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한 폰 작센 선제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요한 폰 작센 선제후는 1468년 마이센에서 태어나 1532년 슈바이니츠에서 사망한 인물로, 형 프리드리히 3세의 뒤를 이어 1525년 작센 선제후가 되었다. 그는 "결연공"이라는 별명처럼 종교 개혁을 적극 지지하여, 1527년 루터교를 작센의 국교로 확립하고, 1530년 슈말칼덴 동맹의 지도자로 활동했다. 마르틴 루터의 후원자로서 개신교 신학자들과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했으며, 1529년 슈파이어 제국 회의에서 개신교 소수파를 대표했다. 그는 두 번 결혼하여 자녀를 두었으며, 장남 요한 프리드리히가 그의 뒤를 이어 선제후가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마이센 출신 - 랄프 슈만
랄프 슈만은 독일의 사격 선수로, 1990년 세계 선수권 대회와 1992년, 2004년 올림픽에서 우승했으며, 정밀 기계공으로 맞춤형 권총을 설계하기도 했다. - 마이센 출신 - 아담 폰 브레멘
아담 폰 브레멘은 11세기 독일의 성직자이자 연대기 작가로, 《함부르크 주교들의 사적》을 저술하여 함부르크-브레멘 대교구와 북유럽의 역사, 지리를 기록했으며, 특히 빈란드에 대한 초기 유럽 기록을 남겼다. - 1532년 사망 - 폼페오 콜론나
폼페오 콜론나는 로마 콜론나 가문 출신으로 오르시니 가문과의 싸움, 성직자로서의 주요 직책, 교황과의 갈등과 복귀, 추기경 임명, 콘클라베 참여, 로마 약탈 연루, 나폴리 부왕 역임, 그리고 시인으로서의 활동 등 다채로운 경력을 지녔다. - 1532년 사망 - 한형윤
- 작센 선제후 - 아우구스트 3세
아우구스트 3세는 폴란드 왕이자 리투아니아 대공, 작센 선제후였으며, 폴란드 왕위 계승 전쟁으로 왕위에 올라 예술과 건축을 후원했지만, 폴란드 문제에는 소극적이었고 통치 기간을 하인리히 폰 브륄에게 위임했다. - 작센 선제후 - 아우구스트 2세
아우구스트 2세는 작센 선제후 프리드리히 아우구스트 1세로서 1697년부터 1706년, 1709년부터 1733년까지 폴란드 국왕이자 리투아니아 대공를 지냈으며, 폴란드 왕위를 위해 가톨릭으로 개종, 대북방 전쟁에 참여하여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을 러시아 영향력 아래 두었고 드레스덴을 문화 중심지로 발전시키는 데 기여했다.
요한 폰 작센 선제후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작위 | 작센 선제후 |
재위 기간 | 1525년 5월 5일 – 1532년 8월 16일 |
출생일 | 1468년 6월 30일 |
출생지 | 신성 로마 제국, 작센 선제후령, 마이센 |
사망일 | 1532년 8월 16일 |
사망지 | 신성 로마 제국, 작센 선제후령, 슈바이니츠 |
매장지 | 비텐베르크, 비텐베르크 성 교회 |
종교 | 로마 가톨릭교회 (1468–1525) → 루터교 (1525–1532) |
가문 | |
왕가 | 베틴 가문, 에른스트 가문 |
아버지 | 에른스트 |
어머니 | 엘리자베트 폰 바이에른 |
결혼 및 자녀 | |
배우자 | 조피 폰 메클렌부르크-슈베린 (1500년 결혼, 1503년 사망) 마르가레테 폰 안할트-쾨텐 (1513년 결혼, 1521년 사망) |
자녀 | 요한 프리드리히 1세 마리아, 포메른 공작 부인 요한 요한 에른스트 |
통치 | |
이전 통치자 | 프리드리히 3세 |
다음 통치자 | 요한 프리드리히 1세 |
2. 생애
요한은 1468년 마이센에서 에른스트와 엘리자베스의 일곱 자녀 중 다섯째로 태어났다. 1486년부터 그는 아이가 없는 형 프리드리히의 상속인이었다. 요한은 부친의 유산 일부를 물려받았고, 이후 막시밀리안 1세를 여러 차례 지원했다. 1525년 형이 죽자 요한은 선제후 칭호를 물려받았다.[1]
요한은 작센 선제후령 공작으로 40년 가까이 통치했지만, 베틴가 가문의 맏이이자 현직 선제후로서 작센의 정책을 결정적으로 결정한 형 프리드리히에게 종종 가려졌다. 정치 문제에서 그는 종종 주저하는 모습을 보였다. 필리프 1세와의 협력에서 필리프는 공격적인 외교 정책을 주장했지만, 요한은 황제에 맞서 개신교를 방어하는 문제에 관심을 기울였다.
독일 복음주의 교회는 종교 개혁 기간 동안 요한의 중요성을 기려 8월 16일 복음주의 이름 달력에 기념일을 정했다.
2. 1. 종교 개혁 지지
요한은 에른스트와 엘리자베스의 일곱 자녀 중 다섯째로 마이센에서 태어났다.[1] 1486년부터 그는 아이가 없는 형 프리드리히의 상속인이었다. 요한은 부친의 유산 일부를 물려받았고, 이후 막시밀리안 1세를 여러 차례 지원했다. 1525년 형이 죽자 요한은 선제후의 칭호를 물려받았고, 마르틴 루터의 초기 지지자로서 곧 개신교 개혁가들 사이에서 두각을 나타냈다.[1] 그의 별명인 "결연공(The Steadfast)"이 의미하듯, 그는 형의 정책을 굳건히 이어받아 프로테스탄트 종교 개혁의 발전을 보호했다.1525년 독일 농민 전쟁 중 봉기를 진압하는 데 기여한 요한은 필리프 1세를 도와 개혁자들을 보호하기 위해 1526년에 결성된 고타 동맹을 설립했다. 그는 1526년 슈파이어 제국 회의에서 활동했으며, 제국 회의의 휴정에 반대하는 항의서에 서명했다. 이것은 그에게 작센에서 교회를 개혁할 기회를 주었고, 루터가 예배 계획을 세웠다. 그리하여 1527년 루터교는 선제후가 주교로 있는 에른스틴 작센의 국교로 확립되었다. 이미 오랫동안 열렬한 루터교 신자였던 요한은 이제 교회를 완전히 장악하고, 루터교 신앙을 도입했으며, 가톨릭 신앙을 고수한 모든 사제의 해임을 명령하고, 루터가 작성한 자국어 예배 형식을 사용하도록 지시했다. 그는 종교 개혁을 옹호하기 위해 1530년에 결성된 개신교 국가들의 슈말칼덴 동맹의 지도자였으며, 1532년 뉘른베르크 종교 평화에 동의했다.[1]
그의 별명에서 알 수 있듯이, 그는 형과 마찬가지로 종교 개혁에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다. 그의 굳건함과 신앙적 입장을 지키려는 용기는 아마도 동시대인들에게 가장 큰 명성을 안겨주었다.
마르틴 루터의 후원자로서 요한은 개신교 지도적 신학자와 매우 가깝고 거의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했다. 루터는 요한에 대해, 특히 1530년 아우크스부르크 제국 회의에서의 행동에 대해 긍정적인 의견을 자주 표명했으며, 다음과 같이 칭찬했다. "나는 작센 선제후 요한이 성령을 가지고 있다고 확신합니다. 아우크스부르크에서 그는 자신의 고백을 통해 이를 훌륭하게 증명했습니다. 요한은 '나의 학자들에게 그들이 옳은 일을 하고 있으며, 하나님을 찬양하고 존경하며, 나와 나의 나라를 전혀 신경 쓰지 말라고 전하십시오.'" 요한은 개신교 신앙 고백을 고집하면서 황제에게 너무 순종적인 개신교 신학자들을 해고하기까지 했다.
1529년 요한은 슈파이어 제국 회의에서 개신교 소수파의 군주 대표에 속했다.
1468년 마이센에서 에른스트와 그의 아내였던 바이에른 공작알브레히트 3세의 딸 엘리자베트의 다섯째 아들로 태어났다. 마르틴 루터의 후원자로 유명한 형 프리드리히 3세 (현명공)에게는 정실 부인이 없었기 때문에, 1525년 형이 사망하자 선제후위를 계승했다. 별명인 "불변공"이 나타내듯이, 요한은 형이 채택한 종교 개혁에 대한 지지를 이어갔다. 1527년에는 루터파를 작센의 국교로 정했고, 1531년에는 장남 요한 프리드리히가 헤센 방백필리프 1세 (관대공) 등과 함께 슈말칼덴 동맹을 결성했다.
2. 2. 마르틴 루터와의 관계

요한은 에른스트와 엘리자베스의 다섯째 아들로 마이센에서 태어났다. 그는 형 프리드리히의 뒤를 이어 선제후가 되었고, 프로테스탄트 종교 개혁을 적극적으로 지지했다.[1] 그의 별명인 "결연공(The Steadfast)"처럼, 그는 형의 정책을 이어받아 종교 개혁을 보호했다.
요한은 1525년 독일 농민 전쟁 진압에 기여했고, 1526년 필리프 1세와 함께 고타 동맹을 설립하여 개혁자들을 보호했다. 같은 해 슈파이어 제국 회의에서 활동하며 제국 회의의 휴정에 반대하는 항의서에 서명했다. 이를 통해 작센에서 교회를 개혁할 기회를 얻었고, 마르틴 루터가 예배 계획을 세웠다. 1527년 루터교는 에른스틴 작센의 국교로 확립되었고, 요한은 교회를 장악하고 루터교 신앙을 도입하며 가톨릭 신앙을 고수한 사제들을 해임했다. 또한, 루터가 작성한 자국어 예배 형식을 사용하도록 지시했다. 1530년에는 개신교 국가들의 슈말칼덴 동맹의 지도자였으며, 1532년 뉘른베르크 종교 평화에 동의했다.[1]
요한은 마르틴 루터의 후원자로서, 루터와 매우 가깝고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했다. 루터는 요한에 대해 긍정적인 의견을 자주 표명했으며, 특히 1530년 아우크스부르크 제국 회의에서의 행동을 칭찬했다. 요한은 개신교 신앙 고백을 고집하며 황제에게 너무 순종적인 개신교 신학자들을 해고하기도 했다.
1529년 요한은 슈파이어에서 열린 제국 회의에서 개신교 소수파의 군주 대표(항의) 중 한 명이었다.
2. 3. 사망
요한은 1532년 8월 16일 비텐베르크의 슈바이니츠에서 사망했다.[1] 그의 사후, 성 교회에 형 프리드리히처럼 한스 피셔의 무덤과 함께 묻혔다. 그의 뒤를 장남 요한 프리드리히가 이었다.
3. 가족 관계
요한 폰 작센 선제후는 두 번 결혼했다. 1500년 3월 1일 토르가우에서 메클렌부르크-슈베린의 조피와 첫 번째 결혼을 하였고, 1513년 11월 13일 토르가우에서 안할트-쾨텐의 마르가레테와 두 번째 결혼을 했다.
3. 1. 첫 번째 결혼
1500년 3월 1일 토르가우에서 요한은 메클렌부르크-슈베린의 조피(메클렌부르크 공작 마그누스 2세의 딸)와 결혼했다. 그들은 아들 하나를 두었다.- 요한 프리드리히 1세 (1503년 6월 30일, 토르가우 - 1554년 3월 3일, 바이마르)
3. 2. 두 번째 결혼
1513년 11월 13일 요한은 안할트-쾨텐의 마르가레테와 토르가우에서 두 번째 결혼을 했다. 그들 사이에는 4명의 자녀가 있었다.이름 | 출생 | 사망 | 비고 |
---|---|---|---|
마리아 | 1515년 12월 15일, 바이마르 | 1583년 1월 7일, 볼가스트 | 1536년 2월 27일 포메라니아-볼가스트의 필리프 1세와 결혼 |
마르가레테 | 1518년 4월 25일, 츠비카우 | 1545년 3월 10일 | 한스 부서와 결혼 |
요한 | 1519년 9월 26일, 바이마르 | 1519년 9월 26일, 바이마르 | 출생 당일 사망 |
작센-코부르크 공작 요한 에른스트 | 1521년 5월 10일, 코부르크 | 1553년 2월 8일, 코부르크 |
4. 평가 및 유산
요한은 마이센에서 에른스트와 엘리자베스의 일곱 자녀 중 다섯째로 태어났으며, 1486년부터 아이가 없는 형 프리드리히의 상속인이었다.[1] 1525년 형이 죽자 선제후가 된 그는 '결연공(The Steadfast)'이라는 별명처럼 형의 정책을 이어받아 프로테스탄트 종교 개혁을 보호했다.[1]
독일 농민 전쟁 진압에 기여한 그는 필리프 1세와 함께 1526년 고타 동맹을 설립했고, 슈파이어 제국 회의에서 제국 회의 휴정에 반대하는 항의서에 서명했다.[1] 이를 통해 작센에서 교회를 개혁할 기회를 얻은 그는 1527년 루터교를 국교로 확립하고, 루터교 신앙 도입과 가톨릭 사제 해임, 루터식 예배 형식을 지시했다. 또한 1530년 슈말칼덴 동맹의 지도자였으며, 1532년 뉘른베르크 종교 평화에 동의했다.[1]
그는 형처럼 종교 개혁에 긍정적이었으며, 굳건함과 신앙을 지키려는 용기로 명성을 얻었다. 그의 정치적 결정은 기독교 신앙에 바탕을 두었고 공정하다고 여겨졌다. 마르틴 루터의 후원자로서 루터와 매우 가깝고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했으며, 루터는 요한을 자주 칭찬했다. 1529년 슈파이어 제국 회의에서 개신교 소수파 군주 대표 중 한 명이었다.
작센 선제후령을 40년 가까이 통치했지만, 형 프리드리히에게 가려져 종종 배경 인물로 잘못 묘사되기도 한다.
독일 복음주의 교회는 그의 종교 개혁 기간 동안의 중요성을 기려 8월 16일을 기념일로 정했다.
그는 슈바이니츠에서 사망했고, 성 교회에 한스 피셔의 무덤과 함께 묻혔다. 그의 뒤를 장남 요한 프리드리히가 이었다.
참조
[1]
EB1911
John, Elector of Saxony
[2]
문서
Brecht, 2:260–63, 67; Mullett, 184–8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