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1747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747년은 18세기 중반으로, 유럽에서는 오스트리아 왕위 계승 전쟁이 진행되었고, 동아시아에서는 일본에서 모모조노 천황이 즉위하고, 청나라 건륭제 치세에 대금천을 정복했으며, 조선 영조 시대였다. 주요 사건으로는 라우펠트 전투에서 프랑스군의 승리, 상트페테르부르크 협정 체결, 베르헌옵줌 공성전, 일본 모모조노 천황 즉위 등이 있었다. 또한, 런던 록 병원 성병 클리닉 개원, 벤저민 프랭클린의 민병대 조직, 제임스 린드의 괴혈병 실험 등이 있었으며, 아브라함-루이 브레게, 존 에이킨 등이 태어났고, 나데르 샤, 앨런 브로드릭 등이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747년 - 제2차 피니스테레곶 해전
    제2차 피니스테레곶 해전은 오스트리아 왕위 계승 전쟁 중 1747년 10월 14일 피니스테레 곶에서 영국 해군이 프랑스 해군에 압도적인 승리를 거둔 해전으로, 영국 해상 지배력 강화와 프랑스 경제 타격, 엑스라샤펠 조약 체결에 영향을 미쳐 프랑스가 식민지에서 영국에게 주도권을 넘겨주게 되었다.
  • 1747년 - 제1차 피니스테레곶 해전
    조지 앤슨 제독의 영국 해군이 드 라 종키에르 제독의 프랑스 함대를 피니스테레 곶 인근에서 격파하여 프랑스 해군의 해상 수송로 확보 작전을 위축시키고 해상 무역과 식민지 운영에 타격을 입혔다.
  • 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 - 광주고등법원
    광주고등법원은 1952년에 설치되어 광주광역시, 전라남도, 전북특별자치도, 제주특별자치도를 관할하며, 제주와 전주에 원외재판부를 두고 있다.
  • 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 - 1502년
    1502년은 율리우스력으로 수요일에 시작하는 평년으로, 이사벨 1세의 이슬람교 금지 칙령 발표, 콜럼버스의 중앙아메리카 해안 탐험, 바스쿠 다 가마의 인도 상관 설립, 크리미아 칸국의 킵차크 칸국 멸망, 비텐베르크 대학교 설립, 최초의 아프리카 노예들의 신대륙 도착 등의 주요 사건이 있었다.
1747년
지도 정보
연도 정보
기원서기 1747년
세기18세기
천년기제2천년기
달력 정보
그레고리력1747년
로마 건국 기원2500년
아르메니아력1196년
중국력4443 ~ 4444년
콥트력1463 ~ 1464년
에티오피아력1739 ~ 1740년
히브리력5507 ~ 5508년
힌두력비크라마력: 1803~1804년
샤카력: 1669~1670년
칼리유가력: 4848~4849년
이슬람력1159 ~ 1161년
페르시아력1125 ~ 1126년
사건
주요 사건1747년 사건 참고
탄생
주요 탄생1747년 탄생 참고
사망
주요 사망1747년 사망 참고
문화
예술1747년 예술 참고
문학1747년 문학 참고
음악1747년 음악 참고
과학1747년 과학 참고

2. 역사적 배경

1747년은 18세기 중반으로, 유럽에서는 오스트리아 왕위 계승 전쟁이 한창이었다. 이 전쟁은 유럽 각국의 왕위 계승 문제와 영토 분쟁이 복잡하게 얽혀 진행되었으며, 국제적인 세력 균형에 큰 영향을 미쳤다.

7월 2일 오스트리아 왕위 계승 전쟁 중 라우프펠트 전투에서 모리스 드 삭스 원수가 이끄는 프랑스군이 하노버 왕국, 영국, 네덜란드 공화국 연합군을 상대로 결정적인 승리를 거두었다. 이 전투로 프랑스-오스트리아 전쟁의 전세가 거의 결정되었다. 8월 15일에는 영국, 러시아, 네덜란드 3국이 프랑스와 프로이센에 대항하기 위해 상트페테르부르크 협정 (1747년)에 합의했다. 9월 13일에는 베르헌옵줌 공성전 (1747년)에서 70일간의 공방 끝에 네덜란드의 도시 베르헌옵줌이 프랑스군에 함락되었다.[22]

6월 9일(음력 5월 2일), 일본에서는 사쿠라마치 천황이 양위하고 모모조노 천황이 즉위하여 에도 시대가 이어졌다. 청나라에서는 건륭제가 통치하던 시기로, 대금천을 정복하였다.(십전무공 중 제1차 원정) 조선에서는 영조의 통치 아래 사회가 안정되어 있었다.

2. 1. 오스트리아 왕위 계승 전쟁

7월 2일 오스트리아 왕위 계승 전쟁 중 라우프펠트 전투에서 모리스 드 삭스 원수가 이끄는 프랑스군이 하노버 왕국, 영국, 네덜란드 공화국 연합군을 상대로 결정적인 승리를 거두었다. 이 전투로 프랑스-오스트리아 전쟁의 전세가 거의 결정되었다. 8월 15일에는 영국, 러시아, 네덜란드 3국이 프랑스와 프로이센에 대항하기 위해 상트페테르부르크 협정 (1747년)에 합의했다. 9월 13일에는 베르헌옵줌 공성전 (1747년)에서 70일간의 공방 끝에 네덜란드의 도시 베르헌옵줌이 프랑스군에 함락되었다.[22]

2. 2. 동아시아의 정세

6월 9일(음력 5월 2일), 일본에서는 사쿠라마치 천황이 양위하고 모모조노 천황이 즉위하여 에도 시대가 이어졌다. 청나라에서는 건륭제가 통치하던 시기로, 대금천을 정복하였다.(십전무공 중 제1차 원정) 조선에서는 영조의 통치 아래 사회가 안정되어 있었다.

3. 주요 사건


  • 6월 9일 (음력 5월 2일) - 일본, 사쿠라마치 천황의 양위로, 모모조노 천황이 즉위하였다.
  • 청나라, 대금천(大金川)을 정복하였다.(십전무공 중 제1차 원정)[19]
  • 청나라 - 미가 급등이 문제화됨。
  • 13개 식민지 - 뉴욕시의 법률가들에 의해 미국의 최초 합법 단체인 뉴욕 법조 협회(The New York Bar Association)가 조직됨. 뉴욕 총독 대리 캐드월래더 콜든의 공격으로부터 자위를 목적으로 함。
  • 덴마크 - 쇠뢰에 귀족 자제를 위한 아카데미인 쇠뢰 아카데미가 설립됨。
  • 프랑스 - 앙투안-클로드 메이유가 파리의 생탕드레데자르 거리에서 "메이유"를 개업[18]. 루이 15세의 어용이 됨.
  • 프로이센 - 베를린에 최초의 레알슐레(실과학교) 개교。
  • 베트남 - 광남국의 왕 응우옌푹쿠앗이 캄보디아에서 새로 즉위한 앙통에 대한 반란을 지원하기 위해 군대를 파병. 응우옌씨의 군대는 속짱을 점령하고 캄보디아의 수도인 우동까지 진격함.
  • 서아시아 - 맘루크 세력바그다드의 지배를 장악함。
  • 서아프리카 - 동부(현재의 베냉)에서 남부의 나이지리아를 점령하고 있던 요루바족다호메이 왕국을 침략. 다호메이 왕국은 오요 왕국에 대한 공납 의무를 부여받음(-1818년)。
  • 일본 - 다니와 마사카츠가 『서물류산 증보』(54권)을 완성함으로써 『서물류산』이 현재의 형태가 됨。1697년부터 단계적으로 편찬이 진행되었음.
  • 영국 - 과학자 윌리엄 왓슨이 라이덴 병을 사용하여 전기 회로를 보여줌。


3. 1. 유럽

1747년 유럽에서는 여러 중요한 사건들이 발생했다. 1월 31일, 런던 록 병원(London Lock Hospital)에 최초의 성병(성병) 클리닉이 개원했다. 이는 성병 치료의 역사에서 중요한 이정표가 되었다.

오스트리아 왕위 계승 전쟁(오스트리아 왕위 계승 전쟁)과 관련된 사건들이 연이어 일어났다. 5월 14일에는 피니스테르 곶 제1차 해전(피니스테르 곶 제1차 해전 (1747년))에서 영국 해군이 프랑스 함대를 격파했고, 7월 2일에는 라우펠트 전투(라우펠트 전투)에서 프랑스가 하노버, 영국, 네덜란드 연합군을 상대로 승리했다. 9월 13일에는 베르헌오프줌 공성전(1747년 베르헌오프줌 공성전) 끝에 네덜란드 도시 베르헌오프줌(베르헌오프줌)이 프랑스군에 함락되었다. 10월 25일에는 피니스테르 곶 제2차 해전(피니스테르 곶 제2차 해전)에서 영국 해군이 다시 프랑스 함대를 격파했다.

8월 15일, 영국, 러시아 제국(러시아 제국), 네덜란드 공화국(네덜란드 공화국)은 상트페테르부르크 조약(1747년 상트페테르부르크 조약)을 체결하여 프랑스와 프로이센에 대항하는 동맹을 강화했다.

스코틀랜드에서는 자코바이트 반란(1745년 자코바이트 반란)과 관련된 사건이 있었다. 3월 19일, 스코틀랜드 귀족 사이먼 프레이저(Simon Fraser, 11th Lord Lovat)가 반란을 일으킨 죄로 유죄 판결을 받았고, 4월 9일에는 런던 타워 힐(타워 힐)에서 참수형을 당했다. 그는 영국에서 참수형을 당한 마지막 인물이었다.

11월에는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암스테르담)에서 정부 개혁을 요구하는 폭동이 발생했다.

3. 2. 아시아


  • 청나라가 대금천(大金川)을 정복하였다.(십전무공 중 제1차 원정)[19] 2월, 건륭제는 운귀총독 장광사(張廣泗)에게 진압을 명하였다.[19](~1749년) 12월, 건륭제는 각 성의 독부에게 쌀값 폭등 문제 해결책에 대해 자문하였다.
  • 6월 9일(음력 5월 2일) - 일본에서 사쿠라마치 천황이 양위하고, 모모조노 천황이 즉위하였다.
  • 10월 1일 – 히즈라력 1160년 (10월) 7일, 칸다하르(Kandahar)에서 파슈툰족 추장들이 특별 회의(로야 지르가(loya jirga))를 열어 아프가니스탄(Afghanistan)의 지도자로 아마드 샤 두라니(Ahmad Shah Durrani)를 선출하고 두라니 제국(Durrani Empire)을 건국하였다.
  • 베트남 - 광남국의 왕 응우옌푹쿠앗이 캄보디아에서 새로 즉위한 앙통에 대한 반란을 지원하기 위해 군대를 파병했다. 응우옌씨의 군대는 속짱을 점령하고 캄보디아의 수도인 우동까지 진격하였다.
  • 서아시아 - 맘루크 세력바그다드의 지배를 장악하였다.
  • 8월 24일키프로스총독이었던 가 오스만 제국의 대베지르에 취임하여 1750년까지 재임하였다.
  • 4월 - 카르나틱 전쟁 - 난자 라자(크리슈나 라자 2세의 형제)가 이끄는 마이소르 왕국의 군대가 데바나할리 성을 공략하였다. 이 전투에 참전한 하이데르 알리가 군공을 인정받아 군인으로서 이름을 떨치게 되었다.
  • 7월 19일나디르 샤 암살 이후, 아프샤르 왕조는 붕괴하면서 쇠퇴하여 1796년카자르 왕조에 의해 멸망하였다.
  • 일본 - 다니와 마사카츠가 『서물류산 증보』(54권)을 완성함으로써 『서물류산』이 현재의 형태가 되었다. 1697년부터 단계적으로 편찬이 진행되었다.
  • 4월 20일(연흥 4년 3월 21일) – 원강에서 동해도의 도적 일본좌위문(일본다우에몬의 모델, 가부키 시로나미 고닌 오토코에 등장)이 미부치에서 옥문형에 처해졌다.
  • 5월 24일(연흥 4년 4월 16일) – 에도성 이노마루가 소실되었다.
  • 9월 19일(연흥 4년 8월 15일) – “호소카와 무네타카 살해 사건”. 에도성 전당에서 하타모 이타쿠라 카츠타다가 쿠마모토 번주 호소카와 무네타카를 암살하였다.
  • 12월 17일 (연흥 4년 11월 16일) – 오사카, 다케모토자에서 다케다 이즈모 등이 작곡한 『의경천본앵』이 초연되어 성공을 거두었다.
  • 7월 - 팔기 한군에게 외성 거주가 허용되었다.
  • 서아프리카 - 동부(현재의 베냉)에서 남부의 나이지리아를 점령하고 있던 요루바족다호메이 왕국을 침략하였다. 다호메이 왕국은 오요 왕국에 대한 공납 의무를 부여받았다.(-1818년)

3. 3. 아메리카

1747년, 매사추세츠 만 식민지 보스턴에서 영국 왕립 해군의 강제 징집에 항의하는 놀스 폭동(Knowles Riot)이 3일간 발생했다.[25] 벤저민 프랭클린펜실베이니아 식민지 최초의 민병대 조직인 펜실베이니아 어소시에이터스(Associators)를 결성했다. 이 식민지는 평화주의적인 퀘이커들에 의해 건설되었기 때문에 기존의 민병대 조직이 없었다.[25]

4. 문화 및 과학

4. 1. 문화

제임스 린드는 5월 20일 괴혈병의 원인을 밝히기 위한 실험을 시작했고, 실험을 통해 감귤류 과일이 괴혈병을 예방한다는 사실이 입증되기 시작했다. 사무엘 존슨은 런던에서 영어사전(A Dictionary of the English Language) 편찬 작업을 시작했다.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5월 7일 포츠담에서 프리드리히 2세를 알현하고 즉흥 연주를 했다. 같은 해 7월에는 악보로 적어 프리드리히 2세에게 헌정했고, 9월 말에는 새로 작곡한 카논리체르카레, 플루트가 참가하는 트리오 소나타를 더한 것을 『음악의 헌정』으로 출판했다.

4. 2. 과학

5. 인물


  • 1월 10일 - 아브라함-루이 브레게, 스위스의 시계 제작자이자 발명가 (1823년 사망)[9]
  • 1월 15일 - 존 에이킨, 영국의 의사이자 작가[9]
  • 1월 19일 - 요한 엘레르트 보데, 독일의 천문학자 (1826년 사망)[10]
  • 2월 21일 - 우제니오 에스페호, 에콰도르의 과학자 (1795년 사망)
  • 2월 28일 - 저스틴 모건, 미국의 말 사육자이자 작곡가 (1798년 사망)
  • 5월 5일 - 레오폴트 2세, 신성 로마 제국의 황제이자 헝가리와 보헤미아의 왕[10]
    레오폴트 2세
  • 5월 7일 - 유딧 반 도르트, 네덜란드의 오랑주의당원 (1799년 사망)
  • 6월 23일 - 미켈레 트로야, 이탈리아의 의사 (1827년 사망)
  • 7월 2일 - 로즈 베르탱, 프랑스의 패션 디자이너 (1813년 사망)
  • 7월 6일 - 존 폴 존스, 미국의 해군 함장[11]
  • 9월 9일 - 토마스 코크, 첫 번째 미국 감리교 감독 (1814년 사망)
  • 9월 12일 - 캘럽 브루스터, 미국 독립 전쟁 당시 애국자 스파이 (1827년 사망)
  • 10월 8일 - 장-프랑수아 르벨, 프랑스의 정치인 (1807년 사망)
  • 12월 12일 - 안나 시워드, 영국의 작가[12]
  • 12월 31일 - 고트프리트 아우구스트 뷔르거, 독일의 시인 (1794년 사망)
  • 날짜 미상
  • * 프랑수아 투르트, 프랑스의 악기 제작자 (1835년 사망)
  • * 프랜시스 살바도르, 미국의 애국자 (1776년 사망)
  • * 앤 페팽, 세네갈의 시냐라 (Signara) (1837년 사망)
  • * 그리고리 셸리호프, 러시아의 상인 (1795년 사망)

5. 1. 탄생


  • 1월 10일 - 스위스의 시계 제작자이자 발명가인 아브라함-루이 브레게(1823년 사망)가 태어났다.[9]
  • 1월 15일 - 영국의 의사이자 작가 존 에이킨이 태어났다.[9]
  • 1월 19일 - 독일의 천문학자 요한 엘레르트 보데가 태어났다. (1826년 사망)[10]
  • 2월 21일 - 에콰도르의 과학자 우제니오 에스페호가 태어났다. (1795년 사망)
  • 2월 28일 - 미국의 말 사육자이자 작곡가 저스틴 모건이 태어났다. (1798년 사망)
  • 5월 5일 - 신성 로마 제국의 황제이자 헝가리와 보헤미아의 왕 레오폴트 2세가 태어났다.[10]
  • 5월 7일 - 네덜란드의 오랑주의당원 유딧 반 도르트가 태어났다. (1799년 사망)
  • 6월 23일 - 이탈리아의 의사 미켈레 트로야가 태어났다. (1827년 사망)
  • 7월 2일 - 프랑스의 패션 디자이너 로즈 베르탱이 태어났다. (1813년 사망)
  • 7월 6일 - 미국의 해군 함장 존 폴 존스가 태어났다.[11]
  • 9월 9일 - 첫 번째 미국 감리교 감독 토마스 코크가 태어났다. (1814년 사망)
  • 9월 12일 - 미국 독립 전쟁 당시 애국자 스파이 캘럽 브루스터가 태어났다. (1827년 사망)
  • 10월 8일 - 프랑스의 정치인 장-프랑수아 르벨이 태어났다. (1807년 사망)
  • 12월 12일 - 영국의 작가 안나 시워드가 태어났다.[12]
  • 12월 31일 - 독일의 시인 고트프리트 아우구스트 뷔르거가 태어났다. (1794년 사망)
  • 날짜 미상
  • * 프랑스의 악기 제작자 프랑수아 투르트가 태어났다. (1835년 사망)
  • * 미국의 애국자 프랜시스 살바도르가 태어났다. (1776년 사망)
  • * 세네갈의 시냐라 (Signara) 앤 페팽이 태어났다. (1837년 사망)
  • * 러시아의 상인 그리고리 셸리호프가 태어났다. (1795년 사망)

5. 2. 사망


  • 1월 2일 - 조지 그레이엄 경(Lord George Graham), 영국 왕립 해군 장교이자 국회의원 (1715년 출생)[13]
  • 1월 16일 - 바르톨트 하인리히 브로케스(Barthold Heinrich Brockes), 독일 시인 (1680년 출생)[13]
  • 1월 26일 - 빌럼 판 미에리스(Willem van Mieris), 네덜란드 화가 (1662년 출생)
  • 3월 2일 - 소피아 샤를로테 브란덴부르크-바이로이트 공녀(Margravine Sophie Charlotte of Brandenburg-Bayreuth), 독일 귀족 (1713년 출생)
  • 3월 3일 - 폴라네 소남 톱계/Polhané Sönam Topgyé영어 - 티베트의 정치가 (*1689년)
  • 3월 14일 - 요한 마티아스 폰 데어 슐렌부르크(Johann Matthias von der Schulenburg), 독일 귀족이자 장군 (1661년 출생)
  • 3월 16일 - 크리스티안 아우구스트 안할트-체르브스트 공작(Christian Augustus of Anhalt-Zerbst), 예카테리나 2세의 아버지 (1690년 출생)
  • 3월 19일 - 카타지나 오팔린스카 (Katarzyna Opalińska) - 폴란드 국왕 스타니스와프 레시친스키(Stanisław Leszczyński)의 왕비 (*1682년)
  • 3월 23일 - 클로드 알렉상드르 드 보네발(Claude Alexandre de Bonneval), 프랑스 군인 (1675년 출생)
  • 4월 2일 - 요한 야코프 딜레니우스(Johann Jacob Dillenius), 독일 식물학자 (1684년 출생)
  • 4월 3일 - 프란체스코 솔리메나(Francesco Solimena), 이탈리아 화가 (1657년 출생)
  • 4월 7일 - 레오폴트 1세 안할트-데사우 공작(Leopold I, Prince of Anhalt-Dessau), 프로이센 원수 (1676년 출생)
  • 4월 9일 - 사이먼 프레이저 (제11대 러버트 경) (Simon Fraser, 11th Lord Lovat) - 스코틀랜드 귀족, 자코바이트 (*1667년경)
  • 4월 14일 - 장-프레드릭 오스테르발트(Jean-Frédéric Osterwald), 스위스 개신교 목사 (1663년 출생)
  • 5월 9일 - 존 댈림플, 2대 스테어 백작(John Dalrymple, 2nd Earl of Stair), 스코틀랜드 군인이자 외교관 (1673년 출생)
  • 5월 28일 - 뤼크 드 클라피에 드 보브나르그 (Luc de Clapiers, marquis de Vauvenargues) - 프랑스 귀족, 작가, 도덕가 (*1715년)[14]
  • 5월 31일 - 안드레이 오스텔만 (Andrei Osterman) - 러시아 제국의 외무대신, 정치가 (*1686년)
  • 6월 8일 - 앨런 브로드릭, 2대 미들턴 자작(Alan Brodrick, 2nd Viscount Midleton), 잉글랜드 크리켓 선수 (1702년 출생)
  • 6월 17일 - 아브도티야 체르니셰바(Avdotya Chernysheva), 러시아 귀족, 시녀 (1693년 출생)
  • 6월 19일
  • * 나데르 샤(Nader Shah), 아프샤르 왕조 초대 황제 (1688년 출생)[15][16][17]
  • * 알레산드로 마르첼로(Alessandro Marcello), 이탈리아 작곡가 (1669년 출생)
  • 7월 9일 - 조반니 바티스타 보논치니 (Giovanni Battista Bononcini) - 이탈리아의 작곡가 (*1770년)[15]
  • 7월 11일 (연항 4년 6월 4일) - 초대 다케다 이즈모(竹田出雲), 일본의 조루리 작가, 문인 (*불명)
  • 10월 4일 - 아마로 로드리게스 펠리페 (Amaro Rodríguez Felipe) - 스페인의 해적 (*1678년)
  • 10월 7일 - 줄리아 라마(Giulia Lama), 이탈리아 화가 (1681년 출생)[16]
  • 10월 9일 - 데이비드 브레이너드(David Brainerd), 미국 선교사 (1718년 출생)
  • 10월 10일 - 존 포터(John Potter), 캔터베리 대주교(Archbishop of Canterbury) (약 1674년 출생)
  • 11월 8일 (연항 4년 10월 6일) - 테라사카 키치에몬(寺坂吉右衛門), 아카호 47사의 일원 (*1655년)
  • 11월 17일 - 알랭-르네르 레사주(Alain-René Lesage), 프랑스 작가 (1668년 출생)[17]
  • 12월 2일 - 빈센트 본(Vincent Bourne), 잉글랜드 고전 학자 (1695년 출생)

나데르 샤(Nader Shah)


“아마로 파르고”로 알려진 아마로 로드리게스 펠리페

6. 기타

6. 1. 연호

6. 2. 기년

7. 한국의 관점

참조

[1] 서적 The Baptism of Sultan Azim ud-Din of Sulu Waxmann Verlag
[2] 서적 Simon Fraser, Lord Lovat T. Fisher Unwin
[3] 서적 Dr. John Moore, 1729–1802: A Life in Medicine, Travel, and Revolution Rowman & Littlefield
[4] 간행물 Lloyd's List No. 1259 https://babel.hathit[...] 1747-12-18
[5] 논문 The Multiple Identities of Early Modern Dutch Fishwives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12-03-01
[6] 서적 Associators ABC-CLIO
[7] 서적 Maritime Annapolis: A History of Watermen, Sails & Midshipmen Arcadia Publishing
[8] 서적 Nine Public Lectures on Important Subjects in Religion Wipf and Stock Publishers
[9] 서적 The Poems of Anna Letitia Barbauld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Georgia Press 1994-01-01
[10] 서적 The New International Encyclopaedia https://books.google[...] Dodd, Mead
[11] 서적 Life of Rear-Admiral John Paul Jones... https://books.google[...] Walker & Gillis
[12] 서적 British Women Poets of the Romantic Era: An Anthology https://books.google[...] JHU Press 2001-01-19
[13] 서적 German Baroque Writers, 1661-1730 Gale Research
[14] 서적 Vauvenargues and La Rochefoucauld https://books.google[...] Manchester University Press
[15] 웹사이트 Bononcini, Giovanni http://www.treccani.[...] 2015-10-02
[16] 서적 Concise Dictionary of Women Artists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01
[17] 서적 The British Cyclopedia of Biography https://books.google[...]
[18] 웹사이트 maille.jp : マイユ 270年の歴史 http://www.maille.jp[...] マイユ 2022-04-24
[19] 서적 乾隆得勝圖平定金川戰圖 http://www.zinbun.ky[...] 2012
[20] 서적 The Baptism of Sultan Azim ud-Din of Sulu Waxmann Verlag
[21] 서적 Simon Fraser, Lord Lovat T. Fisher Unwin
[22] 서적 Dr. John Moore, 1729–1802: A Life in Medicine, Travel, and Revolution Rowman & Littlefield
[23] 간행물 Lloyd's List No. 1259 https://babel.hathit[...] 1747-12-18
[24] 논문 The Multiple Identities of Early Modern Dutch Fishwives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12-03-01
[25] 서적 Associators ABC-CLIO
[26] 서적 Maritime Annapolis: A History of Watermen, Sails & Midshipmen Arcadia Publishing
[27] 서적 Nine Public Lectures on Important Subjects in Religion Wipf and Stock Publisher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