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암마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외암마을은 16세기 초 강씨와 목씨 문중이 정착하며 형성되었으며, 이후 예안 이씨가 이주해 정착했다. 이간의 호를 따서 마을 이름이 외암으로 지어졌다. 북쪽의 설화산을 주봉으로 하는 구릉지에 위치하며, 남향 또는 서남향으로 배치된 가옥, 돌담, 맑은 물이 흐르는 수로와 정원, 전통적인 가옥 구조, 그리고 북큼이와 같은 지역 음식 등 충청 지방의 전통적인 모습을 잘 간직하고 있다. 또한, 여러 영화와 드라마의 촬영지로 활용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충청남도의 국가민속문화유산 - 남이흥장군 일가 유품
남이흥 장군 일가 유품은 조선 시대 무신 남이흥 장군과 그 가족의 유물로, 구의, 곤룡포, 호패, 교지, 초상화, 고문서, 영정, 생활 자료, 복식류 등을 포함하며 조선 시대 사회, 문화, 예술 연구와 17세기 초 복식 및 생활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서 대한민국 보물로 지정되었다. - 아산시의 문화유산 - 난중일기
《난중일기》는 이순신이 임진왜란 중 군중에서 직접 쓴 친필 일기로, 전쟁 상황과 개인적인 소회, 사회상 등이 기록된 7권의 일기이며 국보 제76호이자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이다. - 아산시의 문화유산 - 여민루
여민루는 조선 시대 아산군 관아 입구에 세워진 문루 건물로, 백성의 뜻을 취한다는 의미를 담은 현판이 걸려 있으며, 앞면 3칸, 옆면 2칸 규모의 팔작지붕에 익공 양식의 공포를 갖춘 다락 형식의 건물이다. - 아산시의 건축물 - 도고온천역
도고온천역은 충청남도 아산시에 위치한 장항선의 철도역으로, 선장역으로 개업하여 역명 변경 및 이전을 거쳐 2007년 현재의 고가역으로 이전했으며, 2면 4선의 섬식 승강장을 갖춘 무배치간이역으로 운영된다. - 아산시의 건축물 - 이순신종합운동장
이순신종합운동장은 위키백과 문서의 구조, 목차 작성 지침, 좋은 목차 예시, 추가 설명을 다루며, 제목, 개요, 본문으로 구성되고 목차는 항목 구성, 단계 표시, 한국의 관점을 반영한다.
외암마을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위치 | 아산시 송악면 외암리 |
좌표 | 36.7311, 127.0136 |
일반 정보 | |
종류 | 문화재 보호법에 따른 중요민속문화재 |
지정 번호 | 236호 |
지정일 | 2000년 1월 7일 |
면적 | 19헥타르 |
관리 주체 | 문화재청 |
웹사이트 | 외암민속마을 공식 웹사이트 |
설명 | |
개요 | 충청남도 아산시 송악면에 있는 조선 시대 마을 |
특징 | 돌담길과 전통 가옥이 잘 보존되어 있음 |
등재 기준 | (v) 뛰어난 보편적 가치를 지닌 문화의 대표적인 예 |
추가 정보 | |
등재 상태 | 유네스코 세계유산 잠정 목록 등재 |
2. 역사
외암마을은 16세기 초 강씨와 목씨 문중이 정착하면서 형성되었다고 전해진다. 조선 명종 때 장사랑을 지낸 이정(李挺)이 이주해 오면서 예안 이씨 집성촌이 되었다. 이정의 6대손 이간(李柬)의 호 '외암(巍巖)'을 따서 마을 이름이 지어졌다.[4] 경종 3년(1723) 이간 선생의 외암기에 '외암(巍巖)'이라는 마을 이름이 기록되어 있다.[4] 일제강점기부터 획수가 적은 '외암(外岩)'으로 쓰이기 시작하였다.[4]
외암마을은 설화산을 주봉으로 하여 남서쪽 구릉지에 자리 잡고 있으며, 마을 어귀는 낮고 뒤로 갈수록 높아지는 지형이다. 대부분의 집이 남향 또는 서남향으로 배치되어 일조량이 풍부하고, 겨울철에는 서북풍을 막아주는 기후 환경을 갖추고 있다.[4]
3. 특징
이 마을에는 충청 지방의 양반 가옥과 초가가 어우러져 있으며, 집집마다 돌담으로 둘러져 있다. 설화산에서 흘러내리는 맑은 물은 인공 수로를 따라 마을 안을 흐르면서 정원을 꾸미거나 생활용수로 이용된다.[4]
마을 사람들은 조선 시대의 의례와 풍습을 보존하고 있으며, 북큼이와 같이 이 지역의 특징적인 음식도 준비한다.[2] 건물들은 당시 사회 구조를 반영하며, 건물 중 거의 절반이 초가 지붕을 가지고 있다.[1][2]
3. 1. 가옥 구조
조선 시대 상류 주택의 모습을 잘 갖춘 양반 가옥은 넓은 마당과 특색 있는 정원을 가지고 있다. 초가 역시 예스러운 모습을 잘 간직하고 있으며, 매년 전통적인 방식으로 지붕을 다시 덮는다.[1][2] 집들은 돌담으로 둘러싸여 있고,[1][2] 마을에는 여러 갈래의 길이 합쳐지는 하나의 주요 도로가 있다.[2]
3. 2. 마을 배치
마을은 북동쪽 설화산 기슭에 있으며, 동남쪽에는 봉수산이 있다. 마을은 타원형이며, 두 산을 연결하는 가상의 선 위에 자리 잡고 있다. 가옥들은 남-남서쪽을 향하고 있다. 마을에는 여러 갈래의 길이 합쳐지는 하나의 주요 도로가 있다. 경작지는 마을 서쪽으로 뻗어 있으며, 개울이 토지와 마을 사이로 흐른다. 이것은 전형적인 조선 시대 마을의 배치이다.[2] 외암마을은 마을에 여러 수로가 있어, 집들의 정원을 개울과 연결한다는 점에서 특별하다. 정원은 당시 한국 정원의 특징을 잘 보여준다.[2]
3. 3. 정원
외암마을에는 여러 갈래의 길이 합쳐지는 하나의 주요 도로가 있다. 경작지는 마을 서쪽으로 뻗어 있으며, 개울이 토지와 마을 사이로 흐른다. 이는 전형적인 조선 시대 마을의 배치이다. 외암마을은 마을에 여러 수로가 있어, 집들의 정원을 개울과 연결한다는 점에서 특별하다. 정원은 당시 한국 정원의 특징을 잘 보여준다.[2]
4. 문화 행사
외암마을에서는 정월 보름 전후로 느티나무제와 장승제를 지낸다.[4] 매년 10월에는 전통문화(관·혼·상·제)와 농경문화, 민속놀이 등을 체험 할 수 있는 짚풀문화제가 열린다.[4]
5. 대중문화
외암마을은 여러 영화와 텔레비전 드라마의 촬영 장소 또는 배경으로 활용되었으며, 여기에는 《태극기 휘날리며》(2004), 《취화선》(2002), 《임꺽정》(1996) 등이 포함된다.[3]
참조
[1]
웹사이트
Oeam Village, Asan
http://english.cha.g[...]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2021-11-30
[2]
웹사이트
Oeam Village
https://whc.unesco.o[...]
UNESCO
2021-11-30
[3]
웹사이트
영화속의 외암
http://www.oeam.co.k[...]
외암
2021-11-30
[4]
문서
현지 안내문 인용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온천 여행에 푹 빠진 나, 과거로의 여행은 거부한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