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우드-앤더슨 비틀림 지진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우드-앤더슨 비틀림 지진계는 1920년대 해리 우드와 존 A. 앤더슨이 개발한 지진파 기록 장치이다. 이 지진계는 현지 지진의 단주기 파를 감지하기 위해 개발되었으며, 기존 지진계가 감지하기 어려웠던 짧은 주파수의 지진파를 측정할 수 있었다. 우드-앤더슨 지진계는 찰스 리히터가 지진 규모를 개발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지진 진앙을 정확하게 찾아내고 단층대를 지도화하는 데 사용되는 지진계 네트워크 구축에도 기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23년 과학 - 하프늄
    하프늄은 은회색의 연성이 좋고 부식에 강한 전이 금속으로, 지르코늄과 유사한 화학적 성질을 가지며 원자로 제어봉, 반도체 산업, 합금, 고온 소재, 지질연대학 연구 등에 활용되지만 미세 분말 형태는 자연 발화 위험이 있다.
  • 1923년 과학 - 1923년 3월 17일 일식
    1923년 3월 17일에 발생한 금환 일식은 다양한 천문학적 주기와 연관되어 있으며, 특정 크기, 가림, 감마 값을 가지고 달의 본영이 특정 시간대에 시작하고 종료되었다.
  • 지진학 - 판 구조론
    판 구조론은 암석권이 여러 개의 판으로 나뉘어 연약권 위를 이동하며 지진, 화산 활동, 산맥 형성 등의 지질학적 현상을 일으키는 이론으로, 1960년대 후반에 정립되어 해저 자기 줄무늬 패턴과 고지자기 자료로 뒷받침되며 지구과학의 핵심 이론으로 자리 잡았으나, 판 운동의 원동력에 대한 연구는 현재도 진행 중이다.
  • 지진학 - 진앙
    진앙은 지진이 발생한 지표면의 지점을 의미하며, 지진파 분석을 통해 위치를 파악하고 지진 규모 및 피해 예측에 활용한다.
  • 미국의 발명품 - 텔레비전
    텔레비전은 움직이는 영상과 소리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고 수신 측에서 다시 영상과 소리로 바꾸는 기술을 이용한 매체로, 닙코프 원판을 이용한 초기 기계식 방식에서 음극선관 발명을 통해 전자식으로 발전하여 디지털 기술과 다양한 디스플레이 기술 발전을 거쳐 현재에 이르렀으며 사회, 문화, 경제적으로 큰 영향을 미치지만 건강 문제 및 부정적 콘텐츠 노출 등의 부작용도 존재한다.
  • 미국의 발명품 - 태양 전지
    태양전지는 빛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장치로, 기술 발전을 거듭하여 발전 효율이 크게 향상되었고 다양한 분야에 응용되고 있으며, 고집광 태양전지와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등의 새로운 기술 개발과 투자가 지속적으로 요구되는 지속 가능한 에너지원이다.
우드-앤더슨 비틀림 지진계
개요
우드-앤더슨 지진계
우드-앤더슨 지진계
종류비틀림 지진계
개발자해리 오스필드 우드
존 오거스트 앤더슨
개발 연도1920년대
사용 목적국지적 지진의 규모 측정
특징지진파 기록을 통해 지진 규모 결정에 기여
상세 정보
원리수직 축에 매달린 코일에 영구 자석에 의해 생성된 자기장 내에서 전류가 흐르도록 함.
지면 운동으로 인해 코일이 움직이면서 전류가 발생하고, 이는 지진파를 기록하는 데 사용됨.
작동 방식지진 발생 시 지면의 움직임을 감지.
코일의 움직임을 통해 유도된 전류를 측정하여 지진파 기록.
기록된 지진파의 진폭을 기반으로 지진 규모 결정.
장점간단한 구조와 작동 원리.
국지적 지진의 규모 측정에 효과적.
과거 지진 연구에 중요한 자료 제공.
단점현대적인 지진계에 비해 감도가 낮음.
강한 지진 발생 시 기록이 포화될 수 있음.
원거리 지진 측정에는 부적합.
역사적 의의
역할찰스 릭터가 릭터 규모를 개발하는 데 사용됨.
초기 지진 연구 및 지진 규모 결정에 기여.
참고 문헌
참고 문헌USGS - Wood-Anderson
칼텍 - Wood-Anderson 비틀림 지진계
대한민국 기상청 - 지진 규모 분석
Richter
Chung
Hutton

2. 초기 생애 및 연구 배경

1908년, 해리 우드는 그로브 K. 길버트로부터 북부 캘리포니아의 잠재적 활성 단층 지도를 작성하는 연구를 의뢰받았다. 이후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에서 앤드루 로슨 교수의 지진계 감독 업무를 맡게 되었으나, 당시 지진계는 원거리 지진의 장주기 지진파 감지에 최적화되어 있어 현지 지진 관측에는 어려움이 있었다.[3][4]

우드는 1912년 버클리를 떠나 하와이에서 화산 지진학을 연구하며 아서 L. 데이와 교류했다. 데이는 우드의 멘토 역할을 했으며, 그의 조언으로 우드는 워싱턴 D.C.의 표준국에서 일하며 조지 엘러리 헤일과 관계를 맺었다.[3][4]

1921년 3월, 카네기 연구소는 우드의 제안을 받아들여 남부 캘리포니아 지진 연구에 자금을 지원하기로 했다. 1923년 9월, 존 A. 앤더슨과의 협력으로 개발된 우드-앤더슨 비틀림 지진계는 기존 장비보다 훨씬 짧은 주기의 지진파(0.5~2.0초)를 측정할 수 있었다. 이후 지진 진앙을 정확히 찾아내고 단층대를 지도화하기 위한 지진계 네트워크 구축이 추진되었다.[3][4]

2. 1. 1908년 그로브 K. 길버트의 활성 단층 지도 작성

1908년, 지질학자 그로브 K. 길버트는 해리 우드에게 1000USD를 지불하여 북부 캘리포니아의 잠재적인 활성 단층 지도를 작성하게 했다.[3][4]

2. 2. 앤드루 로슨의 지진계 연구

몇 년 후,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의 교수 앤드루 로슨은 우드에게 대학교의 지진계를 감독하도록 배정했다. 당시 지진계 연구는 현지 지진뿐만 아니라 베노 구텐베르크와 같은 유럽 과학자들이 지구 내부 구조를 연구하는 데 사용한 원거리 지진에도 초점을 맞추고 있었다.[3][4] 당시까지 사용되던 지진계는 원거리 지진의 장주기 지진파를 감지하도록 개발 및 최적화되었으며, 현지 지진은 잘 감지하지 못했다.

2. 3. 해리 우드의 초기 연구와 아서 L. 데이와의 협력

1908년, 지질학자 그로브 K. 길버트는 해리 우드에게 1000USD를 지불하여 북부 캘리포니아의 잠재적인 활성 단층 지도를 작성하게 했다. 몇 년 후,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의 교수인 앤드루 로슨은 우드에게 대학교의 지진계를 감독하도록 배정했는데, 당시 관심은 현지 지진뿐만 아니라 (특히 베노 구텐베르크와 같은 유럽 과학자들이) 지구 내부의 특성을 연구하는 데 사용된 원거리 지진에 쏠려 있었다. 그 당시까지 사용되던 지진계는 원거리 지진의 장주기 지진파를 감지하도록 개발 및 최적화되었으며, 현지 지진은 잘 감지하지 못했다.[3][4]

우드는 1912년에 버클리를 떠나 하와이에서 수년간 화산 지진학을 연구했으며, 카네기 연구소의 지구 물리학 연구소 소장인 아서 L. 데이와 연락을 취했다. 데이 역시 그곳에서 화산학 연구를 수행했다. 데이는 우드의 멘토 역할을 했고, 우드의 조언을 받아 워싱턴 D.C.의 표준국에서 일하게 되었으며, 카네기 연구소 마운트 윌슨 천문대의 소장인 조지 엘러리 헤일과 관계를 맺게 되었다.[3][4]

2. 4. 카네기 연구소의 지진학 연구 프로그램 지원

1921년 3월, 카네기 연구소는 우드의 제안을 받아들여 남부 캘리포니아에서 장기간의 지진학 연구 프로그램에 자금을 지원하기로 결정했다.[3][4] 우드는 연구소 연구원으로서 마운트 윌슨 천문대의 기기 설계자이자 천체 물리학자인 존 A. 앤더슨과 협력하여 현지 지진의 단주기 파를 기록할 수 있는 지진계 개발을 추진했다. 그들의 기기는 기존 장치가 감지할 수 있는 것보다 훨씬 짧은 주파수인 0.5~2.0초 주기의 지진파를 측정할 수 있어야 했다. 1923년 9월, 우드-앤더슨 비틀림 지진계로 알려지게 된 기기가 성공적으로 완성되자, 초점은 지진 진앙을 정확히 찾아내고 궁극적으로 해당 단층대를 지도화할 수 있는 이 기기 네트워크를 지역 전체에 구축하는 것으로 바뀌었다. 우드는 카네기 연구소가 이 기기들을 파사데나, 마운트 윌슨, 리버사이드, 산타 카탈리나 섬, 폴브룩 등 지역 내 다섯 곳에 소규모로 설치할 것을 제안했고, 연구소는 이 제안을 추진하기로 동의했다.[3][4]

3. 우드-앤더슨 지진계 개발

(이전 출력이 없으므로,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원본 소스를 제공해주시면 위키텍스트 형식으로 작성해드리겠습니다.)

4. 리히터 규모 개발

지진 규모 개발 이전에는 지진의 강도나 "크기"를 진앙 근처에서 관측된 흔들림의 주관적인 평가를 통해 측정했으며, 이는 로시-포렐 척도와 같은 지진 강도 등급으로 분류되었다. 1920년대에 해리 우드와 존 앤더슨은 지진파를 기록하는 실용적인 기기인 우드-앤더슨 지진계를 개발했다.[6] 리히터는 이 지진계를 사용하여 지진을 측정하고 위치를 파악하는 일을 했다.[8]

1931년 와다치 기요오는 일본의 강진에 대해 진앙에서 여러 거리에서 관측된 흔들림의 진폭을 측정하고, 진폭의 로그 값을 거리에 대해 플롯하여 지진 규모와 대략적인 상관 관계를 보이는 곡선을 얻었다.[9] 리히터는 베노 구텐베르크의 데이터를 사용하여 유사한 곡선을 만들고, 서로 다른 지진의 상대적 규모를 비교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11]

규모의 절대적인 측정을 위해서는 추가적인 발전이 필요했다. 리히터는 가능한 광범위한 값을 포괄하기 위해 로그 척도를 채택했는데, 각 단계는 규모의 10배 증가를 나타낸다.[12] 그는 0의 규모를 인간의 인지 한계 근처에 두었다.[13] 또한, 우드-앤더슨 지진계를 표준 기기로 지정했다.

규모는 100km 거리에서 측정된 "최대 진폭의 로그 값, 마이크로미터로 표현"으로 정의되었다. 이 척도는 우드-앤더슨 비틀림 지진계에 의해 기록된 지진계에서 (100km 거리에서) 최대 진폭이 1 μm (0.001 mm)을 생성하는 지진을 규모 0으로 정의하여 보정되었다.[14] 리히터는 거리 보정 표를 계산했는데,[15] 200km 미만의 거리에서는[16] 감쇠가 지역 지질의 구조와 특성에 크게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17]

4. 1. 리히터 규모 개발 이전의 지진 강도 측정 방법

지진 규모 개발 이전, 지진 강도는 진앙 근처에서 관측된 흔들림을 주관적으로 평가하여 측정했으며, 로시-포렐 척도와 같은 지진 강도 등급으로 분류되었다.[5] 1883년 존 밀른은 큰 지진의 흔들림이 전 세계에서 감지될 수 있는 파동을 생성한다고 추측했고, 1899년 E. 폰 레부르 파슈비츠는 독일에서 도쿄 지진으로 인한 지진파를 관측했다.[5]

4. 2. 존 밀른과 E. 폰 레부르 파슈비츠의 연구

존 밀른은 1883년에 큰 지진의 흔들림이 전 세계에서 감지될 수 있는 파동을 생성할 수 있다고 추측했고, 1899년 E. 폰 레부르 파슈비츠는 독일에서 도쿄 지진으로 인한 것으로 보이는 지진파를 관측했다.[5]

4. 3. 찰스 리히터의 초기 역할

1920년대에 해리 우드와 존 앤더슨은 지진파를 기록하는 최초의 실용적인 기기 중 하나인 우드-앤더슨 지진계를 개발했다.[6] 우드는 캘리포니아 공과대학교와 카네기 연구소의 후원을 받아 남부 캘리포니아 전역에 걸쳐 지진계 네트워크를 구축했다.[7] 그는 또한 젊고 무명이었던 찰스 리히터를 채용하여 지진계를 측정하고 지진파를 생성하는 지진의 위치를 파악했다.[8]

4. 4. 와다치 기요오의 연구와 리히터의 기여

1931년 와다치 기요오는 일본에서 발생한 여러 강진에 대해 진앙에서 여러 거리에서 관측된 흔들림의 진폭을 측정하는 방법을 제시했다. 그는 진폭의 로그 값을 거리에 대해 플롯하여 지진의 추정 규모와 대략적인 상관 관계를 보이는 일련의 곡선을 발견했다.[9] 리히터는 이 방법의 몇 가지 어려움을 해결하고,[10] 동료인 베노 구텐베르크가 수집한 데이터를 사용하여 유사한 곡선을 생성하여 서로 다른 지진의 상대적 규모를 비교하는 데 사용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11]

4. 5. 리히터 규모의 정의 및 특징

지진 규모의 개발 이전에는 지진의 강도나 "크기"를 진앙 근처에서 관측된 흔들림의 주관적인 평가를 통해 측정했으며, 이는 로시-포렐 척도와 같은 지진 강도 등급으로 분류되었다. 1920년대에 해리 우드와 존 앤더슨은 지진파를 기록하는 실용적인 기기인 우드-앤더슨 지진계를 개발했다.[6] 찰스 리히터는 이 지진계를 사용하여 지진을 측정하고 위치를 파악하는 일을 했다.[8]

1931년 와다치 기요오는 일본의 강진에 대해 진앙에서 여러 거리에서 관측된 흔들림의 진폭을 측정하고, 진폭의 로그 값을 거리에 대해 플롯하여 지진 규모와 대략적인 상관 관계를 보이는 곡선을 얻었다.[9] 리히터는 베노 구텐베르크의 데이터를 사용하여 유사한 곡선을 만들고, 서로 다른 지진의 상대적 규모를 비교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11]

규모의 절대적인 측정을 위해서는 추가적인 발전이 필요했다. 리히터는 가능한 광범위한 값을 포괄하기 위해 로그 척도를 채택했는데, 각 단계는 규모의 10배 증가를 나타낸다.[12] 그는 0의 규모를 인간의 인지 한계 근처에 두었다.[13] 또한, 우드-앤더슨 지진계를 표준 기기로 지정했다.

규모는 100km 거리에서 측정된 "최대 진폭의 로그 값, 마이크로미터로 표현"으로 정의되었다. 이 척도는 우드-앤더슨 비틀림 지진계에 의해 기록된 지진계에서 (100km 거리에서) 최대 진폭이 1 μm (0.001 mm)을 생성하는 지진을 규모 0으로 정의하여 보정되었다.[14] 리히터는 거리 보정 표를 계산했는데,[15] 200km 미만의 거리에서는[16] 감쇠가 지역 지질의 구조와 특성에 크게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17]

리히터는 1935년에 이 척도를 "규모" 척도라고 불렀다.[18] "리히터 규모"는 페리 바이어리가 언론에 이 척도가 리히터의 것이라고 말하면서 처음 등장했다.[19] 1956년 구텐베르크와 리히터는 이 척도를 표면파 규모(MS) 및 체파 규모(MB)와 구별하기 위해 "지역 규모"(ML)로 명명했다.[20]

지진의 리히터 규모는 지진계에 기록된 파동 진폭의 로그 값으로 결정되며, 공식은 다음과 같다.[21]

: M_\mathrm{L} = \log_{10} A - \log_{10} A_\mathrm{0}(\delta) = \log_{10} [A / A_\mathrm{0}(\delta)],\

여기서 A는 우드-앤더슨 지진계의 최대 편차이고, 경험적 함수 A0는 관측소의 진앙 거리 \delta에만 의존한다. 실제로 모든 관측소의 판독값은 관측소별 보정으로 조정한 후 평균화되어 ML 값을 얻는다.[21]

4. 6. "리히터 규모" 명칭의 유래

리히터는 1935년에 이 척도를 제시했을 때, 해리 우드의 제안에 따라 이를 단순히 "규모" 척도라고 불렀다.[18] "리히터 규모"라는 명칭은 페리 바이어리가 언론에 이 척도가 리히터의 것이며 "그렇게 언급되어야 한다"고 말했을 때 처음 등장한 것으로 보인다.[19] 1956년 구텐베르크와 리히터는 "규모 척도"를 언급하면서도, 그들이 개발한 다른 두 척도인 표면파 규모(MS) 및 체파 규모(MB)와 구별하기 위해 "지역 규모"로 표기했다.[20]

4. 7. 지역 규모(ML)

1956년 베노 구텐베르크찰스 릭터는 "규모 척도"를 언급하면서도, 그들이 개발한 다른 두 척도인 표면파 규모(MS) 및 체파 규모(MB)와 구별하기 위해 "지역 규모"로 레이블을 지정했고, 기호는 ML을 사용했다.[20]

지진의 리히터 규모는 지진계에 기록된 파동의 진폭로그 값으로 결정된다 (다양한 지진계와 지진의 진앙 사이의 거리 변화를 보상하기 위해 조정이 포함됨). 원래 공식은 다음과 같다.[21]

:M_\mathrm{L} = \log_{10} A - \log_{10} A_\mathrm{0}(\delta) = \log_{10} [A / A_\mathrm{0}(\delta)],\

여기서 A는 우드-앤더슨 지진계의 최대 편차이고, 경험적 함수 A0는 관측소의 진앙 거리 \delta에만 의존한다. 실제로 모든 관측소의 판독값은 ML 값을 얻기 위해 관측소별 보정으로 조정한 후 평균화된다.[21]

5. 리히터 규모 공식

지진의 리히터 규모는 지진계에 기록된 파동의 진폭로그 값으로 결정된다 (다양한 지진계와 지진의 진앙 사이의 거리 변화를 보상하기 위해 조정이 포함됨). 원래 공식은 다음과 같다.[21]

:M_\mathrm{L} = \log_{10} A - \log_{10} A_\mathrm{0}(\delta) = \log_{10} [A / A_\mathrm{0}(\delta)],\

여기서 A는 우드-앤더슨 지진계의 최대 편차이고, 경험적 함수 A_\mathrm{0}는 관측소의 진앙 거리 \delta에만 의존한다. 실제로 모든 관측소의 판독값은 M_\mathrm{L} 값을 얻기 위해 관측소별 보정으로 조정한 후 평균화된다.[21]

참조

[1] 웹사이트 Wood-Anderson https://www.usgs.gov[...] USGS 2023-05-12
[2] 간행물 地震計博物館 https://www.eri.u-to[...] Earthquake Research Institute, University of Tokyo
[3] 서적 California Earthquakes: Science, Risk, and the Politics of Hazard Mitigation https://archive.org/[...]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4] 간행물 History of Geophysics American Geophysical Union
[5] 문서
[6] 문서
[7] 문서
[8] 문서
[9] 문서
[10] 문서
[11] 문서
[12] 문서 pending
[13] 문서
[14] 문서
[15] 문서
[16] 문서
[17] 문서
[18] 문서
[19] 문서
[20] 문서
[21] 서적 The San Andreas Fault System, California USGS 2008-09-14
[22] 웹인용 지진 규모 분석 https://www.kma.go.k[...] 온라인 지진 과학관 2023-01-05
[23] 웹인용 Wood-Anderson torsion seismometer http://scedc.caltech[...] 칼텍 2022-10-03
[24] 문서 Bulletin of the Seismological Society of America
[25]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