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 심곡서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용인 심곡서원은 1605년에 건립되어 1650년에 사액을 받았으며, 1871년 흥선대원군의 서원 철폐령에도 훼철되지 않고 존속한 서원이다. 조선 중종 때 사림파의 영수였던 조광조를 주향으로 모시고 있으며, 전학후묘 형식을 갖춘 조선시대 서원이다. 건립 연대와 사액 연대를 정확히 알 수 있고, 사액 후 원 위치를 유지하고 있어 역사적, 학술적 가치가 높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605년 설립 - 부산 충렬사
부산 충렬사는 부산박물관 소장 문화재인 동래무청선생안, 경상좌수영선생안, 다대진선생안 등을 보관하는 장소이다. - 1605년 설립 - 사천 구계서원
사천 구계서원은 조선 시대 학자 이정의 학문과 덕행을 기리기 위해 1590년에 창건되어 1706년에 사액서원으로 지정되었으나, 서원 철폐 정책으로 폐쇄 후 복원되어 현재는 교육 및 문화 활동 공간으로 활용되고 있으며, 매년 제향 의식이 거행된다. - 용인시의 문화유산 - 처인성
처인성은 경기도 용인시에 위치한 사다리꼴 토성으로, 고려시대 몽골 침입을 막아낸 격전지이자 김윤후가 몽골군을 격퇴한 처인성 전투로 유명하며, 임진왜란 당시 왜군의 북상을 저지하는 데에도 중요한 역할을 한 역사적인 장소이다. - 용인시의 문화유산 - 용인 할미산성
용인 할미산성은 경기도 용인시에 위치한 산성으로, 내성과 외성으로 구분되며 삼국시대에서 남북국 시대에 걸쳐 축조된 것으로 추정된다.
용인 심곡서원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용인 심곡서원 |
영어 이름 | Simgokseowon Confucian Academy, Yongin |
![]() | |
지정 종류 | 사적 |
지정 번호 | 530 |
지정일 | 2015년 1월 28일 |
주소 |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상현동 203-2 등 |
시대 | 조선시대 |
소유자 | 심곡서원 |
면적 | 문화재구역 2필지 1,071m2, 보호구역 8필지 6,791m2 |
추가 정보 | |
유형 | 유형문화재 |
지정 번호 | 7 |
지정일 | 1972년 5월 4일 |
해제일 | 2015년 1월 28일 |
2. 역사
조선 중종 때 사림파의 영수였던 정암 조광조를 주향(主享)으로 하는 심곡서원은 강당이 전면에, 사우가 뒤쪽에 배치된 전학후묘(前學後廟) 형식을 갖추고 있다. 경내에는 조광조가 직접 심은 것으로 알려진 수령 500여 년의 느티나무가 있으며, 정암집 등 관련 고문서가 장서각에 보관되어 있다.[1] 현재 매년 춘추향사와 매월 삭망(朔望) 분향 의식을 거행하며, 서원 인근 문정공 조광조 묘 및 신도비(경기도 기념물 제169호)를 통해 그 가치와 위상을 확인할 수 있다.[1]
2. 1. 건립과 사액
1605년(선조 38년) 처음 건립되었고 1649년(효종 원년)에 사액을 받았다. 1871년 흥선대원군의 서원 철폐령 때 조광조를 모신 서원 중 유일하게 훼손되지 않고 현재까지 존속되고 있다.[1] 사우와 강당 중수 시, 각각 1636년과 1657년에 작성된 상량문(上樑文)이 발견되었으며, 심곡서원 강당기(1673년, 송시열), 심곡서원 학규(1747년, 이재), 숙종대왕 어제(1740년, 민진원) 등이 전해져 심곡서원의 역사와 내력을 알 수 있다.[1]2. 2. 서원 철폐령과 존속
1871년 흥선대원군의 서원 철폐령에도 조광조를 모신 서원 중 유일하게 훼손되지 않고 존속되었다.[1]2. 3. 중수와 상량문
최근 사우와 강당을 중수할 때, 1636년과 1657년에 작성된 상량문(上樑文)이 각각 발견되었다. 송시열이 1673년에 작성한 심곡서원 강당기, 이재가 1747년에 작성한 심곡서원 학규, 민진원이 1740년에 작성한 숙종대왕 어제 등이 전해져 심곡서원의 역사와 내력을 알 수 있다.[1]2. 4. 관련 기록
심곡서원은 강당이 전면에, 사우가 뒤쪽에 배치된 조선 시대 서원의 전형적인 전학후묘(前學後廟) 형식을 갖추고 있다. 최근 사우와 강당 중수 시, 각각 1636년과 1657년에 작성된 상량문(上樑文)이 발견되었다. 송시열이 작성한 심곡서원 강당기(1673년), 이재가 작성한 심곡서원 학규(1747년), 민진원이 작성한 숙종대왕 어제(1740년) 등이 전해져 심곡서원의 역사와 내력을 알 수 있다.[1]경내에는 조광조가 직접 심은 것으로 알려진 수령 500여 년의 느티나무가 남아 있으며, 정암집 등 관련 고문서가 장서각에 보관되어 있다. 현재 매년 춘추향사와 매월 삭망(朔望) 분향 의식을 거행하고 있다. 서원 인근에 있는 문정공 조광조 묘 및 신도비(경기도 기념물 제169호)를 통해 심곡서원의 가치와 위상을 확인할 수 있다.[1]
3. 건축
심곡서원은 강당이 앞에 있고 사우가 뒤에 배치된, 조선 시대 서원의 전형적인 전학후묘(前學後廟) 형식을 갖추고 있다. 최근 사우와 강당을 보수하면서 1636년과 1657년에 작성된 상량문(上樑文)이 발견되었다. 송시열이 1673년에 작성한 심곡서원 강당기, 이재가 1747년에 작성한 심곡서원 학규, 민진원이 1740년에 작성한 숙종대왕 어제 등이 전해져 심곡서원의 역사와 내력을 알 수 있다. 경내에는 조광조가 직접 심었다고 알려진 수령 500여 년의 느티나무가 남아 있다.
3. 1. 배치 형식
심곡서원은 강당이 전면에, 사우가 뒤쪽에 배치된 조선 시대 서원의 전형적인 전학후묘(前學後廟) 형식을 갖추고 있다. 흥선대원군의 서원 철폐령에도 조광조를 모신 서원 중 유일하게 훼손되지 않고 현재까지 존속되고 있다.[1]3. 2. 주요 건물
심곡서원은 강당이 앞에 있고 사우가 뒤에 배치된, 조선 시대 서원의 전형적인 전학후묘(前學後廟) 형식을 갖추고 있다. 최근 사우와 강당을 보수하면서 각각 1636년과 1657년에 작성된 상량문(上樑文)이 발견되었다. 또한, 송시열이 1673년에 작성한 심곡서원 강당기와 이재가 1747년에 작성한 심곡서원 학규, 민진원이 1740년에 작성한 숙종대왕 어제 등이 전해져 심곡서원의 역사와 내력을 알 수 있다. 경내에는 조광조가 직접 심었다고 알려진 수령 500여 년의 느티나무가 남아 있다.3. 3. 심곡서원
조선 중종 때 사림파의 영수였던 정암 조광조(1482~1519년)를 주향(主享)으로 하는 심곡서원은 강당이 전면에 위치하고 사우가 뒤쪽에 배치된 조선 시대 서원의 전형적인 전학후묘(前學後廟) 형식을 갖추고 있다. 1605년(선조 38년) 처음 건립되었고 1649년(효종 원년)에 사액을 받았으며, 1871년 흥선 대원군의 서원 철폐령 시 조광조를 모신 서원 중 유일하게 훼손되지 않고 현재까지 존속되고 있다.[1]최근 이루어진 사우와 강당의 중수 시, 각각 1636년과 1657년에 작성된 상량문(上樑文)이 발견되었으며, 심곡서원 강당기(1673년, 송시열)와 심곡서원 학규(1747년, 이재), 숙종대왕 어제(1740년, 민진원) 등이 전하고 있어 심곡서원의 역사와 내력을 알 수 있다.[1]
경내에는 조광조가 직접 심은 것으로 알려진 수령 500여 년의 느티나무가 남아 있으며, 정암집 등 관련 고문서가 장서각에 보관되어 있고, 현재 매년 춘추향사와 매월 삭망(朔望) 분향 의식을 거행하고 있다. 아울러, 서원 인근에 있는 문정공 조광조 묘 및 신도비(경기도 기념물 제169호)를 통해 심곡서원의 가치와 위상을 확인할 수 있다.[1]
3. 4. 조광조 묘 및 신도비
서원 인근에 있는 문정공 조광조 묘 및 신도비(경기도 기념물 제169호)를 통해 심곡서원의 가치와 위상을 확인할 수 있다.[1]3. 5. 느티나무
경내에는 조광조가 직접 심은 것으로 알려진 수령 500여 년의 느티나무가 남아 있다.[1]4. 현대적 활용
(요약과 참조할 원문 소스가 제공되지 않았으므로, 이전 결과와 동일하게 '현대적 활용' 섹션에 대한 내용을 빈칸으로 둡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