샤머니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샤머니즘은 퉁구스어 '샤먼'에서 유래된 용어로, 무당, 주술사를 의미하며, 인간 세계와 영혼 세계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샤머니즘은 다양한 정의와 형태를 가지며, 영혼과의 교감, 치유, 점술 등의 역할을 수행한다. 샤먼은 역할, 샤먼이 되는 과정, 빙의 주체에 따라 분류되며, 춤, 노래, 약물 등을 통해 엑스터시 상태에 이르러 초자연적 현상을 경험한다. 한국의 무속 신앙은 샤머니즘의 한 형태로, 역사적으로 사회와 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샤머니즘은 사회 통합, 정치적 권위의 기반이 되기도 하며, 환경 자원 관리와 같은 사회적 기능도 수행한다. 그러나 "샤머니즘"이라는 용어는 문화적 전유, 언어 식민주의 등의 비판을 받기도 하며, 쇠퇴와 부흥을 겪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초자연적 치유 - 응강가
응강가는 콩고어를 어원으로 하여 영적 지도자, 치료자, 점술가 등을 지칭하며, 지역에 따라 영적 영역과의 소통, 질병 치료, 종교적 조언 등의 역할을 수행한다. - 초자연적 치유 - 사티야 사이바바
사티야 사이바바는 자신을 쉬르디 사이 바바의 환생이자 시바와 샤크티의 화신이라고 주장하며 사랑과 봉사를 강조한 인도의 구루이자 영적 지도자였으나, 기적 주장, 재산 관리, 성적 학대 의혹 등 논란도 있었다. - 샤머니즘 - 오소레산
오소레산은 아오모리현 시모키타 반도 중앙의 활화산이자 8개 복합화산으로 이루어진 산지의 봉우리로, 산성화된 우소리호를 품고 862년 창건된 보다이지 사찰을 중심으로 위령의 장소이자 이타코의 구치요세 의식으로 유명한 영장이다. - 샤머니즘 - 마녀
마녀는 역사적으로 초자연적인 힘을 가진 인물, 특히 여성을 지칭하는 용어로, 다양한 문화와 시대에 걸쳐 점술가, 치유자, 악의적인 존재 등 다양한 의미와 이미지로 묘사되어 왔으며, 중세와 근대 초기 유럽의 마녀 사냥과 현대 위카 신봉자, 대중 매체 속 상징적 캐릭터로 나타난다. - 종교인류학 - 애니미즘
애니미즘은 모든 사물에 영혼이나 정령이 존재한다는 믿음으로, 종교의 초기 형태로 여겨졌으나 현대에는 인간과 비인간 존재 간의 관계성에 초점을 맞춘 신 애니미즘 개념이 등장하여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 종교인류학 - 토템
토템은 특정 집단의 표상 또는 상징으로 기능하는 동물, 식물, 사물 등을 지칭하며, 토테미즘은 원시 사회 및 고대 문명에서 나타나는 사회 구조 및 종교 의식과 관련된 신앙 형태이다.
샤머니즘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다른 이름 | 샤먼교 무교 |
유형 | 종교 의례 치유 문화 |
중심 인물 | 샤먼 |
특징 | 정신, 영혼, 신령과의 교감 영매 역할 무속 행위 탈혼, 무아경, 황홀경 치병 및 예언 능력 |
관련 개념 | 애니미즘, 토테미즘, 무속 신앙 |
어원 | 퉁구스어 ‘사만’ (saman) 팔리어 ‘사마나’ (Samaṇa) 산스크리트어 ‘슈라마나’ (Śramaṇa) |
역사 및 분포 | |
기원 | 구석기 시대 신석기 시대 |
주요 분포 지역 | 시베리아 북극 지역 아메리카 원주민 문화권 동남아시아 오세아니아 한국, 일본 등 동아시아 지역 |
시대별 특징 | 고대: 애니미즘과 결합된 형태 중세: 다양한 문화와 융합 현대: 전통적인 형태 유지 및 현대적 변형 |
샤먼의 역할 | |
주요 역할 | 치유사 종교 지도자 영적 안내자 예언자 의례 주관자 |
능력 | 영계와의 소통 탈혼 및 무아경 상태 유도 정신, 영혼 치유 예언 및 점술 악령 퇴치 영혼 인도 |
샤머니즘의 요소 | |
주요 요소 | 정신 (spirit) 영혼 (soul) 신령 (deity) 정령 (spirit) 의례 (ritual) 탈혼 (trance) 황홀경 (ecstasy) 춤, 노래, 음악 제물 (sacrifice) 신화 (myth) 상징 (symbol) 성물 (sacred object) 주술 (magic) |
관련 용어 | |
관련 용어 | 무속 (Korean shamanism) 무당 (Korean shaman) 만신 보살 엑소시즘 (exorcism) 구병 영혼 숭배 조상 숭배 자연 숭배 다신교 |
현대 샤머니즘 | |
현대적 변화 | 전통적인 형태 유지 현대적 해석 및 변형 뉴에이지 운동과의 결합 심리학, 정신 치료 분야에서의 관심 문화 인류학적 연구 대상 |
학문적 연구 | |
주요 연구자 | 미르치아 엘리아데 카를 융 레비 스트로스 조셉 캠벨 클리포드 기어츠 |
연구 분야 | 인류학 종교학 심리학 역사학 민속학 |
문화적 영향 | |
영향 | 다양한 문화권에 종교적, 문화적 영향 예술, 문학 작품에 영감 민간 요법, 치유 전통에 영향 관광 산업의 소재 |
논란 및 비판 | |
논란 | 미신적 요소 비과학적 관점 종교적 편견 상업적 이용 특정 집단의 권력 수단으로 악용 |
비판 | 지나친 신비화 합리적인 사고 방해 주관적 경험에 의존 |
2. 어원
'샤먼'이라는 말은 퉁구스계족에서 주술사를 의미하는 사만(Saman, saman)에서 유래한다는 설이 유력하다. 그 외에 사문(沙門)을 의미하는 산스크리트어의 시라마나(Sramana)나 팔리어의 사마나(samana)로부터의 차용어라든지, 페르시아어의 셰멘(shemen, 우상), 한자에서 사당을 의미하는 사(祠)로부터 전화되었다는 어휘라는 설도 있으며 중국에서는 무(巫, 여성) 및 격(覡, 남성)이라는 말을 사용하였다.[164]
현대 영어 단어 "샤머니즘(shamanism)"은 러시아어 шаманru에서 유래했는데, 이 단어는 다시 퉁구스어[6]의 samāntuw에서 유래했다. 이는 아마도 에벤키어의 남서 방언[7] 또는 만주어[8]에서 유래했을 것이다. 이 단어의 어원은 때때로 "알다"라는 뜻의 퉁구스어 어근 sā-tuw와 연결되기도 한다.[9][10] 그러나 핀란드의 민족언어학자 유하 얀후넨은 언어학적 근거를 들어 이러한 연관성에 의문을 제기한다.[11]
현대 영어 단어 "샤머니즘(shamanism)"은 러시아어 шаман|샤만ru에서 유래했는데, 이 단어는 다시 퉁구스어[6]의 samān|사만tuw에서 유래했다. 이는 아마도 심 에벤키족이 사용하는 에벤키어의 남서 방언[7] 또는 만주어[8]에서 유래했을 것이다. 이 단어의 어원은 때때로 "알다"라는 뜻의 퉁구스어 어근 sā-|사-tuw와 연결되기도 한다.[9][10] 그러나 핀란드의 민족언어학자 유하 얀후넨은 언어학적 근거를 들어 이러한 연관성에 의문을 제기한다.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는 없지만, 추정되는 파생 관계가 음운적으로 불규칙적이기 때문에(특히 모음의 양에 주목) 무조건적으로 받아들여서는 안 된다."[11]
미르체아 엘리아데는 방랑하는 수도승이나 성직자를 지칭하는 산스크리트어 श्रमण|슈라마나sa가 불교와 함께 중앙아시아의 많은 언어로 퍼져 나갔으며, 샤먼이라는 단어의 최종 기원이 될 수 있다고 언급했다.[12] 이 단어는 간다라어로 ṣamana|사마나pgd, 토하라어 A로 ṣāmaṃ|사맘xto, 토하라어 B로 ṣamāne|사마네txb, 그리고 중국어로 沙門|사문중국어으로 기록되었다.[13]
이 용어는 시베리아 원주민과 접촉한 러시아인들에 의해 채택되었다. 이는 망명 러시아 교회인 아바쿰의 회고록에서도 발견된다.[14] 20년 후 네덜란드의 정치가 니콜라스 위첸에 의해 서유럽에 소개되었는데, 그는 자신의 저서 "노르트 엔 오스트 타타리엔"(1692)에서 퉁구스어와 사모예드어를 사용하는 시베리아 원주민들 사이에서 머물렀던 기간과 여정을 보고했다.[15] 뤼베크의 상인 아담 브란트는 1698년 러시아의 중국 사절단에 대한 기록을 출판했고, 같은 해에 출판된 그의 책 번역본은 영어권 사람들에게 "샤먼(shaman)"이라는 단어를 소개했다.[16]
인류학자이자 고고학자인 실비아 토마스코바는 17세기 중반까지 많은 유럽인들이 우랄 산맥 너머 원주민들의 비기독교적 관습과 신앙에 아랍어 용어 "샤이탄"(악마를 의미)을 적용했다고 주장했다.[17] 그녀는 "샤먼"이 이 용어의 변형으로 여러 퉁구스 방언에 들어왔고, 그 후 수세기 동안 점점 더 많은 접촉을 가진 기독교 선교사, 탐험가, 군인, 식민 행정관들에게 전해졌을 것이라고 제안한다.
여성 샤먼은 때때로 "샤만카()"라고 불리는데, 이는 실제 퉁구스어 용어가 아니라 단순히 "샤먼"에 러시아어 접미사 ""(여성 명사를 위한)가 붙은 것이다.[18]
한국어에서 "샤머니즘"과 "샤마니즘"의 표기 차이는 연구자의 학문 분야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홋카이도, 사할린, 시베리아, 만주, 몽골, 한국을 중심으로 한 북방 문화권 연구자들은 주로 "샤만", "샤마니즘"이라는 표기를 사용해 왔다. 퉁구스어 발음이 "샤만"에 가깝다고 여겨지기 때문이다. 반면, 오키나와( 류큐 왕국), 타이완, 중국 남부, 동남아시아, 인도를 중심으로 한 남방 문화권 연구자들은 주로 "샤먼", "샤머니즘"이라는 표기를 사용해 왔다. 또한, 유럽과 미국 등 서구의 민족학, 인류학, 종교학 연구를 소개할 때는 "샤머니즘"과 "샤마니즘"이 임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3. 정의
미르체아 엘리아데는 방랑하는 수도승이나 성직자를 지칭하는 산스크리트어 श्रमणsa가 불교와 함께 중앙아시아의 많은 언어로 퍼져 나갔으며, 샤먼이라는 단어의 최종 기원이 될 수 있다고 언급했다.[12]
이 용어는 시베리아 원주민과 접촉한 러시아인들에 의해 채택되었다. 20년 후 네덜란드의 정치가 니콜라스 위첸에 의해 서유럽에 소개되었는데, 그는 자신의 저서 "노르트 엔 오스트 타타리엔"(1692)에서 퉁구스어와 사모예드어를 사용하는 시베리아 원주민들 사이에서 머물렀던 기간과 여정을 보고했다.[15] 1698년 뤼베크의 상인 아담 브란트는 러시아의 중국 사절단에 대한 기록을 출판했고, 같은 해에 출판된 그의 책 번역본은 영어권 사람들에게 "샤먼(shaman)"이라는 단어를 소개했다.[16]
인류학자이자 고고학자인 실비아 토마스코바는 17세기 중반까지 많은 유럽인들이 우랄 산맥 너머 원주민들의 비기독교적 관습과 신앙에 아랍어 용어 "샤이탄"(악마를 의미)을 적용했다고 주장했다.[17] 그녀는 "샤먼"이 이 용어의 변형으로 여러 퉁구스 방언에 들어왔고, 그 후 수세기 동안 점점 더 많은 접촉을 가진 기독교 선교사, 탐험가, 군인, 식민 행정관들에게 전해졌을 것이라고 제안한다.
여성 샤먼은 때때로 "샤만카"라고 불리는데, 이는 실제 퉁구스어 용어가 아니라 단순히 "샤먼"에 러시아어 접미사(여성 명사를 위한)가 붙은 것이다.[18]
옥스퍼드 영어 사전에 따르면, 샤먼은 선한 영혼과 악한 영혼의 세계에 접근하고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사람으로, 일반적으로 의식 중에 무아지경 상태에 들어가고, 점복과 치유를 실천하는 사람이다.[4][21] "샤먼"이라는 단어는 아마도 북아시아의 퉁구스계 에벤크어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인다. 유하 야누넨에 따르면, "이 단어는 네기달어, 라무트어, 우데헤어/오로치어, 나나이어, 일차어, 오록어, 만주어 및 울차어와 같은 모든 퉁구스어에서 확인되며", "의미 '샤먼'이 원퉁구스어에서 유래했다는 가정에 모순되는 것은 없는 것 같다" 그리고 적어도 2천 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뿌리를 가지고 있을 수 있다.[22] 이 용어는 러시아군이 1552년 샤머니즘적인 카잔 칸국을 정복한 후 서구에 소개되었다.
"샤머니즘"이라는 용어는 서구 인류학자들이 고대 튀르크와 몽골 사람들, 그리고 인근 퉁구스어와 사모예드어족을 사용하는 사람들의 종교를 외부 관찰자로서 처음 적용했다.
미르체아 엘리아데는 "이 복잡한 현상에 대한 첫 번째 정의, 그리고 아마도 가장 위험하지 않은 정의는 다음과 같을 것이다. 샤머니즘 = '종교적 황홀경의 기술'"이라고 썼다.[25] 샤머니즘은 샤먼이 인간 세계와 영혼의 세계 사이의 중개자 또는 전령이라는 전제를 포함한다.
인류학자들 사이에는 "샤머니즘"이라는 단어에 대한 단일하고 합의된 정의가 없다. 인류학자 앨리스 키호(Alice Kehoe)는 자신의 저서 『샤먼과 종교: 비판적 사고에 대한 인류학적 탐구(Shamans and Religion: An Anthropological Exploration in Critical Thinking)』에서 "샤머니즘"이라는 용어를 비판한다. 이 비판에는 문화적 수용 개념이 포함된다.[26] 키호는 또한 이 용어가 고귀한 야만인과 같은 인종차별적인 생각을 강화한다고 믿는다.
키호는 미르체아 엘리아데(Mircea Eliade)의 샤머니즘에 대한 연구를, 보다 직접적인 연구에 의해 뒷받침되지 않는 다양한 출처에서 종합된 발명품으로 매우 비판적으로 평가한다. 키호에게 있어서 북소리, 트랜스, 주술적 노래, 엔테오겐 및 환각제 사용, 영매(정신과의 소통), 그리고 치유와 같은 관행을 샤머니즘의 정의로 언급하는 것은 이러한 관행들이 샤머니즘으로 정의되는 것의 외부에 존재하고 심지어 비샤머니즘 문화에서도 유사한 역할을 수행한다는 사실을 무시하는 것이다.
인류학자 또한 "샤머니즘"이라는 용어가 적절한지에 대해 논의한다. 그는 "샤머니즘(shamanship)"[28](20세기 초 러시아와 독일의 오래된 민족지학 보고서에서 사용된 용어)이라는 용어를 사용할 것을 권장한다. 그는 이것이 지역적 변화에 더 많은 중점을 둔다고 믿으며,[9] 샤머니즘은 신성한 교리의 종교가 아니라 실제적인 방식으로 일상생활과 관련되어 있다고 강조한다.[29]
피어스 비테브스키(Piers Vitebsky)도 샤머니즘에는 통일성이 없다는 점을 언급한다. 다양하고 조각난 샤머니즘 관행과 신앙은 어디에나 다른 신앙과 공존한다.
샤머니즘의 정의는 학자에 따라 다양하다.
4. 샤먼의 종류
샤먼의 종류는 학자마다 다양하게 정의되는데, 지역적, 방법론적 관점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먼저, 샤머니즘을 북아시아 지역에 국한된 현상으로 보는 견해와, 전 세계적으로 나타나는 유사한 현상을 포함하는 견해가 있다.[19] 몽골의 샤먼 단체인 골롬트 샤머니즘 연구 센터에 따르면, 에벤크어의 '샤먼'은 "사제"로 번역될 수 있다.[20]
또한 샤먼이 초자연적 존재와 교신할 때, 영혼 이탈과 빙의 중 어느 것을 기본으로 볼 것인가에 대한 의견도 나뉜다. 엘리아데는 영혼 이탈을 본질적이라고 보았고, 맥컬록(J. A. MacCullock)는 빙의를 중시했다. I. M. 루이스는 어느 한쪽을 강조하는 것을 비판한다. 예를 들어 시베리아 등 북동아시아 연구자들은 영혼 이탈을 중시하고, 동남아시아나 남미의 연구자들은 빙의를 중시하며, 일본이나 한반도의 연구자들은 빙의 또는 절충설을 취하는 경향이 있다.[150] 많은 학자들은 지역·민족·문화 등에 따라 어느 한쪽이 적극적인 의미를 갖는다고 생각한다.[146] 폴슨(I. Paulson)은 영혼 이탈과 빙의를 구별하면서, 영혼 이탈에서는 샤먼이 트랜스 상태에서 스스로 행동하기 때문에 트랜스가 풀린 후 경험 내용을 설명할 수 있는 반면, 빙의에서는 샤먼에게 빙의한 정령이나 사령이 활동하기 때문에 트랜스에서 깨어나도 본인은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 설명할 수 없다고 했다.[146]
사사키 히로키는 샤머니즘에는 트랜스라는 특별한 정신 상태에서 영혼 이탈 또는 빙의가 일어나고, 신불·정령 등의 초자연적 존재와 직접 접촉·교류·교신하며, 사회적으로 일정한 역할을 갖는 신앙과 행동의 체계라는 세 가지 요소가 있다고 한다.[151]
트랜스는 일종의 이상 심리 상태이지만, 평상시의 사회인과 어느 정도 교류할 수 있는 상태이기도 하다. 또한 연기적인 측면도 있다고 생각된다. 영혼 이탈이란 어떤 인물의 영혼이 몸을 떠나는 것이고, 빙의란 신령·정령이 어떤 인물의 몸에 깃드는 것이다. 영혼이 이탈한 샤먼은 그 동안 초자연적 존재와 교류하고 그 내용을 보고하는 경우도 있지만, 빙의된 샤먼은 정신을 차린 후 그 동안의 일을 전혀 기억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152] 또한 「빙의」는 트랜스 상태가 아니어도 일어난다고 생각되는 경우가 있다.[153]
아브라함의 종교의 예언자도 신이나 천사 등이 빙의한다고 생각하면 일종의 샤먼(예언자형)으로 볼 수도 있다.
4. 1. 역할에 따른 분류
사사키 히로키(佐々木宏幹)는 샤먼을 다음과 같이 5가지로 분류했다.[155]유형 | 설명 |
---|---|
탈혼형 | 샤먼의 영혼이 몸을 떠나 영계로 가서 여러 정령을 부리고 여러 역할을 수행한다. 넓은 의미의 정령 통제자형의 일종이다. |
정령 통제자형 | 보조령을 이용하여 여러 역할을 수행한다. |
영매형·빙의형 | 샤먼이 신령·정령을 자신의 몸에 빙의시켜 인격 변환이 일어나고, 샤먼은 신령 자신으로서 1인칭으로 말한다. |
예언자형·영감형 | 샤먼은 신령·정령과 직접 교신하여 그 의지를 3인칭으로 말한다. 샤먼 자신의 개인적인 의지가 존재한다. |
선견자형 | 신령의 모습이 보이거나, 또는 소리가 들린다. 신령의 의지를 3인칭으로 말한다. |
일본의 경우, 이 중 여러 역할을 1인이 겸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고 여겨진다. 또한 젊었을 때는 "영매"였지만 나이가 들면서 "예언자"→"선견자"로 변해갔다고 회상하는 예가 많다.
사람이 샤먼으로 인정받는 과정에는 여러 종류가 있으며, 사회에 따라서도 다르다.
유형 | 설명 | 예시 |
---|---|---|
소명형 | 어느 날 갑자기 심신의 이상(무병)으로 나타나 신령에 의해 선택받은 것으로 여겨진다. 선택받고 싶어도 될 수 있는 것이 아니지만, 선택받고 나면 본인의 의지로 거절하기도 어렵다. | 오키나와현 주변의 "우마레 유타"(ウマレユタ) 등 |
세습형 | 혈통에 의해 선택된다. 영적인 자질, 인격이 계승된다고 생각된다. | 오키나와현 주변의 노로(ノロ) 등 |
수행형 | 신체적 이유(특히 시각장애)나 경제적 사정 등으로 샤먼이 되기 위한 수행·학습을 쌓는다. | 오키나와현 주변의 "나라이 유타"(ナライユタ), 일본 동북 지방의 이타코(イタコ) 등 |
빙의하는 주체에도 여러 종류가 있다고 여겨진다.
- 죽구(死口, 시니쿠치), 불구(仏口, 호토케구치)
- * 신구(新口, 신구치), 신호토케(新ホトケ)
- * 고구(古口, 후루구치), 고호토케(古ボトケ)
- 생구(生口, 이키구치)
- 신구(神口, 카미구치)
4. 2. 샤먼이 되는 과정에 따른 분류
샤먼이 되는 과정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소명형: 어느 날 갑자기 심신의 이상(무병)을 겪으며, 신령에게 선택받은 것으로 여겨진다. 선택받고 싶어도 될 수 있는 것이 아니지만, 선택받은 후에는 본인의 의지로 거절하기도 어렵다. 오키나와현 주변의 "우마레 유타"(ウマレユタ) 등이 이에 해당한다.[155]
- 세습형: 혈통에 의해 샤먼이 된다. 영적인 자질과 인격이 계승된다고 생각된다. 오키나와현 주변의 노로(ノロ) 등이 이에 해당한다.[155]
- 수행형: 신체적 이유(특히 시각장애)나 경제적 사정 등으로 샤먼이 되기 위한 수행·학습을 쌓는다. 오키나와현 주변의 "나라이 유타"(ナライユタ), 일본 동북 지방의 이타코(イタコ) 등이 이에 해당한다.[155]
샤먼의 유형은 다음과 같이 나누기도 한다.
- 탈혼형: 샤먼의 영혼이 몸을 떠나 영계로 가서 여러 정령을 부리고 여러 역할을 수행한다. 넓은 의미의 정령 통제자형의 일종이다.[155]
- 정령 통제자형: 보조령을 이용하여 여러 역할을 수행한다.[155]
- 영매형·빙의형: 샤먼이 신령·정령을 자신의 몸에 빙의시켜 인격 변환이 일어나고, 샤먼은 신령 자신으로서 1인칭으로 말한다.[155]
- 예언자형·영감형: 샤먼은 신령·정령과 직접 교신하여 그 의지를 3인칭으로 말한다. 샤먼 자신의 개인적인 의지가 존재한다.[155]
- 선견자형: 신령의 모습이 보이거나, 소리가 들린다. 신령의 의지를 3인칭으로 말한다.[155]
일본의 경우 한 사람이 여러 역할을 겸하는 경우가 많다고 여겨진다. 또한 젊었을 때는 "영매"였지만 나이가 들면서 "예언자"를 거쳐 "선견자"로 변해갔다고 회상하는 예가 많다.[155]
4. 3. 빙의 주체에 따른 분류
샤먼에게 빙의하는 주체는 여러 종류로 나뉜다.- 죽구(死口, 시니쿠치), 불구(仏口, 호토케구치)
- * 신구(新口, 신구치), 신호토케(新ホトケ)
- * 고구(古口, 후루구치), 고호토케(古ボトケ)
- 생구(生口, 이키구치)
- 신구(神口, 카미구치)
5. 샤먼의 역할
샤먼은 춤, 노래, 주문 등을 반복하고 때로는 약물을 사용하여 이상심리 상태, 즉 엑스터시에 빠져 초자연적인 신령계에서 정보를 얻거나 길흉을 점치고, 귀신을 쫓아내며 병을 치료한다고 알려져 있다.[164] 샤먼은 초자연적인 힘을 가진 존재이거나 신령과 직접적으로 연결된 사람으로 여겨지며, 사람들은 샤먼의 힘을 빌려 사냥의 풍요, 가족의 안전, 전쟁의 승리 등을 기원한다.[164] 샤먼은 질병 치료사나 마술사 역할을 수행한다.[164]
미르체아 엘리아데는 샤머니즘을 "종교적 황홀경의 기술"이라고 정의했다.[25] 샤먼은 인간 세계와 영혼 세계 사이의 중개자 또는 메신저 역할을 한다고 여겨진다.[25] 샤먼은 영혼을 치료하여 질병을 고친다고 하며, 영혼이나 정신에 상처를 입히는 트라우마를 완화하여 개인의 육체적 균형과 온전함을 회복시킨다고 믿어진다.[25] 또한 공동체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찾기 위해 이승과 같은 초자연적 영역으로 들어간다고 주장한다.[25] 샤먼은 잘못된 영혼에게 지침을 제공하고, 외부 요인으로 인한 인간 영혼의 질병을 완화하기 위해 다른 세계나 차원을 방문한다고 주장한다.[25] 이들은 주로 영혼의 세계에서 활동하며, 이것이 인간 세계에 영향을 미친다고 믿는다. 균형을 회복하면 질병이 사라진다고 여겨진다.[25]
샤먼은 영적 세계 또는 차원에서 치유할 수 있는 지식과 힘을 얻는다고 알려져 있다. 대부분의 샤먼은 특정 메시지를 전달하는 꿈이나 환상을 경험하며, 영적 세계를 여행하는 동안 샤먼을 인도하고 지도하는 많은 영적 가이드를 가지고 있거나 얻었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영적 가이드는 항상 샤먼 안에 존재한다고 여겨지지만, 어떤 이들은 샤먼이 트랜스 상태에 있을 때만 만난다고 말한다. 영적 가이드는 샤먼에게 힘을 주어 영적 차원에 들어갈 수 있게 한다. 샤먼은 공동체와 영적 차원 내에서 치유하며, 인간 영혼의 잃어버린 부분을 되찾아오고, 영혼을 혼란스럽게 하거나 오염시키는 과도한 부정적 에너지를 정화한다고 주장한다. 샤먼은 문화의 중재자 역할을 하며,[67][68] 사망자의 영혼을 포함하여 공동체를 대신하여 영혼과 소통한다고 주장한다. 샤먼은 살아있는 자와 죽은 자 모두와 소통하여 불안과 미해결 문제를 완화하고 영혼에게 선물을 전달할 수 있다고 믿는다.
샤먼은 각 문화에 따라 치유,[70][71] 제사 주도,[72] 이야기와 노래를 통한 전통 보존,[73] 점술,[74] 심령 수행자("영혼의 안내자")[75]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한다.[69] 한 명의 샤먼이 이러한 여러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69]
샤먼의 책임에는 죽은 자의 영혼을 적절한 장소로 인도하고 질병을 치유하는 것이 포함될 수 있다. 질병은 질병 영혼에게 선물을 주거나, 아첨하거나, 위협하거나, 싸우는 등의 방법으로 치료한다고 주장하며, 질병 영혼의 표본을 추출하여 보여주는 것으로 완료될 수 있다. 지속적인 공포와 같은 정신 질환도 비슷한 방법으로 치료한다고 믿는다. 대부분의 언어에서 "샤먼"으로 번역되는 용어 외에 제사 의식을 주도하는 종교 지도자("사제")나 전통 지식을 전달하는 사람("현자")에게는 일반적으로 다른 용어가 사용된다. 그러나 징조나 꿈을 해석하는 사람의 경우에는 샤먼의 기능과 더 많은 중복이 있을 수 있다.
제임스 프레이저는 샤먼을 영매, 예언자, 선견자, 주술사로 분류했다. 사사키 히로키는 샤먼을 최소 5가지 유형으로 나눌 필요성을 주장한다.[155]
- 탈혼형: 샤먼의 영혼이 몸을 떠나 영계로 가서 여러 정령을 부리고 다양한 역할을 수행한다. 넓은 의미의 정령 통제자형의 일종이다.
- 정령 통제자형: 보조령을 이용하여 여러 역할을 수행한다.
- 영매형·빙의형: 샤먼이 신령이나 정령을 자신의 몸에 빙의시켜 인격 변환이 일어나고, 샤먼은 신령 자신이 되어 1인칭으로 말한다.
- 예언자형·영감형: 샤먼은 신령·정령과 직접 소통하여 그 의지를 3인칭으로 말한다. 샤먼 자신의 개인적인 의지가 존재한다.
- 선견자형: 신령의 모습이 보이거나 소리가 들린다. 신령의 의지를 3인칭으로 말한다.
일본에서는 한 사람이 여러 역할을 겸하는 경우가 많다고 여겨진다. 또한 젊었을 때는 "영매"였지만 나이가 들면서 "예언자"를 거쳐 "선견자"로 변화했다는 예가 많다.
사람이 샤먼으로 인정받는 과정은 사회에 따라 다양하다.
- 소명형: 어느 날 갑자기 심신의 이상(무병)으로 나타나 신령에게 선택받은 것으로 여겨진다. 선택받고 싶어도 될 수 있는 것이 아니지만, 선택받고 나면 본인의 의지로 거절하기도 어렵다. 오키나와현 주변의 "우마레 유타" 등이 이에 해당한다.
- 세습형: 혈통에 의해 선택된다. 영적인 자질과 인격이 계승된다고 생각된다. 오키나와현 주변의 노로 등이 이에 해당한다.
- 수행형: 신체적 이유(특히 시각장애)나 경제적 사정 등으로 샤먼이 되기 위한 수행과 학습을 쌓는다. 오키나와현 주변의 "나라이 유타", 일본 동북 지방의 이타코 등이 이에 해당한다.
빙의하는 주체에도 여러 종류가 있다고 여겨진다.
- 죽구(死口, 시니쿠치), 불구(仏口, 호토케구치)
- 신구(新口, 신구치), 신호토케(新ホトケ)
- 고구(古口, 후루구치), 고호토케(古ボトケ)
- 생구(生口, 이키구치)
- 신구(神口, 카미구치)
아브라함의 종교의 예언자도 신이나 천사 등이 빙의한다고 생각하면 일종의 샤먼(예언자형)으로 볼 수도 있다. 일본, 한국, 대만, 중국 대륙, 동남아시아 등에서는 혼이 빠져나가는 유형이 없다고는 할 수 없지만, 압도적으로 빙의 유형이 많다.[156]
6. 샤머니즘의 분포
샤머니즘은 6세기 중엽 알타이산맥 부근에서 몽골 및 중앙 아시아에 대제국을 건설한 돌궐이나 퉁구스계 민족인 몽골족, 여진족, 거란족 등으로 대표되는 만주나 시베리아의 샤머니즘부터 시작하여 아메리카 원주민, 아프리카 원주민까지 다양하게 분포되어 있다.
현대 영어 단어 "샤머니즘(shamanism)"은 러시아어 шаманru에서 유래했는데, 이 단어는 다시 퉁구스어[6] samāntuw에서 유래했다. 이는 심 에벤키족이 사용하는 에벤키어의 남서 방언[7] 또는 만주어[8]에서 유래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 단어의 어원은 "알다"라는 뜻의 퉁구스어 어근 sā-tuw와 연결되기도 하지만,[9][10] 핀란드 민족언어학자 유하 얀후넨은 언어학적 근거를 들어 이러한 연관성에 의문을 제기한다.[11]
미르체아 엘리아데는 방랑하는 수도승이나 성직자를 지칭하는 산스크리트어 श्रमणsa가 불교와 함께 중앙아시아의 여러 언어로 퍼져 나갔으며, 샤먼이라는 단어의 최종 기원이 될 수 있다고 언급했다.[12] 이 단어는 간다라어로 ṣamanapgd, 토하라어 A로 ṣāmaṃxto, 토하라어 B로 ṣamānetxb, 중국어로 沙門중국어으로 기록되었다.[13]
이 용어는 시베리아 원주민과 접촉한 러시아인들에 의해 채택되었다. 이는 망명 러시아 교회인 아바쿰의 회고록에서도 발견된다.[14] 20년 후 네덜란드 정치가 니콜라스 위첸에 의해 서유럽에 소개되었는데, 그는 자신의 저서 "노르트 엔 오스트 타타리엔"(1692)에서 퉁구스어와 사모예드어를 사용하는 시베리아 원주민들 사이에서 머물렀던 기간과 여정을 보고했다.[15] 뤼베크 상인 아담 브란트는 1698년 러시아의 중국 사절단에 대한 기록을 출판했고, 같은 해 출판된 그의 책 번역본은 영어권 사람들에게 "샤먼(shaman)"이라는 단어를 소개했다.[16]
인류학자이자 고고학자인 실비아 토마스코바는 17세기 중반까지 많은 유럽인들이 우랄 산맥 너머 원주민들의 비기독교적 관습과 신앙에 아랍어 "샤이탄"(악마)을 적용했다고 주장했다.[17] 그녀는 "샤먼"이 이 용어의 변형으로 여러 퉁구스 방언에 들어왔고, 이후 기독교 선교사, 탐험가, 군인, 식민 행정관들과의 접촉을 통해 널리 알려졌을 것이라고 제안한다. 여성 샤먼은 때때로 "샤만카"라고 불리는데, 이는 실제 퉁구스어 용어가 아니라 단순히 "샤먼"에 러시아어 접미사(여성 명사를 위한)가 붙은 것이다.[18]
일본, 한국, 대만, 중국 대륙, 동남아시아 등에서는 혼이 빠져나가는 유형보다는 빙의 유형이 압도적으로 많다.[156]
일본에서는 고대부터 “무녀”라 불리는 직능자가 정치, 군사 등 여러 분야에서 활약했다.[146] 『삼국지』 위서 동이전 왜인조, 이른바 『위지왜인전』에 기록된 야마타이코쿠 여왕 히미코가 사용했다는 “귀도”는 샤머니즘으로 여겨진다.[146] 또한 『일본서기』 신대권의 아마테라스오미카미, 스진기의 야마토토코히모모소히메, 스이닌기의 야마토히메, 추아이기의 징구황후(기나가타루히메) 등도 샤먼의 예로 들 수 있다.[146] 이들은 모두 히미코와 동일인물이라는 유력한 설이 있다.
야마가미 이즈모는 4세기 미와 왕조, 5세기 카와치 왕조, 그리고 숭불파 소가씨에 의한 대화개신으로 율령제 국가가 되기 이전의 야마토 조정은 미와씨나 타씨와 같이 무를 주관하는 일족과 정치를 주관하는 대왕의 공동 통치가 이루어져 왔다고 주장한다. 그 후에도 진신의 난에 이르기까지 상세신 등 징조가 불길한 신이 현현하여 세상을 소란스럽게 하는 사건이 일어났다. 『일본서기』에는 진신의 난 때 생령신이라는 신이 현현하여 덴무천황을 보호한다고 신탁했다는 기록이 있다.
현대에도 아이누의 “투스크르”, 시모키타반도의 공산에서의 이타코, 오키나와현 주변의 유타(유타(샤먼)와 놀로(제사장)는 역할이 다르다) 등 각 지역에 샤먼에 해당하는 사례가 있으며, 도시에서도 볼 수 있다. 고구치 이치는 일본 종교 신앙의 기저에 샤머니즘적 경향이 있다고 하며, 신종교 집단의 형성이나 기반도 마찬가지라고 했다.[146] 신종교 교조들 중에는 소명형 샤먼 계통에 속하는 것으로 보이는 사람이 있다.[146]
최근에는 의뢰인의 심신 이상 원인에 대해 동물령의 방해라는 설명을 피하고, 의식·무의식·잠재의식과 같은 심리학 용어를 사용하는 채널러, 스피리추얼 카운슬러 등 새로운 유형의 샤먼이 다수 출현하고 있다.[157]
중국 동북부에서 유행하는 무당은 출마선(出馬仙)이라고 불린다. 출마선은 샤머니즘 전통을 계승하며, 주로 여우, 뱀, 족제비 등 네 가지 동물(호황창망(胡黄嫦蟒))과 그룹을 형성하여 점복, 퇴마, 의식 활동을 한다. 이들 동물 영이 사람 몸에 빙의하여 치유 능력을 준다고 한다.[158] 최근 중국 동북부에서는 점복 능력 없이 무당을 사칭하는 경우가 많아 진정한 출마선을 찾기 어려워졌다고 한다.
6. 1. 한국의 샤머니즘
한국의 샤머니즘은 샤먼인 무격을 중심으로 한 주술·종교적 신앙으로, 무속이라고도 한다. 무속의 역사는 매우 오래되었는데, 삼국지, 위지, 동이전에 고대 조선의 부족 국가에서 행해진 제천의례인 동맹, 무천 등이 기록되어 있으며, 이는 현재의 촌제(마을 제사)의 기원이 된다. 고대에 무속은 국가 종교의 위치를 차지했으며, 신라의 왕은 무당의 역할을 겸했다고 전해져 제정일치의 특징을 보였다.[164]신라 말기인 9세기에 들어서 불교의 영향을 받아 무속과 불교가 융합되는 현상이 나타났고, 개인의 재앙을 피하고 경사를 기원하는 신앙 형태로 발전했다. 고려 시대에는 유교가 도입되면서 무속은 점차 억압받았지만, 국가적인 행사인 기우제나 팔관회는 무격이 주관했다. 조선 시대에는 유교를 숭상하고 무속을 더욱 억압하여 무당들은 천민 계급으로 규정되었으나,[164] 조상신을 섬기는 등의 무속적 문화는 한국 문화에 깊이 남아 큰 영향을 주었다.
7. 샤머니즘과 사회
샤머니즘은 초자연적인 존재를 통해 사회의 신관념이나 타계관념을 구체화하고 활성화시킨다. 미개 사회에서 샤먼은 사회 통합의 중심 역할을 수행하며, 문명 사회에서도 카리스마를 통해 사람들을 모으고 집단을 형성하는 경우가 많다. 신종교 집단에서 이러한 예를 찾아볼 수 있다.[164]
샤먼의 카리스마는 왕, 수장, 지도자의 권위 기반이 되기도 한다. 사마대국의 여왕 비미호나 아프리카 시르크족의 왕 등이 대표적인 예이다.[164]
전통적인 정치ㆍ사회 체제가 무너질 때, 강력한 카리스마를 가진 인물이 체제를 재편성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인물들은 대부분 샤먼적인 성향을 가지며, 애니미즘, 애니마티즘, 사령ㆍ조령 숭배, 신비주의 등 종교 문화의 주요 요소들을 유지하고 존속시키는 데 기여한다.[164]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샤머니즘이 존재하지만, 엘리아데(1972)가 확인한 공통적인 믿음은 다음과 같다.[1]
- 정령은 존재하며 개인과 사회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샤먼은 정령계와 소통할 수 있다.
- 정령은 선하거나 악할 수 있다.
- 샤먼은 악령으로 인한 질병을 치료할 수 있다.
- 샤먼은 트랜스를 통해 환각적인 황홀경을 경험하고 비전 퀘스트를 수행한다.
- 샤먼의 영혼은 몸을 떠나 초자연적인 세계로 들어가 답을 찾는다.
- 샤먼은 동물의 이미지를 정령 가이드, 징조, 메시지 전달자로 활용한다.
- 샤먼은 점술, 투시 등을 수행하고 미래를 예측하기도 한다.
샤머니즘은 보이는 세계가 보이지 않는 힘이나 정령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는 믿음에 기반한다.[42] 질병은 악령에게서 비롯되지만, 영적, 물리적 방법 모두 치료에 사용된다. 샤먼은 환자의 몸속으로 들어가 영적인 병폐에 맞서고 감염된 정령을 쫓아낸다.
많은 샤먼은 약초에 대한 지식이 풍부하며, 약초 치료를 처방하기도 한다. 페루 아마존 분지에서는 샤먼과 쿠란데로들이 이카로라는 의례적 노래를 사용하여 정령을 불러낸다. 정령을 부르기 위해서는 샤먼이 그 정령의 노래를 배워야 한다.[42] 힘을 가진 돌이나 생명을 불어넣는 정령과 같은 토템 물품을 사용하기도 한다.
플라톤은 ''파이드로스''에서 "최초의 예언은 참나무의 말"이었고, 당시 사람들은 "참나무나 돌의 말을 듣는 것만으로도 충분히 보상받았다"라고 썼다.
라틴 아메리카에서는 브루헤리아로 알려진 마법과 주술에 대한 믿음이 널리 퍼져 있다. 어떤 사회에서는 샤먼이 치료와 살상의 능력을 모두 가지고 있다고 믿는다. 샤먼은 공동체에서 큰 권력과 명성을 누리지만, 잠재적인 위험 때문에 의심이나 두려움을 받기도 한다.[43]
샤먼은 자신의 일을 하면서 위험에 노출된다. 샤머니즘에 사용되는 식물은 잘못 사용하면 독성이 있거나 치명적일 수 있다. 이러한 위험을 막기 위해 주술이 사용되며, 위험한 식물은 의례화하여 사용한다. 샤먼은 익스터시 댄싱, 철야, 단식 등을 수행하기도 한다.
샤먼의 생계는 문화에 따라 다르다. 많은 이누이트족 사회에서 샤먼은 서비스를 제공하고 "대가"를 받는데, 이 대가는 돕는 영에게 주어진다고 믿는다.[89] 샤먼이 받는 선물과 대가는 파트너 영이 제공하며, 샤먼은 자신의 능력을 사용하고 정기적으로 일해야 한다.[87] 하지만 이것만으로는 전업으로 생계를 유지하기 어렵다. 샤먼은 사냥꾼이나 주부처럼 다른 구성원들과 함께 생활한다. 남아메리카에서는 아야와스카 관광의 인기로 의식을 주도하며 생계를 유지하는 샤먼들이 있다.[88][89]
여성 샤먼이 남성보다 많은 경우가 많아, 샤머니즘은 여성의 경제적 해방에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샤머니즘은 서비스에 대한 대가 지불이 필요하기 때문에 경제적 자원으로 기능한다. 특히 조선시대(1392~1910년) 한국의 여성 샤먼들에게 중요했다. 여성의 경제적 자립을 부정적으로 보는 문화 속에서 샤머니즘은 여성들이 재정적, 경제적으로 독립할 수 있게 했다.[90]
8. 샤머니즘의 역사
샤머니즘은 종교적 실행 체계이다.[36] 역사적으로 샤머니즘은 종종 토착민과 부족 사회와 관련이 있으며, 저승과 연결된 무당들이 병자를 치유하고, 영혼과 교류하며, 죽은 자의 영혼을 사후 세계로 인도할 수 있다는 믿음을 포함한다. 샤머니즘의 기원은 몽골과 북유럽 및 시베리아의 토착민들에게서 비롯된다.[37]
식민주의와 제국주의의 구조적 영향으로 토착민들이 전통적인 영성을 실천하는 능력이 제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많은 공동체들이 자결[38]과 역동적인 전통의 회복[39]을 통해 부흥을 겪고 있다. 다른 집단들은 투바인(Tuvans) 유목민(이 부족에서 살아남은 약 3000명으로 추산됨)과 같이 고립으로 인해 이러한 구조적 장애물을 피할 수 있었다.[40] 투바는 러시아에서 가장 고립된 아시아 부족 중 하나이며, 고립된 존재 덕분에 오늘날까지 샤머니즘의 예술이 보존되어 다른 주요 종교의 영향을 받지 않게 되었다.[41]
샤머니즘의 시초는 구석기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가 모든 조직화된 종교보다 앞선 시기일 수 있으며, 적어도 신석기 시대 초까지는 거슬러 올라간다.[101][102] 가장 오래된 무용지물이 아닌 샤먼의 매장(그리고 그 연장선상에서 가장 오래된 무용지물이 아닌 샤먼과 샤머니즘의 증거)은 현재 체코 공화국에 위치한 초기 구석기 시대 후기(약 3만 년 전)로 거슬러 올라간다.[103]
2008년 11월, 예루살렘 히브리 대학교 연구원들은 이스라엘에서 1만 2천 년 된 유적을 발견했다고 발표했는데, 이는 가장 오래된 것으로 알려진 샤먼 매장지 중 하나로 여겨진다. 고령 여성은 옆으로 누운 채 다리를 벌리고 무릎을 안쪽으로 접은 자세로 놓여 있었다. 머리, 골반, 팔에는 10개의 큰 돌이 놓여 있었다. 특이한 부장품으로는 완벽한 거북이 등껍데기 50개, 사람의 발, 그리고 소 꼬리와 독수리 날개와 같은 동물의 특정 신체 부위가 있었다. 다른 동물 유해는 멧돼지, 표범, 그리고 두 마리의 담비에서 나왔다. 연구원들은 "이 여성은… 이러한 동물 정령들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는 것으로 여겨졌다"고 언급했다. 이 무덤은 갈릴리 저지대의 동굴에 위치하고 나투프 문화에 속하는, 이 유적지에서 발견된 최소 28개의 무덤 중 하나였지만, 팔레올리틱 시대나 에피팔레올리틱 나투프인들과는 달랐다고 한다.[105]
9. 샤머니즘에 대한 비판
"샤머니즘"이라는 용어는 서구 인류학자들이 튀르크, 몽골 및 주변 민족들의 종교를 외부인의 시각에서 설명하기 위해 처음 사용되었다. 이후 이 용어는 전 세계 다양한 문화권의 유사한 마법 종교적 관행을 포괄하는 데 사용되었지만, 이는 각 문화의 고유한 영적 방식과 다양성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다는 비판을 받았다.[24]
인류학자 앨리스 키호는 "샤머니즘"이라는 용어가 문화적 전유 문제를 야기하며, 현대 서구의 샤머니즘 형태가 토착민의 관습을 왜곡하거나 경시한다고 비판한다.[26] 또한 이 용어가 '고귀한 야만인'과 같은 인종차별적 사고를 강화한다고 지적한다. 키호는 미르체아 엘리아데의 샤머니즘 연구가 실제 연구에 기반하지 않은 종합적인 발명품이라고 비판하며, 북소리, 트랜스, 주술적 노래 등의 관행이 샤머니즘에만 국한되지 않고 다른 문화에서도 유사한 역할을 수행한다는 점을 간과한다고 주장한다.[26]
"샤머니즘"이라는 용어는 식민지 시대의 잔재이자 현대 언어 식민주의를 영속시키는 도구로 비판받기도 한다. 서구 학자들이 이 용어를 다양한 문화를 지칭하는 데 사용하지만, 이들 문화는 서로 매우 다르기 때문에 하나의 개념으로 정확하게 표현할 수 없다는 것이다. 캐나다 드리프트파일 크리족(Driftpile Cree Nation)의 작가이자 학자인 빌리-레이 벨쿠르는 토착 문화를 단순화하는 언어 사용이 토착 공동체가 겪은 사회적, 정치적 폭력의 복잡성을 은폐한다고 주장한다.[27]
인류학자 미하이 호팔은 "-ism" 접미사가 특정 교리를 가진 종교를 연상시키기 때문에, "샤머니즘" 대신 "샤먼됨(shamanhood)"[30] 또는 "샤머니즘(shamanship)"[28]이라는 용어를 사용할 것을 제안한다. 그는 이 용어들이 지역적 다양성을 강조하고, 샤머니즘이 교리가 아닌 실생활과 관련된 실천 방식임을 보여준다고 주장한다.[9][29] 피어스 비테브스키는 샤머니즘의 놀라운 유사성에도 불구하고 통일성이 없으며, 다양한 샤머니즘 관행과 신앙이 다른 신앙과 공존한다고 언급한다.[31] 하칸 리드빙은 "샤먼"과 "샤머니즘"이라는 용어를 "과학적 환상"으로 간주하여 사용하지 말 것을 주장했다.[32]
두람 부모치르는 "샤머니즘"이 서구에서 만들어진 구성 개념임을 확인하고, 1990년대 이후 몽골에서 샤머니즘 재구성에 학자와 샤먼이 협력한 과정을 기록했다.[33] 이는 주디스 항가르트너의 연구에서도 확인된다.[34] 카레나 콜마르-폴렌츠는 샤머니즘이 종교적 "타자"로 객관화된 것은 18세기 몽골 티베트 불교 승려들의 글에서 시작되었으며, 이것이 유럽의 샤머니즘 담론 형성에 영향을 미쳤을 수 있다고 주장한다.[35]
10. 샤머니즘의 쇠퇴와 부흥
샤머니즘은 토착민과 부족 사회에서 주로 행해지던 종교적 실행 체계로, 저승과 연결된 무당이 병을 치료하고 영혼과 교류하며 죽은 자를 사후 세계로 인도한다는 믿음을 포함한다.[36] 샤머니즘의 기원은 몽골, 북유럽, 시베리아의 토착민들에게서 비롯된다.[37]
식민주의와 제국주의의 영향으로 많은 토착민들이 전통적인 영성 생활을 유지하기 어려웠지만,[38] 자결권[39]과 전통 회복 운동을 통해 샤머니즘을 부흥시키려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투바 유목민(약 3000명)과 같이 고립된 지역에서는 샤머니즘이 다른 종교의 영향을 받지 않고 비교적 잘 보존되었다.[40][41]
그러나 전반적으로 전통적인 토착 샤머니즘은 쇠퇴하고 있다. 많은 지역에서 샤먼들은 공동체로부터 조롱을 받거나[129] 자신의 과거를 낡은 것으로 여겨[130] 예전과 같은 역할을 수행하지 않게 되었다. 부랴트 서사시에는 고대 샤먼들의 능력이 뛰어났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그 힘이 약해졌다는 내용이 전해진다.[131][132][133]
샤먼이 죽으면 그들의 개인적인 경험과 지식도 함께 사라지기 때문에,[134] 샤머니즘 관련 지식은 점차 줄어들고 있다. 또한, 많은 문화에서 전통적인 신앙 체계가 위협받고, 언어 변화가 일어나면서 관련 민속 기억, 노래, 텍스트가 잊혀지고 있다.[135]
이누이트 샤머니즘은 한때 널리 퍼졌으나, 현재는 거의 행해지지 않고 있다.[136] 19세기 말, 하늘과 바다 아래를 여행할 수 있다고 믿어졌던 마지막 앙가쿠크(angakkuq)인 사글록(Sagloq)이 사망하면서 다른 샤머니즘 능력들도 사라졌다.[137] 응가산족은 고립된 위치 덕분에 20세기 초까지 샤머니즘이 유지되었으며,[138] 마지막 응가산 샤먼의 의식은 1970년대에 영화로 촬영되었다.[139]
이러한 쇠퇴에도 불구하고, 샤머니즘을 부흥시키거나 전통을 보존하려는 노력이 나타나고 있다. 기억을 수집하고,[140] 전통을 보존하며,[141] 부흥시키려는 노력[142] 이 (예를 들어 사하인[143] 과 투바인들 사이에서) 과거 진정한 샤먼들이 이끌고 있다.[128]
미국의 아메리카 원주민(Native Americans in the United States)은 전통적인 영적 방식을 "샤머니즘"이라고 부르지 않지만, 체로키 족(Cherokee Nation)의 리처드 L. 앨런(Richard L. Allen)은 "체로키 '샤먼', 영적 치유자" 등을 자칭하는 사기꾼들이 많다고 지적하며, 이들을 현대의 만병통치약 판매자와 같다고 비판했다.[144][145]
참조
[1]
서적
Csodaszarvas. Őstörténet, vallás és néphagyomány. Vol. I
Molnár Kiadó
[2]
서적
Csodaszarvas. Őstörténet, vallás és néphagyomány. Vol. I
Molnár Kiadó
[3]
웹사이트
Shamanism
https://www.britanni[...]
2020-05-20
[4]
학술지
The cultural evolution of shamanism
https://www.research[...]
[5]
문서
Hutton 2001
[6]
서적
Shamans: Siberian Spirituality and the Western Imagination
TPB
2001
[7]
간행물
Siberian shamanistic terminology
[8]
서적
The Manchus
https://archive.org/[...]
Blackwell Publishers
[9]
서적
[10]
서적
[11]
서적
[12]
서적
Shamanism
Arkana Books
[13]
웹사이트
https://gandhari.org[...]
[14]
문서
Hutton 2001
[15]
문서
Hutton 2001
[16]
웹사이트
Travelling souls? Greek shamanism reconsidered
http://theol.eldoc.u[...]
Routledge
[17]
서적
[18]
서적
The Growth of Literature
https://books.google[...]
The University Press
[19]
문서
Hutton 2001
[20]
웹사이트
Circle of Tengerism
https://web.archive.[...]
[21]
웹사이트
Definition of Shaman by Oxford Dictionaries
https://web.archive.[...]
[22]
간행물
Siberian shamanistic terminology
[23]
서적
Shamanism, Discourse, Modernity
Ashgate
[24]
웹사이트
Fatal Naming Rituals
https://hazlitt.net/[...]
2020-03-05
[25]
서적
Shamanism, Archaic Techniques of Ecstasy
Bollingen Series LXXVI, Princeton University Press
[26]
서적
Shamans and religion: an anthropological exploration in critical thinking
Waveland Press
2000
[27]
웹사이트
Fatal Naming Rituals
https://hazlitt.net/[...]
2020-03-03
[28]
서적
[29]
서적
[30]
웹사이트
ISSR, 2001 Summer
http://www.folkscene[...]
[31]
서적
[32]
학술지
Le chamanisme aujourd'hui: constructions et deconstructions d'une illusion scientifique
2011
[33]
학술지
Institutionalization of Mongolian shamanism: from primitivism to civilization
2014
[34]
서적
The Constitution and Contestation of Darhad Shamans' Power in Contemporary Mongolia
Global Oriental
2011
[35]
학술지
The Invention of "Shamanism" in 18th Century Mongolian Elite Discourse
2012
[36]
백과사전
Shamanism religion
https://www.britanni[...]
2018-09-07
[37]
웹사이트
Definition of Shamanism
https://www.merriam-[...]
2018-09-07
[38]
간행물
Reflections on the UN Declaration on the Rights of Indigenous Peoples
Hart Publishing
[39]
학술지
Perceptions of Decline: Inuit Shamanism in the Canadian Arctic
2006-06-01 # Summer 2006을 6월 1일로 가정
[40]
뉴스
Mongolia's Lost Secrets in Pictures: The Last Tuvan Shaman
https://www.lonelypl[...]
2018-10-19
[41]
뉴스
Welcome to the Tuva Republic
https://thediplomat.[...]
2018-10-19
[42]
웹사이트
Hell and Back
http://www.kirasalak[...]
National Geographic Adventure
[43]
서적
In Darkness and Secrecy: The Anthropology of Assault Sorcery and Witchcraft in Amazonia
Duke University Press
2004
[44]
문서
Merkur 1985
[45]
문서
Vitebsky 1996
[46]
문서
Hoppál 2005
[47]
문서
Hoppál 2005
[48]
문서
Kleivan & Sonne 1985
[49]
서적
A karibu eszkimók
Gondolat Kiadó
[50]
서적
Animism beyond the Soul: Ontology, Reflexivity, and the Making of Anthropological Knowledge
Berghahn Books
2018
[51]
문서
Hoppál 2007c
[52]
문서
Hoppál 2005
[53]
서적
Shaman-the Dawn's People
https://books.google[...]
BookBaby
2018-03-30
[54]
서적
Curanderismo Soul Retrieval: Ancient Shamanic Wisdom to Restore the Sacred Energy of the Soul
https://books.google[...]
Simon and Schuster
2019-05-28
[55]
웹사이트
healthCheck
https://web.archive.[...]
2015-06-06
[56]
문서
Nattiez
[57]
웹사이트
Inuit Throat-Singing
http://www.mustrad.o[...]
2015-06-06
[58]
문서
Turner et al.
[59]
문서
Noll & Shi 2004
https://web.archive.[...]
[60]
서적
Shaman: The Wounded Healer
Thames & Hudson
[61]
웹사이트
In the Beginning was Tengri, Part 1
http://www.neweurasi[...]
[62]
웹사이트
Myths
http://www.nbi.dk/~n[...]
McGraw-Hill
[63]
웹사이트
Mongolian Cosmology
http://www.tengerism[...]
[64]
문서
Barüske 1969
[65]
문서
Kleivan & Sonne 1985
[66]
학술지
The Tinguian; Social, Religious, and Economic life of a Philippine tribe
https://archive.org/[...]
[67]
문서
Hoppál 2005
[68]
문서
Boglár 2001
[69]
문서
Hoppál 2005
[70]
웹사이트
Shamanic Healing Rituals
http://www.museum.st[...]
Russian Museum of Ethnography
[71]
서적
Hoppál 2005
[72]
서적
Hoppál 2005
[73]
서적
Hoppál 2005
[74]
서적
Hoppál 2005
[75]
서적
Hoppál 2005
[76]
서적
Hoppál 2005
[77]
서적
Hoppál 2005
[78]
웹사이트
Shamanism in Siberia: Part III. Religion: Chapter IX. Types of Shamans
http://www.sacred-te[...]
2015-06-06
[79]
웹사이트
Oroqen shaman
https://web.archive.[...]
[80]
웹사이트
Oroqen shaman
https://web.archive.[...]
[81]
서적
Reichel-Dolmatoff 1997
[82]
서적
Vitebsky 1996
[83]
서적
Boglár 2001
[84]
서적
Merkur 1985
[85]
서적
Vitebsky 1996
[86]
서적
Kleivan & Sonne
[87]
서적
Plural World Interpretations
LIT Verlag Münster
2016-00-00
[88]
서적
Kleivan & Sonne 1985
[89]
서적
Merkur 1985
[90]
논문
Shamanism and Its Emancipatory Power for Korean Women
http://journals.sage[...]
2009-05-00
[91]
서적
Shamanism : the neural ecology of consciousness and healing
Bergin & Garvey
2000-00-00
[92]
논문
Shamanism and cognitive evolution
[93]
논문
Trance states: A theoretical model and cross-cultural analysis
1986-00-00
[94]
웹사이트
The mystery of the medicine man
https://news.harvard[...]
2018-00-00
[95]
논문
Why is there shamanism? Developing the cultural evolutionary theory and addressing alternative accounts
https://www.research[...]
2018-00-00
[96]
웹사이트
Modern shamans: Financial managers, political pundits and others who help tame life's uncertainty
http://theconversati[...]
2019-05-02
[97]
논문
Missing links: The psychology and epidemiology of shamanistic beliefs
2018-00-00
[98]
논문
Shamans as healers: When magical structure becomes practical function
2018-00-00
[99]
논문
The social functions of shamanism
2018-00-00
[100]
웹사이트
A View from the Headwaters
https://web.archive.[...]
1999-07-00
[101]
웹사이트
Shamanism in Prehistory
https://web.archive.[...]
2008-04-30
[102]
백과사전
Prehistoric religion
https://web.archive.[...]
2008-04-09
[103]
서적
The Woman in the Shaman's Body: Reclaiming the Feminine in Religion and Medicine
Bantam
2005-00-00
[104]
서적
Witzel, 2011
[105]
뉴스
Earliest known shaman grave site found: study
https://archive.toda[...]
Reuters via Yahoo! News
2008-11-04
[106]
서적
[107]
서적
[108]
서적
[109]
서적
[110]
서적
[111]
서적
[112]
서적
[113]
서적
[114]
웹사이트
Nature worship in Siberian shamanism
http://www.folklore.[...]
[115]
서적
[116]
서적
[117]
서적
[118]
서적
[119]
서적
[120]
서적
Exploring Medical Anthropology
https://www.taylorfr[...]
Routledge
2017-03-16
[121]
논문
The Mindful Body: A Prolegomenon to Future Work in Medical Anthropology
https://anthrosource[...]
1987
[122]
서적
The sorcerer and his magic
Routledge
[123]
서적
The sorcerer and his magic
Routledge
[124]
서적
The sorcerer and his magic
Routledge
[125]
서적
The sorcerer and his magic
Routledge
[126]
논문
Perceptions of Decline: Inuit Shamanism in the Canadian Arctic
[127]
서적
[128]
서적
[129]
서적
[130]
서적
[131]
서적
[132]
서적
Omnividence
[133]
서적
[134]
서적
[135]
서적
[136]
서적
[137]
서적
[138]
서적
[139]
서적
[140]
서적
[141]
서적
[142]
서적
[143]
서적
[144]
웹사이트
The Plastic Medicine People Circle
http://www.sonomacou[...]
2013-01-31
[145]
웹사이트
Pseudo Shamans Cherokee Statement
http://www.thepeople[...]
2008-06-23
[146]
문서
佐々木 (1973)
[147]
간행물
週刊X-ZONE
デアゴスティーニ・ジャパン
1998-02-03
[148]
웹사이트
「シャマニズム」から「シャーマニズム」へ─北方ユーラシアの狩猟・牧畜文化における信仰の過去と現代を接合する試み
https://acrobat.adob[...]
島村一平(滋賀県立大学 人間文化学部 国際コミュニケーション学科准教授)
2017-01-01
[149]
서적
堀一郎著作集 第八巻 シャマニズムその他
未来社
[150]
문서
櫻井 (1988)
[151]
문서
佐々木 (1984)
[152]
문서
佐々木 (1984)
[153]
문서
佐々木 (1984)
[154]
문서
小松 (1982)
[155]
문서
佐々木 (1984)
[156]
서적
宗教学事典
丸善出版
[157]
서적
宗教学事典
丸善出版
[158]
웹사이트
百度百科-验证
https://baike.baidu.[...]
2023-04-13
[159]
서적
ポストコロニアル批評の諸相
https://ci.nii.ac.jp[...]
東北大学出版会
2008
[160]
웹사이트
Quantum Men
https://mubi.com/fil[...]
mubi.com
2019-10-26
[161]
웹사이트
D'autres mondes (Other Worlds)
https://www.imdb.com[...]
IMDb
2019-10-26
[162]
웹사이트
Glocken aus der Tiefe - Glaube und Aberglaube in Rußland
https://www.imdb.com[...]
IMDb
2019-10-26
[163]
웹사이트
Les maîtres fous
https://www.imdb.com[...]
IMDb
2019-10-26
[164]
서적
샤머니즘
한국사전연구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