윌리엄 커닝햄 (신학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윌리엄 커닝햄은 19세기 스코틀랜드의 신학자이자 목사였다. 그는 에든버러 대학교에서 신학을 공부하고 목사 안수를 받은 후, 그리녹과 에든버러의 트리니티 칼리지 교회에서 목회 활동을 했다. 1843년 스코틀랜드 자유 교회를 설립하는 데 주도적인 역할을 했으며, 교회의 독립성과 칼뱅주의 신학을 옹호했다. 뉴 칼리지의 교회사 교수로 임명되었으며, 토마스 찰머스의 뒤를 이어 뉴 칼리지 총장과 자유 교회 총회 의장을 역임했다. 역사신학을 전공하여 관련 저서를 집필했으며, 칼뱅주의의 가장 위대한 수호자로 평가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에든버러 대학교 교수 - 데이비드 리빙스턴
데이비드 리빙스턴은 19세기 아프리카 탐험에 기여한 스코틀랜드 출신 탐험가이자 선교사로, 빅토리아 폭포 발견, 아프리카 대륙 횡단, 노예 무역 근절 노력 등으로 알려져 있으며, 나일강 수원지 탐색 중 헨리 모턴 스탠리를 만났고 잠비아에서 사망 후 웨스트민스터 사원에 안장되었다. - 에든버러 대학교 교수 - 제임스 바
제임스 바는 스코틀랜드 출신의 신학자이자 구약학자로서, 성경 언어 의미론과 근본주의 비판에 기여했으며, 에든버러 대학교와 옥스퍼드 대학교 등에서 교수로 재직하며 활발하게 활동했다. - 1805년 출생 - 윌리엄 로이드 개리슨
윌리엄 로이드 개리슨은 미국의 노예제 폐지 운동가이자 언론인으로, 1831년 노예제 즉각 폐지를 주장하는 주간지 《리베레이터》를 창간하고, 미국 반노예제 협회를 설립하여 노예제 폐지 운동을 이끌었다. - 1805년 출생 - 페터 구스타프 르죈 디리클레
19세기 독일 수학자 페터 구스타프 르죈 디리클레는 해석학과 정수론에 공헌했으며, 디리클레 등차수열 정리 증명, 푸리에 급수 수렴성 증명,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 증명 등으로 유명하고 그의 이름을 딴 다양한 수학적 개념과 정리들이 존재한다. - 1861년 사망 - 함풍제
함풍제는 도광제의 아들이자 청나라의 제9대 황제로, 재위 기간 동안 태평천국의 난과 제2차 아편 전쟁 등의 혼란을 겪으며 러시아와 영국에 영토를 할양하는 불평등 조약을 체결했고, 붕어 후에는 서태후의 수렴청정이 시작되었다. - 1861년 사망 - 헨리 그레이
헨리 그레이는 영국의 해부학자이자 의사로, 『그레이 해부학』이라는 저서를 통해 섬세한 해부학적 묘사와 정교한 삽화로 의학 교육에 큰 영향을 미쳤으나 34세의 젊은 나이에 천연두로 사망했다.
윌리엄 커닝햄 (신학자) | |
---|---|
기본 정보 | |
![]() | |
직업 | 목사, 신학자 |
종교 | 장로교 |
2. 생애
커닝햄은 해밀턴에서 상인이었던 찰스 커닝햄과 그의 아내 헬렌 커닝햄의 장남으로 태어났다.[19] 그의 가족은 스코틀랜드 변경 지역의 치크로로 이사했고, 거기서 던스 아카데미에 다녔다. 그는 에든버러 대학교에서 신학을 공부했고, 1828년 던스의 스코틀랜드 교회 노회에서 목사 면허를 받았다.[19]
윌리엄 커닝햄은 1828년 스코틀랜드 교회에서 목사 안수를 받고, 그리녹에서 목회 활동을 시작하였다.[9][19] 1831년 10월 그리녹의 Middle Parish의 목사로 임명되어 3년간 사역했다. 1834년 에든버러의 트리니티 칼리지 커크로 부임했다.[9] 커닝햄의 이임은 스코틀랜드 교회사에서 10년의 갈등으로 알려진 시기의 시작과 일치한다.[9]
윌리엄 커닝햄은 1843년 분열 당시 토마스 찰머스, 로버트 스미스 캔디쉬와 함께 스코틀랜드 자유 교회를 설립하는 데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9] 그는 스코틀랜드 교회가 10년의 갈등으로 혼란스러운 시기에 교회를 떠났다.[9] 커닝햄은 교회의 독립성과 칼뱅주의 신학을 강력하게 옹호했다.[16] 1843년 말, 그는 자유 교회를 옹호하고 기금을 모으기 위해 미국을 방문하여 프린스턴 대학교로부터 D.D. 학위를 받았다.[10]
윌리엄 커닝햄은 1845년 에든버러 뉴 칼리지의 교회사 교수로 임명되었으며,[11] 이후 신학 교수로 자리를 옮겼다.[1] 1847년에는 토마스 찰머스의 뒤를 이어 뉴 칼리지 총장이 되었고,[12] 1859년에는 자유 교회 총회 의장으로 선출되었다.[12] 커닝햄은 역사신학을 전공했으며 이 제목에 관한 두 권의 책을 썼다.[13][14] 그는 또한 ''개혁자들과 개혁 신학을'' 썼다.[16] 윌리엄 가든 블레이 키는 자신이 "당시 칼빈주의의 가장 위대한 수호자"였다고 평가했다.[16]
커닝햄은 역사신학을 전공했으며 이 제목에 관한 두 권의 책을 썼다.[13][14] 이 책은 자유롭게 다운받을 수 있다.[15] 그는 또한 ''개혁자들과 개혁 신학을'' 썼다. 윌리엄 가든 블레이 키는 자신이 "당시 칼빈주의의 가장 위대한 수호자"였으며 "자신의 인격의 온화함은 그의 대담함과 논쟁의 격렬함과는 현저히 대조적이었다"고 제안했다.[16] 커닝햄은 학자와 논쟁가로 묘사되어있다.[17] 「 ''브리태니커 백과 사전 백과 사전」(Encyclopædia Britannica'' Eleventh Edition)에 따르면, "그의 ... 동정심은 교회 역사의 더 감동적인시기와 흥미로운 신학논쟁의 절묘한 분리자가 될 수있는 확고한 공평한 욕구와 결합한 명백한 욕망과 결합되어있다." "[18]
나중에 커닝햄은 에든버러 남쪽의 17 솔즈베리로드에서 살았다.[19] 그는 에든버러에서 죽었고 북쪽 통로와 함께 그레인지 묘지에 있는 큰 석관 스타일 무덤 아래에 묻혔다.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커닝햄은 해밀턴에서 상인이었던 찰스 커닝햄과 그의 아내 헬렌 커닝햄의 장남으로 태어났다.[19] 그의 가족은 스코틀랜드 변경 지역의 치크로로 이사했고, 거기서 던스 아카데미에 다녔다. 그는 에든버러 대학교에서 신학을 공부했고, 1828년 던스의 스코틀랜드 교회 노회에서 목사 면허를 받았다.[19]2. 2. 목회 활동
윌리엄 커닝햄은 1828년 스코틀랜드 교회에서 목사 안수를 받고, 그리녹에서 목회 활동을 시작하였다.[9][19] 1831년 10월 그리녹의 Middle Parish의 목사로 임명되어 3년간 사역했다. 1834년 에든버러의 트리니티 칼리지 커크로 부임했다.[9] 커닝햄의 이임은 스코틀랜드 교회사에서 10년의 갈등으로 알려진 시기의 시작과 일치한다.[9]2. 3. 1843년 분열과 자유 교회
윌리엄 커닝햄은 1843년 분열 당시 토마스 찰머스, 로버트 스미스 캔디쉬와 함께 스코틀랜드 자유 교회를 설립하는 데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9] 그는 스코틀랜드 교회가 10년의 갈등으로 혼란스러운 시기에 교회를 떠났다.[9] 커닝햄은 교회의 독립성과 칼뱅주의 신학을 강력하게 옹호했다.[16] 1843년 말, 그는 자유 교회를 옹호하고 기금을 모으기 위해 미국을 방문하여 프린스턴 대학교로부터 D.D. 학위를 받았다.[10]2. 4. 뉴 칼리지 교수 및 총장
윌리엄 커닝햄은 1845년 에든버러 뉴 칼리지의 교회사 교수로 임명되었으며,[11] 이후 신학 교수로 자리를 옮겼다.[1] 1847년에는 토마스 찰머스의 뒤를 이어 뉴 칼리지 총장이 되었고,[12] 1859년에는 자유 교회 총회 의장으로 선출되었다.[12] 커닝햄은 역사신학을 전공했으며 이 제목에 관한 두 권의 책을 썼다.[13][14] 그는 또한 ''개혁자들과 개혁 신학을'' 썼다.[16] 윌리엄 가든 블레이 키는 자신이 "당시 칼빈주의의 가장 위대한 수호자"였다고 평가했다.[16]2. 5. 말년
커닝햄은 역사신학을 전공했으며 이 제목에 관한 두 권의 책을 썼다.[13][14] 이 책은 자유롭게 다운받을 수 있다.[15] 그는 또한 ''개혁자들과 개혁 신학을'' 썼다. 윌리엄 가든 블레이 키는 자신이 "당시 칼빈주의의 가장 위대한 수호자"였으며 "자신의 인격의 온화함은 그의 대담함과 논쟁의 격렬함과는 현저히 대조적이었다"고 제안했다.[16] 커닝햄은 학자와 논쟁가로 묘사되어있다.[17] 「 ''브리태니커 백과 사전 백과 사전」(Encyclopædia Britannica'' Eleventh Edition)에 따르면, "그의 ... 동정심은 교회 역사의 더 감동적인시기와 흥미로운 신학논쟁의 절묘한 분리자가 될 수있는 확고한 공평한 욕구와 결합한 명백한 욕망과 결합되어있다." "[18]나중에 커닝햄은 에든버러 남쪽의 17 솔즈베리로드에서 살았다.[19] 그는 에든버러에서 죽었고 북쪽 통로와 함께 그레인지 묘지에 있는 큰 석관 스타일 무덤 아래에 묻혔다.
3. 가족
윌리엄 커닝햄은 1834년 그린노크의 존 데니스톤과 진 페어리의 딸인 재닛 데니스톤과 결혼했다.[20] 슬하에 여러 자녀를 두었다.[20]
4. 사상과 신학
4. 1. 역사신학
4. 2. 칼뱅주의 옹호
4. 3. 교회론
5. 평가와 영향
6. 저서
윌리엄 커닝햄은 《역사신학》(Historical Theology)[26], 《개혁자들과 개혁 신학》(The Reformers and the Theology of the Reformation), 《교회 원리에 관한 논의》(Discussions on Church Principles), 《신학 강의》(Theological Lectures)[26] 등을 저술했다. [https://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243223157 《역사신학》]은 서창원에 의해 한국어로 번역되어 "진리의 깃발"에서 출판되었다.
- ''찰머스 박사의 회의 (에든버러, 1837)에 대한 응답으로 출판된 특정 목사와 장로의 성명에 대한 답변''
- ''교회의 독립에 관한 연설'' (에든버러, 1839)
- ''존 호프에게 보내는 편지'' (에든버러, 1839)
- ''목사 침입에 관한 논문'' (에든버러, 1839)
- ''목사 임명에 있어 기독교인의 권리 옹호'' (에든버러, 1840)
- ''제임스 로버트슨 목사의 거부법에 대한 관찰에 대한 비판'' (에든버러, 1840)
- ''엘론의 로버트슨 씨에게 보내는 교회 문제에 관한 편지'' (에든버러, 1842)
- ''윌리엄 해밀턴 경의 팸플릿 "분열주의자가 되지 말라" 등에 대한 비판'' (에든버러, 1843)
- ''브루스 편집: 설교와 삶'' (에든버러, 1843)
- ''스틸링플리트의 로마 가톨릭 교회의 교리와 관행에 대한 서문 및 주석'' (1845)
- ''그리스도의 불변성, 설교'' (에든버러, 1853)
- ''설교'', J. J. 보나르 편집 (1872)
7. 기념
윌리엄 브로디가 조각한 윌리엄 커닝햄의 대리석 흉상은 에든버러의 뉴 칼리지에 있다.[21][4] 윌리엄 보나,[22][5] 존 왓슨 고든 경,[23][6] 그리고 에드워드 버튼[24][7][25]이 그린 초상화는 스코틀랜드 국립 초상화 미술관이 소장하고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William Cunningham
http://banneroftruth[...]
Banner of Truth Trust
2014-09-10
[2]
웹사이트
Historical Theology
https://archive.org/[...]
2018-09-15
[3]
간행물
Edinburgh and Leith Post Office Directory 1860-61
[4]
웹사이트
info
http://orapweb.rcahm[...]
orapweb.rcahms.gov.uk
2020-02-23
[5]
웹사이트
William Cunningham
https://www.national[...]
2018-09-15
[6]
웹사이트
William Cunningham
https://www.national[...]
2018-09-15
[7]
웹사이트
Rev. William Cunningham, 1805 - 1861. Theologian
https://www.national[...]
2018-09-15
[8]
서적
Disruption worthies : a memorial of 1843, with an historical sketch of the free church of Scotland from 1843 down to the present time
https://archive.org/[...]
T. C. Jack
2018-08-18
[9]
문서
Cunningham, William (theologian)
[10]
서적
Annals of the disruption
https://babel.hathit[...]
Macniven & Wallace
2017-05-01
[11]
웹인용
William Cunningham
http://banneroftruth[...]
Banner of Truth Trust
2014-09-10
[12]
문서
Cunningham, William (theologian)
[13]
서적
Historical theology : a review of the principal doctrinal discussions in the Christian church since the apostolic age
https://archive.org/[...]
T. and T. Clark
2018-09-15
[14]
서적
Historical theology; a review of the principal doctrinal discussions in the Christian church since the apostolic age
https://archive.org/[...]
T. & T. Clark
2018-09-15
[15]
웹인용
Historical Theology
https://archive.org/[...]
2018-09-15
[16]
문서
Cunningham, William (1805-1861)
[17]
서적
The Free Church of Scotland : her origin, founders and testimony
https://archive.org/[...]
T. & T. Clark
2017-05-07
[18]
문서
Cunningham, William (theologian)
[19]
간행물
Edinburgh and Leith Post Office Directory 1860-61
[20]
문서
Annals of the Free Church
[21]
웹인용
info
http://orapweb.rcahm[...]
orapweb.rcahms.gov.uk
2020-02-23
[22]
웹인용
William Cunningham
https://www.national[...]
2018-09-15
[23]
웹인용
William Cunningham
https://www.national[...]
2018-09-15
[24]
웹인용
Rev. William Cunningham, 1805 - 1861. Theologian
https://www.national[...]
2018-09-15
[25]
웹인용
Rev. William Cunningham, 1805 - 1861. Theologian
https://www.national[...]
2018-09-15
[26]
서적
Recovering the Reformed confession : our theology, piety, and practice
https://www.worldcat[...]
20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