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마지루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우마지루시는 일본 전국 시대의 무장들이 사용한 말과 깃발 표지를 의미한다. 이는 투구 장식과 마찬가지로, 자신의 존재와 신념을 과시하기 위해 사용되었으며, 큰 말표(大馬印)와 작은 말표(小馬印)로 구분된다. 다케다 신겐, 우에스기 겐신, 오다 노부나가, 도요토미 히데요시 등 유력 무장들은 각자 독특한 디자인의 우마지루시를 사용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의 기 - 일본의 국기
일본의 국기는 흰색 바탕에 붉은 원이 그려진 디자인으로, 태양을 상징하며 1999년 법률에 의해 공식적으로 국기로 지정되었다. - 일본의 기 - 욱일기
욱일기는 태양 문양 주위로 햇살을 그린 깃발로, 일본에서 경사스러운 상징으로 여겨져 왔으나, 일본 제국주의의 상징으로 여겨져 한국 등 피해 국가에서는 사용에 반대하는 목소리가 높다. - 센고쿠 시대 - 교토
교토는 혼슈 중앙부에 위치하며 약 천 년간 일본의 수도였던 도시로, 헤이안쿄로 설계되어 전란과 화재를 겪었으나 복구 노력을 통해 현재의 모습을 갖추었고, 에도 시대에는 문화와 상공업의 중심지로, 오늘날에는 세계적인 관광 도시로 번영하며 수많은 유적이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 센고쿠 시대 - 오와리국
오와리국은 현재 아이치현 서부 지역을 중심으로 하는 일본 고대의 령제국으로, 구석기 시대부터 인류가 거주했으며 야마토 씨족과 관련된 오와리 씨족의 거점이었고, 나라 시대에는 율령제에 따라 통치되었으며 아쓰타 신사는 중요한 신사였고, 센고쿠 시대에는 오다 씨가 지배했으며, 에도 시대에는 오와리 번이 세워졌으나 메이지 유신 이후 아이치현에 편입되었다. - 일본의 역사 - 에도 시대
에도 시대는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에도에 막부를 세운 1603년부터 메이지 유신으로 막부가 멸망한 1868년까지의 일본 역사 시대로, 도쿠가와 막부의 통치 아래 평화와 사회적 안정을 누렸으나 엄격한 신분제도와 쇄국정책을 유지하며 막번체제, 산킨코타이 제도 등 독특한 정치·사회·경제 체제를 통해 일본 근세사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 일본의 역사 - 연호
연호는 군주의 권위와 통치권을 상징하며, 군주의 즉위와 함께 사용되는 칭호로, 고대 중국에서 시작되어 동아시아 국가들에 영향을 주었고, 현대에는 일본, 중화민국, 북한 등에서 사용된다.
우마지루시 | |
---|---|
개요 | |
![]() | |
종류 | 깃발 |
사용 목적 | 군사적 식별, 사기 진작 |
시대 | 센고쿠 시대부터 에도 시대 초기 |
관련 인물 | 센고쿠 다이묘 |
상세 정보 | |
정의 | 센고쿠 시대부터 에도 시대 초기에 걸쳐, 군사적 목적으로 사용된 표식 |
기능 | 아군과 적군 식별, 아군 사기 진작 |
형태 | 기 (旗) 인형 (人形) 입체물 (立体物) |
재료 | 천 (布) 가죽 (革) 금속 (金属) |
특징 | 각 다이묘의 개성을 드러내는 디자인 크고 화려한 형태 |
역사 | |
기원 | 센고쿠 시대 |
발전 | 에도 시대 초기, 다양한 형태와 디자인으로 발전 |
사용 중단 | 에도 시대 중기 이후, 전쟁 감소로 인해 점차 사용되지 않음 |
종류 | |
주요 형태 | 기 (旗): 천이나 가죽으로 만든 깃발 형태 인형 (人形): 사람이나 동물의 형상을 본뜬 인형 형태 입체물 (立体物): 그 외 다양한 입체 형태 |
디자인 요소 | 가몬 (家紋): 가문의 문양 동물 (動物): 용, 호랑이, 말 등 식물 (植物): 벚꽃, 단풍잎 등 신화적 존재 (神話的存在): 봉황, 기린 등 문자 (文字): 가훈, 슬로건 등 |
역할 및 의미 | |
군사적 식별 | 아군과 적군을 구별하는 중요한 수단 |
사기 진작 | 군대의 사기를 높이는 역할 |
권위 과시 | 다이묘의 권위를 과시하는 상징 |
참고 문헌 | |
서적 | 『戦国合戦図屏風集成』 (센고쿠 갓센즈 뵤부 슈세이) 『日本の合戦図』 (니혼노 갓센즈) |
웹사이트 | 武家家伝 - 戦国時代研究サイト (무가케덴 - 센고쿠 시대 연구 사이트) |
관련 항목 | |
관련 용어 | 노보리 사시모노 가몬 |
관련 인물 | 센고쿠 다이묘 |
2. 역사
말표지(馬印)는 원래 깃발의 일부나 사분기(四分旗)를 독자적으로 디자인하여 대장 주변에 배치한 것이다. 이후 깃발 형태뿐만 아니라 다양한 재료를 사용한 말표지가 고안되었다. 말표지의 기원에 대해서는 두 가지 설이 있다.
- 갑양군감에 따르면, 덴문 15년(1546년) 가와고에 야전 때 호조 우지야스의 신하 다이도지(다이도지 마사시게로 추정)가 적장 오미노카미(近江守)를 물리치고 얻은 금색 등롱을 작은 깃발로 만든 것이 시초라고 한다.
- 신장기에 따르면, 에이로쿠 시대까지는 말표지가 없었고, 겐키 시대부터 시작되어 점차 발전했다고 한다. 그러나 이는 갑양군감의 기록과 모순된다. 오다 가문에서의 성립에 대해 쓴 것 때문일 수 있다.
이전의 깃발 모양은 '''깃발표지(旗印)''', 깃발 모양이 아닌 것을 '''말표지(馬印)'''라고 한다. 후대에는 말표지가 '''큰 말표지(大馬印)'''와 '''작은 말표지(小馬印)'''로 나뉜다. 큰 말표지에 해당하는 깃발표지는 깃발이라고 표기한다.
전국 시대부터 에도 시대에 걸쳐 전쟁에서 준비의 한 부대로 깃발 부대가 조직되었다. 지휘관인 사무라이 대장이나 주군 가문을 나타내는 큰 말표지·깃발을 깃발 옆에 두었다. 깃발과 큰 말표지는 한쪽 또는 양쪽에 모두 놓였다. 사무라이 대장 옆에는 작은 말표지를 두어 부대의 위치와 위세를 과시했다.
2. 1. 깃발지물(旗指物)과의 관계
무사가 전장에서 자신의 식별을 위해 등에 꽂은 작은 깃발을 '''깃발지물(旗指物)'''이라고 부른다. 출세한 무장은 깃발지물을 그대로 말표지로 사용하는 경우도 있었다. 이는 개인의 상징이 가문의 상징으로 확장되는 과정을 보여준다.3. 종류
초기에는 깃발 형태의 깃발표지(旗印)가 주로 사용되었으나, 점차 깃발 형태에서 벗어난 다양한 형태의 말표지(馬印)가 등장했다. 에도 시대에 이르면 말표지는 다시 크기에 따라 '''큰 말표지(大馬印)'''와 '''작은 말표지(小馬印)'''로 나뉜다. 큰 말표지에 해당하는 깃발표지는 깃발이라고 표기되었다.
4. 유명 무장의 말표지·깃발표지
전국 시대에는 투구의 장식과 마찬가지로, 자신의 존재와 신념을 과시하기 위해 유력한 무장들은 다양한 도안의 말표와 깃발을 사용했다.
무장 | 구분 | 내용 |
---|---|---|
다케다 신겐 | 깃발 | 어기(御旗), 풍림화산 깃발, 스와 명신 깃발 |
우에스기 겐신 | 깃발 | 감색 바탕에 주홍색 원형 깃발, 비(毘) 한 글자 깃발, 휘날리는 난잡한 용 깃발 |
말표 | 감색 바탕에 주홍색 원형 부채 | |
호조 우지야스 | 깃발 | 오색 단단 |
이마가와 요시모토 | 깃발 | 붉은 새 |
오다 노부나가 | 말표 | 금칠한 카라가사(唐傘) |
도요토미 히데요시 | 작은 말표 | 금색 거꾸로 된 표주박에 금색 잘라진 조각 |
큰 말표 | 금색 군배에 주홍색 깃발 | |
기타 | 천성 표주박은 말표로 사용되지 않았지만, 배 표장으로 사용되었다는 설도 있다. | |
시바타 카츠이에 | 말표 | 금색 고히(御幣)(후에 도요토미 히데쓰구가 사용) |
모리 테루모토 | 말표 | 새 깃털 위에 흰 타쿠다 |
다테 마사무네 | 깃발 | 검은색 큰 사반, 새 깃털 내밀기 |
말표 | 검은색 두 줄 새 깃털 삿갓, 새 깃털 내밀기 | |
이이 나오마사 | 말표 | 금색 파리채 |
깃발 | 붉은색 바탕에 금색 井자 모양 | |
도쿠가와 이에야스 | 큰 말표 | 금색 부채 |
말표 | 금색 표주박에 금색 잘라진 조각 | |
깃발 | 「염리오토 흔구정토」 깃발(흰 바탕에 먹으로 쓴 글자), 금색 바탕에 붉은색 원형 태극기 | |
구로다 나가마사 | 깃발 | 검은색 바탕에 중간 흰색 |
큰 말표 | 흰색 큰 취관 | |
사사 나리마사 | 말표 | 삿갓 3개를 세로로 쌓아 막대기를 통과시킨 삼층 삿갓 |
이시다 미쓰나리 | 말표 | 금색 취관에 구요(九曜) 문양의 금색 부채 |
4. 1. 다케다 신겐
- 깃발
- * 어기(御旗)
- * 풍림화산 깃발
- * 스와 명신 깃발
4. 2. 우에스기 겐신
- 깃발
- * 어기(御旗): 감색 바탕에 주홍색 원형 깃발이다.
- * 비(毘) 한 글자 깃발을 사용하였다.
- * 휘날리는 난잡한 용 깃발을 사용하였다.
- 말표: 감색 바탕에 주홍색 원형 부채를 사용하였다.
4. 3. 호조 우지야스
호조 우지야스의 깃발은 오색 단단이다.4. 4. 이마가와 요시모토
이마가와 요시모토일본어의 깃발은 붉은 새였다.4. 5. 오다 노부나가
오다 노부나가의 말표는 금칠한 카라가사(唐傘)이다.4. 6. 도요토미 히데요시
4. 7. 시바타 카츠이에
시바타 카쓰이에는 금색 고히(御幣) 형태의 말표를 사용했으며, 이는 후에 도요토미 히데쓰구가 사용하였다.4. 8. 모리 테루모토
모리 데루모토의 말표는 새 깃털 위에 흰 타쿠다였다.4. 9. 다테 마사무네
- 깃발: 검은색 큰 사반, 새 깃털 내밀기
- 말표: 검은색 두 줄 새 깃털 삿갓, 새 깃털 내밀기
4. 10. 이이 나오마사
4. 11. 도쿠가와 이에야스
4. 12. 구로다 나가마사
- 구로다 나가마사
- * 깃발: 검은색 바탕에 중간 흰색
- * 큰 말표: 흰색 큰 취관
4. 13. 사사 나리마사
佐々成政|사사 나리마사일본어의 말표는 삼층 삿갓으로, 삿갓 3개를 세로로 쌓아 막대기를 통과시킨 것이다.4. 14. 이시다 미쓰나리
말표는 금색 취관에 구요(九曜) 문양의 금색 부채였다.5. 갤러리
5. 1. 아리마 도요지
5. 2. 호리 나오요리
5. 3. 이코마 타카토시
5. 4. 마쓰다이라 미쓰나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