글을 게시했다.[4] 이어서 2007년 8월 12일, Hanny's Voorwerp 발견으로 알려진 Hanny van Arkel이 "완두콩에게 기회를 (Give Peas a Chance)"이라는 제목의 토론을 시작하며 여러 녹색 천체들을 모아 논의하기 시작했다.[4] 이 제목은 존 레논의 유명한 노래 "Give Peace a Chance"를 언어유희한 것으로, 처음에는 가볍게 시작되었지만 2007년 12월 무렵에는 이 특이한 천체들이 실제로 독특한 은하 그룹이라는 점이 분명해졌다. 이들은 이후 "완두콩 은하"(Green Peas, GPs)로 불리게 되었다.

완두콩 은하는 슬론 디지털 스카이 서베이(SDSS) 이미지에서 작고 동그란 녹색 점처럼 보이는데, 이는 이 은하들이 특정 파장에서 매우 밝은 스펙트럼선, 특히 산소 원자가 내는 [OIII] 방출선을 강하게 내기 때문이다. 이 강한 방출선은 SDSS가 색상 이미지를 합성할 때 사용하는 여러 필터 중 'r' 필터에서의 광도(밝기)를 특히 증가시키는데, 이 'r' 필터가 녹색으로 표현되기 때문에 완두콩 은하가 녹색으로 보이게 된다.[1][17]

"Peas Corps"(이 역시 평화 봉사단, Peace Corps에 대한 말장난이다)라고 스스로를 칭한 열정적인 시민 과학자들은 100개가 넘는 완두콩 은하를 찾아냈고, 2008년 7월에는 천문학자 Carolin Cardamone이 이들을 위한 전용 토론 공간을 마련했다. 이렇게 수집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100만 개에 달하는 은하 동물원 전체 데이터베이스를 체계적으로 검색하여 최종적으로 251개의 완두콩 은하 샘플을 확보했다.[1]

이러한 시민 과학자들의 노력은 2009년 11월, C. Cardamone, Kevin Schawinski, M. Sarzi 등 13명의 저자가 영국 왕립 천문학회 월간 보고서(MNRAS)에 발표한 논문 "은하 동물원 Green Peas: 매우 강력한 별 형성 은하의 한 종류 발견 (Galaxy Zoo Green Peas: Discovery of a Class of Compact Extremely Star-Forming Galaxies)"을 통해 학계에 공식적으로 알려졌다.[1] 이 논문에서는 특히 중요한 기여를 한 10명의 은하 동물원 자원봉사자(Elisabeth Baeten, Gemma Coughlin, Dan Goldstein, Brian Legg, Mark McCallum, Christian Manteuffel, Richard Nowell, Richard Proctor, Alice Sheppard, Hanny Van Arkel)의 이름이 명시적으로 언급되며 그들의 공로를 인정했다.[1] (논문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Cardamone 2009 물리학 참조) 이 논문에 대한 인용 정보는 SAO/NASA 천체물리학 데이터 시스템(ADS)에서 찾아볼 수 있다.[18]

하지만 은하 동물원에서 발견된 완두콩 은하가 모두 완전히 새로운 발견은 아니었다. 논문에서 분석된 80개의 주요 완두콩 은하 중 46개는 이미 2009년 11월 이전에 NASA/IPAC 외은하 데이터베이스(NED)에 등재되어 있었다. 또한, 슬론 디지털 스카이 서베이(SDSS) 데이터 외의 다른 관측 프로젝트에서도 완두콩 은하와 유사한 특징을 가진 천체들이 발견되고 있었다. 예를 들어, 2009년 4월 J. J. Salzer 연구팀은 KPNO 국제 분광 관측 연구(KISS, Kitt Peak National Observatory International Spectroscopic Survey) 데이터를 이용하여 발견한 15개의 중간 적색편이 별 형성 은하에 대한 연구 결과를 천체 물리학 저널(The Astrophysical Journal Letters)에 발표했다.[19][20] 이 은하들은 금속량이 낮은 특징을 보였는데, 이 중 3개(KISSR 1516, KISSR 2042, KISSRx 467)는 SDSS 이미지에서도 녹색으로 나타나 완두콩 은하와 유사한 특성을 보였다. Salzer 연구팀은 논문에서 "이전에 이러한 유형의 시스템이 인식되지 않았다는 것이 이상하게 보일 수 있다"고 언급하며, 이러한 은하들이 기존 연구에서 간과되었을 가능성을 시사했다.[19]

초기 연구 결과에 대한 다른 해석도 제시되었다. 2010년 6월, R. Amorin 연구팀은 천체 물리학 저널(The Astrophysical Journal Letters)에 "완두콩 은하의 산소 및 질소 화학적 풍부도와 진화에 관하여 (On the oxygen and nitrogen chemical abundances and the evolution of the "Green Pea" galaxies)"라는 논문을 발표했다.[5] 이들은 79개의 완두콩 은하 데이터를 분석하여 금속량에 대한 Cardamone 연구팀의 결과에 이의를 제기했다. Amorin 연구팀은 완두콩 은하의 특징이 최근의 은하 간 상호작용으로 인한 가스 유입과, 초신성 폭발로 인한 바람이 금속이 풍부한 가스를 선택적으로 은하 밖으로 밀어내는 현상이 결합된 결과일 수 있다고 주장했다.[5] (자세한 내용은 Amorin의 두 논문 참조)

2. 2. 2011년 이후의 연구 동향

2011년 이후 완두은하에 대한 연구는 더욱 심화되었다. 초기 발견 이후 연구자들은 완두은하의 정확한 분류, 화학적 조성, 별 형성 역사, 그리고 우주 초기 은하와의 연관성 등 다양한 측면을 탐구해왔다.

주요 연구 흐름으로는 먼저, 완두은하가 독립적인 희귀 천체가 아니라 '밝은 콤팩트 은하(LCG)'라는 더 큰 은하 집단의 일부라는 점이 밝혀졌다.[21] 또한, 초기 연구에서 제기된 완두은하의 금속 함량에 대한 논쟁은 후속 연구들을 통해 낮은 금속 함량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1][5][90][21] 이는 완두은하가 상대적으로 덜 진화했거나, 외부로부터 금속 함량이 낮은 가스가 유입되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82][92]

광대역 적외선 탐사기(WISE) 관측을 통해 일부 완두은하에서 매우 뜨거운 먼지가 발견되었으며,[22] 그란 테레스코피오 카나리아스와 같은 대형 망원경을 이용한 상세 분광 관측을 통해 울프-레이에 별의 존재와 함께 오래된 별들이 공존하고 있음이 확인되기도 했다.[27] 이는 완두은하가 격렬한 별폭발을 겪고 있지만, 그 역사는 수 십억 년에 걸쳐 형성되었음을 보여준다.[27]

또한, 완두은하에서 예상보다 강한 자기장이 관측되어[26] 기존의 다이너모 이론에 대한 질문을 제기했으며, 복잡한 내부 가스 운동[28]과 라이먼 알파 방출 및 탈출 메커니즘[37]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이루어졌다. 특히, 완두은하는 우주 재이온화 시기의 초기 은하들과 유사한 특성을 보여, 초기 우주 연구의 중요한 단서를 제공할 가능성이 주목받고 있다.[30][34]

2021년에는 그린 뱅크 망원경과 아레시보 천문대를 이용한 관측을 통해 완두은하에서 중성 수소(HI) 21cm 선 방출이 처음으로 감지되어, 이들 은하의 원자 가스 질량을 추정할 수 있게 되었다.[96]

각 연도별 상세한 연구 내용과 결과는 아래 하위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2. 2. 1. 2011년

2011년 2월, Y. 이조토프(Y. Izotov), N. 구세바(N. Guseva), T. 퇀(T. Thuan)은 천체물리학 저널에 "완두은하와 동료: 슬론 디지털 스카이 서베이의 밝은 컴팩트 방출선 은하"라는 제목의 논문을 발표했다.[21] 이 연구에서 그들은 80개의 완두은하가 희귀한 존재가 아니라, '밝은 콤팩트 은하'(LCG, Luminous Compact Galaxies)로 알려진 더 큰 은하 집단의 일부임을 밝혀냈다. 연구팀은 총 803개의 LCG를 확인했으며, 완두은하는 이 LCG의 하위 집합에 해당한다고 결론지었다.[21] 자세한 내용은 밝은 컴팩트 은하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N/O 대 O/H 풍부도 비율. 완두은하(원 표시)는 일반적인 SDSS 별 형성 은하(2D 히스토그램)보다 금속 함량이 낮음을 보여준다.


O/H 대 별 질량. 완두은하(원)는 주어진 별 질량에 비해 낮은 산소 함량을 보인다.


N/O 대 별 질량. 완두은하(원)는 일반적인 경향과 다른 질소/산소 비율을 보인다.


O/H 대 B-밴드(정지 프레임) 절대 등급. 완두은하(원)는 낮은 광도-금속 함량 관계를 따른다.


가스 질량 분율 대 금속 함량. 완두은하(원)는 높은 가스 분율과 낮은 금속 함량을 가진다.


같은 해 5월, R. 아모린(R. Amorin), J.M. 빌체즈(J.M. Vilchez), E. 페레즈-몬테로(E. Perez-Montero)는 학술 회의 논문 "그린 완두콩 은하의 본질을 밝히다"를 통해 이전 연구들을 종합하고, 그란 테레스코피오 카나리아스에서의 새로운 관측 결과를 예고했다.[23] 이 논문은 2010년 유럽 및 국가 천문학 회의(JENAM) 발표 내용을 수정한 것이기도 하다.[93] 연구팀은 완두은하가 금속 함량이 매우 낮고, 밝으며, 극도로 콤팩트한 별폭발 은하의 독특한 집단이라고 결론 내렸다. 그들은 이조토프 등이 계산한 질량 값을 사용했으며,[5][21] 이들의 금속 함량 분석 결과 역시 카르다몬(Cardamone) 등의 초기 연구 결과보다는 이조토프 등의 연구 결과와 더 일치하는 경향을 보였다.[5][21] 논문에는 연구 결과를 뒷받침하는 다섯 개의 그래프가 포함되었는데, 각각 질소/산소 대 산소/수소 풍부도 비율, 산소/수소 대 별 질량, 질소/산소 대 별 질량, 산소/수소 대 B-밴드 절대 등급, 가스 질량 분율 대 금속 함량을 보여준다. 이 그래프들은 완두은하가 일반적인 별 형성 은하들과 구별되는 화학적 특성 및 진화 상태에 있음을 시사한다.

2011년 11월에는 Y. 이조토프, N. 구세바, K. 프리케(K. Fricke), C. 헨켈(C. Henkel)이 천문학 및 천체물리학 저널에 '광대역 적외선 탐사기 (WISE)로 발견한 SDSS의 뜨거운 먼지 방출을 가진 별 형성 은하'라는 제목의 논문을 발표했다.[22] 이 연구는 WISE 위성의 관측 데이터를 활용하여, 3.4마이크로미터(W1 밴드)와 4.6마이크로미터(W2 밴드) 파장에서 유난히 붉은 색을 나타내는 네 개의 새로운 완두은하를 찾아냈다. 이러한 색깔은 은하 내 먼지의 온도가 최대 1000 K에 달할 정도로 매우 뜨겁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발견으로 인해, 이처럼 뜨거운 먼지 방출 특성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진 은하의 수가 두 배 이상 늘어나게 되었다.[22]

2. 2. 2. 2012년

2012년 1월, R. 아모린, R. 페레즈-몬테로, J. 빌체즈는 "Green Pea 은하의 본질을 밝히다"라는 제목의 학술회의 논문집을 발표했다.[23] 이들은 Gran Telescopio Canarias(GTC)에 있는 광학 영상 및 저분해능 통합 분광기(OSIRIS)를 사용한 관측 결과를 바탕으로 새로운 논문을 발표할 계획임을 밝혔다. 이 관측은 완두은하의 진화 상태, 특히 대부분의 청색 컴팩트 은하에서 흔히 보이는 젊은 별 폭발 외에, 더 오래되고 확장된 별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23]

같은 해 1월, L. 필류긴, J. 빌체즈, L. 마트손, T. 툰은 왕립 천문학회 월간 보고서(MNRAS)에 "전역 방출선 SDSS 스펙트럼으로부터의 풍부도 결정: 높은 N/O 비율을 가진 객체 탐구"라는 논문을 발표했다.[24] 이 연구는 전자 온도 측정법과 두 가지 강선 보정법(O/N 및 N/S 보정법)을 사용하여 은하의 산소 및 질소 함량을 비교 분석했다.[24] 연구진은 복합 수소 풍부 성운, 281개의 SDSS 은하, 그리고 [OIII]-4363 오로라 선이 검출된 완두은하 샘플을 비교했다.[24] 비교 결과, 일부 완두은하에서 관측되는 높은 질소 대 산소 비율은 SDSS 스펙트럼이 서로 다른 물리적 특성을 가진 여러 요소로 구성된 복합 성운의 스펙트럼이기 때문일 수 있다고 보았다. 그러나 난쟁이 은하로 보이는 가장 뜨거운 완두은하의 경우에는 이러한 설명이 타당하지 않을 수 있다고 결론지었다.[24]

역시 2012년 1월, 전 NASA 우주 비행사인 스티븐 호울리는 태평양 천문학회지에 "Green Pea 별 생성 은하의 풍부도"라는 제목의 논문을 발표했다.[25] 호울리는 이 논문에서 기존 완두은하 연구들, 특히 카다몬(Cardamone) 등과 아모린(Amorin) 등의 연구에서 제시된 금속 함량 결과들을 비교하고, 결과 간의 불일치가 발생하는 이유를 분석했다. 그는 또한 울프-레이에 별이 기체 이온화에 기여하는 정도와 가장 정확한 결과를 도출하는 방출선 조합 등 세부적인 측면도 검토하며, 완두은하에서 파생된 보정 방식이 극도로 뜨거운 이온화원을 가진 유사 은하 연구에 유용할 것이라고 결론 내렸다.[25]

2012년 2월, S. 차크라보르티, N. 야다브, C. 카르다몬, A. 레이는 천체물리학 저널 레터스(The Astrophysical Journal Letters)에 "Green Pea의 전파 감지: 젊은 은하의 자기장에 대한 함의"라는 논문을 발표했다.[26] 이 연구는 거대 미터파 전파 망원경(GMRT)의 새로운 데이터를 사용하여 완두은하의 자기적 특성을 분석했다. 연구 결과, 조사된 세 개의 "매우 젊은" 별 폭발 은하가 우리 은하보다 더 강력한 자기장을 가지고 있음이 밝혀졌다. 이는 은하가 오랜 시간에 걸쳐 점진적으로 자기장을 형성한다는 기존의 이해와는 다른 결과였다.[26]

2012년 4월, R. 아모린, E. 페레즈-몬테로, J. 빌체즈, P. 파파데로스는 천체물리학 저널(The Astrophysical Journal)에 " 'Green Peas'의 별 형성 역사와 금속 함량. 세 은하의 새로운 상세 GTC-OSIRIS 분광법"이라는 제목의 논문을 발표했다.[27] 이 연구는 로케 데 로스 무차초스 천문대에 위치한 10.4미터 Gran Telescopio Canarias의 광학 영상 및 저분해능 통합 분광기(OSIRIS)를 이용하여 관측한 세 개의 완두은하에 대한 심층 광대역 영상 및 장파장 슬릿 분광법 결과를 제시했다.[27]

2012년 8월, R. 아모린, J. 빌체즈, G. 헤겔레, V. 피르포, E. 페레즈-몬테로, P. 파파데로스는 천체물리학 저널 레터스(The Astrophysical Journal Letters)에 "컴팩트하고 빠르게 조립되는 별 생성 은하의 복잡한 기체 운동학"이라는 논문을 발표했다.[28] 윌리엄 허셜 망원경의 ISIS 분광기를 사용하여 완두은하 5개를 포함한 6개 은하의 고품질 스펙트럼을 분석한 결과, 수소 알파 방출선(Hα EL)이 여러 성분으로 나뉘어 있음을 발견했다. 이는 완두은하가 서로에 대해 초당 500km 이상의 큰 속도로 움직이는 여러 개의 가스와 별 덩어리로 구성된 '난류 덩어리'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28]

2. 2. 3. 2014년

2014년 1월, Y. 이조토프(Y. Izotov), N. 구세바(N. Guseva), K. 프리케(K. Fricke), C. 헨켈(C. Henkel)은 천문학 및 천체물리학 저널에 "슬론 디지털 스카이 서베이(Sloan Digital Sky Survey)에서 얻은 14,000개의 별 생성 은하의 다중 파장 연구"라는 제목의 논문을 발표했다.[32] 이 연구는 SDSS에서 선별된 강한 방출선을 가진 14,610개의 스펙트럼과 GALEX(자외선), 2MASS(근적외선), WISE(다양한 파장의 적외선), IRAS(원적외선), NVSS(전파 파장) 등 다양한 관측 자료를 교차 분석하여 진행되었다. 연구팀은 "어린 별 생성 지역에서 방출되는 빛이 샘플 내 별 생성 은하에서 수백 도에 이르는 온도에 대한 주요한 먼지 가열원임을" 입증했다.[32] 또한, 가장 밝은 20개의 은하(모두 완두은하(GP) 및/또는 밝은 소형 은하(LCG)로 분류 가능) 목록과 넓은 파장 범위에서 샘플 은하의 광도를 제시했다. 이들 중 가장 높은 광도를 가진 은하는 고적색편이 라이먼 알파 방출 은하의 광도에 근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32]

같은 해 1월, A. 야스코트(A. Jaskot), M. 오이(M. Oey), J. 샐저(J. Salzer), A. 반 시스틴(A. Van Sistine), M. 헤인즈(M. Haynes)는 제223차 미국 천문학회 회의에서 "중성 기체와 저적색편이 별 폭발: 유입에서 이온화까지"라는 제목의 발표를 했다.[33] 이 발표에서는 아레시보 천문대 레거시 패스트 알파 설베이(ALFALFA) 데이터를 활용하여 완두은하(GP)의 광학 스펙트럼을 분석했다. 연구자들은 "ALFALFA 관측은 별 폭발을 유발하는 외부 과정의 역할을 보여주는 반면, 완두은하는 별 폭발의 복사가 외부 환경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보여준다"고 결론지었다. 더불어 완두은하가 라이먼 연속체(LyC) 방사선에 대해 광학적으로 얇을 가능성이 있다는 점도 발견했다.[33]

2014년 6월에는 A. 야스코트(A. Jaskot)와 M. 오이(M. Oey)가 "완두은하(Green Pea)의 이온화 광자의 기원과 광학 깊이"라는 제목의 회의 보고서를 발표했다.[34] 이 보고서는 2013년 기예르모 하로 컨퍼런스를 기반으로 한 "가깝고 먼 거리에 있는 거대한 젊은 별 클러스터: 우리 은하에서 재이온화까지"에 게재되었으며, 자세한 내용은 #야스코트와 오이의 두 논문에서 확인할 수 있다.

2. 2. 4. 2015년

주어진 원본 자료에는 2015년에 해당하는 내용이 없습니다.

2. 2. 5. 2016년

2016년 4월, 양(Yang) 등은 '완두은하는 Lyα 탈출의 비밀을 드러낸다'는 제목의 연구를 발표했다.[37] 이 연구에서는 허블 우주 망원경(HST)의 우주 기원 분광기(COS)로 관측된 12개의 완두은하(GPs)에서 보존된 라이먼 알파(Lyα) 스펙트럼을 분석하고 방사 전달 모델을 이용해 모델링했다. 연구진은 라이먼 알파(Lyα) 탈출 분율이 다양한 은하 속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했다. 분석 결과, 12개의 완두은하 모두에서 Lyα 방출선이 관측되었으며, 이는 고적색편이 방출기와 유사한 Lyα 등가 폭 분포를 보였다.[37] 또한 Lyα 탈출 분율이 금속 함량에 강하게 의존하고, 먼지 소멸에는 중간 정도로 의존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이 연구 결과는 낮은 수소 원자(H I) 기둥 밀도와 낮은 금속 함량이 Lyα 탈출에 필수적임을 시사한다. 연구진은 결론적으로 완두은하가 Lyα 방출기에서 Lyα 탈출 과정을 연구하는 데 매우 중요한 기회를 제공한다고 강조했다.[37]

같은 해 5월, 미란다 C. P. 스트라우브는 오픈 액세스 저널인 《시민 과학: 이론과 실제》에 '시민 과학자에게 기회를: 자원봉사자가 주도하는 과학적 발견에 대한 연구'라는 제목의 논문을 발표했다.[36] 이 논문은 완두은하의 발견이 시민 과학 프로젝트인 Galaxy Zoo 웹사이트에서 자원봉사자들의 참여로 이루어진 대표적인 과학적 발견 사례임을 소개하고 있다.[36]

2. 2. 6. 2023년

3. 특징

완두은하는 녹두은하(Green Peas|그린 피스eng, GPs)라고도 불리며, 적색편이 z = 0.112와 0.360 사이에서 발견되는 독특한 유형의 은하이다.[1] 이들은 이름처럼 크기가 작으며(일반적으로 직경 16300ly를 넘지 않음), 우주 평균 밀도의 3분의 2 미만인 환경에 주로 위치한다.[1] 낮은 금속 함량을 가지면서도 매우 강한 산소 방출선, 특히 이중 이온화 산소([O III]) 선을 보이는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1][5] 평균적인 완두은하는 약 32억 태양 질량의 질량과 연간 약 10 태양 질량의 별 형성률을 보인다.[1][5] 중심부에 활동성 은하핵이 없이 순수하게 별 형성 활동으로 에너지를 내는 은하로 분류된다.[1]

완두은하는 우주가 현재 나이의 약 4분의 3 정도였던 시기에 존재했던 은하들로,[8] 그 특성이 초기 우주의 젊은 은하들과 유사할 것으로 추정되어 은하 형성 및 진화 연구에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6][8] 특히, 일부 완두은하에서는 수소를 이온화시킬 수 있는 고에너지 자외선인 라이먼 연속체 광자(LyC)가 은하 밖으로 누출되는 현상이 관측되었는데,[55][9][7][10][11] 이는 완두은하가 우주의 재이온화 시기에 중요한 역할을 했을 가능성을 시사하며 초기 우주 연구에서의 중요성을 더하고 있다.[10][11]

완두은하는 2007년 시민 과학 프로젝트인 은하 동물원(Galaxy Zoo) 참가자들이 슬론 디지털 스카이 서베이(SDSS) 이미지에서 처음 발견했으며,[1] 이후 허블 우주 망원경, 찬드라 엑스선 망원경 등 다양한 관측 장비를 이용한 후속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12][38] 은하 동물원 보석(Zoogems) 프로젝트와 같이 시민 과학과의 연계를 통한 연구도 계속되고 있다.[14]

3. 1. 형태 및 크기

완두은하는 녹두은하(Green Peas|그린 피스eng, GPs)라고도 불리며, 적색편이 z = 0.112와 0.360 사이에서 발견되는 소형 은하이다.[1] 이들은 강한 산소 방출선을 특징으로 한다. 크기는 일반적으로 16300ly를 넘지 않는 작은 규모를 가지며, 이는 '완두'라는 이름처럼 콤팩트한 형태를 시사한다.[1] 완두은하는 보통 일반적인 은하 환경보다 밀도가 낮은(약 3분의 2 미만) 곳에서 발견된다.[1]

평균적인 완두은하(z = 0.258 기준)는 약 32억 태양 질량의 질량을 가지는 저질량 은하에 속한다.[1][5] 그럼에도 불구하고, 연간 약 10 태양 질량에 해당하는 매우 활발한 별 형성률을 보인다.[1][5] 낮은 금속 함량과 함께 이중 이온화 산소([O III])의 강한 방출선(등가 폭 69.4nm, 파장 500.7nm)을 나타내는 것이 주요 특징이다.[1][5][6] 이 [O III] 방출선은 가시광선 스펙트럼에서 금지된 천이에 해당하며, 매우 낮은 밀도의 환경에서만 관측될 수 있다.[1][6] 완두은하의 중심에는 활동성 은하핵이 없으며, 순수하게 별 형성이 활발하게 일어나는 은하로 분류된다.[1]



오른쪽 이미지는 허블 우주 망원경(HST)으로 관측된 완두은하 GP_J1219의 모습으로, 콤팩트한 형태를 잘 보여준다.[10] 이 이미지는 HST의 우주 기원 분광기(COS) 근자외선(NUV) 채널로 촬영되었으며, 이미지의 해상도는 픽셀당 약 0.0235arcsec이다.[13]

연구에 따르면 완두은하는 우리 우주에서 질량이 가장 작으면서도 가장 활발하게 별을 형성하는 은하 중 하나이다.[7] 일부 연구에서는 완두은하 내 라이먼 알파(Lyα) 방출 영역이 자외선(UV) 연속 방출 영역보다 더 넓게 퍼져 있음을 발견했지만,[39][40] 라이먼 연속체 광자(LyC) 탈출 분율이 높은(>10%) 완두은하의 경우, Lyα 방출 영역이 상대적으로 더 콤팩트한 경향을 보이기도 한다.[40] 또한, 찬드라 엑스선 망원경을 이용한 관측에서는 낮은 금속성을 가진 완두은하들이 일반적인 별 형성 은하에 비해 더 강한 엑스선 방출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38]

최근 연구에서는 완두은하 내부에 젊은 별 형성 성단(최대 5억 년)뿐만 아니라, 10억 년 이상 된 더 오래된 별들도 함께 존재한다는 증거가 발견되었다.[43] 이는 완두은하가 단순히 초기 우주의 젊은 은하와 동일한 상태는 아닐 수 있음을 시사하며, 그 구조와 진화 과정이 더 복잡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3. 2. 별 형성

완두은하는 국부 우주에서 질량이 가장 작으면서도 가장 활발하게 별 형성이 일어나는 은하 중 하나이다.[7] 평균적인 완두은하는 연간 약 10 태양 질량에 해당하는 별을 생성하며,[1][5] 일부 발광 조밀 은하(LCG) 집합 내에서는 연간 최대 약 110 태양 질량에 달하는 경우도 발견되었다.[29] 이러한 활발한 별 형성은 완두은하가 초기 우주의 은하 형성 및 진화 과정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6][8]







완두은하의 별 형성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2012년 아모린(Amorin) 등은 그란 텔레스코피오 카나리아스(GTC)의 OSIRIS 장비를 이용한 상세 분광 관측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이 연구에서는 세 개의 완두은하(아래 표 참조)가 비교적 낮은 소광, 낮은 산소 함량, 높은 질소-산소 비율을 보이며, 울프-레이에 별의 명확한 징후를 발견했다고 보고했다.[27] 이 연구는 완두은하가 현재 질량의 4~20%를 생산하는 주요 별 폭발을 겪고 있지만, 수십억 년 전에 대부분의 별 질량을 형성한 오래된 은하일 수 있음을 시사했다. 특히 한 은하에서는 마그네슘 선을 검출하여 오래된 별들의 존재를 분광학적으로 확인했다.[27]

GTC-OSIRIS 연구 대상 완두은하 (SDSS 참조)[27]
SDSS 참조 번호
587724199349387411
587729155743875234
587731187273892048



2013년 야스코트(Jaskot)와 오이(Oey)는 완두은하에서 방출되는 이온화 복사의 기원을 연구하며, 상당량의 고에너지 광자가 생성되어 은하 밖으로 탈출할 가능성을 제시했다.[30] 이후 이들은 아레시보 천문대의 ALFALFA 서베이 데이터를 활용하여 완두은하의 광학 스펙트럼 분석을 통해, 별 폭발을 유발하는 외부 과정의 역할과 함께 완두은하 자체가 라이먼 연속체 광자(LyC) 방사선에 대해 광학적으로 얇을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기했다.[33]

2014년 이조토프(Izotov) 등은 슬론 디지털 스카이 서베이(SDSS) 데이터를 포함한 다파장 관측 자료를 분석하여, 어린 별 형성 지역에서 방출되는 빛이 완두은하 내 먼지를 수백 도까지 가열하는 주요 원인임을 입증했다.[32] 같은 해 로프하우스(Lofthouse) 등은 4개의 완두은하에 대한 적분장 분광 분석을 통해, 일부 완두은하는 회전 운동을 보이지만 다른 일부는 분산 운동이 지배적이며, 은하 병합이 높은 별 형성률의 유일한 또는 필수적인 조건은 아닐 수 있음을 보였다.[41]

2017년 야스코트 등은 허블 우주 망원경 관측을 통해 완두은하의 운동학과 광학 깊이를 연구했다. 이들은 가장 극단적인 완두은하에서 오히려 유출 속도가 느리게 나타나는 것을 발견했는데, 이는 초강풍(superwind)이 억제될 수 있다는 모델 예측과 일치하며, 유출만이 LyC 탈출의 유일한 메커니즘이 아닐 수 있음을 시사했다.[42]

한편, Zoogems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수행된 연구(Clarke 등)에서는 완두은하 내부에 중심부의 젊은 별 성단(최대 5억 년)뿐만 아니라 10억 년 이상 된 오래된 별들도 상당수 존재함을 발견했다.[43] 연구진은 이러한 오래된 별들의 존재가 완두은하를 초기 우주 은하의 완벽한 유사체로 보기 어렵게 만들 수 있다고 주장했다. 오래된 별과 새로운 별의 혼합은 은하풍이나 원소 유지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중력 조건을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43]

그러나 2023년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JWST)을 이용한 연구에서는 적색편이 z~8에 해당하는 초기 우주의 은하 3개에서 완두은하와 매우 유사한 스펙트럼 특징(강한 방출선, 낮은 금속 함량 등)을 발견했다.[44] 이는 완두은하가 여전히 초기 우주, 특히 우주의 재이온화 시기 은하들의 중요한 유사체로서 연구 가치가 높음을 시사한다. 연구진은 이들 고적색편이 은하가 "우주론적 재이온화를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은하의 첫 번째 정지 광학 스펙트럼일 가능성이 높다"고 평가했다.[44][45] 이러한 발견은 완두은하 연구가 초기 우주에서 별이 어떻게 형성되고 은하가 진화했는지 이해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재확인시켜 준다.[6][45]

3. 3. 화학적 조성

완두은하는 낮은 금속 함량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5] 이 은하들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 중 하나는 매우 강한 [O III] 방출선이다. 평균적인 완두은하는 [O III] 등가 폭이 69.4 nm에 달하며, 이 방출선의 파장은 500.7 nm이다.[1][5][6]

[O III](O++) 방출선은 가시광선 스펙트럼에서 금지된 천이에 해당하는데, 이는 매우 낮은 밀도의 환경에서만 관측될 수 있는 특징이다.[1][6] 이러한 강한 [O III] 방출선은 완두은하 내부의 가스가 높은 수준으로 이온화되어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일부 완두은하는 라이먼 연속체 광자 (LyC)를 외부로 방출하는 '누출자'(leaker)임이 확인되었다. 예를 들어, J0925+1403 은하는 약 8%의 LyC 탈출 분율을 보이는 것으로 밝혀졌으며,[55] 이후 허블 우주 망원경 관측을 통해 더 많은 LyC 누출 완두은하가 발견되었다.[9] 이러한 발견은 완두은하가 우주 재이온화 시기에 중요한 역할을 했을 가능성을 제시하며, 초기 우주 연구에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7][10][11]

2021년에는 그린 뱅크 망원경과 아레시보 천문대를 이용한 관측을 통해 19개의 완두은하에서 HI 21cm 선 방출이 처음으로 감지되었다. 이 연구는 완두은하에 포함된 원자 가스의 질량을 처음으로 추정하는 결과를 제공했다.[96]

3. 4. 스펙트럼 특징

완두은하는 스펙트럼에서 매우 독특한 특징을 보이는데, 특히 강한 방출선이 두드러진다. 가장 대표적인 특징은 이중 이온화 산소(\[O III], O++)의 강한 방출선이다.[1] 이 방출선은 파장 500.7 nm에서 나타나며, 이는 가시광선 스펙트럼 영역에 해당한다. \[O III] 방출은 금지된 천이에 속하기 때문에, 성간 물질의 밀도가 매우 낮은 환경에서만 강하게 나타날 수 있다.[1][6] 완두은하의 평균적인 \[O III] 등가 폭(Equivalent Width, Eq.Wth.)은 69.4 nm에 달하는데, 이는 일반적인 은하나 심지어 자외선 광도가 높은 은하(UV-luminous galaxies)와 비교해도 훨씬 큰 값이다.[1][5]



이러한 강한 \[O III] 방출선은 완두은하를 처음 발견하고 분류하는 데 중요한 기준이 되었다. 슬론 디지털 스카이 서베이(SDSS) 데이터에서 완두은하를 식별할 때, 스펙트럼에서 \[O III] 선이 유난히 뾰족하게 솟아 있는 모습이 특징적으로 관측된다.[68] 히스토그램 비교를 통해 볼 수 있듯이, 완두은하의 \[O III] 등가 폭은 별 생성이 활발한 다른 은하들과 비교해도 월등히 크다.[1][69]



완두은하의 스펙트럼 분석 결과, 대부분은 활동성 은하핵(AGN)을 가지고 있지 않으며, 순수하게 별 형성 활동에 의해 에너지가 방출되는 은하로 분류된다. 이는 볼드윈-필립스-테를레비치(BPT) 다이어그램과 같은 고전적인 방출선 진단 도구를 통해 확인되었다.[64] 분석된 103개의 완두은하 중 80개가 별 폭발 은하로 분류되었고, 10개만이 AGN, 13개는 그 중간 단계인 과도기적 천체로 나타났다.[1]

완두은하 스펙트럼에서 나타나는 Lyα 광자의 공명 산란


또 다른 중요한 스펙트럼 특징은 라이먼 알파 선(Lyα) 방출이다. 완두은하는 높은 적색편이(z > 2)에서 발견되는 라이먼 알파 방출체(Lyman-alpha emitters, LAEs)와 여러 면에서 유사한 특징을 보이는데, Lyα 방출이 흔하게 관측된다는 점도 그중 하나이다.[35] 허블 우주 망원경(HST)의 우주 기원 분광기(Cosmic Origins Spectrograph, COS)를 이용한 관측 결과, 실제로 다수의 완두은하에서 Lyα 방출이 확인되었다.[35] 스펙트럼 상에서 Lyα 선은 0 속도 근처에서 공명 산란의 특징을 보여준다. Lyα 방출의 세기나 형태는 은하 주변에 분포하는 중성 수소 가스의 양, 밀도, 운동 상태 등 물리적 조건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이를 분석하면 은하 주변 환경과 은하-은하간 상호작용에 대한 중요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35] 일부 완두은하 스펙트럼에서는 Lyα 선이 이중 피크 형태를 보이거나 특정 속도로 편이되어 나타나는데, 이는 은하로부터 가스가 흘러나가거나(outflow) 흘러들어오는(inflow) 현상을 시사한다.[35]

일부 완두은하에서는 라이먼 연속체 광자(Lyman Continuum photons, LyC)가 은하 밖으로 '누출'되는 현상이 관측되기도 했다. 2016년 네이처에 발표된 연구에서는 완두은하 J0925+1403에서 약 8%의 탈출 분율(escape fraction)을 가진 LyC 누출을 확인했으며,[55] 이후 다른 연구에서도 J1219, J0815 등 여러 완두은하가 LyC 누출 후보로 보고되었다.[9][7][10][11] LyC 광자는 수소를 이온화시킬 수 있는 고에너지 자외선 광자로, 초기 우주의 재이온화 시기에 중요한 역할을 했을 것으로 여겨진다. 따라서 가까운 우주에서 LyC 누출 은하를 찾는 것은 초기 우주 연구에 매우 중요하다.[10][11] 완두은하는 이러한 초기 우주 은하의 특성을 연구할 수 있는 좋은 유사체로 주목받고 있다.[60]



그 외 스펙트럼 관련 특징으로는 낮은 소광(extinction) 또는 적색화(reddening) 값을 들 수 있다. 대부분의 완두은하는 색지수 ''E''(''B''-''V'') 값이 0.25 이하로 매우 낮게 나타난다.[1] 이는 완두은하 내부의 먼지 양이 적어 별빛이 가려지는 효과가 작다는 것을 의미하며, 덕분에 높은 자외선 광도를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낮은 소광과 높은 UV 광도의 조합은 국부 우주에서는 드물지만, 높은 적색편이의 은하에서는 흔히 발견되는 특징이다.[77]



또한 완두은하는 금속 함량이 낮은 편이지만, 존재하는 산소는 고도로 이온화된 상태를 보인다.[1] H 알파 방출선이나 자외선 연속광(UV continuum) 관측은 완두은하의 활발한 별 형성률(Star Formation Rate, SFR)을 연구하는 데 활용된다.[29] 색상-색상 다이어그램 상에서도 완두은하는 일반 은하나 퀘이사와는 구별되는 독특한 색상 분포를 보인다.[1]



이러한 다양한 스펙트럼 특징을 정밀하게 분석하기 위해 GANDALF(Gas And Absorption Line Fitting)와 같은 전문적인 컴퓨터 소프트웨어가 사용되기도 한다.[1][85]

3. 5. 전파 관측

(내용 없음 - 원본 소스에 해당 섹션 내용을 작성할 정보가 부족합니다.)

4. 다른 천체와의 비교

완두은하는 여러 측면에서 다른 종류의 은하들과 구별되는 특징을 보인다. 우선 크기가 매우 작아, 일반적으로 직경이 16300ly를 넘지 않는다.[1] 이는 일반적인 은하들에 비해 상당히 작은 규모이다. 또한 완두은하는 주변 환경의 밀도가 일반 은하 환경보다 낮은, 상대적으로 고립된 공간에 위치하는 경향이 있다.[1]

활동성 측면에서 보면, 완두은하는 국부 우주(가까운 우주)에서 발견되는 은하들 중 질량이 가장 작은 편에 속하면서도, 동시에 가장 활발하게 새로운 별을 만들어내는 은하 중 하나이다.[7] 평균적인 완두은하는 약 32억 M 정도의 질량을 가지며, 연간 약 10 M에 해당하는 새로운 별을 생성한다.[1][5] 이는 질량에 비해 매우 높은 별 형성률이다. 이러한 격렬한 별 형성은 활동성 은하핵과는 무관하게 순수하게 은하 전체에서 일어나는 현상이다.[1]

화학적 조성과 스펙트럼에서도 독특한 특징이 나타난다. 완두은하는 금속 함량이 낮고, 특히 이중 이온화 산소([O III])에서 나오는 파장 500.7 nm의 강한 방출선을 보인다.[1][5] 이 [O III] 방출선은 매우 낮은 밀도의 가스 환경에서만 강하게 나타날 수 있는 금지선이다.[1][6] 이러한 독특한 특징들로 인해 완두은하는 슬론 디지털 전천 탐사(SDSS)와 같은 대규모 탐사에서도 상대적으로 드물게 발견되는 희귀한 천체로 분류된다.[1]

이처럼 작은 크기, 낮은 금속 함량, 폭발적인 별 형성 등의 특징은 완두은하를 밝은 콤팩트 은하(LCG)나 초기 우주의 고적색편이 은하와 비교 연구하게 만드는 중요한 요인이다. 특히 초기 우주 은하와의 유사성 때문에, 완두은하는 은하 형성 및 진화 초기 단계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실마리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8]

4. 1. 밝은 콤팩트 은하 (LCG)

2010년 6월, R. 아모린(R. Amorínes), E. 페레즈-몬테로(E. Pérez-Monteroes), J.M. 빌체즈(J.M. Vílchezes)는 천체물리학 저널 서한에 발표한 논문 "그린 완두콩 은하의 산소 및 질소 화학적 풍부도와 진화에 관하여"를 통해, 기존 카르다몬(Cardamone영어) 등이 제시한 완두은하(GPs)의 금속 함량 계산 결과에 이의를 제기했다.[1][5] 아모린 등은 카르다몬 등과 다른 방법론을 적용하여 80개의 '별 폭발' 완두은하를 분석했고, 그 결과 금속 함량이 기존 값의 1/5 (약 20% 태양 수준) 미만이라는 결론을 내렸다. 이 평균 값은 log[O/H]+12 ≈ 8.05로, 두 연구 결과 사이에 0.65 dex의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아모린 등은 카르다몬 등이 사용한 강선(strong-line) 방법 대신 직접적인 방법(direct method)을 사용하여 산소질소 이온의 풍부도와 물리적 특성을 계산했다.[90] 이러한 금속들은 은하를 구성하는 주요 물질인 수소와 헬륨 외의 원소들을 의미하며, 주로 초신성 폭발을 통해 생성된다. 따라서 은하의 형성 시기가 비교적 최근일수록 금속 함량이 낮을 것으로 예상되는데, 완두은하는 상대적으로 가까운 우주에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낮은 금속 함량을 보이는 특징이 있다.

아모린 등의 분석에 따르면, 완두은하는 질소 풍부도를 포함한 금속 함량이 일반적인 은하와 다르며, 카르다몬 등이 제시한 질량-금속 함량 관계와도 일치하지 않았다.[1][91] 이는 완두은하가 진정한 의미의 금속 빈약 은하(metal-poor galaxy)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연구진은 이러한 낮은 산소 함량이 최근의 은하 상호작용으로 인한 가스 유입과, 초신성 바람에 의해 금속이 풍부한 가스가 선택적으로 손실된 결과일 수 있다고 주장했다.[82][92] 이는 완두은하 내에서 강력한 별 형성이 일어나 빠르게 가스를 소모하고 금속을 축적하기 때문에, 현재 관측되는 상태의 수명이 매우 짧을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5]

2011년 5월, 아모린, 빌체즈, 페레즈-몬테로는 "그린 완두콩 은하의 본질을 밝히다"라는 학술 회의 논문을 통해 최근의 연구 결과들을 종합하고, 그란 테레스코피오 카나리아스에서의 관측 결과를 바탕으로 한 후속 연구를 예고했다.[23] 이 논문은 2010년 유럽 및 국가 천문학 회의(JENAM) 발표 내용을 수정한 것이기도 하다.[93] 연구진은 완두은하가 진정한 금속 빈약 은하이면서 동시에 밝고 매우 콤팩트한 별 폭발 은하 집단이라고 결론지었다. 이는 완두은하가 밝은 콤팩트 은하(Luminous Compact Galaxies, LCGs)와 유사한 특성을 공유함을 시사한다. 그들은 분석 과정에서 카르다몬이 아닌 이조토프(Izotov영어)가 계산한 질량 값을 사용했으며,[5][21] 아모린 등이 계산한 금속 함량 역시 카르다몬보다는 이조토프의 결과와 더 잘 일치했다.[5][21]

논문에 제시된 다섯 개의 그래프는 이러한 연구 결과를 뒷받침한다.

  • 첫 번째 그래프 (N/O 대 O/H 풍부도 비율): 완두은하(원으로 표시)는 일반적인 SDSS 별 형성 은하(2D 히스토그램)에 비해 낮은 금속 함량 영역에 분포한다. (위 왼쪽 이미지 참고)
  • 두 번째 그래프 (O/H 대 별 질량): 완두은하(원)는 동일한 별 질량을 가진 SDSS 별 형성 은하(2D 히스토그램)보다 낮은 금속 함량(O/H)을 보인다. 비교를 위해 적색편이 z ≥ 2인 은하(별표)도 함께 표시되었다.[5][94] (위 오른쪽 이미지 참고)

  • 세 번째 그래프 (N/O 대 별 질량): 완두은하(원)는 질소/산소 비율과 별 질량의 관계에서도 일반적인 SDSS 별 형성 은하(2D 히스토그램)와 다른 경향을 보인다. (왼쪽 이미지 참고)

  • 네 번째 그래프 (O/H 대 B-밴드 절대 등급): 완두은하(원)의 금속 함량과 밝기(B-밴드 절대 등급)의 관계를 보여준다. Lee 등이 2004년에 제시한 HII 은하의 광도-금속 함량 관계(점선)와 비교할 수 있다.[95] (오른쪽 이미지 참고)

  • 다섯 번째 그래프 (가스 질량 분율 대 금속 함량): 완두은하(원)의 가스 질량 분율과 금속 함량의 관계를 보여준다. 다른 선들은 다양한 가정하의 닫힌 상자 모델(closed-box model)을 나타낸다. 비교를 위해 울프-레이에 은하(다이아몬드)도 표시되었다.[5] (왼쪽 이미지 참고)

4. 2. 블루베리 은하 (BG)

2010년 6월, R. 아모린(R. Amorín), E. 페레즈-몬테로(E. Pérez-Montero), J.M. 빌체즈(J.M. Vílchez)는 천체물리학 저널 서한에 발표한 논문 "그린 완두콩 은하의 산소 및 질소 화학적 풍부도와 진화에 관하여"를 통해 기존 카르다몬(Cardamone) 등이 제시한 완두은하(GPs)의 금속 함량 계산 결과에 이의를 제기했다.[1][5] 아모린 등은 카르다몬 등과 다른 방법론을 적용하여, 80개의 '별 폭발' 완두은하 표본에 대한 금속 함량이 기존 값의 1/5 미만(태양의 약 20% 수준)이라고 계산했다. 이들의 평균 금속 함량 값은 log[O/H]+12 ≈ 8.05로, 두 연구 결과 사이에 0.65 dex의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아모린 등은 카르다몬 등이 사용한 강선(strong-line) 방법 대신 직접적인 방법(direct method)을 사용하여 이 80개 완두은하의 물리적 특성뿐만 아니라 산소질소 이온의 풍부도를 계산했다.[90] 은하 내 금속은 수소헬륨 외 물질의 존재 비율을 나타내며, 주로 초신성 폭발을 통해 생성된다. 따라서 은하 형성 시기가 비교적 최근일수록 금속 함량이 낮을 것으로 예상되는데, 완두은하는 가까운 우주에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금속 함량이 예상보다 낮게 측정된 것이다.

아모린 등은 완두은하의 질소 풍부도를 포함한 금속 함량이 일반적인 은하와 다르며, 카르다몬 등이 제시한 질량-금속 함량 관계와도 일치하지 않음을 발견했다.[1][91] 이는 완두은하가 진정한 의미의 금속 빈약 은하(metal-poor galaxy)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연구진은 이러한 산소 부족 현상이 최근의 은하 상호작용으로 인한 가스 유입과, 초신성 바람에 의해 금속이 풍부한 가스가 선택적으로 손실되는 과정이 결합되어 나타났을 수 있다고 주장했다.[82][92] 또한, 완두은하는 강력한 별 형성 활동으로 인해 가스를 빠르게 소진하므로 수명이 매우 짧을 가능성이 높다고 보았다.[5]

2011년 5월, 아모린, 빌체즈, 페레즈-몬테로는 "그린 완두콩 은하의 본질을 밝히다"라는 학술 회의 논문을 통해 최신 연구 결과들을 검토하고 그란 테레스코피오 카나리아스에서의 관측 결과를 예고했다.[23] 이 논문은 2010년 유럽 및 국가 천문학 회의(JENAM) 발표 내용을 수정한 것이기도 하다.[93] 연구진은 완두은하가 진정한 금속 빈약 은하이면서, 밝고 매우 콤팩트한 별 폭발 은하 집단이라는 결론을 재확인했다. 그들은 질량 계산 시 카르다몬 대신 이조토프(Izotov)의 데이터를 사용했으며,[5][21] 이들의 금속 함량 결과 역시 카르다몬보다 이조토프의 결과와 더 잘 일치했다.[5][21]

논문에 제시된 다섯 개의 그래프는 연구 결과를 뒷받침한다.

  • 질소/산소 대 산소/수소 풍부도 비율 (N/O vs. O/H): (위 왼쪽 그림 참고) SDSS 별 형성 은하 분포(2D 히스토그램)와 비교했을 때, 완두은하(원)는 상대적으로 낮은 금속 함량 영역에 분포하여 금속 빈약성을 보여준다.

  • 산소/수소 풍부도 대 별 질량 (O/H vs. stellar mass): (위 오른쪽 그림 참고) SDSS 별 형성 은하의 일반적인 질량-금속 함량 관계(검은 실선)와 비교했을 때, 62개의 완두은하 하위 표본(원)은 다른 경향(점선)을 보인다. 이는 z ≥ 2 에서 측정된 초기 우주 별 형성 은하(SFG, 별표)와도 비교된다.[5][94]

  • 질소/산소 풍부도 대 별 질량 (N/O vs. stellar mass): (왼쪽 그림 참고) N/O 비율과 별 질량 간의 관계를 보여준다. 기호 사용은 이전 그래프와 동일하다.

  • 산소/수소 풍부도 대 B-밴드 절대 등급 (O/H vs. B-band absolute magnitude): (오른쪽 그림 참고) 완두은하의 광도와 금속 함량 관계를 보여준다. 점선은 Lee 등이 2004년에 제시한 HII 은하의 광도-금속 함량 관계(LMR) 적합선이다.[95]

  • 가스 질량 분율 대 금속 함량 (Gas Mass Fraction vs. Metallicity): (왼쪽 그림 참고) 완두은하의 가스 함량과 금속 함량의 관계를 보여주며, 닫힌 상자 모델(closed-box model) 예측과 비교한다. 열린 원과 채워진 원은 각각 질량-금속 함량 관계(MZR) 적합선보다 위에 있거나 아래에 있는 완두은하를 나타낸다. 다이아몬드는 울프-레이에(Wolf-Rayet) 은하의 값이다.[5]

4. 3. 고적색편이 은하

완두은하는 우주가 현재 나이의 약 4분의 3에 해당하는 시점에 존재했던 은하들로, 초기 우주에서 은하 형성 및 진화가 어떻게 일어났는지에 대한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8] 천문학자 케빈 셔윈스키(Kevin Schawinski)는 "이 은하들은 초기 우주에서 일반적이었을 것이지만, 오늘날에는 이러한 활동성 은하를 볼 수 없다"며, "완두은하를 이해하면 초기 우주에서 별이 어떻게 형성되었고 은하가 어떻게 진화했는지 알 수 있을 것"이라고 연구의 중요성을 강조했다.[6]

완두은하는 높은 적색편이에서 발견되는 라이먼 알파 방출 은하(Lyman-alpha emitters, LAEs)나 라이먼 연속체 광자(Lyman Continuum photons, LyC) 누출 은하와 유사한 특징을 보여, 이들 은하의 저적색편이 유사체로 여겨진다.[7][10][11] 이러한 유사성 때문에 완두은하는 우주 재이온화 시기를 연구하는 데 중요한 대상이 된다.[10][11]

'''라이먼 연속체 광자(LyC) 누출 연구'''

2016년 1월, 네이처에 발표된 연구는 완두은하 J0925+1403에서 약 8%의 탈출 분율로 라이먼 연속체 광자(LyC)가 누출되는 것을 확인했다.[55] 이는 완두은하가 재이온화 시기 우주를 이온화시킨 광자의 원천일 수 있음을 시사하는 중요한 발견이다. 이후 같은 허블 우주 망원경(HST) 데이터를 사용한 후속 연구에서 LyC 누출을 보이는 완두은하 4개가 추가로 확인되었다.[9] 2014년과 2015년에는 다른 연구들을 통해 완두은하 J1219와 J0815가 LyC 누출 후보임이 밝혀지면서, 완두은하가 고적색편이 LyC 누출 은하의 가까운 유사체라는 주장에 힘을 실었다.[7][10][11]

'''라이만 알파선(Lyα) 방출 연구'''

완두은하는 강한 라이만 알파선(Lyα) 방출을 보이는데, 이는 젊은 우주에서 관측되는 고적색편이 은하의 특징과 매우 유사하다. 2015년 헨리(Henry) 연구팀은 HST의 우주 기원 분광기(Cosmic Origins Spectrograph, COS)를 이용하여 10개의 완두은하를 자외선 영역에서 고해상도로 관측했으며, 이들이 고적색편이 은하와 유사한 강한 Lyα 방출을 보인다는 것을 처음으로 확인했다.[35] 연구팀은 Lyα 광자가 완두은하에서 어떻게 탈출하는지 분석하여, 중성 수소 기둥 밀도의 변화가 가장 중요한 요인이라고 결론 내렸다.[35]

2016년 양(Yang) 연구팀은 HST/COS로 관측된 12개 완두은하의 Lyα 스펙트럼을 분석하여, 이들 모두에서 Lyα 방출선이 관측되었고, 그 등가 폭 분포가 고적색편이 방출체와 유사함을 보였다.[37] 이 연구는 Lyα 탈출 분율이 금속 함량과 강한 반비례 관계를, 먼지 소멸과는 약한 반비례 관계를 가진다는 점을 발견했다. 이는 낮은 중성 수소(H I) 기둥 밀도와 낮은 금속 함량이 Lyα 탈출에 필수적임을 시사한다.[37] 2017년 후속 연구에서는 43개의 완두은하 표본 분석을 통해 약 3분의 2가 강한 Lyα 방출체임을 확인하며, 완두은하가 근처 우주에서 고적색편이 라이먼 알파 방출 은하(LAE)의 가장 좋은 유사체임을 재확인했다.[39] 또한, 대부분의 완두은하에서 Lyα 방출 영역이 자외선(UV) 연속 방출 영역보다 더 넓게 퍼져 있음을 발견했다.[40]

'''X선 방출 및 기타 연구'''

2017년 브로비(Brorby)와 카렛(Kaaret)은 찬드라 X선 관측선을 이용하여 두 개의 완두은하 유사체를 관측한 결과를 발표했다. 이는 완두은하에 대한 최초의 X선 관측으로,[38] 연구된 두 은하가 X선 광도-별 형성률-금속 함량 관계(Lx-SFR-Z)를 따르며, 특히 낮은 금속성을 가진 은하가 일반적인 금속성의 별 형성 은하보다 더 강한 X선 방출을 보인다는 것을 확인했다.[38] 이는 완두은하가 초기 우주의 X선 방출을 예측하는 데 유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38]

다른 연구들도 완두은하와 초기 우주 은하의 연관성을 탐구했다. 2014년 이조토프(Izotov) 연구팀은 완두은하를 포함한 발광 소형 은하(Luminous Compact Galaxies, LCGs)들의 광도가 가장 높은 경우, 고적색편이 라이먼 알파 방출 은하의 광도에 근접함을 보였다.[32] 2017년 로프하우스(Lofthouse) 연구팀은 4개의 완두은하를 분석하여, 일부는 회전하며 안정된 상태를 보이는 반면 다른 일부는 분산된 운동을 보였고, 특히 은하 병합 없이도 높은 별 형성률을 유지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는 은하 병합이 반드시 높은 별 형성을 유발하는 유일한 조건은 아님을 시사한다.[41] 같은 해 자스코트(Jaskot) 연구팀은 가장 극심한 완두은하에서 강력한 은하풍(superwind)이 억제될 수 있으며, 이것이 LyC 탈출 메커니즘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주장했다.[42]

'''초기 은하 유사체로서의 한계'''

한편, 완두은하가 초기 우주 은하의 완벽한 유사체인지에 대해서는 논의가 있다. 2019년 클라크(Clarke) 연구팀은 Zoogems 프로젝트 이미지를 분석하여 완두은하 내부에 최대 5억 년 된 젊은 별 성단 외에도, 10억 년 이상 된 것으로 추정되는 오래된 별들이 상당수 존재함을 발견했다.[43] 연구팀은 이러한 오래된 별들의 존재가 재이온화 시기 초기 은하의 상태와는 다르며, 은하풍이나 원소 유지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중력 조건을 만들 수 있다고 지적했다. 따라서 완두은하가 재이온화 시대를 일으킨 은하의 완전한 유사체는 아닐 수 있다는 결론을 내렸다.[43] 그럼에도 불구하고, 완두은하는 여전히 많은 양의 수소 이온화 방사선을 방출하는 독특한 특성으로 인해 초기 우주 은하 연구에 중요한 대상이다.[43]

5. 중요성 및 의의

완두은하는 작지만 매우 활발하게 별을 생성하는 독특한 특성으로 인해 천문학 연구에서 중요한 대상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 은하들은 우주가 현재 나이의 약 4분의 3 정도였던 시점에 존재했던 은하들과 유사한 특징을 보여주어, 초기 우주의 은하 형성 및 진화 과정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6][1][8]

특히 완두은하는 우주 재이온화 시기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는 라이먼 연속체 광자(LyC)를 효과적으로 방출하는 '누출자'(leaker)일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그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었다.[10][11] 실제로 여러 연구를 통해 일부 완두은하에서 LyC가 은하 외부로 탈출하는 현상이 관측되었으며[55][9], 이는 완두은하가 초기 우주 환경과 재이온화 과정을 연구하는 데 유용한 자연적인 실험실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처럼 완두은하에 대한 연구는 우주의 초기 역사와 은하의 진화 과정을 밝히는 데 중요한 기여를 하고 있다.

5. 1. 초기 우주 연구

완두은하는 초기 우주 연구에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 케빈 셔윈스키(Kevin Schawinski)는 "이 은하들은 초기 우주에서 일반적이었을 것이지만, 오늘날에는 이러한 활동성 은하를 볼 수 없다"며 "녹두은하를 이해하면 초기 우주에서 별이 어떻게 형성되었고 은하가 어떻게 진화했는지 알 수 있을 것이다"라고 언급했다.[6] 실제로 완두은하는 우주가 현재 나이의 약 4분의 3 정도였던 시점(적색편이 z = 0.112 ~ 0.360)에 존재했던 은하들로, 초기 우주의 은하 형성 및 진화 과정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1][8] 2012년 연구에서는 완두은하가 수십억 년 전에 대부분의 별 질량을 형성한 오래된 은하일 가능성도 제기되었다.[27]

특히 완두은하는 우주 재이온화 시기 연구에 중요한 라이먼 연속체 광자(LyC)를 방출하는 '누출자'(leaker)일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주목받았다. 국부 우주에서 LyC 누출자를 찾는 것은 초기 우주 및 재이온화에 대한 이론 검증에 매우 중요하다.[10][11] 2014년과 2015년에 J1219와 J0815라는 두 완두은하가 LyC 누출 후보로 확인되었고,[7][10][11] 2016년에는 네이처에 발표된 연구를 통해 J0925+1403 은하가 약 8%의 탈출 분율을 가진 LyC 누출자로 밝혀졌다.[55] 이후 동일한 허블 우주 망원경(HST) 데이터를 사용한 연구에서 4개의 완두은하가 추가로 LyC 누출자로 확인되었다.[9]

완두은하에 대한 연구는 다양한 파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2013년 파르노브스키(S. Parnovsky) 등은 GALEX 관측 데이터를 이용하여 완두은하를 포함한 발광 콤팩트 은하(LCG)들의 별 형성률(SFR)을 연구했으며, 최대 연간 약 110 태양 질량에 달하는 SFR을 발견했다.[29] 같은 해 야스코트(A. Jaskot)와 오이(M. Oey)는 6개의 극단적인 완두은하를 분석하여 고에너지 광자 방출 가능성을 연구했다.[30] 2014년 이조토프(Y. Izotov) 등은 슬론 디지털 스카이 서베이(SDSS) 데이터를 기반으로 GALEX, 2MASS, WISE, IRAS, NVSS 등 다중 파장 데이터를 활용하여 14,000개 이상의 별 형성 은하를 연구했다. 이 연구는 완두은하와 같은 천체에서 뜨거운 먼지가 존재하며, 이들의 광도가 높은 적색편이의 라이먼 알파 방출 은하와 유사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32] 또한 야스코트 등은 아레시보 천문대의 ALFALFA 서베이 데이터를 활용하여 완두은하가 LyC 방사선에 광학적으로 얇을 가능성이 있음을 제시했다.[33]

2015년 헨리(A. Henry) 등은 허블 우주 망원경의 우주 기원 분광기를 이용하여 10개의 완두은하를 관측하고, 이들이 초기 우주의 은하들처럼 강한 Lyα 방출을 보인다는 사실을 처음으로 확인했다. 연구팀은 Lyα 광자가 완두은하에서 탈출하는 과정을 조절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이 중성 수소 기둥 밀도의 변화라고 결론지었다.[35]

이러한 연구들은 완두은하가 단순히 특이한 천체가 아니라, 우주 초기 단계의 은하 형성과 진화, 특히 재이온화 과정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열쇠를 쥐고 있음을 시사한다.

5. 2. 재이온화 현상 연구

완두은하는 우주가 현재 나이의 약 4분의 3 정도였던 시기에 존재했던 은하로, 초기 우주에서 은하 형성 및 진화가 어떻게 일어났는지 이해하는 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8] 특히, 완두은하에서 관측되는 라이먼 연속체 광자(LyC)의 누출 현상은 우주의 역사에서 중요한 사건인 재이온화 시기를 이해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10][11]

국부 우주(Local Universe)에서 LyC 누출 은하를 찾는 것은 초기 우주 및 재이온화 이론 연구에 매우 중요하다.[10][11] 2014년과 2015년에 걸쳐, 두 개의 독립적인 연구 그룹은 완두은하 J1219와 J0815가 LyC 누출 후보일 가능성을 제시했다. 이는 이 완두은하들이 높은 적색편이에서 발견되는 라이먼 알파 방출 은하 및 LyC 누출 은하와 유사한 특성을 낮은 적색편이에서 보여주는 것임을 시사했다.[7][10][11]

2016년 1월, 국제 학술지 네이처에 발표된 연구는 완두은하 J0925+1403에서 약 8%의 라이먼 연속체 광자(LyC)가 은하 밖으로 탈출하고 있음을 확인했다.[55] 이는 완두은하가 우주 재이온화에 기여했을 가능성을 강력하게 뒷받침하는 증거로 여겨진다. 동일한 허블 우주 망원경(HST) 데이터를 사용한 후속 연구에서는 LyC 누출을 보이는 완두은하 4개를 추가로 확인했다.[9]

여러 연구들은 완두은하의 특성과 LyC 탈출 메커니즘을 규명하기 위해 노력해왔다. 예를 들어, 야스코트(Jaskot)와 오이(Oey)는 완두은하에서 생성된 고에너지 광자가 어떻게 외부로 탈출할 수 있는지 연구했으며[30][34], 헨리(Henry) 등은 완두은하가 보이는 강한 Lyα 방출이 높은 적색편이 은하와 유사함을 밝히고, 중성 수소 기둥 밀도가 Lyα 탈출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결론지었다.[35] 양(Yang) 등의 연구는 Lyα 탈출 분율이 금속 함량과 먼지 소멸 정도에 영향을 받으며, 낮은 중성 수소(H I) 기둥 밀도와 낮은 금속 함량이 Lyα 탈출에 필수적임을 시사했다.[37][39][40] 이러한 연구들은 완두은하가 라이먼 알파 방출 은하 연구 및 재이온화 과정 이해에 중요한 실험실 역할을 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37]

하지만 최근 연구에서는 완두은하 내부에 예상보다 오래된 별들이 존재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43] 이는 완두은하가 재이온화 시대를 주도했던 초기 은하들과는 다른 중력 환경 및 진화 과정을 겪었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완두은하가 초기 우주 은하의 완벽한 유사체인지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연구와 논의가 필요하다.[43]

참조

[1] 논문 Galaxy Zoo Green Peas: Discovery of A Class of Compact Extremely Star-Forming Galaxies 2009-12
[2] 간행물 Astronomers May Have Just Spotted the Universe's First Galaxies – NASA's new JWST space telescope has revealed some cosmic surprises, including galaxies that might have assembled earlier than previously thought. https://www.wired.co[...] 2023-01-10
[3] 논문 Galaxy Zoo:Exploring the motivations of citizen science volunteers 2010
[4] 서적 Reinventing Discovery: The New Era of Networked Scienc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1
[5] 논문 On the oxygen and nitrogen chemical abundances and the evolution of the "green pea" galaxies
[6] 웹사이트 Galaxy Zoo Hunters Help Astronomers Discover Rare 'Green Pea' Galaxies https://news.yale.ed[...] 2009-12-29
[7] 논문 Ionization state of inter-stellar medium in galaxies: evolution, SFR-M*-Z dependence, and ionizing photon escape 2014
[8] 웹사이트 New Image of Infant Universe reveals era of first stars, age of cosmos, and more https://www.nasa.gov[...] NASA 2010-01-16
[9] 논문 Detection of high Lyman continuum leakage from four low-redshift compact star-forming galaxies 2016-10
[10] 논문 Linking Ly-alpha and Low-Ionization Transitions at Low Optical Depth 2014
[11] 논문 Using Lyman-alpha to detect galaxies that leak Lyman continuum 2015-06
[12] 웹사이트 HST Program 13293 https://www.stsci.ed[...] Space Telescope Science Institute 2014-12-24
[13] 웹사이트 Cosmic Origins Spectrograph Instrument Handbook for Cycle 22 https://www.stsci.ed[...] Space Telescope Science Institute 2014-12-25
[14] 웹사이트 Zoogems https://www.zooniver[...] Zooniverse 2021-06-02
[15] 논문 Galaxy Zoo: morphologies derived from visual inspection of galaxies from the Sloan Digital Sky Survey 2008
[16] 논문 Galaxy Zoo 1: data release of morphological classifications for nearly 900,000 galaxies 2011
[17] 웹사이트 SDSS Color https://cas.sdss.org[...] Sloan Digital Sky Survey 2010-01-23
[18] 논문 Galaxy Zoo Green Peas: Discovery of a class of compact extremely star-forming galaxies
[19] 논문 A Population of Metal-Poor Galaxies with ~L* Luminosities at Intermediate Redshifts 2009
[20] 논문 The KPNO International Spectroscopic Survey. I. Description of the Survey 2000
[21] 논문 Green Pea Galaxies and cohorts: Luminous Compact Emission-Line Galaxies in the Sloan Digital Sky Survey 2011
[22] 논문 Star-forming galaxies with hot dust emission in the Sloan Digital Sky Survey discovered by the Wide-field Infrared Survey Explorer (WISE) 2011
[23] 서적 Dwarf Galaxies: Keys to Galaxy Formation and Evolution Springer 2012
[24] 논문 Abundance determination from global emission-line SDSS spectra: exploring objects with high N/O ratios 2012
[25] 논문 Abundances in Green Pea Star-forming Galaxies 2012
[26] 논문 Radio Detection of Green Peas: Implications for Magnetic Fields in Young Galaxies 2012
[27] 논문 The star formation history and metal content of the 'Green Peas'. New detailed GTC_OSIRIS spectrophotometry of three galaxies. 2012
[28] 논문 Complex gas kinematics in compact, rapidly assembling star-forming galaxies 2012
[29] 논문 H alpha and UV luminosities and star formation rates in a large sample of luminous compact galaxies 2013
[30] 논문 The Origin and Optical Depth of Ionizing Radiation in the "Green Pea" Galaxies 2013
[31] 웹사이트 HST OBSERVING PROGRAM 13293 https://www.stsci.ed[...] Space Telescope Science Institute 2014-03-13
[32] 논문 Multi-wavelength study of 14000 star-forming galaxies from the Sloan Digital Sky Survey 2014
[33] 논문 Neutral Gas and Low-Redshift Starbursts: From Infall to Ionization 2014-01
[34] 논문 The Origin and Optical Depth of Ionizing Photons in the Green Pea Galaxies 2014
[35] 논문 Lyα Emission from Green Peas: The Role of Circumgalactic Gas Density, Covering, and Kinematics 2015
[36] 논문 Giving Citizen Scientists a Chance: A Study of Volunteer-led Scientific Discovery 2016-05-20
[37] 논문 Green pea Galaxies Reveal Secrets of Lyman-alpha Escape 2016-04
[38] 논문 Green Peas emit X-rays: Extreme Star Formation in Early Universe Analog Galaxies https://www.research[...] 2017
[39] 논문 Lyman-alpha and U.V. Sizes of Green Pea Galaxies 2017-03
[40] 논문 Lyα profile, dust, and prediction of Lyα escape fraction in Green Pea Galaxies 2017-08
[41] 논문 Local analogues of high-redshift star-forming galaxies: integral field spectroscopy of green peas 2017
[42] 논문 Kinematics and Optical Depth in the Green Peas: Suppressed Superwinds in Candidate LyC Emitters 2017-12
[43] 논문 An Old Stellar Population or Diffuse Nebular Continuum Emission Discovered in Green Pea Galaxies 2021-05-06
[44] 논문 Finding Peas in the Early Universe with JWST 2023-01-01
[45] 논문 These 'green pea' galaxies might have helped to end the Universe's dark age https://www.nature.c[...] 2024-02-26
[46] 논문 Influence of Jets on [O iii] Extensions in Green Pea/Bean Galaxies 2024-01-08
[47] 논문 H I imaging of a Blueberry galaxy suggests a merger origin https://academic.oup[...] 2024-06-13
[48] 논문 Blueberry Galaxies: The Lowest Mass Young Starbursts 2017-09-20
[49] 논문 Unveiling an Old Disk around a Massive Young Leaking Blueberry in SDSS-IV MaNGA 2022-04-12
[50] 웹사이트 Compact galaxies discovered by LAMOST https://phys.org/new[...] Phys.org 2024-07-14
[51] 논문 Radio Continuum Emission from Local Analogs of High-z Faint LAEs: Blueberry Galaxies 2019-09-06
[52] 논문 Strong [O iii] λ5007 Emission-line Compact Galaxies in LAMOST DR9: Blueberries, Green Peas, and Purple Grapes 2022-03-04
[53] 웹사이트 Compact Galaxies: Blueberry, Green Pea, and Purple Grape Galaxies Discovered https://www.azoquant[...] AZoNetwork 2024-07-14
[54] 웹사이트 Peas, blueberries and grapes – not every galaxy is like the Milky Way https://hard-sf.com/[...] Hard Science Fiction 2024-07-14
[55] 논문 Eight per cent leakage of Lyman continuum photons from a compact, star-forming dwarf galaxy 2016
[56] 웹사이트 Green Peas and diagnostics for Lyman continuum leaking in star-forming dwarf galaxies https://archive.stsc[...] Barbara A. Mikulski Archive for Space Telescopes 2014-10-13
[57] 웹사이트 Green pea galaxy provides insights to early universe evolution https://phys.org/new[...] phys.org 2016-01-16
[58] 웹사이트 Green pea galaxy right after the Big Bang https://www.scienced[...] Science Daily 2016-01-16
[59] 논문 What a tiny green galaxy reveals about the mysteries of the cosmos https://www.csmonito[...] 2016-01-16
[60] 웹사이트 Michigan_Uni_PR https://www.ns.umich[...] University of Michigan 2013-04-03
[61] 논문 The Properties of Ultraviolet-Luminous Galaxies at the Current Epoch 2005-01
[62] 논문 Specific Star Formation Rates to Redshift 1.5 2005
[63] 논문 Galaxy Zoo: The fraction of merging galaxies in the SDSS and their morphologies 2010-01
[64] 논문 Classification parameters for the emission-line spectra of extragalactic objects 1981
[65] 논문 Theoretical Modeling of Starburst Galaxies 2001-07
[66] 논문 Distinguishing Active Galactic Nuclei and Star Formation 2008
[67] 논문 Stellar Masses and Star Formation Histories 2003-05
[68] 웹사이트 SDSS Spectra https://cas.sdss.org[...] Sloan Digital Sky Survey 2010-01-17
[69] 논문 The Diverse Properties of the Most Ultraviolet-Luminous Galaxies Discovered by GALEX 2007-12
[70] 논문 Chemical Properties of Star-Forming Dwarf Galaxies 2007
[71] 논문 Ultracompact Blue Dwarf Galaxies: HST Imaging and Stellar Population Analysis 2006
[72] 논문 The Properties of Galaxies at ''z''~5 2004
[73] 논문 Lyα Emission-Line Galaxies at ''z'' = 3.1 in the Extended Chandra Deep Field-South 2007
[74] 논문 The physical properties of Lyα emitting galaxies: not just primeval galaxies? 2009
[75] 논문 Lyα-Emitting Galaxies at ''z'' = 3.1: Progenitors Experiencing Rapid Star Formation 2007
[76] 논문 The Rest-Frame Ultraviolet Luminosity Density of Star-forming Galaxies at Redshifts ''z'' > 3.51 2004
[77] 논문 Galaxy Zoo: Dust in Spirals 2010
[78] 논문 Standard Solar Composition 1998
[79] 논문 The Forbidden Abundance of Oxygen in the Sun 2001
[80] 논문 Cosmic abundances as records of stellar evolution and nucleosynthesis 2005
[81] 논문 Helioseismology and Solar Abundances
[82] 논문 The Origin of the Mass-Metallicity Relation: Insights from 53,000 Star-forming Galaxies in the Sloan Digital Sky Survey 2004
[83] 웹사이트 GALEX Observes the Universe https://www.nasa.gov[...] NASA 2003
[84] 논문 The Calibration and Data Products of GALEX 2007
[85] 논문 The SAURON Project – V. Integral-field emission-line kinematics of 48 elliptical and lenticular galaxies 2006
[86] 논문 Mass models of the Milky Way 2011
[87] 논문 Toward a Unification of Star Formation Rate Determinations in the Milky Way and Other Galaxies 2011
[88] 웹사이트 SDSS Skyserver https://cas.sdss.org[...] Sloan Digital Sky Survey
[89] 논문 Sloan Digital Sky Survey: Early Data Release https://lra.le.ac.uk[...] 2002
[90] 논문 The impact of the nitrogen-to-oxygen ratio on ionized nebulae diagnostics based on [NII] emissionlines 2009
[91] 논문 Chemical composition and evolution of irregular and blue compact galaxies 1979
[92] 논문 The Origin of the Galaxy Mass-Metallicity Relation and Implications for Galactic Outflows 2008
[93] 웹사이트 JENAM_2010 https://www.jenam201[...]
[94] 논문 The Mass/Metallicity Relation at z=2 2006
[95] 논문 Metal Abundances of KISS Galaxies. III. Nebular Abundances for Fourteen Galaxies and the Luminosity-Metallicity Relationship for H II Galaxies 2004-12
[96] 논문 The Atomic Gas Mass of Green Pea Galaxies 2021-05-25
[97] 저널 Galaxy Zoo Green Peas: Discovery of A Class of Compact Extremely Star-Forming Galaxies
[98] 저널 Galaxy Zoo:Exploring the motivations of citizen science volunteer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