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요한 피스카토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요한 피스카토르는 16세기에서 17세기 초 활동한 개혁주의 신학자이다. 스트라스부르에서 태어나 튀빙겐 대학교에서 교육을 받았으며, 스트라스부르 대학교 신학 교수를 거쳐 하이델베르크, 딜렌부르크, 노이슈타트, 뫼르스를 거쳐 헤르보른 아카데미 교수로 재직했다. 그는 그리스도의 능동적 순종 교리를 부인하며, 타락전 선택설을 주장하고 아르미니우스주의에 영향을 미쳤다. 또한, 라뮈즘을 사용한 개혁자이며, 성경을 독일어로 번역하고 신구약 주석을 저술했다. 주요 저서로는 신약 및 구약 성경 라틴어 주석, 독일어 성경 번역본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6세기 독일 작가 - 요하네스 브렌츠
    요하네스 브렌츠는 마르틴 루터의 종교 개혁 운동에 참여하여 슈바비슈 할에서 종교 개혁을 주도하고, 독일 농민 전쟁 당시 질서를 옹호했으며, 《뷔르템베르크 신앙 고백》 준비, 성경 주해, 회의 참여, 칼뱅주의와의 논쟁, 편재설 옹호 등 다양한 활동을 통해 종교 개혁 확산에 기여하고 뷔르템베르크 공국의 교회 및 교육 재조직에 헌신한 독일의 신학자이자 종교 개혁가이다.
  • 16세기 독일 작가 - 안드레아스 오시안더
    안드레아스 오시안더는 독일의 종교 개혁가이자 신학자로, 뉘른베르크 루터교 목사로 활동하며 종교 개혁에 참여했고 쾨니히스베르크 대학교 교수를 지냈으며, 《천체의 회전에 관하여》 서문 작성, 칭의론에 대한 견해 제시 등으로 논쟁을 일으켰고, 그의 신학은 기독교 신비주의적 경향을 띠며 현대 신학에도 영향을 미친다고 평가받는다.
  • 1546년 출생 - 정여립
    정여립은 조선 중기 문신으로 동인으로 전향하여 이이를 비판하다 관직을 버리고 고향으로 돌아간 후 대동계를 결성했으나 반란 혐의로 자결했으며, 기축옥사로 동서인 갈등을 심화시킨 인물이다.
  • 1546년 출생 - 다케다 가쓰요리
    다케다 신겐의 아들인 다케다 가쓰요리는 스와 가문의 가독을 잇고 다케다 가문의 당주가 되었으나, 나가시노 전투 패배 후 오다-도쿠가와 연합군에 밀려 덴모쿠 산에서 자결하며 다케다 가문을 멸망시킨 인물로, 그의 군사적 능력과 정치적 판단에 대한 상반된 평가가 존재한다.
  • 1625년 사망 - 제임스 1세 (잉글랜드)
    스코틀랜드 국왕 제임스 1세는 잉글랜드와 아일랜드 왕위를 계승하여 영국-스코틀랜드 동군연합을 이뤘으나, 의회와의 갈등, 재정 문제, 종교 문제 등 여러 난관에 직면했고 왕권신수설을 주장했으며, 문학과 예술을 후원하고 《킹 제임스 성경》 번역을 주도하는 등 문화적으로 큰 영향을 미쳤다.
  • 1625년 사망 - 모리 데루모토
    모리 데루모토는 모리 모토나리의 손자이자 모리 가문의 당주로, 고바야카와 타카카게와 기카와 모토하루의 지원을 받으며 오다 노부나가, 도요토미 히데요시 휘하에서 공을 세웠으나,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서군 총대장으로서 실질적으로 참전하지 않아 영지를 잃고 조슈 번을 다스리게 된 인물이다.
요한 피스카토르
기본 정보
요하네스 피스카토르
요하네스 피스카토르
본명요하네스 피셔
출생1546년 2월 24일, 리히테나우
사망1625년 7월 26일 (향년 79세), 헤르보른
국적독일
직업신학자, 번역가, 칼뱅주의 학자
종교칼뱅주의
배우자그레트 폰 뷘펠트
자녀요하네스 피스카토르 2세
헤르만 피스카토르
마리아 엘리자베트 피스카토르
학문적 경력
분야신학
영향 받은 인물페터 마르터 베르밀리
영향 준 인물요한 하인리히 알스테드
시메온 루이제르
주요 저서
주요 저서"성경 주해" (Commentarii in omnes libros Veteris et Novi Testamenti)
"정확한 신학 교리 강령" (Aphorismorum doctrinae Christianae ex sacris literis)
"라틴어 성경 번역" (Biblia Latina)

2. 생애

피스카토르는 스트라스부르에서 태어났으며, 튀빙겐 대학교에서 교육을 받았다. 1573년 스트라스부르 대학교의 신학 교수가 되었다. 1574년 선제후 프리드리히 3세는 그를 하이델베르크 대학교의 인문학부에 임명하려 했으나 약간의 반대에 부딪혔고, 결국 피스카토르는 하이델베르크의 라틴어 예비 학교인 "파이다고기움"(Paedagogium)에서 직책을 맡게 되었다.

하이델베르크에서 종교 개혁이 있은 후, 1577년 잠시 딜렌부르크의 궁정 학교 부교수로 재직하다가 1578년 노이슈타트의 카시미리아눔의 신학 교수로 임명되었다. 그 후 1581년 뫼르스의 교장을 지냈으며, 1584년부터 1625년까지 헤르보른 아카데미의 교수로 재직하면서 자신의 라무스주의 교육학을 완전히 발전시킬 수 있었다. 그는 헤르보른에서 사망했다.

3. 신학

피스카토르는 개혁주의에서 그리스도의 능동적 순종 교리를 부인하는 몇 안 되는 신학자 중 한 명이다.[4] 그는 타락전 선택설을 주장했고, 결국 아르미니우스주의자가 되었다. 또한 라뮈즘을 사용한 개혁자이며, 성경을 독일어로 번역했고 신구약 모두 주석을 저술하였다.

3. 1. 칭의 논쟁

그는 칭의에 대하여 단순히 죄를 용서하는 것이라고 단정지었다.[5] 이것은 그가 그리스도의 능동적 순종이 의의 전가가 된다는 것을 부인하는 논리였다. 그는 만일 그리스도의 율법에 대한 순종이 의의 전가가 되어 칭의가 된다면, 그리스도인들은 율법을 지킬 필요가 없다고 주장하였다. 칭의에 대하여 그리스도의 의가 사람에게 전가되는데, 그 사람은 그리스도의 죽음으로 샀기 때문에 그는 죄인으로 보여지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이 주장은 단순히 그리스도의 죽음만으로 율법의 완전한 순종을 의미하므로 의의 전가가 충분하다는 뜻으로 해석되었다.

찰스 핫지는 그의 조직신학에서 피스카토르가 개혁주의 안에서 처음으로 칭의 교리를 벗어난 자라고 주장하였다.[6]

그의 신학적 중요성은 그리스도의 적극적 순종 교리에 대한 그의 반대에 있었다. "그리스도가 율법에 복종했다고 부인하는 자는 그가 사람이었다는 것을 부인하는 것이다." 만약 적극적 순종의 전가가 충분하다면, 인간은 저주뿐만 아니라 순종에서도 자유로울 것이다.

3. 2. [[황금 사슬]]

그는 로마서 주석에서 8:29-30 절에 대하여 황금 사슬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것은 바로 구원의 정도 또는 단계라고 묘사하였다.[7]

3. 3. [[타락전 선택설]]과 [[아르미니우스주의]]

피스카토르는 개혁주의 신학자 가운데 그리스도의 능동적 순종 교리를 부인하는 몇 안 되는 인물이다.[4] 그는 이러한 입장을 바탕으로 타락전 선택설을 주장하였고, 결국 아르미니우스주의자가 되었다.

4. 성경 번역 및 주석

피스카토르는 신약성경(헤르본, 1595–1609)과 구약성경(1612, 1618)에 대한 라틴어 주석을 집필했으며, 독일어 성경 번역본(1605–19)을 출간했다. 이후 그는 고고학, 역사학, 신학적 자료가 풍부하기로 유명한 ''Anhang des herbonischen biblischen Wercks''(1610)를 저술했다.[1]

2010년에는 피스카토르의 출애굽기 21-23장에 대한 주석 부록이 ''모세의 사법에 관한 논쟁''이라는 제목으로 번역 및 출판되었다.[1]

5. 저서

Aphorismi Doctrinae Christianaela (기독교 교리 격언집)

피스카토르는 신약성경(헤르본, 1595–1609)과 구약성경(1612, 1618)에 대한 라틴어 주석, 독일어 성경 번역본(1605–19), 그리고 고고학, 역사학, 신학적 자료가 풍부한 ''Anhang des herbonischen biblischen Wercks''(1610)를 저술했다.[1]

그는 철학, 어원학, 신학 분야의 교재를 다수 저술했으며, 그중 Aphorismi doctrinæ christianæla (1596)가 널리 사용되었다.[1]

2010년에는 피스카토르의 출애굽기 21-23장에 대한 주석 부록이 ''모세의 사법에 관한 논쟁''이라는 제목으로 번역, 출판되었다.[1]

참조

[1] 간행물 Johannes Piscator: One Man or a Ramist Dichotomy? Harvard Library Bulletin 1954-03-01
[2] 웹사이트 University of Dayton : University of Dayton, Ohio https://udayton.edu/ 2021-06-10
[3] 웹사이트 Online text https://web.archive.[...] 2008-11-11
[4] 웹인용 "#그리스도의_능동적_순종의_전가_교리" https://lewisnoh.tis[...] 2020-06-09
[5] 서적 The theology of the Westminster standards : historical context and theological insights https://www.worldcat[...]
[6] 서적 Index to Systematic theology http://worldcat.org/[...] BiblioBazaar 2010
[7] 서적 The theology of the Westminster standards : historical context and theological insights https://www.worldca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