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도우 미디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윈도우 미디어는 마이크로소프트에서 개발한 미디어 관련 기술 및 제품군을 통칭한다. 윈도우 미디어 플레이어, 윈도우 미디어 인코더, 윈도우 미디어 서비스, 윈도우 무비 메이커 등의 응용 프로그램과 고급 스트리밍 포맷(ASF), 윈도우 미디어 오디오(WMA), 윈도우 미디어 비디오(WMV) 등의 다양한 형식, 미디어 스트림 브로드캐스트(MSB), 미디어 전송 프로토콜(MTP), 마이크로소프트 미디어 서비스(MMS) 등의 프로토콜을 포함한다. 또한, 디지털 권한 관리(DRM)를 위한 윈도우 미디어 DRM과 WMV HD를 지원하며, 윈도우 XP 이후 윈도우 미디어 센터와 윈도우 무비 메이커가 포함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멀티미디어 프레임워크 - 퀵타임
퀵타임은 1991년 애플에서 처음 출시된 멀티미디어 프레임워크로, 다양한 기능 업데이트를 거치며 발전했으나 애플의 소극적인 지원으로 쇠퇴하였고, 비디오 및 오디오 트랜스코딩, 코덱 지원 등의 특징을 가지며 퀵타임 플레이어를 통해 다양한 파일 형식을 재생할 수 있도록 지원했으나, 2016년 4월 윈도우 버전 지원이 중단되었다. - 멀티미디어 프레임워크 - 다이렉트쇼
DirectShow는 마이크로소프트에서 개발한 윈도우 기반 멀티미디어 프레임워크이자 API로, 필터 그래프를 통해 비디오 재생, 오디오 녹음, 편집, 인코딩 등 다양한 작업을 처리하며, 뛰어난 코덱 확장성을 가지지만 복잡한 구조와 코덱 충돌 문제가 있다. - 중단된 마이크로소프트 소프트웨어 - 윈도우 라이브 메신저
윈도우 라이브 메신저는 마이크로소프트가 개발한 인스턴트 메시징 클라이언트로, 2005년 MSN 메신저에서 브랜드 변경 후 출시되어 오프라인 메시징, 테마 변경 등의 기능을 제공하고 여러 플랫폼을 지원했으나 2013년 서비스가 종료되었으며 현재는 일부 기능만 이용 가능하다. - 중단된 마이크로소프트 소프트웨어 - 인터넷 익스플로러
마이크로소프트가 개발한 웹 브라우저인 인터넷 익스플로러는 윈도우 운영 체제와의 통합으로 높은 시장 점유율을 유지했으나, 웹 표준 문제와 보안 취약점으로 비판받으며 2015년 엣지에 자리를 내주고 2022년 지원이 종료되었지만, 엣지의 IE 모드로 레거시 호환성을 유지하고 있다. -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 멀티미디어 기술 - 윈도우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모델
윈도우 비스타부터 도입된 윈도우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모델(WDDM)은 성능 향상, 안정성, 새로운 기술 지원을 목표로 개발된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아키텍처로, 가상화된 비디오 메모리, GPU 스케줄링, 프로세스 간 Direct3D 표면 공유, 향상된 오류 허용성 등의 특징을 가지며 데스크톱 윈도우 관리자(DWM)를 통한 합성 데스크톱 환경 구현에 필수적이다. -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 멀티미디어 기술 - 윈도우 미디어 플레이어
윈도우 미디어 플레이어는 마이크로소프트에서 개발하여 윈도우 운영 체제에서 오디오, 비디오, 이미지 파일을 재생하는 데 사용되는 미디어 플레이어 응용 프로그램으로, 초기 버전은 '미디어 플레이어'라는 이름으로 출시되어 다양한 기능 추가 및 플랫폼 확장을 거쳤으나 현재는 대부분 지원이 중단되었고, 유럽 연합 경쟁법 위반 사건으로 인해 없는 버전도 출시되었다.
윈도우 미디어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종류 | 미디어 플레이어 |
개발사 | 마이크로소프트 |
운영 체제 | 윈도우 윈도우 모바일 윈도우 CE |
최신 버전 | 12.0.7601.17514 (윈도우 7) |
라이선스 | 프리웨어 |
웹사이트 | 윈도우 미디어 플레이어 홈페이지 |
지원 포맷 | |
오디오 | MP3 WMA AAC FLAC ALAC Vorbis Opus AC-3 DTS MP1 MP2 Musepack ATRAC |
비디오 | WMV MPEG AVI ASF QuickTime DVD-Video Blu-ray VCD |
이미지 | JPEG GIF PNG TIFF BMP ICO WMF EMF |
역사 | |
최초 출시 | 1991년 (윈도우 3.0용 미디어 플레이어) |
초기 버전 | 윈도우 3.0용 미디어 플레이어 |
주요 버전 | 윈도우 미디어 플레이어 6.4 윈도우 미디어 플레이어 7 윈도우 미디어 플레이어 8 윈도우 미디어 플레이어 9 시리즈 윈도우 미디어 플레이어 10 윈도우 미디어 플레이어 11 윈도우 미디어 플레이어 12 |
기능 | |
주요 기능 | 오디오 및 비디오 재생 미디어 라이브러리 관리 CD 굽기 휴대용 장치 동기화 온라인 스트리밍 스킨 변경 시각화 효과 플러그인 지원 |
2. 응용 프로그램
윈도우 미디어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들이 개발되어 사용자에게 편리한 멀티미디어 경험을 제공한다.
2. 1. 주요 응용 프로그램
- 윈도우 미디어 플레이어 - 미디어 재생
- 윈도우 미디어 인코더 - 미디어 인코딩 도구
- 윈도우 미디어 센터
- 윈도우 미디어 서비스 - 스트리밍 미디어 서버
- 윈도우 무비 메이커
3. 형식
윈도우 미디어는 마이크로소프트에서 개발한 멀티미디어 프레임워크로, 다양한 형식의 파일을 지원한다. 주요 형식으로는 ASF, ASX, 윈도우 미디어 플레이리스트, WMA, WMV 등이 있다.
3. 1. 주요 형식
- 어드밴스드 시스템 포맷 (ASF)
- 어드밴스드 스트림 리디렉터 (ASX) 및 윈도우 미디어 플레이리스트 (WPL)
- 윈도우 미디어 오디오 (WMA)
- 윈도우 미디어 비디오 (WMV) 및 VC-1
- HD 포토 (HDP - 윈도우 미디어 포토)
- DVR-MS, 윈도우 미디어 센터에서 쓰이는 녹화 포맷.
- SAMI, 마이크로소프트가 개발한 자막 포맷. 온라인 영상물에 캡션과 오디오 내용을 동기화하는 데에 쓰일 수 있다.
- 윈도우 미디어 스테이션 (NSC)
- WMV HD (Windows Media Video High Definition), 윈도우 미디어 코덱을 사용하여 인코딩된 고화질 미디어 콘텐츠의 브랜딩 이름. WMV HD는 별도의 코덱이 아니다.
- 윈도우 미디어 포맷 (WMF)
4. 프로토콜
윈도우 미디어는 미디어 콘텐츠를 전송하고 공유하기 위해 다양한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사용한다. 미디어 전송 프로토콜(MTP), 마이크로소프트 미디어 서비스(MMS), 미디어 스트림 브로드캐스트(MSB) 등이 주요 프로토콜이다. 윈도우 미디어 DRM은 디지털 권한 관리를 구현하는 기술이다.
4. 1. 주요 프로토콜
- 미디어 전송 프로토콜(MTP)
- 마이크로소프트 미디어 서비스(MMS): 스트리밍 전송 프로토콜이다.
- 미디어 스트림 브로드캐스트(MSB): 네트워크를 통해 고급 시스템 형식 콘텐츠를 멀티캐스트 방식으로 배포하기 위한 프로토콜이다.
5. 기타
- 미디어 전송 프로토콜 (MTP)
- 마이크로소프트 미디어 서비스 (MMS)
- 윈도우 미디어 DRM
- WMV HD
- 윈도우 XP 미디어 센터 에디션 - 윈도우 XP 이후에 내장된 윈도우 미디어 센터
- 윈도우 무비 메이커 - 윈도우 미디어 영상 편집 응용 프로그램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