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마르틴 루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르틴 루터는 1483년 독일에서 태어난 신학자이자 종교 개혁가이다. 그는 법학을 중퇴하고 수도사가 된 후, 로마 가톨릭 교회의 면죄부 판매에 반발하여 1517년 95개조 반박문을 발표하며 종교 개혁을 시작했다. 루터는 '오직 성경', '오직 믿음', '오직 은혜'를 강조하며, 십자가 신학, 만인 제사장 사상을 전개했다. 그는 독일어로 성경을 번역하고 찬송가를 작곡하는 등 유럽 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지만, 유대인에 대한 부정적인 발언으로 비판을 받기도 했다. 루터의 종교 개혁은 루터교를 비롯한 다양한 개신교 교파의 형성에 영향을 미쳤으며, 유럽 사회와 사상에 광범위한 변화를 가져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우구스티노회 탁발수도사 - 에지디우스 로마누스
    에지디우스 로마누스는 아리스토텔레스 철학을 옹호하고 정치 철학 및 교회 권력에 대한 저술을 남긴 중세 철학자이자 신학자로서, 토마스 아퀴나스의 제자였으며 《군주론》을 저술하여 정의를 강조했고 아우구스티누스 수도회 총장과 부르주 대주교를 역임하며 에지디우스 학파 형성에 영향을 미쳤다.
마르틴 루터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마르틴 루터, 1528년
"마르틴 루터", 1528년
존칭 접두사목사
이름마르틴 루터
존칭 접미사OSA
출생 이름마르틴 루더
출생일1483년 11월 10일
출생지신성 로마 제국 만스펠트 백국 아이스레벤
사망일1546년 2월 18일
사망지신성 로마 제국 만스펠트 백국 아이슬레벤
학력에르푸르트 대학교 (Artium Baccalaureus, 1502; Artium Magister, 1505)
비텐베르크 대학교 (Biblicus Baccalaureus 성경, 1508; Sententiarius Baccalaureus 판결집, 1509; Theologiæ Doctor 성경, 1512)
직업사제
신학자
저술가
찬송가 작가
배우자카타리나 폰 보라 (1525년 결혼)
자녀한스(요하네스)
엘리자베트
마그달레나
마르틴
파울
마르가레테
주요 저서95개조 논제 (1517)
서명
시대르네상스
전통 운동종교 개혁
루터교
주요 관심사신학 서론
구원론
주요 사상율법과 복음
오직 믿음
십자가 신학
두 왕국론
종교 경력
교단가톨릭 (사제 서품 당시)
부제 서품서품자: 마인츠 대교구 보좌 주교 요하네스(또는 요한) 보네밀히 폰 라스페
날짜: 1507년 2월 27일
장소: 성 마리아 대성당, 에르푸르트, 신성 로마 제국
사제 서품서품자: 브란덴부르크 교구 주교 히에로니무스(또는 제롬) 슐츠 OPraem
날짜: 1507년 4월 3/4일
장소: 성 마리아 대성당, 에르푸르트, 신성 로마 제국
추가 정보
매장 장소비텐베르크 성 교회 (1546년 2월 22일)
종교가톨릭교회(1521년 파문)
루터교
부모아버지: 한스 루더
어머니: 마르가레타
직업신학자
사제
목사
모교에어푸르트 대학교
루터교 관련 정보

2. 생애

마르틴 루터는 로마 가톨릭교회의 부패와 교황권 남용에 맞서 종교 개혁을 이끈 인물이다. 그는 성경의 권위와 그리스도를 믿는 믿음, 그리고 하나님의 은총을 통한 구원을 강조했다. 루터의 핵심 주장은 "오직 성경, 오직 믿음, 오직 은혜, 오직 그리스도, 오직 하나님께 영광"(Sola scriptura, Sola fide, Sola Gratia, Solus Christus, Soli Deo Gloria)으로 요약된다. (다섯 솔라) 그는 설교자, 박사, 교수로 불리기를 원했으며, 그의 활동은 개신교 탄생, 성서 번역, 저술 활동 등을 통해 사회와 역사에 큰 영향을 미쳤다. 대한민국의 기독교 한국 루터회에서는 그를 '''마틴 루터'''라고 부른다.

수도사 시절의 마르틴 루터


1517년 10월 31일, 루터는 95개조 반박문을 발표하여 로마 가톨릭 교회의 면죄부 판매에 반대했고, 이는 종교 개혁의 기폭제가 되었다. 1521년 신성 로마 제국 황제 카를 5세는 봄스 칙령을 통해 루터를 이단으로 규정했으나, 작센 선제후 프리드리히 3세의 보호를 받으며 바르트부르크 성에서 성경독일어로 번역하는 등 활발한 활동을 이어갔다. 1525년에는 전직 수녀였던 카타리나 폰 보라와 결혼하여 가정을 이루었다.

루터는 만년에 여러 질병으로 고생하다가 1546년 2월 18일 자신의 고향인 아이슬레벤에서 62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2. 1. 어린 시절과 교육

마르틴 루터는 1483년 독일 작센안할트주 아이슬레벤에서 광산업에 종사하는 아버지 한스 루터[316]와 어머니 마르가레테 린데만 사이에서 태어났다. 루터는 주기도문에서 "하늘에 계신 우리 아버지"라는 문장에 부담을 느낄 만큼 엄격한 아버지 밑에서 자랐다.[316] 아버지는 아들이 법률가가 되어 사회적으로 성공하기를 바랐고, 이에 루터는 에르푸르트 대학교에 입학하여 법률가가 되기 위한 공부를 시작했다.

루터는 에르푸르트 대학교에서 교양 학부 4년 동안 삼학(三學, triviumla)[317]과 사학(四學, quadriviumla)[318]을 공부하였고, 1502년 9월 문학 학사 학위, 1505년 1월에는 17명 중 차석으로 문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317]

1505년 7월 2일, 루터는 대학교로 돌아가던 길에 뇌우를 만났고, 근처에 번개가 떨어졌다. 그는 죽음과 신의 심판에 대한 공포를 느껴 "도와주세요! 성 안나, 저는 수도사가 되겠습니다!"라고 외쳤다.[28][29] 그는 이 약속을 지키기 위해 대학교를 떠나 책을 팔고 1505년 7월 17일 에르푸르트의 성 아우구스티누스 수도원에 들어갔다.[30]

2. 2. 수도 생활과 신학적 고민

1505년 7월 17일 루터는 에르푸르트에 있는 아우구스티누스 수도회 소속 “검은 수도원”에 입회하여 수사신부가 되었다.[319] 그는 수도회 규칙에 따라 단식, 기도, 순례, 고해에 전념했다.[33] 수도 생활 중에도 죄인인 인간이 거룩하신 하나님과 바른 관계를 맺을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한 고민은 계속되었다.

요한 폰 스타우피츠 교수는 루터에게 성서를 진지하게 공부하면 평안을 찾을 것이라고 조언했고, 이에 루터는 비텐베르크 대학교에서 성서학 교수 사제로 임명되었다.[319] 1507년에는 사제로 서품되었지만, 첫 미사를 집전할 때 하느님 앞에 직접 서 있다는 사실에 두려움을 느끼기도 했다.[319] 이후 비텐베르크 대학교에서 철학신학 강좌를 맡게 되었고, 스콜라학적인 접근의 한계를 느끼며 신을 이성으로 파악하는 것은 어렵다는 이해에 도달했다.

루터는 로마서 1장 17절을 통해 칭의 교리를 새롭게 확립했다.[320][321][322] 칭의란 오직 그리스도를 믿음으로 죄인이 의인으로 인정받는다는 교리로, 하나님의 의는 은혜로 주어지는 수동적인 것이라는 내용이다.

  • "복음에는 하나님의 의가 나타나서 믿음으로 믿음에 이르게 하나니 기록된 바 오직 의인은 믿음으로 말미암아 살리라 함과 같으니라" (로마서 1:17)[322]


루터는 이러한 “탑의 경험”을 통해 “믿음으로 의롭다 함”이라는 신학적 발상을 얻게 되었고, 이는 종교개혁의 중요한 기반이 되었다.[281]

2. 3. 95개조 반박문과 종교개혁의 시작

마르틴 루터는 로마 가톨릭교회의 부패와 교황권 남용에 맞서 1517년 10월 31일 95개조 반박문을 발표했다.[323] 이는 종교 개혁의 기폭제가 되었다. 루터는 성경만이 기독교 신앙의 최고 권위이며, 구원은 오직 그리스도를 믿는 믿음과 하나님의 은총으로만 가능하다는 점을 역설했다. 그의 핵심 주장은 "오직 성경, 오직 믿음, 오직 은혜, 오직 그리스도, 오직 하나님께 영광"(Sola scriptura, Sola fide, Sola Gratia, Solus Christus, Soli Deo Gloria)으로 요약된다. (다섯 솔라)

95개조 반박문


비텐베르크 만성교회 문. 원래 문은 소실되었으나 1857년 프로이센의 프리드리히 빌헬름 4세가 다시 제작했다.


당시 로마 가톨릭 교회는 면죄부 판매를 통해 '돈으로 구원을 살 수 있다'고 가르쳤다. 이는 루터의 신앙에 정면으로 배치되는 것이었다. 1517년 10월 31일, 루터는 비텐베르크 만성 교회(de) 문에 95개조 반박문을 게시하여 면죄부 판매를 비판하고 교회와의 논쟁을 시작했다.[323] 다만, 루터가 직접 반박문을 게시했는지는 불분명하며, 필리프 멜란히톤이 루터 사후 저서에서 처음 언급했다.[323]

면죄부로마 가톨릭교회의 고해성사와 연관된 것으로, 죄에 대한 벌을 면제해주는 증서였다. 그러나 면죄부가 교회의 주요 수입원이 되면서, 요한 테첼 등은 "금화가 헌금궤에 떨어지는 소리와 함께 영혼연옥에서 천국으로 올라간다"고 선전하며 신자들을 기만했다.

루터는 1516년 10월 31일1517년 2월 설교에서 이미 면죄부 판매를 비판한 바 있다. 1517년 10월 31일, 제성기념일 전날 밤에 95개조 반박문을 비텐베르크 만성 교회(de) 문에 게시했다.

95개조 반박문에서 루터는 "예수 그리스도께서 '회개하라' 하신 것은 신자들의 전 생애가 참회여야 함을 요구하신 것"(제1조)이라며, "교회의 참된 보화는 하나님의 영광과 은혜의 거룩한 복음"(제62조)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면죄부는 그리스도의 십자가 자비에 비할 수 없으며(제68조), 그리스도인은 면죄부가 아닌 '고난을 통해 하늘나라에 들어간다'(제95조)고 결론지었다.

2. 4. 로마 가톨릭교회와의 갈등

루터는 대학교에서 공부를 계속하던 중, 1505년 7월 2일 슈토테르하임 인근에서 벼락을 맞는 사건을 겪었다. 이때 루터는 광부들의 수호성인인 성 안나에게 도움을 청하며 사제가 되겠다고 맹세했다.[319] 이 사건을 하나님의 음성으로 받아들인 루터는 아버지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1505년 7월 17일 에르푸르트에 있는 아우구스티누스 수도회 소속 "검은 수도원"에 들어가 수사신부가 되었다.

수도원에서 루터는 죄인인 인간이 어떻게 거룩하신 하나님과 올바른 관계를 맺을 수 있는지에 대해 깊이 고민했다. 비텐베르크 대학교의 요한 폰 스타우피츠 교수는 루터가 성서 연구를 통해 평안을 찾을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여 그를 성서학 교수 사제로 임명했다. 루터는 로마서, 시편, 갈라디아서 강의를 통해 '의'에 대한 새로운 개념을 확립하게 되었다. 그는 칭의란 오직 그리스도를 믿음으로 죄인이 의인으로 인정받는 것이며, 하나님의 의는 하나님에 의해 은혜로 주어지는 수동적인 것이라고 가르쳤다.[322]

1517년 10월 31일, 루터는 비텐베르크의 만성 교회(de) 문에 ‘95개조 반박문’을 게시하며, 중세 로마 가톨릭 교회의 강제적인 면죄부 판매에 대해 비판했다. 그는 '돈으로 구원을 살 수 있다'라는 로마 가톨릭 교회의 가르침에 동의할 수 없었고, 면죄부 판매가 사람들의 목회적 양심과 책임에 해를 끼친다고 생각했다. 루터는 설교를 통해 면죄부 판매를 비판하기 시작했고, 1517년 10월 31일, 95개조 반박문을 통해 본격적인 논쟁을 시작했다. 이는 종교 개혁의 시발점이 되었다. 다만 루터가 직접 교회 문에 게시했는지에 대해서는 확인되지 않았으며, 필리프 멜란히톤에 의해 루터 사후에 처음으로 언급되었다.[323]

루터는 95개조 반박문에서 "우리의 주님이시며 선생이신 예수 그리스도께서 ‘회개하라’고 하실 때, 그는 신자들의 전 생애가 참회되어야 할 것을 요구하셨다"라고 주장했다. (제1조) 그는 교회의 참된 보화는 하나님의 영광과 은혜의 거룩한 복음이며, (제62조) 면죄부는 그리스도의 십자가에 나타난 자비에 비할 바가 아니라고 강조했다. (제68조) 또한 그리스도인은 면죄부와 같은 행위가 아니라, 오히려 많은 고난을 통해 하늘나라에 들어간다고 결론 내렸다. (제95조)

루터(오른쪽)와 토마스 카예탄 추기경(왼쪽)의 만남


루터가 자신의 주장을 굽히지 않자, 교황은 그를 종교 재판에 넘기기 위해 로마로 소환하려 했다. 그러나 선제후 프리드리히 3세와 대학의 반대로, 1518년 10월 12일에서 15일 사이에 아우크스부르크에서 추기경 토마스 카예탄이 루터를 심문하게 되었다. 카예탄은 루터에게 면죄부에 대한 교황의 교령을 제시하며 교황의 권위에 순종할 것을 요구했다. 그러나 루터는 교황보다 공의회가 더 높으며, 모든 인간은 오류를 범할 수 있기 때문에 기독교 신앙의 최종적인 권위는 교회가 아닌 성경에 있다고 반박했다. 또한, 죄인이라는 신분은 변하지 않지만, 하나님께서는 그리스도에 대한 믿음을 보시고 그리스도인을 의로운 사람으로 인정해주신다는 이신칭의를 굽히지 않았다. 결국 카예탄은 루터에게서 '뉘우친다'는 말을 듣지 못했고, 선제후 프리드리히 3세에게 루터를 로마로 보내거나 영지에서 추방하라고 압박했지만, 선제후는 루터를 보호했다.

1519년 1월, 교황청 특사 카를 폰 밀리츠()가 선제후에게 황금 장미를 전달하며 루터 문제를 해결하려 했다. 그는 루터를 추방하거나 로마로 압송할 경우 선제후에게 이익이 있을 것이라고 설득하려 했고, 루터와 만나 서로 침묵하기로 약속했다. 그러나 신학자 요한 에크는 루터의 교리를 공개적으로 비판하기로 결심하고, 1519년 6월과 7월에 라이프치히에서 루터의 동료 안드레아스 카를슈타트논쟁을 벌였다. 루터도 이 논쟁에 참여하여 교황이 성경을 해석할 독점적인 권리를 가지고 있지 않으며, 교황과 공의회 모두 오류가 있을 수 있다고 주장했다. 에크는 루터를 얀 후스와 같은 이단자로 낙인찍었고, 이후 루터를 꺾는 데 전념했다.

레오 10세의 마르틴 루터의 오류에 대한 교황령, 1521년, 일반적으로 Exsurge Domine으로 알려짐


1520년 6월 15일, 교황은 루터에게 교황 칙서 ''엑술르게 도미네''를 통해 60일 이내에 그의 저술, 특히 ''95개 조항''에서 발췌한 41개 문장을 철회하지 않으면 파문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1520년 12월 10일, 루터는 비텐베르크에서 교황 칙서와 교황령을 공개적으로 불태우며 자신의 입장을 확고히 했다.

결국 루터는 1521년 1월 3일 교황 레오 10세에 의해 교황 칙서 ''데체트 로마눔 폰티피켑''으로 파문당했다.[74]

2. 5. 바르트부르크 성에서의 피신과 성경 번역

루터는 바르트부르크 성에서 ‘강제된 휴가’ 기간 동안 성서 주석, 로마 가톨릭 학자들과의 서면 논쟁, 논문 저술, 신약성서 번역에 몰두했다. 루터가 번역한 독일어 성서는 1522년 9월에 출판되어 ‘9월 성서(Septemberbible)’라고 불렸다.[332]

바르트부르크 성(Wartburg Castle) 아이제나흐


루터가 신약전서를 독일어로 번역했던 바르트부르크 성의 방; 책상 위 상자에는 초판본이 보관되어 있다.


바르트부르크 성에 남아 있는 루터의 방


루터의 독일어 성서 번역은 신학적, 언어학적으로 중요한 사건이었다. 이 번역은 독일 기독교인들을 교회의 권위에서 해방하고 독일어 발전에 이바지했다. 종교개혁 이전에는 라틴어 성서만 사용되어 소수의 귀족성직자만 읽을 수 있었지만, 루터가 고지 독일어로 성서를 번역하면서 누구나 성서를 읽고 이해할 수 있게 되었다. 이는 독일 기독교인들이 성직자들의 지배에서 벗어나 자유롭게 성서를 접할 수 있게 했으며, 루터가 사용한 고지 독일어는 현대 표준 독일어가 되는 계기가 되었다.[332]

루터는 성서 번역에서 보통 사람들의 언어를 사용하고자 노력했으며, 슈팔라틴(de)에게 보낸 편지에서 “단순한 말을 가르쳐 주십시오. 궁정이나 성 안에서 쓰는 말은 사절합니다.”라고 번역 원칙을 밝혔다.

루터의 독일어 성서는 구텐베르크의 인쇄술 덕분에 빠르게 보급되어, 성서비평이 태동하는 거름이 되었다.[333]

1521년 봄스 제국회의에서 자신의 주장을 철회하지 않은 루터는 프리드리히 3세의 도움으로 바르트부르크 성에 피신했다.[284] 1521년 5월 25일 카를 5세는 루터를 이단자로 규정하고 그의 저서 소지를 금지하는 봄스 칙령을 발표했다.

1521년 "준커 요르크"로 변장한 루터


루터는 "융커 예르크(기사 게오르크)"라는 가명으로 1년 남짓 바르트부르크 성에 머물렀다.[83] 이 기간 동안 루터는 그리스어 신약전서를 독일어로 번역하고, 마인츠 대주교 브란덴부르크의 알브레히트를 공격하는 등 활발한 저술 활동을 펼쳤다.[85] 또한 루뱅 출신 신학자 야코부스 라토무스에게 하나님의 은총만이 인간을 의롭게 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86][87]

1521년 여름, 루터는 개인적인 경건에서 교회 관행의 중심 교리로 표적을 넓혔다. "사사로운 미사 폐지에 관하여"에서 미사를 우상 숭배로 규탄하고,[89] "고백에 관하여"에서는 강제 고백을 거부하고 사적인 고백과 해제를 장려했다.[90] 11월에는 "수도 서원에 대한 마르틴 루터의 판결"을 통해 수도 서원이 구원을 얻으려는 헛된 시도라고 주장했다.[91]

2. 6. 종교개혁의 확산과 결혼

루터는 1525년 6월 13일 42세의 나이에 16년 연하의 전직 로마 가톨릭교회 수녀였던 카타리나 폰 보라와 결혼했다.[110] 루터는 결혼 목적에 대해 늙은 아버지에게 자손을 안겨 주고, 결혼을 망설이는 사람들에게는 자신의 설교를 몸소 실천하여 본을 보이기 위한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자신이 가르쳐 온 것을 실천으로 확증하고 싶었고, 하나님께서 이 결혼을 뜻하셨다고 말했다. 그는 아내를 사랑한다고도 덧붙였다.[110]

루터의 결혼에 대해 동료들은 루터가 결혼하면 온 세상과 마귀가 웃을 것이며 그동안 이루어 놓은 일을 모두 헛수고로 만들 것이라고 걱정하며 반대했다. 특히 독일 농민 전쟁 와중에 그의 결혼 선언은 놀라움으로 받아들여졌다. 그러나 루터는 종교 개혁과 함께 복음이 전파되면서 사탄이 마지막 공격을 하고 있다고 믿었다.[110]

루터의 아내 카타리나 폰 보라의 1526년 초상화, 루카스 크라나흐 작


책상에 앉아 가족 초상화를 보고 있는 루터


1523년 4월, 루터는 12명의 수녀들이 님프셴의 시토 수녀원에서 탈출하는 것을 도왔는데, 카타리나 폰 보라는 그들 중 한 명이었다. 수녀들은 청어 통에 숨겨져서 탈출했다.[108] 루터는 벤체슬라우스 린크에게 보낸 편지에서 "갑자기, 그리고 전혀 다른 생각에 몰두하고 있을 때, 주님께서는 나를 결혼이라는 깊은 곳으로 몰아넣으셨습니다."라고 썼다.[109]

1525년 6월 13일, 루터와 카타리나는 요하네스 부겐하겐, 유스투스 요나스, 요하네스 아펠, 필립 멜랑히톤, 루카스 크라나흐와 그의 아내가 증인으로 참석한 가운데 약혼식을 올렸다.[110] 같은 날 저녁 부겐하겐에 의해 결혼식이 거행되었다.[110] 교회까지의 의식 행진과 결혼 피로연은 생략되었고, 2주 후인 6월 27일에 치러졌다.[110]

안드레아스 카를슈타트와 유스투스 요나스를 포함하여 일부 사제들과 전 수도회원들은 이미 결혼한 상태였지만, 루터의 결혼은 성직자 결혼에 대한 승인을 확고하게 했다.[111] 루터는 성경적 근거를 들어 오랫동안 가톨릭교회의 독신 서약을 비난해왔지만, 그의 결혼 결정은 멜랑히톤을 포함한 많은 사람들을 놀라게 했다.[112]

결혼 전 루터는 매우 소박한 음식을 먹었고, 그의 말대로 곰팡이 핀 침대는 몇 달 동안 제대로 정돈되지 않았다.[114]

루터와 그의 아내는 작센 선제후 요한 경건왕이 결혼 선물로 준 전 수도원인 "흑수도원(Lutherhaus)"으로 이사했다. 비록 돈이 부족할 때가 많았지만, 그들은 행복하고 성공적인 결혼 생활을 한 것으로 보인다.[115] 카타리나는 한스, 엘리자베트, 마달레나, 마르틴, 파울, 마가렛 등 여섯 명의 자녀를 낳았고, 농사와 하숙집 운영을 통해 생계를 꾸리는 데 도움을 주었다.[116] 루터는 1526년 8월 11일 미하엘 슈티펠에게 "나의 카티는 모든 일에서 너무나 친절하고 기쁘게 해주어서 나는 내 가난을 크로이소스의 부유함과 바꾸지 않겠소."라고 털어놓았다.[117]

2. 7. 독일 농민전쟁

토마스 뮌체르와 같은 급진적인 설교자들은 농민들에게 농민들의 요구를 내세워 봉기하도록 부추겼다.[100][101][102] 루터는 농민들의 불만에 공감하면서도 폭력에는 반대하며 세속 권위에 복종할 것을 강조했다.[103] 그러나 농민 봉기가 확산되자 루터는 귀족들에게 반란을 진압할 것을 촉구하며, 농민들을 "미친 개"에 비유하며 강경한 입장을 취했다.[104]

이러한 루터의 태도는 많은 농민들에게 배신감을 안겨주었고, 1525년 프랑켄하우젠 전투에서 농민군은 슈바벤 동맹에게 패배하고 뮌체르는 처형되었다.[105] 이 사건으로 종교 개혁의 급진적인 흐름은 약화되었고, 루터의 종교 개혁은 세속 권력의 보호 아래 발전하게 되었다.[106]

루터는 독일 농민전쟁을 진압하는 과정에서, 모든 농민을 자신이 죽였다고 언급하며, 그들을 죽이라고 명령한 사람이 바로 자신이라고 하였다.[107]

2. 8. 만년과 죽음

루터는 수년 동안 메니에르병, 현기증, 실신, 이명, 한쪽 눈의 백내장 등 여러 건강 문제에 시달렸다.[236] 1536년에는 신장 결석과 방광 결석, 관절염, 그리고 고막이 파열되는 귀 감염 증세를 겪기 시작했다. 1544년 12월에는 협심증 증상을 느꼈다.[237]

1545년과 1546년에 루터는 할레의 마르크트 교회에서 세 번 설교했고, 크리스마스에는 친구 유스투스 요나스와 함께 머물렀다.[239] 그의 마지막 설교는 1546년 2월 15일, 사망 3일 전 그의 출생지 아이슬레벤에서 행해졌다.[240]

루터의 마지막 여정은 만스펠트 백작 알브레히트가 루터 가문의 구리 광산 사업을 통제하려 했기 때문에, 형제들의 가족들이 아버지 한스 루터의 구리 광산 사업을 계속하는 것에 대한 염려 때문이었다. 루터는 1545년 말에 합의 협상에 참여하기 위해 두 번 만스펠트로 여행했고, 1546년 초에 세 번째 방문이 필요했다.

협상은 1546년 2월 17일에 성공적으로 종결되었다. 2월 18일 오전 1시에 그는 더 심한 가슴 통증으로 깨어나 따뜻한 수건으로 몸을 덥혔다. 그의 동료 유스투스 요나스와 미하엘 코엘리우스는 "존경하는 아버지, 당신은 당신의 주 예수 그리스도를 신뢰하고 그의 이름으로 가르쳤던 교리를 고백하며 죽을 준비가 되셨습니까?"라고 외쳤고, 루터는 분명하게 "예"라고 대답했다.[244]

뇌졸중으로 인해 말을 할 수 없게 되었고, 그 직후인 1546년 2월 18일 오전 2시 45분에 그의 출생지 아이슬레벤에서 62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그는 성당 강단 앞에 묻혔다.[245] 장례식은 그의 친구 요하네스 부겐하겐과 필립 멜란히톤이 집행했다.[246]

비텐베르크 성당 강단 아래 있는 루터의 묘비


라틴어로 된 비문이 새겨진 무덤의 클로즈업


루터는 평생 동안 다양한 질병에 시달렸는데,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시기질병 및 사건
1497년 (14세)티푸스로 추정되는 열병
1503년 (20세)단검에 허벅지를 다쳐 감염증을 동반, 장기간 치료[292]
1505년 (22세) 이후비텐베르크 수도원 생활 중 수면 부족과 긴장으로 인한 두통이명, 이후에도 이명 자주 발생
1516년 (33세)비텐베르크페스트 확산, 루터는 감염되지 않음
1518년 10월 경변비
수도원 시절갑작스러운 의식 소실을 동반한 경련 발작 (간질 여부는 불확실)
바르트부르크 성 은신 시절극도의 고독감과 번역 작업의 피로로 인한 일시적인 환시 및 환청 ("잉크병 던지기" 에피소드)
1525년 이후카타리나 루터와의 결혼 후 체중 증가
이후요관결석[293], 협심증, 여러 차례의 심장 발작, 치질, 현기증, 하지 궤양, 통풍, 요폐, 심근경색 (관상동맥경화증에 의한)


3. 신학 사상

마르틴 루터는 로마 가톨릭교회의 부패와 교황 권위의 문제점에 맞서 성경을 기독교 신앙의 최고 권위로 내세우고, 그리스도를 믿는 믿음과 하나님의 전적인 은혜를 통한 구원을 강조했다. 루터의 주장은 "오직 성경, 오직 믿음, 오직 은혜, 오직 그리스도, 오직 하나님께 영광"(Sola scriptura, Sola fide, Sola Gratia, Solus Christus, Soli Deo Gloria) (다섯 솔라)으로 요약된다. 루터는 자신을 종교 개혁을 일으킨 자가 아니라, 하나님에 이끌려 복음을 전파한 설교자, 박사, 교수로 여겼다. 그러나 그의 성서 번역, 저술, 작곡, 설교 활동은 개신교 탄생뿐 아니라 사회와 역사 전반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대한민국의 기독교 한국 루터회에서는 루터를 '''마틴 루터'''라고 부른다.[336]

종교 개혁 운동은 로마 가톨릭의 문제점을 비판하며 교회 개혁을 주장했다.

십자가의 신학을 이해하려면 먼저 루터가 말한 영광의 신학을 알아야 한다.

교황은 루터가 자신의 주장을 철회하지 않자 종교 재판에 회부하기 위해 로마로 소환했다. 그러나 선제후 프리드리히 3세와 대학의 반대로 아우크스부르크에서 추기경 토마스 카예탄(Thomas Cajetan)의 심문을 받게 되었다. 1518년 10월 12일부터 15일까지 심문에서 카예탄은 면죄부를 승인한 교황의 권위에 순종할 것을 요구했다. 그러나 루터는 교황보다 공의회가 더 높으며, 모든 인간은 오류를 범할 수 있으므로 기독교 신앙의 최종 권위는 교회가 아닌 성서에 있다고 반박했다. 또한 죄인의 신분은 변하지 않지만, 하나님께서 그리스도에 대한 믿음을 보시고 그리스도인을 의로운 사람으로 인정하신다는 칭의론(이신칭의)도 굽히지 않았다. 결국 카예탄은 루터에게서 ‘뉘우친다’는 말을 듣지 못하고, 선제후 프리드리히 3세에게 루터를 ‘로마로 보내거나 영지에서 추방하라’고 압박했지만, 선제후는 루터를 보호했다.

1519년 1월, 교황청황금 장미를 가진 밀티츠(:de:Karl von Miltitz)를 선제후에게 보내 루터를 추방하거나 로마로 압송하면 선제후에게 이익이 있을 것이라고 설득했다. 밀티츠는 루터와 만나 앞으로 서로 침묵하기로 약속했다.

루터의 종교개혁1517년부터 1520년 사이에 로마 가톨릭교회와 결별하는 동시에, 개혁 진영 내부 세력들과도 차별화되는 과정을 겪었다. 1521년부터 1525년까지는 안드레아스 카를슈타트, 토마스 뮌처, 농민들을 중심으로 한 급진적 개혁운동과, 1524년부터 1525년까지는 에라스뮈스를 비롯한 인문주의자들과 차별화되었다. 이 과정에서 루터는 농민, 토마스 뮌처, 인문주의자들에게 외면받아 종교개혁의 급속한 발전을 막는 결과를 낳기도 했지만, 하나님의 은혜에 대한 복음이 열광주의적 신비주의, 인문주의적 계몽, 사회정치적 급진주의로 오해받는 것을 막는 결과도 가져왔다.

이 과정에서 루터는 오직 하나님의 말씀만을 의지했다. 성서 정경화 이전에는 교회가 있었다는 이해에 따라 교회와 전통의 권위를 성서 위에 둔 로마 가톨릭교회에 대해 루터는 ‘성서만으로’를 주장했다. 또한 인간의 종교적 경험을 강조하는 열광주의자들의 주관적인 계시 이해에 대해서는 성서의 객관적인 말씀을, 에라스뮈스의 인문주의에 대해서는 성서가 말하는 확실성을 주장했으며, 복음을 정치적으로 해석한 농민혁명에 대해서는 복음은 오직 양심만을 상대한다고 했다.

루터는 하나님의 말씀이 온전히 전파되면 그 결과는 저절로 온다고 확신했다.

왼쪽에 루터, 예수에게서 부활하는 나사로, 루카스 크라나흐 1세(Lucas Cranach the Elder) 작품, 1558년


장 칼뱅[165]과 필립 멜랑히톤[166]의 견해와는 달리, 루터는 그리스도인의 영혼이 죽음으로 몸과 분리된 후 잠든다는 믿음이 잘못된 교리가 아니라고 주장했다.[167] 그는 부자와 나사로 비유와 같은 성경 구절에 대한 전통적인 해석에 이의를 제기했고,[168] 성도들의 고통에 대한 생각도 거부했다. "영혼들이 몸을 떠나 지옥의 고통과 형벌의 위협을 받는 것이 아니라, 평화롭게 잠드는 준비된 침실로 들어간다는 것을 아는 것으로 충분하다."[169] 그는 죽은 후 속죄의 고통을 겪는 그리스도인의 영혼에 대한 연옥의 존재도 부정했다.[170] 그는 죽음 너머 개인 정체성의 연속성을 확인했으며, 슈말칼덴 논항에서 성도들이 현재 "무덤과 천국에" 거주하고 있다고 묘사했다.[171]

루터 신학자 프란츠 피퍼는 루터의 죽음 후 그리스도인 영혼의 상태에 대한 가르침이 요한 게르하르트와 같은 후대 루터 신학자들과 달랐다고 지적한다.[172] 레싱(1755)은 이 문제에 대한 루터교 정통주의 분석에서 이전에 같은 결론에 도달했다.[173]

루터의 「창세기 주석」에는 "영혼은 잠들지 않고(''anima non sic dormit''), 깨어 있고(''sed vigilat'') 환상을 경험한다"는 결론을 내리는 구절이 있다.[174] 프랜시스 블랙번은 존 조르틴이 이 구절과 루터의 다른 구절들을 잘못 해석했다고 주장하는 반면,[175] 고트프리트 프리첼은 그것이 실제로 "이 생애에서"(''homo enim in hac vita'') 일상의 노동에 지친(''defatigus diurno labore'') 사람의 영혼을 가리키는 것이며, 밤에 그의 침실로 들어가고(''sub noctem intrat in cubiculum suum'') 그의 수면은 꿈에 의해 방해받는다는 것을 지적한다.[176]

1898년 헨리 아이스터 제이콥스의 영어 번역은 다음과 같다.

> "그러나 이 생의 수면과 미래 생의 수면은 다릅니다. 왜냐하면 '''이 생애에서''' 사람은 그의 일상적인 노동에 지쳐서, 해가 질 무렵 그의 침대에 가서 평화롭게 잠들고 휴식을 취합니다. 그는 불이나 살인과 같은 악에 대해 아무것도 알지 못합니다."[177]

이러한 활동을 하면서 루터는 비텐베르크 대학교에서 성서 강의를 계속했다. 종교사와 사상사, 문화사에 큰 발자취를 남긴 마르틴 루터는 1546년 2월 18일 고향 아이슬레벤(Eisleben)에서 세상을 떠나 같은 해 2월 22일 비텐베르크 성당(Schlosskirche Wittenberg)에 매장되었다.

루터는 “사람의 모습으로 나타나신 하나님의 말씀인 예수 그리스도에게만 따른다”고 하여 칼뱅주의보다 신앙을 더 중시하며, 믿음으로 의롭다 함(믿음만으로의 의롭다 함, 라틴어로 Sola fide, 소라 피데), 오직 성경, 만인 제사장 등의 사상을 전개했다.

또한, 루터는 독일 농민 전쟁 당시 행위로 의롭다 함은 아니지만 세속 질서를 존중하는 입장에서 농민 폭동을 비판했다. 유대인을 개종시키려고 시도했지만 실패하여 『유대인과 그들의 거짓말에 관하여』(1543년) 등을 저술하여 반유대주의적 견해를 발표했고[295][296][297], 후대 나치의 반유대주의 정책과 통하는 제안을 했다.[298]

3. 1. 오직 성경, 오직 믿음, 오직 은혜

루터의 신학 핵심 사상은 "믿음만으로(sola fide)!", "은총만으로(sola gratia)!", "성서만으로(sola scriptura)!"라는 세 가지 구호로 요약된다.[336]

루터는 로마 가톨릭 교회가 성서의 권위, 성령의 영감, 하나님의 은총, 믿음의 중요성을 언급하면서도 실제로는 인간 중심적인 종교에 갇혀 있다고 비판했다. 로마 가톨릭 교회는 성서 해석에 있어 교황의 권위를 성서보다 우선시했고, 은총을 인간이 율법적 의를 쌓는 것을 돕는 '능력'으로만 한정했으며, '선행으로 형성된 믿음'을 강조했다.

반면 루터는 성서가 명료하고 이해하기 쉬워 누구나 읽을 수 있으며, 별도의 해석자가 필요 없다고 역설했다(성서만으로!). 그는 은총을 하나님이 그리스도 안에서 죄인을 의롭다고 인정하는 '호의'로 이해했으며(은총만으로!), 하나님의 약속을 믿는 믿음은 즉시 모든 율법을 완성하고 인간을 의롭게 만든다고 주장했다(믿음만으로!).

'오직 성서'(Sola Scriptura)는 교권주의에 대한 저항이었다. 루터는 신학과 교리의 최우선적인 권위가 성서에 있다고 선언함으로써 교황의 권위가 절대적이지 않음을 명확히 했다.[336]

이 세 가지 종교개혁 구호는 '오직 그리스도'라는 원칙 아래 서로 연결된다. 루터는 성서의 중심 주제가 그리스도라고 보았으며, '은총만으로'는 대속을 위한 그리스도의 십자가 죽음의 중요성과 충분성을, '믿음만으로'는 율법을 완성하신 그리스도에 대한 신앙 고백을 전제로 한다.

"믿음으로 의롭게 된다"는 가르침은 윤리, 문화, 정치 등 삶의 모든 영역에 적용된다. 믿음을 통해 하나님께 의롭다고 인정받은 사람은 더 이상 자신의 행위를 통해 하나님께 의로움을 증명할 필요가 없다. 대신 그는 자신의 행위를 필요로 하는 이웃에게 베풂으로써 율법의 완성인 이웃 사랑[338]을 실천하고, 하나님이 주신 소명에 충실하며 거룩한 삶을 살아간다.

복음주의 신학자 김세윤 박사는 《기독교 사상》 2008년 12월호 기고문에서 루터의 오직 그리스도 사상은 교회가 선포해야 할 복음이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 죽음과 부활로 이루어진 십자가 복음이어야 함을 의미한다고 강조했다.

3. 2. 십자가 신학

루터의 십자가 신학은 신학자가 하나님의 본질을 그의 사역에서 지각하여 하나님의 보이지 않는 본질을 보는, 김영한의 주장에 따르면, 영광의 신학과 대조된다.[324] 영광의 신학은 출애굽기 33장에 나오는 모세처럼 하나님의 얼굴을 직접 보고자 하며, '''하나님의 사역을 통해 하나님을 인식'''하고 '''보이는 본질을 통해 보이지 않는 본질의 지혜를 파악'''하려 한다. 루터는 "인간이 하나님을 십자가의 낮아짐과 수치 속에서 인식하지 않고, 영광과 존엄성 속에서 인식하는 것은 누구에게도 충분하지 않고 필요하지 않다"고 말하며, 이는 인간에게 불가능한 직접적인 하나님 인식이라고 보았다.

영광의 신학은 "주여 아버지를 보여주소서"(요한복음 14:8)라는 빌립의 요구와 상응하지만, 예수는 "나를 본 자는 아버지를 보았느니라"(요한복음 14:8)라고 답했다. 이는 창조사역으로부터 하나님을 인식하려는 시도, 즉 하나님의 사역(Werke)으로부터의 인식이다. 창조에 나타난 하나님의 일과 인간의 행위가 여기에 속하며, 자연신학, 사변적 형이상학, 도덕적 인간의 행위 거룩성이 함께한다. 영광의 신학은 인간을 자기 공로를 내세우는 교만으로 이끌며, 하나님 인식에 "영광과 능력"을 기준으로 삼는다.

루터는 중세 스콜라주의가 인간의 행위를 강조하는 영광의 신학이라고 비판하며, 하나님의 은총을 강조하는 십자가 신학을 제시했다. 스콜라주의는 인간의 도덕적 노력과 이성적 추론으로 하나님 인식에 도달할 수 있다고 보았는데, 이는 인간의 종교적 사색이나 행위의 의(work-righteousness)를 통해 하나님께 직접 나아가려는 인본주의적 시도이다. 이는 인간으로부터 하나님에게로 상승하는 구조를 가지며, 하나님을 공개적인 신적 능력, 지혜, 영광 속에서 직접 인식하고자 한다. 영광의 신학은 인간을 윤리적 실적을 행하는 자, 율법 이행자로 세워 도덕적 행위주의(moralischer Aktivismus)를 정당화한다.

세상의 지혜는 인간의 도덕성과 이성 능력을 의미하며, 인간은 자기 공로로 하나님께 나아가려 한다. 이것이 영광의 신학이다. 영광의 신학은 십자가에 달리시고 감추어진 하나님을 알지 못하고, 세상의 영광과 인정을 추구한다. 루터는 이런 인간의 방법으로는 하나님께 다가갈 수 없으며, 오직 하나님의 은총에 의해서만 가능하다고 선언한다. 김영한은 세상이 그리스도 안의 하나님을 보지 못하는 이유는 그리스도를 약하고 무능한 자로 보기 때문이라고 설명한다.

3. 3. 만인사제주의

루터는 세례받은 모든 기독교인은 거룩한 사제라는 사제주의에 반대했다.[6] 즉, 모든 사람이 사제가 될 수 있다는 '만인 제사장'을 주장하였다.

4. 비판과 논란

마르틴 루터는 종교 개혁 활동 외에도 여러 비판과 논란에 휩싸였다. 특히 반유대주의적 언행, 농민전쟁에 대한 태도, 권위주의적 성격 등이 주요 논란거리였다.

루터는 말년에 유대인에 대한 극단적인 증오를 드러냈다. 1543년에 출간한 《유대인과 그들의 거짓말》에서는 회당을 불태우고, 탈무드를 빼앗고, 유대인을 죽이라는 등의 과격한 주장을 펼쳤다.[341] 이러한 루터의 선동은 19세기 독일 반유대주의 정당인 기독교사회노동당의 아돌프 슈퇴커에 의해 확산되었고, 나치에게까지 영향을 미쳤다.[341]

마르틴 루터가 1543년에 저술한 ''유대인과 그들의 거짓말''의 원본 표지


루터는 유대인을 "악마의 백성"이라 칭하며, 재산을 몰수하고 강제 노역에 동원하거나 추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225][226][228] 로버트 마이클은 "우리가 그들을 죽이지 않은 것은 우리의 잘못이다"라는 루터의 발언이 살인을 승인한 것이나 다름없다고 비판했다.[229]

이러한 반유대주의적 태도는 후대에 큰 영향을 미쳤다. 나치 독일은 루터의 저술을 반유대주의 선전에 활용했으며, 뉘른베르크 전범 재판에서 율리우스 슈트라이허는 "만약 루터가 살아 있었다면, 반드시 오늘날 나 대신 이 피고석에 앉아 있었을 것이다"라고 말했다.[304]

독일 농민전쟁에 대해 루터는 처음에는 농민들의 불만에 공감하는 듯했지만, 결국 제후들의 편에 서서 농민 봉기를 강경 진압할 것을 촉구했다.[103] 농민들을 "사회의 위험한 폭도"라고 비난하며, 제후들과의 결탁을 통해 종교개혁을 진행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판단했다.[343]

농민들의 요구를 담은 1525년 발표된 ''12개 조항''


에리히 프롬은 루터를 권위주의적 성격의 전형으로 분석하며, "극도의 고독감과 무력감 및 죄악감에 사로잡혀 있으며, 다른 한편으로는 내면에 강렬한 지배욕을 지니고 있었다"라고 평가했다.[345]

4. 1. 반유대주의

루터는 1543년에 《유대인들과 그들의 거짓말》(Die Juden und ihre Lügen)이라는 글에서 "유대인의 회당을 불지르고, 그들을 죽이고, 매장하고 회당을 무너뜨리고, 탈무드를 빼앗으라"고 주장하며 갑자기 유대인 탄압을 선동했다. 루터의 이런 주장은 19세기 초 반유대주의가 기승을 부리던 독일에서 기독교사회노동당 대표인 아돌프 슈퇴커(Adolf Stoecker)에 의해 널리 퍼져 나갔고 나치에게 파급되었다.[341] 또한 루터는 지옥에 갈 것이라고 협박까지 해 가면서 유대인들에게 인도주의를 제공하면 안 된다고 주장하였다.

루터는 그의 활동 전반에 걸쳐 유대인들에 대해 부정적으로 서술했다.[219] 루터는 유대인들을 거의 만나지 못했지만, 그의 태도는 유대인들을 그리스도 살해의 죄를 지은 버림받은 백성으로 보는 신학적, 문화적 전통을 반영했으며, 그는 약 90년 전에 유대인들이 추방된 지역에 살았다.[220] 그는 유대인들이 예수의 신성을 거부했기 때문에 신성모독자이자 거짓말쟁이라고 여겼다.[221] 1523년, 루터는 ''예수 그리스도는 유대인으로 태어나셨다''에서 유대인들에게 친절을 베풀 것을 권고했고, 그들을 기독교로 개종시키는 것을 목표로 했다.[222] 그러나 그의 개종 노력이 실패하자 그는 그들에 대해 점점 더 비관적으로 변했다.[223]

루터의 유대인에 관한 주요 저술은 6만 단어 분량의 논문 ''Von den Juden und Ihren Lügen'' (''유대인과 그들의 거짓말'')과 ''Vom Schem Hamphoras und vom Geschlecht Christi'' (''거룩한 이름과 그리스도의 혈통에 관하여'')로, 둘 다 그의 사망 3년 전인 1543년에 출판되었다.[224] 루터는 유대인들이 더 이상 선택받은 백성이 아니라 "악마의 백성"이라고 주장하며, 폭력적인 언어로 그들을 언급했다.[225][226] 신명기 13장에서 모세가 우상숭배자들을 죽이고 그들의 도시와 재산을 불태워 하나님께 제물로 바칠 것을 명령한 것을 인용하여, 루터는 유대인들에게 "''scharfe Barmherzigkeit''"("엄격한 자비")를 베풀어 "적어도 소수라도 타오르는 불길에서 구할 수 있을지 확인"할 것을 촉구했다.[227] 루터는 회당에 불을 지르고, 유대인들의 기도서를 파괴하고, 랍비들의 설교를 금지하고, 유대인들의 재산과 돈을 압수하고, 그들의 집을 부수어 이러한 "독이 든 벌레들"을 강제 노역에 종사하게 하거나 "영원히" 추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228] 로버트 마이클(Robert Michael)의 견해에 따르면, 루터의 말 "우리가 그들을 죽이지 않은 것은 우리의 잘못이다"는 살인에 대한 승인에 해당한다.[229] 루터는 "하나님께서 그들에 대한 분노가 너무 강렬하여 온화한 자비는 오히려 그들을 더 악화시킬 뿐이고, 엄격한 자비는 그들을 조금 개선시킬 뿐이다. 그러므로 어떤 경우든 그들을 내쫓아야 한다!"라고 결론지었다.[227]

루터는 1528년 ''Liber Vagatorum'' 서문에서 유랑자들에 대한 논쟁을 벌이며, 유대인들이 ''Rotwelsch'' 은어의 주요 기반으로 히브리어 단어를 제공했다고 말했다. 그는 경고하는 서문에서 기독교인들에게 유대인들에게 구걸을 하지 말라고 경고했는데, 그의 의견으로는 진정으로 가난한 사람들을 버리는 것이기 때문이다.[230][231]

루터는 작센, 브란덴부르크, 실레시아에서 유대인들에 대해 비판했다.[232] 1537년 작센의 유대인들을 돕고자 했던 유대인 대변인 요젤 오브 로샤임(Josel of Rosheim)은 나중에 그들의 고난을 "마르틴 루터라는 이름의 그 사제—그의 육체와 영혼이 지옥에 묶이기를!—그는 많은 이단적인 책을 쓰고 발표하여 유대인을 돕는 자는 멸망할 것이라고 말했다"라고 탓으로 돌렸다.[233] 요젤은 스트라스부르 시에 루터의 반유대주의 저작 판매를 금지할 것을 요청했는데, 스트라스부르는 처음에는 거부했지만 호흐펠덴(Hochfelden)의 루터파 목사가 설교에서 신도들에게 유대인을 살해할 것을 촉구하자 그렇게 했다.[232] 루터의 영향력은 그의 사후에도 지속되었다. 1580년대 내내 폭동으로 인해 여러 독일 루터교 국가에서 유대인들이 추방되었다.[234]

토비아 싱어(Tovia Singer)라는 정통 유대교 랍비는 루터의 유대인에 대한 태도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했다. "모든 교부와 종교 개혁가들 중에서 이스라엘 자손에 대해 이 개혁의 창시자보다 더 악독한 입과 더 저속한 저주를 퍼붓는 혀는 없었다."[235]

2차 세계 대전 중 드레스덴 폭격 이후 드레스덴 프라우엔키르헤(Frauenkirche, Dresden) 외부의 마르틴 루터 동상


루터는 당대 가장 널리 읽힌 작가였으며, 독일 내에서는 예언자와 같은 지위를 얻었다.[251] 역사학자들의 일반적인 견해에 따르면,[16] 그의 반유대주의적 궤변은 독일 내 반유대주의의 발전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고,[252] 1930년대와 1940년대에는 나치의 유대인 공격에 대한 "이상적인 밑바탕"을 제공했다.[18] 라인홀트 레빈(Reinhold Lewin)은 "어떤 이유로든 유대인에 대해 글을 쓴 사람은 누구든 루터를 언급하며 자신을 정당화할 권리가 있다고 믿었다"고 적었다. 마이클(Michael)에 따르면, 나치 독일(Nazi Germany)에서 인쇄된 거의 모든 반유대주의 서적에는 루터의 언급과 인용문이 포함되어 있었다. 하인리히 힘러(Heinrich Himmler)(비록 가톨릭 신자로 자랐지만 루터교 신자는 아니었지만)는 1940년에 그의 유대인에 대한 글과 설교에 대해 감탄하며 언급했다.[253] 뉘른베르크(Nuremberg)시는 1937년 나치 신문 슈튀르머(Der Stürmer)의 편집장 율리우스 슈트라이허(Julius Streicher)의 생일에 『유대인과 그들의 거짓말』 초판을 증정했는데, 이 신문은 이 책을 지금까지 출판된 가장 극단적인 반유대주의 책이라고 묘사했다.[254] 이 책은 뉘른베르크 집회(Nuremberg Rally)에서 유리 케이스에 전시되었고, E.H. 슐츠(E.H. Schulz)와 R. 프레르크스(R. Frercks)가 쓴 아리아 인종법에 대한 54페이지 분량의 설명서에도 인용되었다.[255]

1941년 12월 17일, 7개의 프로테스탄트 지역 교회 연합은 유대인에게 황색 완장을 착용하도록 강요하는 정책에 동의하는 성명을 발표했는데, 그 이유는 "루터가 그의 쓰라린 경험 이후 이미 유대인에 대한 예방 조치와 독일 영토에서의 추방을 제안했기 때문"이었다. 다니엘 골드해건(Daniel Goldhagen)에 따르면, 저명한 프로테스탄트 교회 지도자인 마르틴 사세(Martin Sasse) 주교는 수정의 밤(Kristallnacht) 직후 루터의 저술 모음집을 출판했는데, 옥스퍼드 대학교(University of Oxford)의 교회사 교수인 디어마이드 맥컬로(Diarmaid MacCulloch)는 루터의 글이 "청사진"이라고 주장했다.[256] 사세는 회당 방화와 그날의 우연의 일치를 칭찬하며 서문에 "1938년 11월 10일, 루터의 생일에 독일의 회당이 불타고 있다"고 적었다. 그는 독일 국민이 "그 시대의 가장 위대한 반유대주의자이자 유대인에 대한 그의 백성의 경고자"인 루터의 말에 귀 기울여야 한다고 촉구했다.[257]

루터의 영향에 대한 학문적 논쟁의 핵심은 그의 작품을 나치의 인종적 반유대주의의 전조로 보는 것이 시대착오인지 여부이다. 일부 학자들은 루터의 영향은 제한적이며, 나치가 그의 작품을 이용한 것은 기회주의적이었다고 본다. 요하네스 발만(Johannes Wallmann)은 18세기와 19세기에 루터의 유대인에 대한 글은 대부분 무시되었고, 루터의 사상과 나치 이데올로기 사이에는 연속성이 없었다고 주장한다.[259] 우베 지몬-네토(Uwe Siemon-Netto)는 나치가 이미 반유대주의자였기 때문에 루터의 작품을 부활시켰다고 주장하며 동의했다.[260][261] 한스 J. 힐러브란트(Hans J. Hillerbrand)는 루터에 초점을 맞추는 것은 독일 역사의 다른 기여 요인을 무시한 나치 반유대주의의 본질적으로 비역사적인 관점을 채택하는 것이라고 동의했다.[262] 마찬가지로 저명한 교회사가이자 루터 전기 작가인 롤랜드 베인턴(Roland Bainton)은 "루터가 『유대인과 그들의 거짓말』을 쓰기 전에 죽었다면 좋았을 것이다. 그의 입장은 전적으로 종교적인 것이었고, 어떤 면에서도 인종적인 것이 아니었다"고 적었다.[263][264]

그러나 크리스토퍼 J. 프로브스트(Christopher J. Probst)는 그의 저서 『유대인을 악마화하다: 나치 독일의 루터와 프로테스탄트 교회』에서 나치 시대 독일 프로테스탄트 성직자와 신학자 다수가 유대인과 그들의 유대교에 대한 루터의 적대적인 출판물을 사용하여 국민사회주의자들의 반유대주의 정책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정당화했다는 것을 보여준다.[265] 친나치 기독교 단체인 독일 기독교(Deutsche Christen)는 마르틴 루터와 "총통" 아돌프 히틀러(Adolf Hitler) 사이의 유사점을 강조했다.[266]

마크 U. 에드워드(Mark U. Edwards)는 그의 저서 『루터의 마지막 전투: 정치와 논쟁 1531-46』에서 루터의 점점 더 반유대주의적인 견해가 그의 건강이 악화되는 동안 발전했기 때문에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정신 상태의 산물일 가능성이 있다고 제안한다. 에드워드는 또한 루터가 유대인을 비난하는 글과 "터키인"(무슬림)과 가톨릭교도에 대한 격렬한 비난에서 효과를 위해 의도적으로 "저속함과 폭력"을 사용했다고 언급한다.[277]

1980년대 이후 루터파 교파들은 유대인에 대한 마르틴 루터의 발언을 부인하고 루터교도에 대한 증오를 선동하는 데 이를 사용하는 것을 거부했다.[268][269] 스트롬멘(Strommen) 등의 1970년 북미 루터교도 4,745명(15~65세)에 대한 설문 조사에 따르면, 다른 소수 민족 집단과 비교했을 때 루터교도는 유대인에 대한 편견이 가장 적었다.[270] 그럼에도 불구하고, 노팅험 대학교(University of Nottingham)의 전 현대사 교수이자 『히틀러와 나치즘』의 저자인 리처드 게어리(Richard Geary) 교수는 1928년부터 1933년까지 바이마르 공화국의 선거 추세를 조사했고, 그의 연구에 따르면 나치당은 독일의 가톨릭 지역보다 프로테스탄트 지역에서 비례적으로 더 많은 표를 얻었다고 지적한다.[271][272]

초기 루터는 유대교도들을 반교황 운동의 지원군으로 여기고, 유대인들은 예수 그리스도와 같은 혈통이라고 주장하며 로마 가톨릭의 반유대주의에 항의했다. 보름스 국회 기간 중에 유대인들과 토론한 루터는 1523년에 『예수는 유대인으로 태어났다』 등의 소책자를 저술하여, 어리석고 우둔한 노새 같은 교황당들이 유대인들에게 끔찍한 짓을 해왔기 때문에, 정의로운 그리스도인은 차라리 유대인이 되고 싶을 정도라고 말하거나, 유대인은 주와 같은 혈통이므로, 메시아인 예수에게 경의를 표하고 그리스도를 하나님의 아들로 인정하도록 개종을 권유했다.[306][304]

하지만, 기사전쟁이나 루터파의 뮌처에 의한 농민전쟁이 일어나자, 루터는 반란 세력을 비판했고, 그 이후로 루터는 인간 세상의 불완전함과 정치적 책임을 강하게 느끼게 되었으며, 인간의 내적 자유와 신에 의해 주어진 지상의 질서가 대립되면서, 복종의 의무를 설파하고, 그리스도인은 순종적이고 충실한 신하가 되어야 한다고 주장하게 되었다.[306]

게다가, 유대인 개종자는 매우 적었고, 개종한 자들도 대부분 얼마 지나지 않아 유대교로 돌아갔기 때문인지, 1532년에는 "저 악독한 무리들은 개종한다고 칭하며 우리와 우리의 종교를 약간 조롱하려고 할 뿐이다"라고 말했다.[306] 그러는 동안 루터는 실패의 원인을 유대인의 소행으로 여기게 되었다.[306]

궁정 유대인인 로스하임의 요젤이 선제후에게 유대인을 지원하도록 간청해 달라는 부탁을 루터에게 했는데, 루터는 1537년 6월 11일자 답장에서 거절했다.[305] 1538년에 로스하임의 요젤에게 루터는, 나의 마음은 지금도 유대인에 대한 호의로 가득 차 있지만, 그것은 유대인들이 개종하기 위해 발휘되는 것이라고 말했다.[306]

그 후 얼마 지나지 않아, 보헤미아의 개혁파가 유대인의 선동으로 유대교로 개종하고, 할례를 받고, 안식일을 지켰다는 소식을 듣고, 루터는 "나는 유대인을 개종시킬 수 없다.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조차도 그 일에는 성공하지 못했으니. 하지만 나에게도, 그들이 앞으로 땅을 기어 다닐 수밖에 없도록, 그들의 입을 막을 수 있는 정도는 할 수 있을 것이다"라고 1539년 12월 31일에 말했다.[306]

1543년에 루터는 『유대인과 그들의 거짓말에 관하여』를 발표하고, 다음 7가지 제안을 했다.[303][304]

번호내용
1회당과 학교(예시바)의 영구 파괴
2유대인의 집을 부수고, 집시처럼 판잣집이나 마구간 같은 곳으로 집단 이주
3유대교 경전의 몰수
4랍비의 설교 금지
5유대인 호송의 보호 철회
6고리대금업 금지 및 금은 몰수
7젊은 유대인 남녀에게 도끼, 곡괭이, 손수레를 주고, 이마에 땀을 흘리며 일하게 하는 것



루터는 "유대인들은 우리의 돈과 재산을 손아귀에 쥐고 있다. 우리 나라에서, 그들의 흩어진 땅에서, 그들은 우리의 주인이 되었다"라고 하면서, 유대인은 노동에 종사하지 않고, 독일인도 유대인에게 증여하지 않았으므로, 유대인의 소유를 금지하고, 그들의 재산은 독일로 반환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306] 유대인은 독일에게 재앙, 악역, 흉사이며, 아무도 유대인이 있기를 바라지 않는다며, 프랑스, 스페인, 보헤미아, 레겐스부르크, 마그데부르크에서도 추방되었다는 것을 언급했다. 독일인은 유대인에게 숙소를 제공하고, 음식도 허락하지만, 유대인의 아이를 납치하거나 죽이지 않고, 그들의 샘에 독을 뿌리거나, 그들의 피로 목마름을 달래려고도 하지 않는다(그리스도인이 유대교도에 대해 말했던 의식 살인 의혹을 가리킨다). 독일인은 유대인의 격렬한 분노, 질투, 증오에 해당하는 일을 무엇이라도 했는가, 라고 논했다.[306] 루터는, 대악마를 제외하고 그리스도(그리스도인)가 "두려워해야 할 적은 단 한 명, 진정으로 유대적이 되고자 하는 의지를 갖춘 진정한 유대인이다"라고 하고, 유대인을 집에 맞이하고, 악마의 자손을 돕는 자는, "최후 심판의 날, 그 행위에 대해 그리스도는 지옥의 불로써 응답하실 것이다. 그 자는, 지옥불 속에서 유대인과 함께 불탈 것이다"라고 말했다.[306]

몇 달 후의 소책자 『Vom Schem Hamphoras(셈 함포라스, 입에 담을 수 없는 이름)』[307]에서도 유대인의 개종은 악마에게 개종시키는 것만큼 어려운 일이며, 유대인의 복음서 외경은 사복음서가 정통인 것에 비해 위서이며, 악마의 사자 유대인은 "악마의 무리보다 더 악랄"하고, "신이시여, 저는 당신의 저주받은 적, 악마와 유대인에게 항거하면서, 필사적인 생각으로, 이 정도의 수치심과 함께 당신의 신성한 영원한 위엄을 말해야 합니다"라고 논하며, 마지막으로 "나는 더 이상 유대인과 관계를 맺고 싶지 않고, 그들에 대해, 그들에게 항거하여 무언가를 쓰려고도 전혀 생각하지 않는다"라고 끝맺었다.[306]

루터는 죽기 4일 전인 2월 18일의 마지막 설교에서, 독일 전역에서 유대인을 추방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호소했다.[306]

루터 말년의 유대인 공격에 대해서는, 루터의 협력자 멜랑히톤, 스위스의 츠빙글리의 후계자인 불링거, 유대인인 로스하임의 요젤 등이 비판했다.[306] 또한 루터는 신을 "최대의 어리석은 자[308]", "그리스도는 음란했을지도 모른다"라고 말하거나, 교황에 대해서는 유대인 공격 때보다 더 더러운 말로 욕설을 퍼부었다.[306]

이렇게 루터의 반유대주의는, 타르수스의 바울(사도 바울)이나 무함마드와 마찬가지로 전환점을 거쳐 유대인에 대한 깊은 증오가 되었다.[306]

루터의 반유대주의 문서는 루터 사후 별로 중요시되지 않았지만, 히틀러 정권이 되자 일반인을 위한 재판매가 나와 잘 읽혔다.[306] 루터의 반유대주의적 선언은 나치 독일(Nazi Germany)에서 반유대주의 선전 자료로 사용되었다. 1946년, 제2차 세계 대전 후의 뉘른베르크 재판에서 율리우스 슈트라이히어는 "만약 루터가 살아 있었다면, 반드시 오늘날 나 대신 이 피고석에 앉아 있었을 것이다"라고 말했다.[304]

4. 2. 농민전쟁에 대한 태도

독일 농민전쟁에 대해 루터는 처음에는 동정적인 모습을 보였다.[103] 그러나, 나중에는 복음을 독재 체재로 왜곡시키려는 사탄의 공격이라고 주장하며 영주들에게 강경 진압을 요구하였다.[103] 루터는 교황은 세속권력에 대한 우위권을 주장하였는데, 이제 농민들은 정치적 권력을 얻기 위해 복음의 이름으로 칼을 손에 쥐었다고 생각했다.

루터의 종교개혁은 지배계급들과의 결탁에 의해 진행되었으므로, 독일 농민들이 제후들의 착취에 대항하여 민중항쟁(독일 농민전쟁)을 벌이자, 제후들에게 서신을 보내 진압해야 한다고 선동하였다.[342] 루터는 농민항쟁 진압을 정당화하기 위해 제후들의 착취에 맞서 계급투쟁을 벌이는 농민들을 사회를 위험하게 하는 폭도라고 비방하였다.[343] 하지만 실제로는 제후들과의 결탁이 유지되지 않으면 종교개혁이 진행될 수 없다는 현실적 이유에서 농민항쟁 진압을 주장하였다.[343] 즉 루터에게는 억압적이고 착취적인 지배질서로부터 민중구원하는 성서의 하나님보다, 현실권력인 제후들과의 결탁을 통한 종교개혁 진행이 중요했던 것이다. 이는 개신교도 기존 로마 가톨릭교회처럼 종교정치간의 결탁에서 자유롭지 못했다는 사실을 뜻하는 것으로서, 이를 극복하기 위해 재침례교에서는 종교정치간의 분리를 주장한다. 하지만 정치와 종교의 분리사상은 시민혁명 이후 종교와 정치간의 결탁이나 소모적인 대립을 막기 위한 것이지[344], 민중을 억압하고 착취하는 지배질서에 대해 교회정치에 간여하면 안 된다면서 침묵하거나 기독교 근본주의에 뿌리를 둔 보수적이거나 때로는 수구적인 신학으로 유지시키라는 이야기는 아니다.

루터는 1525년 5월 12개 조항에 대한 답변에서 농민들의 불만 중 일부에 공감했지만, 피해자들에게 세속 권력에 복종할 것을 상기시켰다.[103] 튀링겐 순회 중 수도원, 수녀원, 주교궁, 도서관이 널리 불타는 것을 보고 격분했다. 비텐베르크로 돌아온 후 ''농민들의 살인과 도적 행위에 대하여''를 썼는데, 이 책에서 그는 부에 대한 복음 가르침에 대한 자신의 해석을 제시하고, 폭력을 악마의 행위로 규탄하며 귀족들에게 반란자들을 미친 개처럼 진압하라고 촉구했다.

루터가 봉기를 지지하지 않자 많은 반란군이 무기를 내려놓았고, 다른 이들은 배신감을 느꼈다. 1525년 5월 15일 프랑켄하우젠 전투에서 슈바벤 동맹에게 패배하고 뮌체르가 처형됨으로써 종교 개혁의 혁명 단계는 끝을 맺었다.[105] 그 후 급진주의는 재세례파 운동과 다른 종교 운동에서 피난처를 찾았고, 루터의 종교 개혁은 세속 권력의 보호 아래 번영했다.[106] 1526년 루터는 "나는 마르틴 루터는 반란 중에 모든 농민들을 죽였습니다. 왜냐하면 그들을 죽이라고 명령한 사람이 바로 나이기 때문입니다."라고 썼다.[107]

4. 3. 권위주의적 성격

에리히 프롬은 그의 저서 《자유로부터의 도피》에서 루터를 심리학적으로 분석하여 권위주의적인 성격의 전형적인 인물로 평가하였다. 그는 '극도의 고독감과 무력감 및 죄악감에 사로잡혀 있으며, 다른 한편으로는 내면에 강렬한 지배욕을 지니고 있었다'라고 평가하였다. 루터의 인간상은 이율배반적인 상황을 반영하는데, 그에게 인간은 자신을 정신적 권위에 종속시키는 일체의 관계로부터는 자유롭지만, 이러한 자유가 고독과 불안을 일으켜 허무감과 무력감으로 인간을 압도한다는 것이다.[345]

5. 저서

1562년 ''Tomus secundus omnium operum''


루터의 1534년 성경


루터의 찬송가 "하나님의 견고한 성채(Ein feste Burg ist unser Gott)" 초기 인쇄본


루터 저작의 바이마르 판본


마르틴 루터는 신학자, 목회자, 찬송가 작가로서 다양한 저술 활동을 펼쳤다. 그의 저서는 종교 개혁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독일어와 문학에도 기여했다.

  • 주요 저서:
  • 1516년 로마서 강의
  • 1520년 그리스도인의 자유에 대하여
  • 탁상담화
  • 노예의지론
  • 마르틴 루터의 기도
  • 대교리문답
  • 독일 기독교 귀족에게 고함
  • 교회의 바벨론 유수
  • 히에로니무스 스쿠르테투스 주교에게
  • 인간에게 자유의지가 있는가
  • 삼위일체론
  • 95개조 논제 (1517년)
  • 그리스도인의 자유 (1520년)
  • 교회의 바빌론 유수 (1520년)
  • 그리스도교 개혁에 관하여 - 독일 국민의 그리스도교 귀족에게 헌정 (1520년)
  • 마그니피카트 (1521년)
  • 속박된 의지론 (1525년)
  • 독일 미사와 예배 순서 (1526년)
  • 소교리문답 (1529년)
  • 대교리문답 (1529년)
  • 유대인과 그들의 거짓말에 관하여 (1543년)

  • 성경 번역:
  • 루터는 1522년 신약 성경의 독일어 번역본을 출판했으며, 1534년에는 구약 성경 번역을 완료하여 완전한 성경을 출판했다.[145] 그는 생애 마지막까지 번역문을 다듬는 작업을 계속했다. 루터의 성경 번역은 당시 작센 관청에서 사용된 독일어 변종을 사용하여, 북부와 남부 독일인 모두에게 이해하기 쉬웠다.[150] 그는 활기차고 직접적인 언어로 성경을 일반 독일인들이 접근할 수 있도록 했다.[151] 루터의 성경은 독일어와 문학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152] 틴데일 성경과 같이 다른 언어 번역본에도 영향을 미쳤다.[154]

  • 찬송가:
  • 루터는 "하나님의 견고한 성채(Ein feste Burg ist unser Gott)", "높은 하늘에서 내려오셨네(Vom Himmel hoch, da komm ich her)" 등 다수의 찬송가를 작곡했다.[158] 그는 찬송가를 통해 고급 예술과 민속 음악, 모든 계층을 연결하고자 했다.[159] 그의 찬송가는 종종 그의 삶과 개혁의 전개 과정에서 특정 사건들에 의해 불려졌다.[161]
  • 주요 찬송가:
  • Wir glauben all an einen Gott|italic=unsetde ("우리는 모두 한 분의 참 하나님을 믿습니다", 1524년): 사도신경에 대한 루터의 설명을 담은 세 절로 된 신앙 고백[159]
  • "하늘에 계신 우리 아버지(Vater unser im Himmelreich)" (1538년): 주기도문에 대한 루터의 설명을 담은 찬송가[162]
  • "깊은 고난에서 나는 주께 부르짖네(Aus tiefer Not schrei ich zu dir)" (1523년): 시편 130편을 바탕으로 작곡[163]
  • "오 하나님, 하늘에서 내려다보소서(Ach Gott, vom Himmel sieh darein)"
  • "이제 이방의 구세주여 오시네(Nun komm, der Heiden Heiland)": 대림절의 주요 찬송가
  • Christum wir sollen loben schon|italic=unsetde ("그리스도를 우리는 찬양해야 하네")
  • Komm, Gott Schöpfer, Heiliger Geist|italic=unsetde ("오시옵소서, 하나님 창조주, 성령이시여")
  • Dies sind die heilgen Zehn Gebot|italic=unsetde ("이것이 거룩한 십계명이니라")
  • "Mensch, willst du leben seliglich"
  • "예수 그리스도여 찬양받으소서(Gelobet seist du, Jesu Christ)": 크리스마스의 주요 찬송가
  • "이제 우리는 성령을 청하세(Nun bitten wir den Heiligen Geist)": 성령 강림절 찬송가
  • Christ ist erstanden|italic=unsetde ("그리스도께서 부활하셨네"): 부활절 찬송가
  • Mit Fried und Freud ich fahr dahin|italic=unsetde ("평화와 기쁨으로 나는 저 세상으로 가네"): 수태 고지를 위해 의도되었지만 장례식 찬송가가 됨
  • "주 하나님, 우리는 주를 찬양하나이다(Herr Gott, dich loben wir)": 독일어 Te Deum
  • Christ unser Herr zum Jordan kam|italic=unsetde ("그리스도 우리 주께서 요단 강에 오셨네", 1541년): 세례에 대한 루터의 설명을 담은 찬송가[159]

  • 판본:
  • 에를랑겐 판본 (''Erlangener Ausgabe''): 루터의 라틴어 주석서인 ''Exegetica opera latina''를 포함한다.
  • 바이마르 판본 (Weimarer Ausgabe): 루터의 라틴어 및 독일어 저작에 대한 완전하고 표준적인 독일어 판본, "WA"라는 약어로 표시된다.
  • 미국 판본 (''Luther's Works''): 루터 저작에 대한 가장 광범위한 영어 번역본, "LW" 또는 "AE"라는 약어로 표시된다.

6. 영향과 유산

마르틴 루터는 로마 가톨릭교회의 부패와 잘못된 교황 권위에 맞서 성경을 기독교 신앙의 최고 권위로 강조하고, 그리스도에 대한 믿음과 하나님의 은혜를 통한 구원을 주장했다. 그의 주장은 "오직 성경, 오직 믿음, 오직 은혜, 오직 그리스도, 오직 하나님께 영광"(다섯 솔라)으로 요약된다. 루터는 종교 개혁을 자신의 의지가 아닌 하나님의 이끄심으로 본 복음주의자로서, 설교자, 박사, 교수로 불리기를 원했다. 그러나 그의 활동은 개신교 탄생, 성서 번역, 저술, 작곡, 설교를 통해 사회와 역사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대한민국의 기독교 한국 루터회에서는 그를 '마틴 루터'라고 부른다.

루터는 95개조 반박문을 통해 로마 가톨릭 교회를 비판하고, 종교 개혁의 신학적 모델을 제시한 중요한 신학자이다. 양희송은 《복음과 상황》에서 루터를 기성 교회를 비판하는 지성과 실천적 열정을 겸비한 신학자로 평가했다.[346]

루터는 십자가 신학을 통해 청빈과 자족을 강조하며, 미국한국의 보수적 복음주의 교회의 번영신학에 대한 대안을 제시했다. 십자가 신학은 사랑, 자기희생, 헌신, 복종의 삶을 강조하며, 고난을 통해 하나님을 알고 예수부활에 참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347]

전 세계 개신교 비율(2010년)


루터는 요하네스 구텐베르크의 인쇄술을 활용하여 자신의 견해를 널리 퍼뜨렸고, 독일어로 저술하여 더 많은 독자들에게 다가갔다. 1500년에서 1530년 사이에 그의 저술은 독일에서 인쇄된 모든 자료의 5분의 1을 차지했다.[273]

1530년대와 1540년대에는 루터의 큰 체격을 강조한 인쇄된 이미지가 프로테스탄티즘 확산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그는 건장한 남성으로 묘사되어 세속적인 독일 제후들과 동등한 신체적 위엄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이미지는 한스 브로자머(1530년)와 루카스 크라나흐 1세 및 루카스 크라나흐 2세(1546년)의 목판화에 나타난다.[274]

아이제나흐 루터 기념비, 독일


루터는 루터교 성인력과 미국 성공회 성인력에서 2월 18일에, 잉글랜드 교회의 성인력에서는 10월 31일에 기념된다.[275] 그는 루터교, 개혁 전통, 앵글리칸교 등 프로테스탄트 종교 개혁에서 비롯된 기독교 전통에서 존경받는다.

마틴 루터 칼리지, 미네소타주 뉴울름, 미국


독일과 다른 나라의 여러 장소들은 루터가 방문했던 곳을 기념한다. 작센-안할트주에는 루터의 이름을 딴 루터슈타트 아이슬레벤과 루터슈타트 비텐베르크 두 도시가 있다.

종교 개혁 기념일은 1517년 ''95개조 논제'' 발표를 기념하는 날로, 독일 여러 주에서 시민의 날로 지정되어 있다. 슬로베니아, 오스트리아, 스위스 등 다른 나라에서도 기념한다.

루터의 영향으로 복음주의 교회(루터파 교회)와 아우크스부르크 신앙고백이 형성되어 기독교 분열(분립)이 일어났다.

루터는 성경을 기독교의 유일한 원천으로 삼아 프로테스탄트 여러 교회와 가톨릭교회의 반종교개혁에 영향을 미쳤다. 로마 가톨릭 측은 루터를 이단 등으로 비판했다.[309]

루터는 종교뿐 아니라 유럽 문화와 사상에도 큰 영향을 남겼다. 독일어로 번역된 루터의 성경은 근대 독일어 성립에 중요한 역할을 했고, 그는 찬송가를 작곡했으며, 볼링 규칙을 통일하기도 했다.

루터는 1534년 독일어 구약성경을 완성하여 출판했다. 그는 칠십인역 성경에만 있고 마소라 본문에는 없는 내용을 구약성경에서 제외했다.

종교 개혁가 마르틴 루터가 태어나고 사망한 아이슬레벤과, 그가 신학 교수로 재직하며 「95개조 논제」를 발표한 비텐베르크에는 루터의 유적이 많이 남아 있다. 아이슬레벤의 루터 생가와 말년의 집, 비텐베르크의 루터 하우스, 루터가 설교했던 도시 교회, 「95개조 논제」가 게시되었던 성당 부속 교회는 「아이슬레벤과 비텐베르크에 있는 루터 기념 건축물군」으로서 1996년에 세계유산에 등재되었고, 2015년에는 저술 작품 등이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에 등재되었다.[312][313]

참조

[1] 웹사이트 Luther http://dictionary.re[...] 2014-12-27
[2] 서적 Martin Luther: Visionary Reformer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2017-11-12
[3] 간행물 Lectures on Genesis: Chapters 45–50 Concordia Publishing House 1999
[4] 웹사이트 Martin Luther https://www.britanni[...] Encyclopædia Britannica 2024-03-29
[5] 서적 What Luther Says CPH 1959
[6] 서적 Concerning the Ministry Fortress Press 1958
[7] 서적 The Encyclopedia of Christianity Wm. B. Eerdmans; Brill 2003
[8] 서적 Tyndale's New Testament Yale University Press 1989
[9] 서적 Here I Stand: a Life of Martin Luther Penguin 1995
[10] 서적 Here I Stand: a Life of Martin Luther Penguin 1995
[11] 웹사이트 The Controversial Luther 1983
[12] 서적 History of the Christian Church, Vol. VIII: Modern Christianity: The Swiss Reformation William B. Eerdmans Pub. Co. 1910
[13] 서적 Martin Luther Fortress Press 1993
[14] 웹사이트 Luther and the Jews 2017-03-21
[15] 웹사이트 Journal of Theology: Martin Luther, Reformation Theologian and Educator http://clclutheran.o[...] 2022-05-17
[16] 간행물 The Reception of Luther's Writings on the Jews from the Reformation to the End of the 19th Century 1987
[17] 서적 Fathoming the Holocaust: A Social Problems Approach Aldine De Gruyter 2002
[18] 서적 The 12-Year Reich: A Social History of Nazi Germany 1933–1945 Holt, Rinehart and Winston 1971
[19] 서적 Martin Luther Viking Penguin 2004
[20] 서적 Martin Luther Fortress Press 1993
[21] 웹사이트 Martin Luther | Biography, Reformation, Works, & Facts https://www.britanni[...] 2023-05-17
[22] 서적 Martin Luther Viking Penguin 2004
[23] 웹사이트 Martin Luther 2006
[24] 서적 Martin Luther Viking Penguin 2004
[25] 서적 Martin Luther Viking Penguin 2004
[26] 서적 Martin Luther Viking Penguin 2004
[27] 서적 Martin Luther Viking Penguin 2004
[28] 서적 Martin Luther Fortress Press 1993
[29] 서적 Google Books Archive of Martin Luther: His road to Reformation, 1483–1521 https://books.google[...] Fortress Press 2015-05-14
[30] 서적 Luther and His Times Concordia Publishing House 1950
[31] 서적 Martin Luther Viking Penguin 2004
[32] 간행물 The Reformation from a New Perspective. https://www.jstor.or[...] 1948-03
[33] 서적 Here I Stand: a Life of Martin Luther Penguin 1995
[34] 서적 Luther The Reformer Augsburg Fortress Publishing House 1986
[35] 서적 Here I Stand: a Life of Martin Luther Penguin 1995
[36] 서적 Martin Luther Fortress Press
[37] 서적 Martin Luther Fortress Press
[38] 서적 Martin Luther: Visionary Reformer Yale University Press
[39] 서적 Martin Luther: Visionary Reformer Yale University Press
[40] 서적 Luther's Theology Cambridge University Press
[41] 간행물 The Doctrine of Justification in the Lutheran Confessions https://web.archive.[...] 1955-11-26
[42] 간행물 Justification as Healing: The Little-Known Luther https://web.archive.[...] 2000
[43] 웹사이트 Luther's Definition of Faith http://www.ProjectWi[...]
[44] 웹사이트 Justification by Faith: The Lutheran-Catholic Convergence https://web.archive.[...] 2010-06-15
[45] 서적 The Smalcald Articles Concordia Publishing House
[46] 백과사전 Johann Tetzel Encyclopædia Britannica
[47] 서적 Here I Stand: A Life of Martin Luther https://archive.org/[...] Abingdon Press
[48] 백과사전 Martin Luther: Indulgences and salvation Encyclopædia Britannica
[49] 서적 The reformation in Germany https://archive.org/[...] Macmillan Company
[50] 서적 Luther Uitgeverij Bert Bakker
[51] 서적 Luther
[52] 서적 Luthers Thesanschlag ist eine Legende
[53] 서적 1517: Martin Luther and the Invention of the Reformation Oxford University Press
[54] 서적 Dresden Leipzig & Saxony Adventure Guide https://books.google[...] Hunter Publishing, Inc
[55] 서적 Here I Stand: A Life of Martin Luther https://archive.org/[...] Abingdon Press
[56] 서적 Martin Luther Fortress Press
[57] 서적 The Renaissance and Reformation Movements Concordia Publishing House
[58] 서적 Martin Luther Routledge
[59] 서적
[60] 서적 Luther Quartet
[61] 교황령 Exsurge Domine 1520-06-15
[62] 서적
[63] 웹사이트 Luther meets with Cajetan at Augsburg Reformation 500 – Concordia Seminary, St. Louis 2012-01-11
[64] 웹사이트 The Acts and Monuments of the Church – Martin Luther http://www.exclassic[...] exclassics.com
[65] 서적 Here I Stand: A Life of Martin Luther https://archive.org/[...] Abingdon Press
[66] 서적
[67] 서적
[68] 서적
[69] 서적
[70] 서적
[71] 서적 Marius, Bainton, Mentor edition
[72] 서적 Reformation Europe: 1517–1559 Collins
[73] 서적 Oxford Encyclopedia of the Reformation Oxford University Press
[74] 서적 From Babylon to Eternity: The Exile Remembered and Constructed in Text and Tradition Routledge
[75] 뉴스 Methodists adapt Catholic-Lutheran declaration on justification 2006-07-24
[76] 뉴스 A Half-Millennium Rift TIME 1998-07-06
[77] 뉴스 Lutheran World Council OKs joint declaration on justification The Pilot 1998-06-19
[78] 서적
[79] 서적
[80] 웹사이트 Life of Luther (Luther by Martin Luther) http://law2.umkc.edu[...]
[81] 서적
[82] 웹사이트 The Diet of Worms (1521) http://www.crivoice.[...] 2007-07-13
[83] 서적 Reformation Europe: 1517–1559, Reformation: Europe's House Divided, 1490–1700 Fontana, Allen Lane
[84] 서적 Luther's Works Fortress Press
[85] 서적
[86] 서적
[87] 서적
[88] 웹사이트 Let Your Sins Be Strong, a Letter From Luther to Melanchthon http://www.ProjectWi[...] 2006-10-01
[89] 서적
[90] 서적
[91] 서적
[92] 서적
[93] 서적
[94] 서적
[95] 웹사이트 History of the Christian Church, Vol VII, Ch IV http://www.ccel.org/[...]
[96] 서적
[97] 웹사이트 History of the Christian Church, Vol VII, Ch IV http://www.ccel.org/[...]
[98] 서적
[99] 서적
[100] 서적 Early Modern Germany: 1477–1806 Macmillan
[101] 서적 The German Nation and Martin Luther Edward Arnold
[102] 서적
[103] 서적
[104] 서적 Luther's Works Concordia Pub. House and Fortress Press
[105] 서적
[106] 서적 Europe in the Sixteenth Century Blackwell
[107] 서적 Luther's Works
[108] 서적
[109] 웹사이트 History of the Christian Church, Vol VII, Ch V http://www.ccel.org/[...] Christian Classics Ethereal Library 2009-05-17
[110] 서적 Melanchthon. Eine Biographie C.H.Beck
[111] 서적 Martin Luther: An Introduction to his Life and Work T & T Clark
[112] 서적
[113] 웹사이트 Luther's Marriage. 1525. http://www.ccel.org/[...] Christian Classics Ethereal Library 2009-05-17
[114] 서적
[115] 서적
[116] 서적
[117] 웹사이트 Luther's Marriage. 1525. http://www.ccel.org/[...]
[118] 서적
[119] 서적
[120] 서적 Between Freedom and Necessity: An Essay on the Place of Value https://books.google[...] Rodopi
[121] 서적
[122] 서적
[123] 서적
[124] 서적
[125] 서적
[126] 서적
[127] 서적
[128] 서적
[129] 서적 A History of Lutheranism Fortress Press
[130] 서적
[131] 서적
[132] 서적
[133] 서적
[134] 웹사이트 Luther's Flood Prayer https://lutheranrefo[...] Lutheran Church – Missouri Synod 2016-01-03
[135] 서적
[136] 서적
[137] 서적
[138] 서적
[139] 서적
[141] 서적 Luther's Works Fortress Press 1971
[142] 서적 Brecht
[143] 웹사이트 English translation http://www.projectwi[...]
[144] 간행물 Luther on the Creed 2006
[145] 서적
[146] 서적
[147] 뉴스 Mentelin Bible https://www.wdl.org/[...] 2018-06-02
[148] 웹사이트 Koberger Bible https://www.wdl.org/[...] 2018-06-02
[149] 논문 The Contested History of a Book: The German Bible of the Later Middle Ages and Reformation in Legend, Ideology, and Scholarship 2009
[150] 서적
[151] 서적
[152] 서적
[153] 서적
[154] 서적 Translation – Theory and Practice: A Historical Reader Oxford University Press 2002
[155] 서적 A textual commentary on the Greek New Testament: a companion volume to the United Bible Societies' Greek New Testament (fourth revised edition) Deutsche Bibelgesellschaft 1994
[156] 서적 Memoir of The Controversy respecting the Three Heavenly Witnesses, I John V.7 (1872, Boston, "a new edition, with notes and an appendix by Ezra Abbot") 1830
[157] 서적 A History of the Warfare of Science with Theology, Vol. 2 Appleton 1896
[158] 웹사이트 online hymns http://www.projectwi[...]
[159] 서적 Singing the Gospel: Lutheran Hymns and the Success of the Reformation 2005
[160] 웹사이트 Waldzither – Bibliography of the 19th century http://www.studia-in[...] Studia Instrumentorum 2014-03-23
[161] 웹사이트 Flung to the heedless winds http://www.hymntime.[...] 2012-10-07
[162] 간행물 Luther's Catechism Hymns 1998
[163] 간행물 Luther's Catechism Hymns: 5. Baptism 1998
[164] 서적 Luther zwischen den Zeiten – Eine Jenaer Ringvorlesung Mohr Siebeck 1999
[165] 서적 Psychopannychia (the night banquet of the soul) 1534, 1542, 1545, 1558, 1581
[166] 서적 Liber de Anima 1562
[167] 서적 Christliche Dogmatik CPH 1920
[168] 서적 Sermons of Martin Luther: the House Postils Baker Book House 1996
[169] 서적 Luther's Works CPH
[170] 웹사이트 Smalcald Articles, Part II, Article II, paragraph 12 http://bookofconcord[...] Bookofconcord.org 2012-08-15
[171] 웹사이트 Smalcald Articles, Part II, Article II, paragraph 28 http://bookofconcord[...] Bookofconcord.org 2012-08-15
[172] 서적 Loci Theologici, Locus de Morte
[173] 뉴스 1755
[174] 서적 Enarrationes in Genesin 1535–1545
[175] 서적 A short historical view of the controversy concerning an intermediate state 1765
[176] 서적 Zeitschrift für die gesammte lutherische Theologie und Kirche
[177] 서적 Martin Luther the Hero of the Reformation 1483 to 1546
[178] 서적
[179] 서적
[180] 서적
[181] 서적 Weimar Ausgabe, Luther's Works
[182] 서적
[183] 서적
[184] 서적
[185] 서적
[186] 서적
[187] 서적 Werke, VIII
[188] 서적 Table Talk
[189] 서적 On Justification CCXCIV, Table Talk
[190] 서적
[191] 서적 The Four Horsemen of the Apocalypse: Religion, War, Famine and Death in Reformation Europ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2] 서적 On War against the Turk https://books.google[...] Westminster John Knox Press
[193] 서적
[194] 서적
[195] 서적
[196] 서적
[197] 서적
[198] 서적
[199] 서적 The Ottoman Empire and Early Modern Europ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 서적 On war against the Turk https://books.google[...] Kirk House Publishers
[201] 서적
[202] 서적 Only the Decalogue Is Eternal: Martin Luther's Complete Antinomian Theses and Disputations Lutheran Press
[203] 서적 Only the Decalogue Is Eternal: Martin Luther's Complete Antinomian Theses and Disputations Lutheran Press
[204] 서적 Luther's Works
[205] 서적 Luther's Works
[206] 서적 Only the Decalogue Is Eternal
[207] 서적 Only the Decalogue Is Eternal
[208] 서적 Only the Decalogue Is Eternal
[209] 서적 Only the Decalogue Is Eternal
[210] 서적 Only the Decalogue Is Eternal
[211] text
[212] 서적 Only the Decalogue Is Eternal
[213] 서적 Only the Decalogue Is Eternal
[214] 서적 Martin Luther https://www.cuw.edu/[...] Fortress Press 2019-01-20
[215] 서적 Martin Luther Fortress Press
[216] 서적 Martin Luther Fortress Press
[217] 서적 Martin Luther Fortress Press
[218] 서적 Luther: Man Between God and the Devil Yale University Press
[219] 서적 Holy Hatred: Christianity, Antisemitism, and the Holocaust Palgrave Macmillan
[220] 서적 Luther's Last Battles Cornell University Press
[221] 서적
[222] 서적
[223] 간행물 Martin Luther and German anti-Semitism
[224] 서적
[225] 서적 On the Jews and their Lies
[226] 서적 Vom Schem Hamphoras
[227] 서적 Martin Luther's Anti-Semitism: Against His Better Judgment William B. Eerdmans Publishing Company
[228] 서적 On the Jews and Their Lies
[229] 간행물 Luther, Luther Scholars, and the Jews
[230] 서적 Dialects of the Yiddish Language: Winter Studies in Yiddish, Volume 2. Papers from the Second Annual Oxford Winter Symposium in Yiddish Language and Literature, 14–16 December 1986 https://books.google[...] Pergamon Press 2023-02-22
[231] 서적 Small Dictionaries and Curiosity: Lexicography and Fieldwork in Post-medieval Europe https://academic.oup[...] Oxford University Press 2023-02-22
[232] 서적
[233] 서적
[234] 서적
[235] 웹사이트 A Closer Look at the "Crucifixion Psalm" https://outreachjuda[...] 2014-04-30
[236] 논문 Martin Luther's somatic diseases. A short life-history 450 years after his death
[237] 서적
[238] 서적
[239] 웹사이트 Die Beziehungen des Reformators Martin Luther zu Halle http://www.buergerst[...] 2017-07-07
[240] 서적 Sermon No. 8, "Predigt über Mat. 11:25, Eisleben gehalten," 15 February 1546
[241] 서적 From the Time of Christ to the Court Jews Vanguard Press
[242] 서적 Luther and the Reformation Russell & Russell
[243] 서적 Luther: Man Between God and the Devil s:Warning Against th[...] Image Books
[244] 서적 The Unquenchable Flame IVP
[245] 서적 Martin Luther Fortress Press
[246] 서적 The Cambridge companion to Martin Luther Cambridge University Press
[247] 웹사이트 The Last Written Words of Luther: Holy Ponderings of the Reverend Father Doctor Martin Luther http://www.iclnet.or[...] 1546-02-16
[248] 서적 Luther's World of Thought Concordia Publishing House
[249] 서적 Dorfpredigten: Biblische Einsichten aus Deutschlands 'wildem Süden'. Ausgewählte Predigten aus den Jahren 1998 bis 2007
[250] 웹사이트 Martin Luther's Death Mask on View at Museum in Halle, Germany http://www.artdaily.[...]
[251] 간행물
[252] 서적 Fathoming the Holocaust: A Social Problems Approach Aldine De Gruyter
[253] 기타
[254] 웹사이트 Hitler and the Holocaust, Christian Anti-Semitism http://www3.baylor.e[...] Baylor University Center for American and Jewish Studies 2004
[255] 간행물 Martin Luther and German anti-Semitism
[256] 서적 Reformation: Europe's House Divided, 1490–1700 Penguin Books Ltd
[257] 서적 Die schweigende Kirche: Katholiken und Judenverfolgung
[258] 간행물
[259] 간행물
[260] 서적 The Fabricated Luther
[261] 간행물 Luther and the Jews
[262] 백과사전 Martin Luther
[263] 서적 Here I Stand Abingdon Press, New American Library
[264] 간행물 Martin Luther and the Jews
[265] 서적 Demonizing the Jews: Luther and the Protestant Church in Nazi Germany http://www.ushmm.org[...] Indiana University Press
[266] 간행물 Der Deutsche Luthertag 1933 und die Deutschen Christen
[267] 웹사이트 Martin Luther and "The Jews" A Reappraisal http://www.theologia[...] The Theologian 2014-03-20
[268] 웹사이트 Synod deplores and disassociates itself from Luther's negative statements about the Jewish people and the use of these statements to incite anti-Lutheran sentiment http://www.ctsfw.edu[...]
[269] 서적 Martin Luther's Basic Theological Writings, Second Edition
[270] 서적 A Study of Generations Augsburg Publishing
[271] 잡지 Who voted for the Nazis? (electoral history of the National Socialist German Workers' Party) 1998-10-01
[272] 웹사이트 Special Interests at the Ballot Box? Religion and the Electoral Success of the Nazis http://www.kellogg.n[...] 2017-03-25
[273] 뉴스 The Monk Who Shook the World Wall Street Journal 2017-03-31
[274] 학술지 Martin Luther's Body: The 'Stout Doctor' and His Biographers 2010-04
[275] 웹사이트 The Calendar https://www.churchof[...] 2021-04-09
[276] 웹사이트 Luther und der Schwan https://www.hamburge[...] 2019-10-19
[277] 웹사이트 The Swan https://lutheranpres[...] 2020-07-06
[278] 웹사이트 The Lutheran Identity of Josquin's ''Missa Pange Lingua'' (reference note 94) https://www.cambridg[...] CUP 2020-07-06
[279] 백과사전 Martin Luther German religious leader https://www.britanni[...]
[280] 웹사이트 大航海の時代、日本では大地震が頻発する中、3英傑が天下統一を果たす https://news.yahoo.c[...] ヤフーニュース 2020-07-13
[281] 일반
[282] 서적 マルティン・ルター ことばに生きた改革者 岩波新書 2012
[283] 서적 ドイツ文学 歴史と鑑賞 朝日出版社 1973
[284] Youtube Martin Luther, the Reformation and the nation https://www.youtube.[...]
[285] 일반
[286] 서적 驕れる白人と闘うための日本近代史
[287] 서적 驕れる白人と闘うための日本近代史 文藝春秋 2005
[288] 서적 ドイツ農民戦争
[289] 서적 驕れる白人と闘うための日本近代史 文藝春秋 2005
[290] 서적 驕れる白人と闘うための日本近代史 文藝春秋 2005
[291] 서적 驕れる白人と闘うための日本近代史
[292] 일반
[293] 일반
[294] 서적 名画と建造物 角川書店 2023-10-12
[295] 서적 ユダヤ人と彼らの嘘
[296] 서적 ユダヤ人迫害史 教文館
[297] 서적 教会が犯したユダヤ人迫害
[298] 서적 ユダヤ人とドイツ 講談社 1991
[299] 서적 著名人クリスチャンの結婚生活 ファミリー・フォーラム・ジャパン
[300] 서적 宗教改革の真実-カトリックとプロテスタントの社会史- 講談社現代新書
[301] 참고자료
[302] 백과사전 宗教改革 平凡社
[303] 참고자료
[304] 참고자료
[305] 서적 Werke, Bd. 6. Briefe Frankfurt 1982
[306] 참고자료
[307] 참고자료
[308] 일반
[309] 서적 激動するアメリカ教会-リベラルか福音派か- ヨルダン社
[310] 서적 名画と建造物 角川書店 2023-10-12
[311] 서적 岡田稔著作集 いのちのことば社
[312] 서적 地球紀行 世界遺産の旅 小学館 1999-10
[313] 웹사이트 Documents representing the beginning and the early development of the Reformation initiated by Martin Luther http://www.unesco.or[...]
[314] 서적 Martin Luther: Visionary Reformer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2017-11-12
[315] 서적 What Luther Says: An Anthology Concordia Publishing House
[316] 서적 Martin Luther Viking Penguin 2004
[317] 용어
[318] 용어
[319] 서적 역사와 오늘 신서원 1999-03-15
[319] 서적 EBS 수능특강 언어영역 한국교육방송공사 2009-01-05
[320] 웹사이트 Römer 1:17 http://www.biblestud[...]
[321] 웹사이트 Romans 1:17 http://biblehub.com/[...]
[322] 웹사이트 개역개정 http://www.holybible[...]
[323] 서적 상식의 오류 사전 I 도서출판 경당 2002-09-10
[324] 뉴스 영광 신학의 설교와 십자가 신학의 설교 http://www.pck-goodn[...] 크리스투데이 2012-04-18
[325] 논문 십자가신학의 빛으로 본 미국 보수 복음주의 비판
[326] 뉴스 영광 신학의 설교와 십자가 신학의 설교 http://www.pck-goodn[...] 크리스투데이 2012-04-18
[327] 서적 십자가 신학 성 바오로
[328] 성경
[329] 서적 영웅숭배론 한길사
[330] 성경
[331] 서적 영웅숭배론 한길사
[332] 저널 마틴 루터는 독일의 세종대왕 2006-10-13
[333] 서적 인간의 옷을 입은 성서 책세상
[334] 찬송가 내 주는 강한 성이요
[335] 서적 미완의 개혁자 마르틴 루터:3부 위기와 돌파 그리고 루터의 유산,03:교회의 재조직과 연방교회 http://www.yes24.com[...] 21세기북스
[336] 서적 기독교의 교파 살림
[337] 용어
[338] 성경
[339] 서적 루터의 생애와 사상 대한기독교서회 2002
[340] 저널 디아코니아 2008
[341] 논문 기독교적 반유대주의 연구와 반성
[342] 뉴스 종교개혁의 그림자 “미친 개처럼 잡아 죽여라” https://www.christia[...] 크리스천투데이 2021-01-22
[343] 서적 상식밖의 세계사 새길
[344] 서적 예수 역사인가,신화인가 책세상
[345] 서적 자유로부터의 도피 홍신문화사
[346] 웹사이트 기독교 한국 루터회의 누리집 http://lck.or.kr/lut[...] 2010-12-18
[347] 논문 십자가신학의 빛에서 본 미국의 보수적 복음주의 비판 2005
[348] 서적 Luther-Bilder in deutscher Literatur http://books.google.[...] Leipziger Universitäts-Verlag 2001
[349] 서적 Ludwig Bechstein. Prosasagen außerhalb der großen Anthologien (1826–1859) http://books.google.[...] Peter Lang 2008
[350] 서적 Durch politische Brille und Butzenscheibe. Literarische Lutherbilder in der Heine-Zeit http://books.google.[...] Böhlau 2002
[351] 서적 Durch politische Brille und Butzenscheibe http://books.google.[...] Köln
[352] 서적 Luther in der Neuzeit Guetersloher Verlagshaus
[353] 서적 Eugen Fischer-Baling 1881–1964: Manuskripte, Artikel, Briefe und Tagebücher Harald Boldt
[354] 서적 The Figure of Martin Luther in Twentieth-century German Literature: The Metamorphosis of a National Symbol E. Mellen Press
[355] 서적 Literarischer Führer durch Deutschland: ein Insel-Reiselexikon für die Bundesrepublik Deutschland und Berlin Insel
[356] 서적 „Ich will Zeugnis ablegen bis zum Letzten.“ http://books.google.[...] Königshausen & Neumann
[357] 서적 Luther-Bilder in deutscher Literatur http://books.google.[...] A. a. O.
[358] 웹사이트 Klio, ein Wirbel um L., Roman von Dieter Opitz http://www.die-dschu[...] 199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