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우에스기 도모사다 (1525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우에스기 도모사다는 1525년에 태어나 1546년에 사망한 센고쿠 시대의 무장이다. 1537년 아버지의 사망으로 가문을 계승했으나, 호조 우지쓰나의 공격으로 가와고에 성을 잃고 마쓰야마 성으로 거점을 옮겼다. 이후 야마노우치 우에스기 가문과 화해하고 이마가와 요시모토와 연합하여 호조 우지야스에 대항했다. 1546년 가와고에 성 전투에서 전사했으며, 그의 죽음으로 오기가야쓰 우에스기 가문은 단절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기가야쓰 우에스기씨 - 에도성
    에도성은 헤이안 시대 말기 에도 시게쓰구가 거처를 마련한 곳에서 시작하여 1457년 오타 도칸이 축성하였고,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오다와라 정벌 이후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거성으로 삼아 에도 막부의 중심지가 되었으며, 메이지 유신 이후에는 고쿄(황거)로 불리며 일부 문과 망루, 해자가 남아 중요 문화재로 지정되었다.
  • 오기가야쓰 우에스기씨 - 가와고에성 전투
    1545년, 호조 우지야스가 지키는 가와고에성을 우에스기 노리마사, 우에스기 도모사다, 아시카가 하루우지 연합군이 포위 공격했으나, 호조 우지야스의 기습적인 야간 공격으로 우에스기 도모사다가 전사하며 호조 가문의 승리로 끝났고 간토 지방의 세력 판도에 큰 영향을 미친 전투이다.
  • 1546년 사망 - 마르틴 루터
    마르틴 루터는 1483년 독일에서 태어난 신학자이자 종교 개혁가로, '오직 믿음으로' 칭의 교리를 확립하고 95개 논제를 발표하여 종교 개혁을 촉발했으며, 독일어 성경 번역과 성직자 결혼 허용에 기여했으나 후기에는 반유대주의적 주장을 펼치기도 했다.
  • 1546년 사망 - 프란시스코 데 비토리아
    프란시스코 데 비토리아는 16세기 스페인의 신학자이자 국제법의 아버지로, 자연법과 만국법에 기반하여 아메리카 원주민의 권리와 존엄성을 옹호하며 스페인의 지배를 비판했고 국제법과 인권 사상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
  • 1525년 출생 - 장거정
    장거정은 명나라 만력제 시기의 정치가이자 개혁가로, 수보의 자리에 올라 일련의 개혁을 추진하여 명나라의 재정을 안정시키고 국력을 강화하는 데 기여했지만, 비판을 받기도 했다.
  • 1525년 출생 - 다키가와 이치마스
    다키가와 이치마스는 오다 노부나가의 가신으로 이세국 공략, 나가시마 포위전, 나가시노 전투 등 주요 전투에 참전하여 다케다 가쓰요리 토벌에 공을 세우고 간토 어취차역에 임명되었으나, 혼노지의 변 이후 호조 씨족과의 전투에서 패배하고 도요토미 히데요시에게 항복한 후 승려가 되어 은퇴하였다.
우에스기 도모사다 (1525년)
기본 정보
씨족오기가야쓰우에스기가
아버지우에스기 도모오키
사망덴분 15년 4월 20일 (1546년5월 19일)
별칭고로 (어린 시절 이름) → 도모사다
시대센고쿠 시대
생년다이에이 5년 (1525년)
관직수리대부
가명부쓰신인 쇼에이
자녀계승자: 노리카쓰・노리후사

2. 생애

다이에이 5년(1525년), 우에스기 도모오키의 아들로 태어났다. 덴분 6년(1537년) 아버지가 사망하자 가독을 이어 오기가야쓰 우에스기 가문의 당주가 되었다. 그러나 어린 나이에 가독을 상속하자, 이를 기회로 삼은 호조 우지쓰나가 가와고에 성을 공격하여 빼앗겼고, 도모사다는 마쓰야마 성으로 거점을 옮겼다.

이후 고호조 가문에 대항하기 위해 오랜 숙적인 야마노우치 우에스기 가문과 화친하였다. 덴분 14년(1545년)에는 스루가이마가와 요시모토, 야마노우치 우에스기 가문의 우에스기 노리마사, 고가쿠보 아시카가 하루우지 등과 연합하여 8만 대군으로 가와고에 성 탈환을 시도했다.

그러나 이듬해인 덴분 15년(1546년) 4월 20일, 가와고에 성 전투에서 호조 우지야스가 이끄는 군대의 기습 공격을 받아 22세의 나이로 전사하였다. 그의 죽음으로 오기가야쓰 우에스기 가문은 사실상 단절되었다.

2. 1. 가독 상속과 호조 가문과의 대립

다이에이 5년(1525년), 우에스기 도모오키의 아들로 태어났다. 덴분 6년(1537년) 4월, 아버지 도모오키가 사망하자 가독을 이어 오기가야쓰 우에스기 가문의 당주가 되었다[2]. 그러나 어린 나이에 가독을 상속한 것을 기회로 본 호조 우지쓰나는 같은 해 7월 가와고에 성을 공격했다. 이 공격으로 도모사다는 성을 빼앗기고 패주하여 마쓰야마성으로 거점을 옮겼다[4]. 이후 고호조씨에 대항하기 위해 무사시국 후추[3] 진다이지에 진다이지성을 쌓았다.

덴분 10년(1541년), 오랫동안 대립해왔던 숙적 야마노우치 우에스기씨의 우에스기 노리마사와 화해하고, 호조 우지야스에 공동으로 대항하기로 했다. 덴분 14년(1545년)에는 스루가이마가와 요시모토와 연대하여 호조 가문을 포위하는 전략을 세웠다. 요시모토가 군사를 일으켜 호조 우지야스가 스루가로 출진한 틈을 타, 도모사다는 우에스기 노리마사, 고가 구보 아시카가 하루우지 등과 연합하여 8만 명에 달하는 대군으로 가와고에 성 탈환에 나섰다.

가와고에 성주 호조 쓰나시게가 이끄는 수비군의 완강한 저항에 부딪혔으나, 연합군은 성을 함락 직전까지 몰아붙였다. 그러나 이듬해인 덴분 15년(1546년) 4월 20일, 이마가와 가문과의 전투를 끝내고 돌아온 호조 우지야스가 이끄는 군대의 기습 공격을 받아 가와고에성 전투에서 연합군은 크게 패배했다. 이 전투에서 당주 우에스기 도모사다는 전사하고 연합군은 뿔뿔이 흩어져 가와고에 성 탈환은 실패로 돌아갔다. 당시 그의 나이는 22세였다.

다만, 도모사다를 누가 죽였는지 등 사망 당시의 구체적인 상황을 전하는 기록이 없어, 실제로는 병으로 사망했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이 설에 따르면 연합군 붕괴의 원인은 호조 군의 기습이 아니라 도모사다의 갑작스러운 죽음 때문일 수 있다[5].

우에스기 도모사다의 죽음으로 오기가야쓰 우에스기 가문은 사실상 단절되었다. 잠시 서류(庶流)인 우에스기 노리카쓰가 우에스기 겐신의 후원을 받아 가문을 다시 일으키려 했으나, 결국 고호조씨에게 굴복하고 말았다.

2. 2. 야마노우치 우에스기 가문과의 화친 및 연합

덴분 10년(1541년), 오랫동안 대립해 온 숙적인 야마노우치 우에스기 가문의 우에스기 노리마사와 화친하여 호조 우지야스에 대항하였다. 덴분 14년(1545년)에는 스루가이마가와 요시모토와 연대하여 호조 가문에 대한 포위망을 구축했다. 이마가와 요시모토가 군사를 일으켜 호조 우지야스가 스루가로 출진한 틈을 타, 우에스기 도모사다는 우에스기 노리마사, 고가쿠보 아시카가 하루우지 등과 연합하여 8만 명에 달하는 대군으로 가와고에 성을 공격하였다. 가와고에 성주인 호조 쓰나시게가 선전하며 저항했지만, 연합군은 성을 함락 직전까지 몰아붙였다.

2. 3. 가와고에 성 전투와 최후

덴분 14년(1545년), 스루가 국의 이마가와 요시모토와 연계하여 호조 우지야스에 대항하는 대 호조 포위망을 구축했다. 이마가와 요시모토가 군사를 일으켜 호조 우지야스가 스루가로 출진한 틈을 타, 야마노우치 우에스기 가의 우에스기 노리마사, 고가 쿠보 아시카가 하루우지 등과 연합하여 8만 대군으로 가와고에 성을 공격했다. 가와고에 성주 호조 쓰나시게는 끈질기게 저항했으나, 우에스기 연합군은 성을 함락 직전까지 몰아붙였다.

그러나 이듬해인 덴분 15년(1546년) 4월 20일, 이마가와 가문과의 전투를 끝내고 가와고에 성을 구원하러 온 호조 우지야스가 이끄는 별동대의 기습을 받아 가와고에 성 전투에서 우에스기 군은 크게 패배했다. 이 전투에서 당주인 도모사다는 전사하였고, 연합군은 뿔뿔이 흩어져 가와고에 성 탈환은 실패로 돌아갔다. 이때 그의 나이는 22세였다.

다만, 도모사다를 누가 죽였는지 등 사망 상황을 전하는 기록이 전혀 없어, 실제로는 병사했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따라서 그의 정확한 사인은 불명이며, 연합군 붕괴의 원인을 호조 군의 기습이 아닌 도모사다의 갑작스러운 죽음으로 보는 설도 있다.[5]

우에스기 도모사다의 죽음으로 오기가야쓰 우에스기 가는 사실상 단절되었다. 일시적으로 오기가야쓰 가문의 서류(庶流)인 우에스기 노리카쓰가 우에스기 겐신의 후원을 받아 가문을 다시 일으키려 했으나, 곧 고호조 씨에게 굴복하였다.

2. 4. 사후

우에스기 도모사다의 죽음으로 오기가야쓰 우에스기 가문은 단절되었다. 일시적으로 서류(庶流)인 우에스기 노리카쓰가 우에스기 겐신의 후원을 받아 재건을 시도했지만, 곧 고호조 씨에게 굴복하였다.

3. 우에스기 도모사다를 소재로 한 작품

(내용 없음)

3. 1. 텔레비전 드라마


  • 풍림화산 (2007년 NHK 대하드라마, 배우: 타케모토 준페이)

참조

[1] 서적 The Samurai Sourcebook Cassell & Co.
[2] 간행물 史料綜覧 巻10 https://dl.ndl.go.jp[...] 内閣印刷局朝陽会 1938
[3] 문서 現[[調布市]]
[4] 간행물 史料綜覧 巻10 https://dl.ndl.go.jp[...] 内閣印刷局朝陽会 1938
[5] 간행물 中世の河越城-その成立と景観- 戒光祥出版 199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