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진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진앙은 지진이 발생한 지표면의 지점을 의미하며, 영어 단어 "epicentrum"에서 유래되었다. 지진파의 도달 시간 차이를 이용하여 진앙의 위치를 파악하며, 최소 3개 이상의 지진 관측소에서 얻은 데이터를 바탕으로 삼변측량을 통해 계산한다. 진앙은 지진 규모를 계산하고 지표면 피해를 예측하는 데에도 사용되며, 계측 자료가 없는 역사적 지진의 경우 거시진앙을 추정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지진에 관한 - 해구형 지진
    해구형 지진은 섭입대에서 판 경계면의 충상단층에서 발생하는 거대한 규모의 지진으로, 강력한 쓰나미를 동반하고 긴 시간 동안 강한 진동을 일으키며, 태평양과 인도양의 섭입대에서 주로 발생한다.
  • 지진에 관한 - 일본 부흥청
    일본 부흥청은 동일본 대지진과 후쿠시마 원전 사고로부터의 부흥을 위해 2012년 설립되어 국가 재건 정책을 기획, 조정, 실행하고 지방 공공 단체를 지원하는 내각총리대신 직속 기관으로, 부흥대신이 이끌며 2031년까지 존속 예정이다.
  • 지구과학 - 지리학
    지리학은 지구와 천체의 특징, 현상, 그리고 공간적 요소를 체계적으로 연구하는 학문으로, 고대부터 현재까지 이어진다.
  • 지구과학 - 단층
    단층은 지각 변동으로 암석이 끊어져 어긋난 구조로, 전단력에 의해 형성되며, 지진 발생의 주요 원인이 되고 다양한 자연재해와 사회적 문제를 유발하며, ESR, OSL 연대측정법 등으로 연구된다.
  • 지구물리학 - 측지학
    측지학은 지구의 형상, 크기, 중력장 및 시간적 변화를 측정하고 연구하는 지구과학의 한 분야로, 고대 그리스어에서 유래되었으며 현대에는 GPS 등의 기술을 활용하여 지구 역학적 현상 연구에 기여한다.
  • 지구물리학 - 무역풍
    무역풍은 지구의 위도권을 따라 동쪽에서 서쪽으로 부는 바람으로, 해들리 순환의 일부이며, 코리올리 효과로 북반구에서는 북동풍, 남반구에서는 남동풍으로 불며, 기상 및 생태계에 영향을 미친다.
진앙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정의지진 발생 시 진원 바로 위의 지표면 지점
어원그리스어 "ἐπί" (epi, 위에)
그리스어 "κέντρον" (kentron, 중심)
그리스어 "ἐπίκεντρος" (epikentros, 중심의 위에)
영어Epicenter
관련 용어
진원지진이 처음 발생한 지하 지점
단층지진 발생의 원인이 되는 지각의 균열

2. 어원

"진앙"의 영어 단어인 epicenter는 신 라틴어의 epicentrum에서 유래된 단어로,[30] 이 단어는 고대 그리스어인 "ἐπίκεντρος"가 라틴어화되었다. 고대 그리스어 "ἐπίκεντρος"는 "중심에 있는 기점"이라는 의미로[31] '위'라는 뜻을 가진 "ἐπί"[32]와 '중심'이라는 뜻을 가진 "κέντρον" 두 단어가 합쳐진 합성어이다.[33] 라틴어화된 epicenter는 아일랜드의 지진학자인 로버트 맬럿이 처음으로 사용하였다.[34]

"진앙"은 "활동의 중심"이라는 의미로도 사용되는데, 예를 들어 "SARS 발생의 진원지로 여겨지는 중국성에서 여행이 제한된다" 와 같은 문장에서 볼 수 있다.[18][19]

3. 진앙 파악 방법

지진이 발생하면 P파S파 두 종류의 지진파가 사방으로 퍼져나간다. P파는 S파보다 속도가 빨라 지진계에 먼저 도달한다. 이 두 파의 도달 시간 차이(S-P 시간)를 측정하면 진원까지의 거리를 알 수 있다.[29]

하나의 지진계로는 진앙이 지진계를 중심으로 진원 거리를 반지름으로 하는 원 위에 있다는 것만 알 수 있다. 따라서 최소 세 곳 이상의 지진계에서 관측된 S-P 시간을 이용해 진원 거리를 구하고, 각 지진계를 중심으로 하는 원을 그려 세 원이 만나는 지점을 찾으면 그곳이 진앙이 된다.[35]

현대에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추측 및 수정' 알고리즘을 반복 적용하여 진앙을 정밀하게 결정하며, 지역별 지각 속도 구조 모델을 참고하여 정확도를 높인다.[5]

3. 1. 지진파 도달 시간 분석

최소 세 곳의 관측소에서 진앙거리를 알면 삼각측량을 통해 진앙의 위치를 추정할 수 있다. 각 관측소에서 진앙 거리를 반지름으로 하는 동심원을 그려 세 원이 교차하는 지점이 진앙이다.[35] 이를 처음으로 파악한 사람은 영국의 지진학자 존 밀른이다. 그는 1895년 와이트섬에서 지진 관측 연구를 하던 중 세 관측소에서 진앙 거리를 결정하면 진앙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아냈다.[36]

진앙거리는 지진 규모를 계산하는 데에도 사용된다.[27][28]

3. 1. 1. P파와 S파

지진 관측소 세 곳을 이용하여 진앙을 파악할 수 있다. 지진파는 진앙에서 가장 가까운 관측소에 먼저 도달하며, P파와 S파의 속도 차이로 관측소에서 진원까지의 거리를 알 수 있다. 속도가 빠른 P파가 먼저 기록되고, 느린 S파가 나중에 기록된다. 진원에서 가까울수록 P파와 S파의 기록 시간 차이(S-P 시간)가 짧아진다. 즉, P파와 S파의 속도 차이를 이용해 지진 발생 위치를 알 수 있다.[29]

현대 및 역사적 지진계


지진계의 주된 목적은 지진 진원의 발생 지점을 찾는 것이다.

최초의 지진파형은 두 부분으로 나뉜다. 먼저 도착하는 P파와 뒤따르는 S파가 있다. 전파 속도를 알면 지진까지의 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4]

지진 발생 시 지진파는 진원지에서 구형으로 퍼져 나간다. 액체 상태인 외핵은 종파인 P파를 굴절시키고, 횡파인 S파를 흡수한다. 따라서 진원지 반대편은 지진파의 그림자가 된다. 이 영역 바깥에서는 두 파 모두 검출되지만, 속도와 경로가 달라 도착 시간이 다르다. 이 시간 차이를 지진계로 측정하여 진원지까지의 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이를 진앙거리라 하며, 지진학에서는 °(도) 단위로 측정하고 Δ(델타) 기호로 표시한다.

3. 1. 2. S-P 시간

지진 관측소 세 곳을 이용하여 진앙을 파악할 수 있다. 지진파는 진앙에서 가장 가까운 관측소에 먼저 도달하며, P파와 S파의 도달 시간 차이(S-P 시간)로 진원까지의 거리를 알 수 있다. 속도가 빠른 P파가 먼저 기록되고 느린 S파가 나중에 기록되는데, 진원에서 가까울수록 S-P 시간은 짧아진다. 즉, P파와 S파의 속도 차이에 따른 S-P 시간은 관측소에서 지진 발생 위치까지의 거리를 알려준다.[29]

최초의 지진파형은 두 부분으로 나뉜다. 먼저 도착하는 P파 뒤에 S파가 따라온다. 전파 속도를 알면 지진까지의 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4]

지진 발생 시 지진파는 진원지에서 구형으로 퍼진다. 액체 상태인 외핵은 종파인 P파를 굴절시키고 횡파인 S파를 흡수한다. 따라서 진원지 반대편은 지진파의 그림자가 된다. 이 영역 바깥쪽에서는 두 파 모두 검출되지만, 속도와 경로가 달라 도착 시간이 다르다. 이 시간 차이를 지진계로 측정하여 진원지까지의 거리를 계산한다. 이 거리를 진앙거리라 하며, 지진학에서는 °(도) 단위로 측정하고 Δ(델타) 기호로 표시한다.

3. 2. 삼변측량

서로 다른 지진 관측소 세 곳을 이용하여 진앙을 파악할 수 있다. 지진파는 진앙으로부터 가장 가까운 관측소에 가장 먼저 도달하고, 속도가 다른 P파와 S파의 도달 시간 차이(S-P 시간)를 통해 진원과 관측소 사이의 거리를 알 수 있다. P파가 먼저 기록되고, 그 다음에 S파가 기록되는데, 진원에서 가까운 관측소일수록 S-P 시간이 짧아진다. 즉, P파와 S파의 속도 차이를 이용해 관측소에서 얼마나 떨어진 곳에서 지진이 발생했는지 알 수 있다.[29]

최소 3개의 관측소에서 진앙 거리를 알면 진앙의 위치를 추정할 수 있다. 각 관측소에서 진앙 거리를 반지름으로 하는 원을 그려 세 원이 만나는 지점이 진앙이 된다.[35] 이를 처음으로 알아낸 사람은 영국의 지진학자 존 밀른으로, 1895년 영국 와이트섬에서 지진 관측 연구 중 세 관측소에서 진앙 거리를 결정하면 진앙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36]

지진계의 주된 목적은 지진 발생 지점을 찾는 것이다.

하나의 지진계는 거리를 알려주지만, 이는 무한한 가능성을 가진 원으로 나타낼 수 있다. 두 지진계는 두 개의 교차하는 원을 제공하여 두 개의 가능한 위치를 제시한다. 따라서 정확한 위치를 파악하려면 세 번째 지진계가 필요하다.

최소 3개 지점의 지진계에서 진앙거리가 측정되면, 삼각법을 이용하여 진원의 위치를 쉽게 특정할 수 있다.

3. 3. 현대적 방법



지진계의 주된 목적은 지진 진원의 발생 지점을 찾는 것이다. '규모'( 모멘트 규모)는 정확한 위치를 알고 난 후에 계산해야 한다.

초기 지진계는 지진으로 인한 첫 번째 움직임의 방향을 감지하도록 설계되었다. 중국의 개구리 지진계[2]는 강한 충격을 가정하여 지진의 방향으로 공을 떨어뜨렸을 것이다. 그러나 초기 파열 유형(진원 메커니즘)에 따라 첫 번째 움직임은 거의 모든 방향이 될 수 있다.[3]

최초의 개선은 시간 눈금의 사용이었다. 진자의 움직임을 기록하는 대신, 변위는 시계로 구동되는 그래프에 표시되었다. 이것은 첫 지진파형으로, 첫 지반 운동의 정확한 시간을 알려주고 이후 운동을 표시할 수 있게 해주었다.

최초 지진파형의 추적은 P파S파 두 부분으로 나뉜다. '전파 속도'를 알면 지진의 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4]

하나의 지진계는 거리를 알려주지만, 무한한 가능성을 가진 원으로 표시된다. 두 지진계는 두 개의 교차하는 원을 제공하여 두 개의 가능한 위치를 제시한다. 세 번째 지진계로 정확한 위치를 알 수 있다.

현대 지진 위치는 최소 세 개의 지진계, 또는 지진 배열을 필요로 한다. 작은 지진의 경우 1~2km 이내로 위치를 결정하면 단층 역학과 지진 위험에 대해 많은 것을 알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추측 및 수정' 알고리즘을 포함하는 반복적 과정을 사용한다.[5] 또한, 지역 지각 속도 구조에 대한 모델이 필요하다. 지진 속도는 지역 지질에 따라 다르며, P파 속도와 부피 밀도의 관계는 가드너의 관계에서 정량화되었다.

4. 진앙 거리

지진 발생 시 지진파는 진원으로부터 모든 방향으로 전파된다. 지구 반대편에서는 지진파 음영구역이 발생하는데, 이는 지구의 액체 외핵P파굴절시키지만 S파는 흡수하기 때문이다. 지진파 음영구역 바깥에서는 두 종류의 파 모두 감지할 수 있지만, 지구를 통과하는 속도와 경로가 다르기 때문에 도달 시간이 다르다. 지진계에서 시간 차이와 P파와 S파의 분리가 같은 여행시간 그래프 상의 거리를 측정함으로써 지질학자들은 지진 진앙까지의 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이 거리를 '''진앙거리'''라고 하며, 일반적으로 °(도) 단위로 측정하고 지진학에서는 Δ(델타)로 표시한다. 라스카의 경험적 법칙은 2,000~10,000km 범위의 진앙거리를 근사적으로 제공한다.

최소 세 곳의 지진계 측정소에서 진앙까지의 거리를 계산한 후에는 삼변측량을 사용하여 진앙을 찾을 수 있다. 진앙거리는 지진 규모 계산에도 사용된다.[9][10]

4. 1. 진앙 거리 측정

서로 다른 세 곳의 지진 관측소를 이용하여 진앙을 파악할 수 있다. 지진파는 진앙에서 가장 가까운 관측소에 가장 먼저 도달하며, 속도가 다른 P파와 S파의 도달 시간 차이로 관측소에서 진원까지의 거리를 알 수 있다. P파가 먼저 기록되고 느린 S파가 나중에 기록되는데, 진원에서 가까울수록 P파와 S파의 시간 차이(S-P 시간)가 짧아진다. 즉, P파와 S파의 속도 차이에 따른 S-P 시간은 관측소에서 얼마나 떨어진 곳에서 지진이 발생했는지 알려준다.[29]

최소 세 곳의 관측소에서 진앙 거리를 알면 진앙 위치를 추정할 수 있다. 각 관측소에서 진앙 거리를 반지름으로 하는 동심원을 그려 세 원이 만나는 지점이 진앙이다.[35] 이를 처음 파악한 사람은 영국의 지진학자 존 밀른으로, 1895년 와이트섬에서 지진 관측 연구 중 세 관측소에서 진앙 거리를 결정하면 진앙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아냈다.[36]

지진계의 주된 목적은 지진 진원의 발생 지점을 찾는 것이다. 지진파P파S파로 나뉘는데, P파가 먼저 도착하고 S파가 뒤따라온다. 이 둘의 전파 속도를 알면 지진까지의 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4] 하나의 지진계는 진앙까지의 거리(원)를 알려주고, 두 지진계는 두 개의 가능한 위치(두 원의 교점)를 제시한다. 정확한 위치는 세 번째 지진계를 통해 알 수 있다.

지진 발생 시 지진파는 진원으로부터 모든 방향으로 전파된다. 지구 반대편에서는 지구의 액체 외핵P파굴절시키지만 S파는 흡수하기 때문에 지진파 음영구역이 발생한다. 지진파 음영구역 바깥에서는 두 종류의 파 모두 감지할 수 있지만, 지구를 통과하는 속도와 경로가 달라 도달 시간이 다르다. 지진계에서 시간 차이와 P파와 S파의 분리가 같은 여행시간 그래프 상의 거리를 측정함으로써 지질학자들은 지진 진앙까지의 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이 거리를 '진앙거리'라고 하며, 일반적으로 °(도) 단위로 측정하고 지진학에서는 Δ(델타)로 표시한다.

최소 세 개의 지진계 측정소에서 진앙까지의 거리를 계산한 후에는 삼변측량을 사용하여 진앙을 찾을 수 있다. 진앙거리는 리히터와 구텐베르크가 개발한 지진 규모 계산에도 사용된다.[9][10]

4. 2. 규모 계산

지진 발생 시 지진파는 진원으로부터 모든 방향으로 전파된다. 지구 반대편에서는 지진 진앙으로부터 지진파 음영구역이 발생하는데, 이는 지구의 액체 외핵P파굴절시키지만, S파는 흡수하기 때문이다. 지진파 음영구역 바깥에서는 두 종류의 파 모두 감지할 수 있지만, 지구를 통과하는 속도와 경로가 다르기 때문에 도달 시간이 다르다. 지진계에서 시간 차이와 P파와 S파의 분리가 같은 여행시간 그래프 상의 거리를 측정함으로써 지질학자들은 지진 진앙까지의 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이 거리를 ''진앙거리''라고 하며, 일반적으로 °(도) 단위로 측정하고 지진학에서는 Δ(델타)로 표시한다. 라스카의 경험적 법칙은 2,000~10,000km 범위의 진앙거리를 근사적으로 제공한다.

최소 세 개의 지진계 측정소에서 진앙까지의 거리를 계산한 후에는 삼변측량을 사용하여 진앙을 찾을 수 있다.

진앙거리는 지진 규모 계산에도 사용된다.[9][10][27][28]

5. 지표면 피해

지진 관측 기술이 발달하기 전에는 진앙을 피해가 가장 큰 지점으로 여겼으나,[6] 지하의 단층 파열은 길게 이어질 수 있으며 파열대 전체에 걸쳐 지표면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002년 데날리 지진의 경우, 진앙은 파열대 서쪽 끝에 있었지만 피해가 가장 큰 곳은 동쪽 끝에서 약 330km 떨어진 곳이었다.[7]

5. 1. 단층 파열

지진 관측의 계기 시대 이전에는 진앙이 피해가 가장 큰 곳으로 여겨졌으나,[6] 지하의 단층 파열은 길게 이어질 수 있으며 파열대 전체에 걸쳐 지표면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알래스카에서 발생한 규모 7.9의 2002년 데날리 지진의 경우 진앙은 파열대의 서쪽 끝에 있었지만, 피해가 가장 큰 곳은 동쪽 끝으로부터 약 330km 떨어진 곳이었다.[7] 대륙 지각에서 발생하는 지진의 진원 깊이는 대부분 2km에서 20km 범위이다.[8] 20km보다 깊은 곳에서 발생하는 대륙 지진은 드물지만, 섭입대 지진은 600km보다 깊은 곳에서 발생할 수 있다.[8]

단층 미끄러짐이 시작되는 지점을 지진의 진원(focus)이라고 한다.[8] 단층 파열은 진원에서 시작되어 단층면을 따라 확장된다. 파열은 암석이 더 강해져 단층을 계속해서 파괴하기에 충분하지 않은 응력이 되는 지점 또는 파열이 연성 물질에 진입하는 지점에서 멈춘다.[8] 지진의 규모는 단층 파열의 총 면적과 관련이 있다.[8] 대부분의 지진은 규모가 작아 파열 크기가 진원의 깊이보다 작기 때문에 지표면까지 파열되지 않지만, 규모가 큰 파괴적인 지진에서는 지표면 파열이 일반적이다.[8] 대규모 지진의 단층 파열은 100km 이상으로 확장될 수 있다.[8] 단층이 일방적으로 파열될 때(진앙이 단층 파열의 끝부분에 있거나 그 근처에 있을 때) 파동은 단층을 따라 한 방향으로 더 강하다.[11]

5. 2. 진원 깊이

지진 관측의 계기 시대 이전에는 진앙이 피해가 가장 큰 곳으로 여겨졌으나,[6] 지하의 단층 파열은 길게 이어질 수 있으며 파열대 전체에 걸쳐 지표면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알래스카에서 발생한 규모 7.9의 2002년 데날리 지진의 경우 진앙은 파열대의 서쪽 끝에 있었지만, 피해가 가장 큰 곳은 동쪽 끝으로부터 약 330km 떨어진 곳이었다.[7] 대륙 지각에서 발생하는 지진의 진원 깊이는 대부분 2km에서 20km 범위이다.[8] 20km보다 깊은 곳에서 발생하는 대륙 지진은 드물지만, 섭입대 지진은 600km보다 깊은 곳에서 발생할 수 있다.[8]

6. 단층 파열

단층 미끄러짐이 시작되는 지점을 지진의 진원이라고 한다.[8] 단층 파열은 진원에서 시작되어 단층면을 따라 확장된다. 파열은 암석이 더 강해져 단층을 계속해서 파괴하기에 충분하지 않은 응력이 되는 지점 또는 파열이 연성 물질에 진입하는 지점에서 멈춘다.[8] 지진의 규모는 단층 파열의 총면적과 관련이 있다.[8] 대규모 지진의 단층 파열은 100km 이상으로 확장될 수 있다.[8] 단층이 일방적으로 파열될 때(진앙이 단층 파열의 끝 부분에 있거나 그 근처에 있을 때) 파동은 단층을 따라 한 방향으로 더 강하다.[11]

6. 1. 파열 확장

단층 미끄러짐이 시작되는 지점을 지진의 진원이라고 한다.[8] 단층 파열은 진원에서 시작되어 단층면을 따라 확장된다. 파열은 암석이 더 강해져 단층을 계속해서 파괴하기에 충분하지 않은 응력이 되는 지점 또는 파열이 연성 물질에 진입하는 지점에서 멈춘다.[8] 지진의 규모는 단층 파열의 총 면적과 관련이 있다.[8] 대부분의 지진은 규모가 작아 파열 크기가 진원의 깊이보다 작기 때문에 지표면까지 파열되지 않지만, 규모가 큰 파괴적인 지진에서는 지표면 파열이 일반적이다.[8] 대규모 지진의 단층 파열은 100km 이상으로 확장될 수 있다.[8] 단층이 일방적으로 파열될 때(진앙이 단층 파열의 끝 부분에 있거나 그 근처에 있을 때) 파동은 단층을 따라 한 방향으로 더 강하다.[11]

6. 2. 지진 규모

단층 미끄러짐이 시작되는 지점을 지진의 진원이라고 한다.[8] 단층 파열은 진원에서 시작되어 단층면을 따라 확장된다. 파열은 암석이 더 강해져 단층을 계속해서 파괴하기에 충분하지 않은 응력이 되는 지점 또는 파열이 연성 물질에 진입하는 지점에서 멈춘다.[8] 지진의 규모는 단층 파열의 총면적과 관련이 있다.[8] 대부분의 지진은 규모가 작아 파열 크기가 진원의 깊이보다 작기 때문에 지표면까지 파열되지 않지만, 규모가 큰 파괴적인 지진에서는 지표면 파열이 일반적이다.[8] 대규모 지진의 단층 파열은 100km 이상으로 확장될 수 있다.[8] 단층이 일방적으로 파열될 때(진앙이 단층 파열의 끝부분에 있거나 그 근처에 있을 때) 파동은 단층을 따라 한 방향으로 더 강하다.[11]

6. 3. 지표면 파열

단층 미끄러짐이 시작되는 지점을 지진의 진원이라고 한다.[8] 단층 파열은 진원에서 시작되어 단층면을 따라 확장된다. 파열은 암석이 더 강해져 단층을 계속해서 파괴하기에 충분하지 않은 응력이 되는 지점 또는 파열이 연성 물질에 진입하는 지점에서 멈춘다.[8] 지진의 규모는 단층 파열의 총면적과 관련이 있다.[8] 대부분의 지진은 규모가 작아 파열 크기가 진원의 깊이보다 작기 때문에 지표면까지 파열되지 않지만, 규모가 큰 파괴적인 지진에서는 지표면 파열이 일반적이다.[8] 대규모 지진의 단층 파열은 100km 이상으로 확장될 수 있다.[8] 단층이 일방적으로 파열될 때(진앙이 단층 파열의 끝부분에 있거나 그 근처에 있을 때) 파동은 단층을 따라 한 방향으로 더 강하다.[11]

7. 거시진앙

거시진앙은 지진 관측 장비 없이 진앙 위치를 추정하는 방법이다. 진도 자료, 전진 및 여진 정보, 지역 단층 정보, 유사 지진 자료 등을 활용한다.[12]

7. 1. 추정 방법

거시진앙(macroseismic epicenter)은 계기 자료 없이 추정한 진앙 위치의 최선의 추정치이다. 이는 진도 자료, 전진여진에 대한 정보, 지역 단층계에 대한 지식 또는 유사한 지진에 대한 자료의 외삽을 사용하여 추정할 수 있다.[12] 계기로 기록되지 않은 역사적 지진의 경우 거시진앙만 제시할 수 있다.[12]

7. 2. 역사적 지진

계기로 기록되지 않은 역사적 지진의 경우 거시진앙만 제시할 수 있다.[12] 거시진앙은 진도 자료, 전진 및 여진에 대한 정보, 지역 단층계에 대한 지식 또는 유사한 지진에 대한 자료를 외삽하여 추정한 진앙 위치이다.

참조

[1] 서적 Oxford English Dictionary
[2] 웹사이트 Chinese Seismograph http://engagetolearn[...] 2023-08-11
[3] 웹사이트 USGS Earthquake Hazards Program https://web.archive.[...] 2023-09-06
[4] 웹사이트 How Can I Locate the Earthquake Epicenter? http://www.geo.mtu.e[...]
[5] 웹사이트 USGS Earthquake Hazards Program https://web.archive.[...] 2023-09-06
[6] 서적 The Geology of Earthquakes Oxford University Press
[7] 웹사이트 Rupture in South-Central Alaska – The Denali Fault Earthquake of 2002 http://pubs.usgs.gov[...]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2008-04-20
[8] 서적 The essential Earth W. H. Freeman 2012
[9] 웹사이트 The Richter Scale (ML) https://web.archive.[...]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2008-09-14
[10] 웹사이트 Surface-Wave Magnitude (Ms) and Body-Wave Magnitude (mb) https://web.archive.[...]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2008-09-14
[11] 웹사이트 What is Directivity? https://earthquake.u[...]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2018-07-01
[12] 간행물 49 – Macroseismology Academic Press 2002-01-01
[13] 웹사이트 epicenter http://www.merriam-w[...] Merriam-Webster Dictionary 2009-10-19
[14] 웹사이트 ἐπίκεντρος https://www.perseus.[...]
[15] 웹사이트 ἐπί https://www.perseus.[...]
[16] 웹사이트 epicentre https://web.archive.[...]
[17] 서적 Elements of Earthquake Engineering and Structural Dynamics https://books.google[...] Presses inter Polytechnique 2002
[18] 서적 Writing for Broadcast Journalists https://books.google[...] Routledge
[19] 서적 How to Write https://books.google[...] Random House
[20] 뉴스 On Language https://www.nytimes.[...] 2022-10-17
[21] 서적 Garner's Modern American Usage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2] 웹사이트 ἐπί http://www.perseus.t[...]
[23] 웹사이트 epicentre http://oxforddiction[...]
[24] 웹사이트 ἐπίκεντρος http://www.perseus.t[...]
[25] 웹사이트 epicenter http://www.merriam-w[...] 2009-10-19
[26] 웹사이트 Rupture in South-Central Alaska—The Denali Fault Earthquake of 2002 http://pubs.usgs.gov[...] USGS 2008-04-20
[27] 간행물 The Richter Scale(ML) http://www.johnmarti[...] USGS 2008-09-14
[28] 간행물 SURFACE-WAVE MAGNITUDE(Ms) AND BODY-WAVE MAGNITUDE(mb) http://www.johnmarti[...] USGS 2008-09-14
[29] 웹인용 진앙과 진원 https://www.kma.go.k[...] 온라인 지진과학관 2022-05-16
[30] 웹인용 epicenter http://www.merriam-w[...] 2009-10-19
[31] 웹사이트 ἐπίκεντρος https://www.perseus.[...]
[32] 웹사이트 ἐπί https://www.perseus.[...]
[33] 웹사이트 epicentre http://oxforddiction[...]
[34] 서적 Elements of Earthquake Engineering and Structural Dynamics https://books.google[...] Presses inter Polytechnique 2002
[35] 웹인용 지진 위치 결정 https://www.kigam.re[...] 지진연구센터 2022-05-16
[36] 서적 모든 사람을 위한 지진 이야기 사이언스북스 2016-10-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