윌리엄 번사이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윌리엄 번사이드는 영국의 수학자로, 1852년 런던에서 태어나 1927년 사망했다.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수학했으며, 유한군 이론 연구에 기여하여 군 표현론 분야의 발전에 영향을 미쳤다. 주요 업적으로는 'paqb' 정리 증명, 《유한 차수 군론》 저술 등이 있으며, 번사이드 문제와 번사이드의 보조정리를 정립했다. 수학 외에도 보트 선수로 활동하며 케임브리지 대학교 보트 팀 코치를 맡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케임브리지 대학교 팸브로크 칼리지 동문 - 로버트 배서스트
가나 태생으로 영국에서 활동하는 배우 로버트 배서스트는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법학을 전공했지만, 케임브리지 풋라이트 활동을 계기로 배우의 길을 걷게 되었으며, 《조킹 어파트》와 《콜드 핏》을 포함한 다양한 영화, 텔레비전, 무대 작품에서 활약했다. - 케임브리지 대학교 팸브로크 칼리지 동문 - 에릭 아이들
에릭 아이들은 몬티 파이썬의 멤버로 유명한 영국의 배우, 코미디언, 작가, 음악가로서, 텔레비전 시리즈와 영화, 앨범 제작에 참여했으며, 뮤지컬 스패멀롯을 제작했고, 그의 이름을 딴 소행성과 파이썬 프로그래밍 언어 개발 환경도 존재한다. - 대수학자 - 바스카라 2세
바스카라 2세는 12세기 인도의 수학자이자 천문학자로, 우자인 천문대 책임자를 역임하며 《릴라바티》, 《비자가니타》, 《싯단타 시로마니》, 《카라나 쿠투할라》 등의 저서를 남겼고, 대수학, 미적분학, 삼각법 등에서 업적을 남겨 인도 수학 발전에 기여했다. - 대수학자 - 에미 뇌터
에미 뇌터는 독일 출신의 수학자이자 물리학자로, 추상대수학과 이론물리학에 지대한 공헌을 했으며, 대수학의 추상적인 개념 정립과 뇌터 정리 증명, 여성에 대한 차별 극복을 통해 수학과 물리학 발전에 큰 영향을 미친 역사상 가장 위대한 여성 수학자 중 한 명으로 평가받는다. - 잉글랜드의 수학자 - 앨런 튜링
앨런 튜링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에니그마 암호 해독에 기여하고 컴퓨터 과학 분야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영국의 수학자, 컴퓨터 과학자이며, 동성애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은 후 자살로 생을 마감했다. - 잉글랜드의 수학자 - 로저 펜로즈
로저 펜로즈는 수학, 물리학 분야에서 일반 상대성이론, 우주론, 양자 중력 이론 연구에 기여하고 펜로즈 타일링을 발견했으며, 등각순환우주론을 제안하고 의식의 양자적 해석을 제시하는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 활동을 펼치며 다수의 상을 수상한 학자이다.
윌리엄 번사이드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윌리엄 번사이드 |
![]() | |
출생일 | 1852년 7월 2일 |
출생지 | 런던, 잉글랜드 |
사망일 | 1927년 8월 21일 |
사망지 | 웨스트위컴 |
국적 | 영국 |
학력 | |
모교 | , 펜브룩・칼리지(Pembroke College) |
연구 분야 및 업적 | |
분야 | 유한군론 |
주요 업적 | 번사이드 보조정리 번사이드 문제(Burnside’s problem) 번사이드 환 번사이드 정리 번사이드 노멀 p-여군 정리 |
수상 | |
수상 내역 | 스미스상 (1875년) 드 모르간 메달 (1899년) 로열 메달 (1904년) |
기타 | |
소속 | 그리니치 왕립 해군사관학교(Royal Naval College, Greenwich) |
2. 생애
윌리엄 번사이드는 1852년 런던에서 태어났다.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수학했으며, 초기에는 응용수학을 연구하였다. 이후 유한군 연구로 관심을 돌려 이 분야에서 큰 업적을 남겼다. 특히, 군 표현론의 기초 이론 발전에 기여했으며, 번사이드의 정리를 증명하였다. 1897년에는 『유한 차수 군론』을 출판하였고, 이 책의 제2판(1911년 출판)은 수십 년 동안 이 분야의 표준 저서였다.[11] 번사이드는 번사이드 문제와 번사이드의 보조정리를 정립한 것으로도 유명하다.
2. 1. 교육
윌리엄 번사이드는 1871년까지 크라이스트 병원 학교에 다녔고, 케임브리지 대학교의 세인트 존스 칼리지와 펨브로크 칼리지에서 수학하였다. 1875년 세컨드 랭글러(Second Wrangler)가 되었다.[10]2. 2. 경력
윌리엄 번사이드는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10년 동안 강의를 한 후, 그리니치의 왕립 해군 대학 교수로 임명되었다.[10] 1901년 6월 더블린 대학교에서 명예 학위(이학 박사)를 수여받았으며,[12] 왕립 학회 회원으로도 선출되었다.[10]2. 3. 스포츠 활동
번사이드는 수학적 업적 외에도 유명한 보트 선수였다. 케임브리지 대학교 강사 시절, 번사이드는 보트 팀 코치를 맡았다. 실제로, 더 타임스의 번사이드 부고 기사는 그의 스포츠 경력에 관심을 가지며 "그 시대에 가장 저명했던 케임브리지의 스포츠 선수 중 한 명"이라고 번사이드를 칭했다.2. 4. 사망
윌리엄 번사이드는 런던 남부 웨스트위컴 교구 교회에 묻혔다.[13]3. 연구 업적
번사이드의 연구는 크게 초기 응용수학 분야와 후기 유한군 연구로 나뉜다. 번사이드는 생애 동안 150편의 논문을 발표했다.[10] 그는 응용수학을 연구하여 왕립 학회 회원으로 선출될 만큼 성과를 올렸으나, 이후 유한군 연구에 매진하여 군 표현론의 기초를 다지고 페르디난트 게오르크 프로베니우스와 경쟁하며 군론 발전에 크게 기여하였다. 특히, ''paqb'' 정리, 번사이드 문제, 번사이드의 보조정리는 그의 주요 업적으로 꼽힌다. 1901년 6월에는 더블린 대학교에서 명예 이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12]
3. 1. 초기 연구 (응용수학)
번사이드의 초기 연구는 응용수학이었다. 이 업적은 왕립 학회 회원으로 선출되는 데 유리하게 작용할 만큼 충분한 공적이었지만, 오늘날에는 거의 기억되지 않는다.[10] 선출된 시기와 거의 같은 시기에, 번사이드의 관심은 유한군으로 바뀌었다.3. 2. 유한군 연구
번사이드는 유한군 연구에 매진하여 군 표현론의 기초를 다졌다. 1890년대에 이 분야에서 연구를 시작한 페르디난트 게오르크 프로베니우스의 업적을 보완하거나 때로는 경쟁하기도 했다.[10]번사이드가 군론에 기여한 가장 유명한 업적 중 하나는 ''paqb'' 정리이며, 이는 차수가 서로 다른 3개 미만의 소수로 나누어지는 모든 유한군은 가해임을 보여준다.
1897년 번사이드의 고전 저서 『유한 차수 군론』이 출판되었다.[8] 1911년에 출판된 제2판은 수십 년 동안 이 분야의 표준 저서였다. 판본 간의 가장 큰 차이점은 제2판에서 지표 이론을 포함하고 있다는 것이다.[11]
번사이드는 번사이드 문제와 번사이드의 보조정리를 정립한 것으로도 기억된다. 번사이드 문제는 군의 모든 원소의 차수와 군을 생성하는 데 필요한 원소의 개수 모두에 고정된 한계가 있을 때, 군의 크기를 제한하는 문제에 관한 것이다. 번사이드의 보조정리는 어떤 집합에 작용하는 Permutation group|치환군영어의 궤도 수와, 군의 각 원소에 의한 고정점 수와 관련된 공식이다. 이 보조정리는 프로베니우스와 오귀스탱 루이 코시에 의해 더 빨리 독립적으로 발견되었다.
4. 저서
참조
[1]
간행물
Review: ''Theory of Groups of Finite Order'' by Burnside
[2]
간행물
William Burnside
https://academic.oup[...]
[3]
acad
[4]
간행물
Theory of Groups of Finite Order
http://www.nature.co[...]
[5]
뉴스
University intelligence
The Times
1901-06-28
[6]
서적
The Collected Papers of William Burnside: Commentary on Burnside's life and work; Papers 1883–1899
Oxford University Press
[7]
간행물
Review: ''Theory of Probability'' by William Burnside
http://www.ams.org/j[...]
[8]
간행물
Review: ''Theory of Groups of Finite Order'' by Burnside
[9]
간행물
William Burnside
https://academic.oup[...]
[10]
acad
[11]
간행물
Theory of Groups of Finite Order
http://www.nature.co[...]
[12]
뉴스
University intelligence
The Times
1901-06-28
[13]
서적
The Collected Papers of William Burnside: Commentary on Burnside's life and work ; Papers 1883-1899
Oxford University Press
[14]
간행물
Review: ''Theory of Probability'' by William Burnside
http://www.ams.org/j[...]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