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대앞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외대앞역은 수도권 전철 1호선 경원선에 있는 역으로, 1974년 휘경역으로 개통하여 1996년 현재의 역명으로 변경되었다. 역 구조는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이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과거 휘경역 열차 충돌 사고가 있었으며, 역 인근에는 한국외국어대학교 서울캠퍼스가 위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 동대문구의 전철역 - 회기역
회기역은 서울 동대문구 회기동에 위치한 수도권 전철 1호선과 경의·중앙선의 환승역으로, 2면 4선 쌍섬식 승강장을 갖추고 1980년 영업을 시작하여 2005년 확장되었으며, 인근에 대학교와 다양한 시설이 위치해 있다. - 서울 동대문구의 전철역 - 신이문역
신이문역은 서울 지하철 1호선 상의 역으로, 이문역과의 이름 중복을 피해 명명되었으며,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으로 광운대, 의정부, 청량리, 서울, 인천 방면 열차가 운행되고 이문동 주변 지역과 인접해 있다. - 1974년 개업한 철도역 - 남영역
남영역은 서울특별시 용산구에 위치한 수도권 전철 1호선의 지상역으로, 1974년 개통되었으며, 섬식 승강장 구조를 갖추고 있으며, 경부선과 경원선을 연결하는 중요한 환승 거점 역할을 한다. - 1974년 개업한 철도역 - 종각역
종각역은 서울 종로2가에 위치한 수도권 전철 1호선 역으로, 1974년 개통 이후 서울교통공사에서 운영하며, 주변에 보신각, 영풍문고 등 주요 시설과 역사적 장소가 있고, SC제일은행이 부역명으로 병기되어 있으며, 제야의 종 행사 때는 무정차 통과한다. - 수도권 전철 1호선의 역 - 남영역
남영역은 서울특별시 용산구에 위치한 수도권 전철 1호선의 지상역으로, 1974년 개통되었으며, 섬식 승강장 구조를 갖추고 있으며, 경부선과 경원선을 연결하는 중요한 환승 거점 역할을 한다. - 수도권 전철 1호선의 역 - 용산역
용산역은 대한민민국의 철도역으로, KTX 호남고속철도 개통 이후 용산역은 호남선, 전라선, 장항선의 주요 출발역으로, 현재는 수도권 전철 1호선, 경의선, 경원선과 같은 열차를 포함한 다양한 고속 및 일반 열차를 운행하며, 대형 복합쇼핑몰인 아이파크몰과 연결되어 있습니다.
외대앞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역 정보 | |
![]() | |
주소 |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휘경로 27 (이문동 360-5) |
이용객 수 | 2012년 기준 26,504명 (1호선) |
운영 기관 | 한국철도공사 |
노선 정보 | |
노선 | 경원선 |
역 구조 | 지상역 |
승강장 | 2면 2선 |
개업 정보 | |
개업일 | 1974년 8월 15일 |
역사 정보 | |
한국어 역명 | 외대앞역 |
한자 역명 | 外大앞驛 |
로마자 역명 | Oedaeap-yeok |
인접한 역 | |
1호선 (급행) | 이전 역: 신이문역 다음 역: 회기역 |
1호선 (일반) | 이전 역: 신이문역 다음 역: 회기역 |
경원선 급행 | 이전 역: 신이문역 다음 역: 회기역 |
기타 정보 | |
역 번호 | 122 |
역 등급 | 3급 |
관리역 | 광운대역 |
기점으로부터의 거리 | 소요산역 기점 58.4km |
2. 역사
- 1974년 6월 28일: 역사 신축 준공
- 1974년 8월 15일: 경원선 개통과 함께 휘경역으로 영업 개시[8]
- 1983년 8월 6일: 보통역으로 승격
- 1984년 10월 2일: 휘경역 열차 충돌 사고 발생 (2명 사망, 42명 부상)
- 2009년 12월 1일: 철도승차권 단말기 철거
2. 1. 역명 변경
1974년 8월 15일, 수도권 전철 1호선 개통과 함께 휘경역(휘경역|휘경역한국어)으로 영업을 시작하였다. 1996년 1월 1일에 '''외대앞역'''으로 역명이 변경되었다.[8]2. 2. 사건 및 사고
1984년 10월 2일 휘경역(현 외대앞역)에서 열차 충돌 사고가 발생했다. 이 사고로 2명이 사망하고 42명이 부상을 입었으며, 전동차 10량이 파손되었다.[3] 이 사건은 당시 휘경역의 안전 관리 문제를 드러냈으며, 이후 안전 시스템 개선의 계기가 되었다.2. 3. 운행 계통 변경
2005년 12월 15일 용산~성북 간 운행 계통이 폐지되었다.[4]3. 역 구조
외대앞역은 지상역으로, 교상 역사를 가지고 있다. 2면 2선 구조이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기존 섬식 승강장에서 신이문역 방향으로 승강장이 추가된 형태이다.[1] 출구는 6개다.
역 남쪽 (회기 방면)에 건널목이 있다. 과거에는 도로가 선로와 교차했으나, 2008년 10월에 동대문구의 안전 사고 방지 계획에 따라 지하차도를 완공하고, 2009년 보행자용 육교가 설치되었다. 다만, 이 건널목은 폭을 좁혀 남겨두었다.
3. 1. 승강장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 구조이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기존 섬식 승강장에서 신이문역 방향으로 승강장이 추가된 형태이다.[1]
3. 2. 출구
총 6개의 출구가 있다.- 1번 출구: 한국외국어대학교
- 2번 출구: 이경시장
4. 휘경4건널목
외대앞역 교상역사 바로 아래에 있는 작은 건널목 이름은 '휘경4건널목'이다. 과거 이곳은 도로 건널목이었고, 상습 정체가 발생하여 2008년 10월 지하차도가 개설되었다.[9] 2009년 3월에는 고가 보행로가 개설되었으나, 주민들은 건널목 존치를 요구하였다.
2012년 8월 한국철도시설공단은 건널목 폐쇄를 결정하였으나,[10] 동대문구청 등과의 합의로 유예되었다.[11] 2013년 1월 건널목 철거는 주민 반발로 무산되었고,[12] 휘경4건널목은 현재까지 보행용으로 존치되고 있다.
4. 1. 건널목 폐쇄 논란
외대앞역 교상역사 바로 아래에 있는 작은 건널목은 ‘휘경4건널목’이다. 현재 외대앞역 지하차도가 있는 곳은 과거에 많은 버스들이 지나다니던 도로 건널목이었는데, 상습 정체가 발생하여 건널목 폐쇄를 결정하고 2008년 10월 지하차도가 개설되었다.[9] 2009년 3월에는 고가 보행로가 개설되었다. 그러나 주민들은 외대앞역 고가 보행로의 복잡한 구조와 그로 인해 시간 등이 낭비된다는 이유로 건널목 존치를 요구하였다.
건널목 폐지는 한동안 유예되다가 2012년 8월 16일 한국철도시설공단에서 8월 25일부터 건널목을 폐쇄하겠다고 결정하였으나,[10] 8월 29일 동대문구청과 철도공단 등의 합의로 그해 12월 31일까지 건널목을 유지하기로 잠정 합의하였다.[11] 그러나 2013년 1월로 예정되었던 건널목 철거는 주민 반발로 진행되지 않았으며,[12] 현재까지도 휘경4건널목은 외대앞역 역사 밑에 보행용 건널목으로 존치되고 있다. 2018년에는 엘리베이터와 에스컬레이터를 추가로 설치하는 방안과, 승강장으로 가는 통로를 계단에서 평면식으로 바꾸는 방안 두 가지가 검토되고 있다.[13]
4. 2. 개선 논의
2018년에 엘리베이터와 에스컬레이터를 추가로 설치하는 방안과, 승강장으로 가는 통로를 계단에서 평면식으로 바꾸는 방안 두 가지가 검토되고 있다.[13]5. 이용객 현황
노선 | 2000년 | 2001년 | 2002년 | 2003년 | 2004년 | 2005년 | 2006년 | 2007년 | 2008년 | 2009년 | 출처 | |
---|---|---|---|---|---|---|---|---|---|---|---|---|
--경원선 | 승차 인원 | 16,822 | 19,103 | 20,321 | 21,112 | 17,843 | 17,248 | 14,422 | 13,431 | 12,876 | 13,363 | [7] |
하차 인원 | 12,938 | 15,328 | 16,380 | 20,240 | 16,626 | 16,218 | 13,411 | 12,552 | 12,036 | 12,450 | ||
노선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출처 | |
--경원선 | 승차 인원 | 13,605 | 13,772 | 13,709 | 13,644 | 13,437 | 12,849 | 12,642 | 12,287 | 11,821 | 10,521 | [7] |
하차 인원 | 12,693 | 12,892 | 12,795 | 12,724 | 12,591 | 12,071 | 11,930 | 11,663 | 11,269 | 10,093 | ||
노선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
--경원선 | 승차 인원 | 6,361 | 6,170 | 7,671 | 9,059 | |||||||
하차 인원 | 6,209 | 6,164 | 7,620 | 8,908 |
6. 인접한 역
- - 급행·완행
6. 1. 수도권 전철 1호선 (경원선)
광운대 방면서동탄·신창 방면
급행·완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