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우노 하르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우노 하르바는 핀란드의 인류학자이자 종교학자로, 시베리아의 케트족, 에벤키족, 핀우고르족, 볼가강의 체레미스 등 다양한 민족의 신화와 종교를 연구했다. 그는 시베리아 샤머니즘 연구에 기여했으며, 저서 『생명의 나무』를 통해 북유럽 신화의 세계수가 유럽과 아시아에서 유사성을 가진다는 점을 밝혀냈다. 또한, 핀란드-우그리아 민족의 종교와 관련된 다양한 연구를 수행했으며, 여러 저서를 남겨 핀란드 민속학 및 종교 연구에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핀우그리아어학자 - 에밀 네스토르 세탤래
    에밀 네스토르 세탤래는 핀란드어 연구, 정치 활동, 외교관 경력을 가진 인물로, 핀란드어 통사론 연구를 시작으로 헬싱키 대학교 교수를 역임하며 핀란드어 연구에 기여했고, 국회의원, 교육부 장관, 외무부 장관을 거쳐 덴마크와 헝가리 주재 특명전권대사를 지냈다.
  • 1949년 사망 - 펠릭스 호프만
    펠릭스 호프만은 바이엘사 연구원으로 아스피린과 헤로인을 합성한 독일 화학자이며, 특히 아스피린은 아르투어 아이헨그륀의 지휘 아래 합성되어 진통, 해열, 항염증제로 널리 쓰였으나, 아이헨그륀의 역할 축소 및 호프만의 공로 과장 논란이 존재한다.
  • 1949년 사망 - 김구
    김구는 한국의 독립운동가, 정치인, 통일운동가로서, 동학 입교, 치하포 사건, 대한민국 임시정부 참여, 한인애국단 조직, 한국광복군 창설 등의 활동을 전개하다 안두희에게 암살당했다.
우노 하르바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우노 하르바
출생 이름우노 홀름베리
출생일1882년 8월 30일
출생지위패
사망일1949년 8월 13일
사망지투르쿠
국적핀란드인
직업신학
사회학
모교헬싱키 대학교
활동 기간해당 사항 없음
알려진 업적해당 사항 없음
주요 작품해당 사항 없음

2. 생애와 학문적 배경

하르바는 1910년대에 시베리아의 케트와 에벤크 사이에서 현지 조사를 수행하여 그들의 신화와 종교를 연구했다. 1911년부터 1913년까지 여름에는 우랄 산맥의 핀우고르족 보탸크(우드무르트)와 볼가강의 체레미스(마리)와 함께 보냈다. 그는 시베리아의 중요한 인류학자로 여겨진다.[3][4]

그의 연구서인 『생명의 나무』(Der Baum des Lebens; 1922–23)는 북유럽 신화의 세계수가 유럽과 아시아에서 많은 유사성을 가지고 있음을 처음으로 보여주었다.[5]

1927년, 하르바는 책 시리즈 『모든 민족의 신화』의 네 번째 권을 저술했다. 여기에는 아극 샤머니즘에 대한 고전적인 일반적인 설명이 담겨 있다.[3]

3. 현지 조사 및 연구 활동

우노 하르바는 1910년대에 시베리아의 케트와 에벤크 사이에서 현지 조사를 수행하여 그들의 신화와 종교를 연구했으며, 1911년부터 1913년까지는 우랄 산맥의 -우고르족 보탸크(우드무르트)와 볼가강의 체레미스(마리)와 함께 생활하며 연구를 진행했다. 그는 시베리아의 중요한 인류학자로 여겨진다.[3][4]

그의 연구서인 『생명의 나무』(Der Baum des Lebens; 1922–23)는 북유럽 신화의 세계수가 유럽과 아시아에서 많은 유사성을 가지고 있음을 처음으로 보여주었다.[5]

1927년, 하르바는 책 시리즈 『모든 민족의 신화』의 네 번째 권을 저술하여 아극 샤머니즘에 대한 고전적인 설명을 제공했다.[3]

3. 1. 시베리아 민족 연구

하르바는 1910년대에 시베리아의 케트와 에벤크 사이에서 현지 조사를 수행하여 그들의 신화와 종교를 연구했다. 1911년부터 1913년까지 여름을 우랄 산맥의 핀우고르족 보탸크(우드무르트)와 볼가강의 체레미스(마리)와 함께 보냈다. 그는 시베리아의 중요한 인류학자로 여겨진다.[3][4]

그의 연구서인 『생명의 나무』(Der Baum des Lebens; 1922–23)는 북유럽 신화의 세계수가 유럽과 아시아에서 많은 유사성을 가지고 있음을 처음으로 보여주었다.[5]

1927년, 하르바는 책 시리즈 『모든 민족의 신화』의 네 번째 권을 저술했다. 여기에는 아극 샤머니즘에 대한 고전적인 일반적인 설명이 담겨 있다.[3]

4. 주요 연구 주제 및 업적

우노 하르바는 핀란드, 우그리아, 시베리아 지역의 민속 신앙과 신화를 연구했다. 주요 저서로는 《핀-우그르 민족의 물의 신》(1913), 《페르미아인의 종교》(1914), 《체레미스인의 종교》(1914), 《라프인의 종교》(1915), 《생명의 나무》(1920, 1922년 독일어판 출간), 《알타이 종족의 종교》(1933), 《알타이 민족의 종교적 관념》(1938), 《핀란드인의 고대 신앙》(1948) 등이 있다.

하르바의 저서 목록은 다음과 같다.

출판 연도제목언어
1913《핀-우그르 민족의 물의 신》 (Die Wassergottheiten der Finno-Ugrischen Völker)독일어
1914《페르미아인의 종교》 (Permalaisten uskonto)핀란드어
1914《체레미스인의 종교》 (Tsheremissien uskonto)핀란드어
1915《라프인의 종교》 (Lappalaisten uskonto)핀란드어
1916《신앙의 기원》(Jumalauskon alkuperä)핀란드어
1920《생명의 나무》 (Elämänpuu)핀란드어
1922《생명의 나무》 (Der Baum des Lebens)독일어 (핀란드어판 재출간)
1922《북유럽과 아시아의 사냥 의례에 관하여》(Pohjoisen Euroopan ja Aasian pyyntiriiteistä)핀란드어
1927《핀-우그르, 시베리아 신화》 (Finno-Ugric, Siberian Mythology)영어
1933《알타이 종족의 종교》 (Altain suvun uskonto)핀란드어
1938《알타이 민족의 종교적 관념》 (Die religiösen Vorstellungen der altaischen Völker)독일어
1942《모르드바인의 고대 신앙》 (Mordvalaisten muinaisusko)핀란드어
1943《삼포의 약탈》 (Sammon ryöstö)핀란드어
1948《핀란드인의 고대 신앙》 (Suomalaisten muinaisusko)핀란드어


4. 1. 샤머니즘 연구

하르바는 1910년대에 시베리아의 케트와 에벤크 사이에서 현지 조사를 수행하여 그들의 신화와 종교를 연구했다. 그는 또한 1911년부터 1913년까지 여름을 우랄 산맥의 핀우고르족 보탸크(우드무르트)와 볼가강의 체레미스(마리)와 함께 보냈다. 그는 시베리아의 중요한 인류학자로 여겨진다.[3][4]

그의 연구서인 『생명의 나무』(Der Baum des Lebens; 1922–23)는 북유럽 신화의 세계수가 유럽과 아시아에서 많은 유사성을 가지고 있음을 처음으로 보여주었다.[5]

하르바는 1927년에 책 시리즈 『모든 민족의 신화』의 네 번째 권을 저술했다. 여기에는 아극 샤머니즘에 대한 고전적인 일반적인 설명이 담겨 있다.[3]

5. 주요 저작

출판 연도제목비고
1913핀-우그르 민족의 물의 신 (Die Wassergottheiten der Finno-Ugrischen Völker)독일어
1914페르미아인의 종교 (Permalaisten uskonto)
1914체레미스인의 종교 (Tsheremissien uskonto)핀란드어
1915라프인의 종교 (Lappalaisten uskonto)핀란드어
1916신앙의 기원 (Jumalauskon alkuperä)
1920생명의 나무 (Elämänpuu)핀란드어, 1922년 독일어(Der Baum des Lebens)로 재출판
1922북유럽과 아시아의 사냥 의례에 관하여 (Pohjoisen Euroopan ja Aasian pyyntiriiteistä)
1927핀-우그르, 시베리아 신화 (Finno-Ugric, Siberian Mythology)
1933알타이 종족의 종교 (Altain suvun uskonto)
1938알타이 민족의 종교적 관념 (Die religiösen Vorstellungen der altaischen Völker)독일어
1942모르드바인의 고대 신앙 (Mordvalaisten muinaisusko)
1943삼포의 약탈 (Sammon ryöstö)
1948핀란드인의 고대 신앙 (Suomalaisten muinaisusko)


참조

[1] 서적 Shamanism and Northern Ecology https://books.google[...] Walter de Gruyter 1996
[2] 서적 Genealogies of Shamanism: Struggles for Power, Charisma and Authority https://books.google[...] Barkhuis 2011
[3] 서적 Shamanism: Critical Concepts in Sociology https://books.google[...] Psychology Press 2004
[4] 서적 Arctic: Environment, People, Policy https://books.google[...] CRC Press 2000
[5] 서적 Tracing Old Norse Cosmology https://books.google[...] Nordic Academic Press 2014
[6] 서적 Shamanism and Northern Ecology https://books.google[...] Walter de Gruyter 1996
[7] 서적 Genealogies of Shamanism: Struggles for Power, Charisma and Authority https://books.google[...] Barkhuis 20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