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도쿠스 혼디우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요도쿠스 혼디우스는 1563년 벨기에에서 태어나 판화가, 악기 제작자, 지구본 제작자로 활동한 지도 제작자이다. 1584년 런던으로 망명하여 지도 제작을 시작했으며, 프랜시스 드레이크의 뉴 앨비언 지도 제작에 기여했다. 1593년 암스테르담으로 이주하여 메르카토르의 아틀라스를 재발행하여 성공을 거두었으며, 아브라함 고스에게 지도 제작을 가르쳤다. 1612년 사망했으며, 그의 사업은 가족에 의해 계승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563년 출생 - 호소카와 가라샤
호소카와 가라샤는 아케치 미쓰히데의 딸로 태어나 호소카와 다다오키와 결혼하였으며, 혼노지의 변 이후 남편의 보호 아래 신앙을 지키다 이시다 미쓰나리의 인질이 되려 하자 가신에게 죽임을 당했다. - 1563년 출생 - 허난설헌
허난설헌은 조선 중기의 여류 시인으로, 진보적인 아버지와 문인 집안의 영향으로 뛰어난 시적 재능을 보였으나 불행한 결혼 생활과 자녀의 죽음, 시대적 제약 속에서 요절하였고, 사후 동생 허균에 의해 간행된 《난설헌집》으로 문학적 가치를 인정받아 중국과 일본에서 먼저 이름을 알렸다. - 1612년 사망 - 아리마 하루노부
아리마 하루노부는 센고쿠 시대부터 에도 시대 초기의 기리시탄 다이묘로, 히젠 아리마 씨의 당주이자 히노에 번 번주였으며, 가톨릭 개종 후 덴쇼 소년사절단 파견, 임진왜란 참전 등 활발한 활동을 펼쳤으나, 이후 사건에 연루되어 유배 후 처형되었고, 그의 죽음은 에도 막부의 기독교 탄압 강화와 시마바라의 난의 배경이 되었다. - 1612년 사망 - 사사키 코지로
사사키 코지로는 암류 검술 유파를 창시하고 츠바메가에시 검법으로 이름을 알린 검객으로, 미야모토 무사시와의 간류지마 결투에서 패배하여 사망했으며, 그의 삶과 죽음은 여러 논란과 함께 대중매체에서 다양하게 재해석되고 있다.
요도쿠스 혼디우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요스트 더 혼트 |
원어 이름 | Jodocus Hondius (라틴어) Joost de Hondt (네덜란드어) |
인물 정보 | |
출생 | 1563년 10월 17일, 벨기에 와켄 |
사망 | 1612년 2월 12일,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
국적 | 플랑드르 |
직업 | 판화가, 지도 제작자 |
2. 생애
요도쿠스 혼디우스는 1563년 지금의 벨기에 서부 바컨에서 태어나 헨트에서 유년 시절을 보냈다. 판화가, 악기 및 지구본 제작자로 활동하다가, 1584년 네덜란드 독립 전쟁으로 인해 프로테스탄트였기 때문에 잉글랜드 런던으로 망명했다.[2][3] 런던에서 지도 제작 관련 지식을 쌓은 그는 1593년 암스테르담으로 돌아와 지도 제작사를 설립했다. 코르넬리위스 클라에스의 도움으로 게라르두스 메르카토르의 《아틀라스》 동판을 획득하여, 메르카토르를 제작자로, 자신을 발행인으로 명시한 '메르카토르-혼디우스' 《아틀라스》를 출판하여 유럽 전역에 이름을 알렸다. 1612년 2월 12일 사망했다.[10]
2. 1. 초기 생애 (1563년 ~ 1584년)
요도쿠스 혼디우스는 1563년 지금의 벨기에 서부에 있는 바컨에서 태어났다. 유년 시절 헨트로 이동하여 판화가, 악기 및 지구본 제작자로 활동하였다. 그는 종교적으로 프로테스탄트였기 때문에 1584년 네덜란드 독립 전쟁 때 스페인군이 헨트를 점령하자 잉글랜드 런던으로 망명하였다.[2][3] 런던에 체류하는 동안 여러 지도제작자, 항해사들과 교류하면서 지도 제작과 관련한 여러 지식을 습득할 수 있었다.2. 2. 런던 망명과 지도 제작 (1584년 ~ 1593년)
1584년 네덜란드 독립 전쟁 때 개신교였기 때문에 스페인군이 헨트를 점령하자 잉글랜드 런던으로 망명하였다. 런던에서 그는 여동생 야코미나와 함께 런던으로 이주했다. 1587년 런던에서 금속 활자 조각가인 헨드릭의 딸 콜레트 반 덴 케레(콜레트 혼디우스라고도 알려짐)와 결혼했고, 지도 제작자이자 조각가인 그녀의 오빠 피터와 협력했다.[2][3] 런던에 체류하는 동안 여러 지도제작자, 항해사들과 교류하면서 지도 제작과 관련한 여러 지식을 습득할 수 있었다.영국에서 혼디우스는 1570년대 후반에 세계 일주를 한 프랜시스 드레이크의 업적을 알리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특히 1589년 혼디우스는 드레이크가 캘리포니아 드레이크 만에 잠시 정착했던 뉴 앨비언 만의 유명한 지도를 제작했다.[4] 혼디우스는 또한 현재 런던의 국립 초상화 미술관에 소장되어 있는 드레이크의 몇몇 유명한 초상화의 작가로 여겨진다. 혼디우스는 마리너스 미러(1588)에 해도를 조각했고, 1592년에 완성된 에머리 몰리뉴의 최초의 영국 지구본에 고어를 조각했다.[5]
2. 3. 암스테르담 복귀와 지도 출판 (1593년 ~ 1612년)
1593년, 혼디우스는 아내와 피터 반 덴 케레와 함께 암스테르담으로 이주하여 평생 그곳에 머물렀다. 1604년, 암스테르담 출판업자 코르넬리위스 클라에스와 협력하여 게라르두스 메르카토르의 손자로부터 ''아틀라스''의 판을 구입했다.[6] 메르카토르의 작품은 오르텔리우스의 경쟁작인 ''테아트룸 오르비스 테라룸''에 비해 쇠퇴하고 있었다. 혼디우스는 메르카토르의 작품에 36개의 지도를 추가하여(원래 지도 107개에 추가) 재발행했는데, 그 중에는 그가 직접 제작한 것도 여러 개 있었다. 혼디우스는 자신의 기여에도 불구하고 메르카토르를 작품의 저자로 인정하고 자신은 출판인으로 표기했다. 혼디우스가 발행한 메르카토르의 새로운 판은 큰 성공을 거두어 1년 만에 매진되었다. 혼디우스는 이후 두 번째 판과 포켓 버전인 ''아틀라스 마이너''를 출판했다. 이 지도는 이후 "메르카토르/혼디우스 시리즈"로 알려지게 되었다.[6] 혼디우스는 아브라함 고스의 사촌이었으며, 고스에게 지도 제작과 조각을 가르쳤다.[7]''아틀라스 마이너''의 프랑스어판에서 주제도가 지도 기호를 사용하는 최초의 사례 중 하나를 발견할 수 있다. 이것은 주요 종교의 분산을 보여주는 "Designatio orbis christiani"(1607)라는 지도이다.[8]
혼디우스는 1611/2년에 출판된 존 스피드의 아틀라스 ''영국 제국의 극장''을 인쇄하기 위해 구리판을 사용했다.[9]

혼디우스는 48세(1612년)에 암스테르담에서 사망했다.
2. 4. 사망과 유산
혼디우스는 1612년 2월 12일 48세의 나이로 암스테르담에서 사망했다.[10] 그의 사후, 암스테르담에서의 출판 사업은 그의 미망인, 두 아들 요도쿠스 2세와 헨리쿠스, 그리고 사위 요하네스 얀소니우스가 이어받았다. 1633년부터 얀소니우스의 이름은 《아틀라스》의 공동 출판인으로 나타난다.[10] 이후 1606년 라틴어판을 시작으로 약 50개의 《아틀라스》 판이 주요 유럽 언어로 발행되었다. 터키 학자 카티프 첼레비는 이 아틀라스를 이슬람 세계에 부분적으로 번역하여 소개했다. 이 시리즈는 얀소니우스의 후기 기여로 인해 때때로 "메르카토르/혼디우스/얀소니우스" 시리즈라고 불린다.3. 주요 업적
요약이 제공되지 않았고, 참조할 원본 소스도 없으므로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이전 응답과 동일)
4. 베르메르 회화와의 연관성
학자들은 17세기 유명 화가 요하네스 베르메르의 1668년 작품 《천문학자》와 1669년 작품 《지리학자》에 묘사된 지구본이 혼디우스의 지구본을 기반으로 한 것이라고 주장해 왔다.[11] 이 두 지구본을 자세히 살펴보면 혼디우스가 1618년에 제작한 한 쌍의 지구본과 놀라운 유사점을 발견할 수 있다. 이 지구본들은 펜던트 형태로 제작되었으며, 하나는 지구를, 다른 하나는 별자리를 묘사했다. 베르메르의 《천문학자》에서 학자는 혼디우스의 천구의를 참고하고 있으며, 《지리학자》에서는 혼디우스의 지구의가 뒷선반 위에 놓여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혼디우스의 천구의는 암스테르담의 네덜란드 해양 박물관에서, 지구의는 뉴욕시의 히스패닉 소사이어티 박물관 및 도서관에서 찾아볼 수 있다.
5. 영향과 평가
요도쿠스 혼디우스는 지도 제작 기술과 예술적 재능을 결합하여 16세기 후반과 17세기 초반 지도 제작 분야에 큰 영향을 미쳤다. 그의 작품은 당대 유럽의 지리적 지식을 넓히는 데 기여했으며, 특히 그의 세계 지도는 당시 유럽인들의 세계관을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혼디우스의 지도는 정확성과 아름다움으로 명성을 얻었으며, 그의 사후에도 오랫동안 재판되고 사용되었다. 그의 아들 헨리쿠스 혼디우스와 요하네스 얀소니우스는 그의 사업을 이어받아 암스테르담을 지도 제작의 중심지로 발전시키는 데 기여했다.
혼디우스의 업적은 지도 제작 역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며, 그의 지도는 오늘날에도 역사적 가치를 지닌 예술 작품으로 평가받고 있다.
6. 기념
남극의 혼디우스 만은 요도쿠스 혼디우스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12] 457248 혼디우스는 빈첸초 실바노 카줄리가 발견한 소행성대 소행성으로, 크기는 3.2km이며 그의 이름을 기려 명명되었다.[13]
참조
[1]
서적
Maps Through the Ages
White Star Publishers
[2]
서적
Early Modern Dutch Prints of Africa
[3]
서적
Engraving in England in the Sixteenth and Seventeenth Centuries: Part I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52
[4]
웹사이트
2020 Actions Taken
https://ohp.parks.ca[...]
State of California
2020-12-01
[5]
간행물
The first English globe: A recent discovery
[6]
서적
Decorative Printed Maps of the 15th to 18th Centuries
https://archive.org/[...]
Spring Books
1965
[7]
서적
Biographisch woordenboek der Nederlanden
https://www.dbnl.org[...]
[8]
서적
The History of the Idea of Europe
Routledge
[9]
웹사이트
Maps : The theatre of the empire of Great Britaine: presenting an exact geography of the kingdomes of England, Scotland, Ireland,...
https://cudl.lib.cam[...]
2022-12-14
[10]
웹사이트
Venezuela with the Southern Part of New Andalusia
http://www.wdl.org/e[...]
1612–1699
[11]
서적
Vermeer and Cartography
Boston University
[12]
웹사이트
Gazetteer - AADC
https://data.aad.gov[...]
2022-12-14
[13]
웹사이트
Small-Body Database Lookup
https://ssd.jpl.nasa[...]
2024-12-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