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뱅주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칼뱅주의는 16세기 종교개혁의 주요 인물인 장 칼뱅의 영향을 받아 형성된 개신교 신학 및 신앙 전통이다. 칼뱅주의는 성경의 권위를 강조하며, 하나님의 주권과 인간의 전적 타락, 무조건적 선택, 제한적 속죄, 불가항력적 은혜, 성도의 견인 등을 특징으로 한다. 칼뱅주의는 유럽을 넘어 북미, 남아프리카, 한국 등 전 세계로 확산되었으며, 개혁교회, 장로교, 회중교회, 개혁 침례교회 등 다양한 교파에 영향을 미쳤다. 칼뱅주의는 예배의 규정적 원리를 강조하며, 성경에 명시된 방식만을 따라 예배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또한, 인간의 자유 의지를 부정하는 것이 아니라, 타락한 인간은 스스로 하나님을 선택할 수 없다고 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개신교 신학 - 프로테스탄트 윤리
프로테스탄트 윤리는 막스 베버의 연구로 알려진 개념으로, 프로테스탄티즘의 신학적 가치관이 자본주의 발전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는 이론이지만, 유일한 요인은 아니며 사회적 영향에 대한 비판과 현대적 영향력 감소에 대한 연구도 존재하는 복잡한 개념이다. - 개신교 신학 - 신정통주의
신정통주의는 20세기 초 자유주의 신학에 대한 반발로 나타나 하나님의 초월성 강조, 실존주의 개념 수용, 죄에 대한 새로운 해석 등을 특징으로 하는 신학적 흐름이다. - 칼뱅주의 - 대한민국에서의 칼뱅 연구
대한민국에서의 칼뱅 연구는 1884년 서양 선교사들을 통해 칼뱅이 소개된 후 평양신학교를 중심으로 전파되었으며, 1960년대 이후 한국 교회의 관심 증가와 더불어 활발한 연구와 저작 번역이 이루어져 1980년대 이후 전문 연구자 등장과 원저 번역을 통해 깊이를 더하며 한국 신학 발전에 기여하고 원전 연구, 서구 신학 평가, 칼뱅의 해석학 연구 등을 과제로 지속적인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 칼뱅주의 - 언약신학
언약신학은 창조, 타락, 구원, 종말에 걸쳐 하나님과 인간의 관계를 언약(계약)이라는 관점에서 이해하는 신학 체계로, 행위 언약, 속죄 언약, 은혜 언약 등을 통해 하나님의 구원 계획을 설명하며 개혁파 신학의 핵심 요소로 간주된다. - 기독교 용어 - 선교사
선교사는 기독교, 이슬람교, 불교, 힌두교 등 다양한 종교에서 교리 전파나 지역 주민 지원을 위해 파견하는 사람으로, 기독교 선교사는 타문화권에 복음을 전파하고 토착 교회 설립을 추구하며, 역사적으로 서구에서 비서구 지역으로 확장되었으나 식민주의 연관, 문화적 존중 부족 등으로 비판받기도 한다. - 기독교 용어 - 세례명
세례명은 기독교에서 세례를 받을 때 받는 새로운 이름으로,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새롭게 태어남을 의미하며, 성경 속 인물들의 이름 변화에서 유래하여 중세 이후 유럽에서 일반적인 이름 형태로 정착되었고, 수호성인의 이름에서 따와 이름 축일로 기념되기도 한다.
칼뱅주의 | |
---|---|
칼뱅주의 | |
![]() | |
배경 | |
기원 | 개신교 |
영향 | 아우구스티누스 |
관련 사건 | 종교개혁 |
주요 원칙 | 다섯 솔라 |
주요 회의 | 도르트 총회 |
신학 | |
주요 교리 | 5대 강령 (TULIP) |
관련 신학 | 언약신학 |
예배 원리 | 예배의 규정적 원리 |
주요 문서 | |
신앙 고백 |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 네덜란드 신앙고백 도르트 신조 |
주요 저서 | 기독교 강요 |
성경 | 제네바 성경 |
교파 | |
주요 교파 | 장로교회 개혁교회 회중교회 |
주요 인물 | |
초기 개혁가 | 울리히 츠빙글리 장 칼뱅 존 낙스 테오도르 드 베즈 |
주요 신학자 | 프란시스 튜레틴 페트루스 판 마스트리흐트 존 오언 윌리암 퍼킨스 |
주요 인물 (18세기) | 조지 휘트필드 찰스 스펄전 |
주요 인물 (19세기) | 벤저민 워필드 존 그레섬 메이천 찰스 핫지 게할더스 보스 |
주요 인물 (20세기) | 헤르만 바빙크 아브라함 카이퍼 마틴 로이드 존스 조너선 에드워즈 |
현대 | 존 거스트너 R.C. 스프롤 니콜라스 월터스토프 |
2. 역사적 배경
16세기 로마 가톨릭교회의 교리와 전통을 비판하며 이를 바꾸고자 한 종교 개혁은 결국 개신교의 시작을 가져왔다. 종교개혁의 주요 인물 중 장 칼뱅의 영향은 매우 컸는데, 이는 1536년에 출판된 《기독교 강요》를 통해 알 수 있다.[114]
장 칼뱅은 프랑스 출신이지만 주로 스위스 제네바에서 활동하였고, 마르틴 루터는 독일 비텐베르크에서, 울리히 츠빙글리는 스위스 취리히에서 활동했다. 종교개혁이 유럽 전역으로 확산되면서 개신교 신학은 점차 칼뱅의 신학 쪽으로 기울었다. 그 결과 루터교가 뿌리내린 독일 및 스칸디나비아를 제외하고 칼뱅주의가 개신교 신학의 주류로 자리 잡았다.[115] 칼뱅주의의 역사는 이렇게 시작되었으며, 존 녹스가 스코틀랜드에 개혁주의를 전파하여 장로교가 설립되었다.[116]
마르틴 루터에서 시작하여 츠빙글리가 1519년 취리히에서 칼뱅주의 교리의 첫 번째 형식을 설교한 스위스 종교개혁의 협력 속에서 개혁주의는 기원했다. 츠빙글리와 요하네스 외콜람파드는 루터의 성만찬 교리에서 그리스도의 실재적 임재에 관한 논쟁으로 루터파와 개혁파 사이에 분열이 발생했다. 하인리히 불링거, 피터 버미글리 등 여러 신학자들이 츠빙글리를 계승했으며, 제네바의 장 칼뱅과 같은 종교 개혁가들이 종교 개혁가들의 신학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
개혁신앙은 16세기에 유럽 곳곳으로 확산되며 여러 국가에서 다양한 특성을 갖게 되었다. 칼뱅주의는 프랑스에서 개신교의 지배적인 형태였으며, 투쟁 후 공식적으로 용인되었다. 존 녹스의 지도 아래 스코틀랜드 교회는 개혁되었고, 스코틀랜드의 국가교회가 되었다. 네덜란드에서는 칼뱅주의가 공식적인 국가 교회가 되었다. 종교 개혁 동안 칼뱅주의는 벨기에의 중요한 개신교 신앙이었으나, 반종교 개혁으로 인해 약화되었다. 독일은 16세기에 주로 루터교에 머물렀지만, 팔츠 선제후, 브란덴부르크 선제후 등 신성 로마 제국의 다른 변경백들에 의해 개혁된 예배가 간헐적으로 발전되었다. 개혁주의 사상은 동유럽 개신교, 특히 헝가리와 루마니아에도 영향을 미쳤다. 잉글랜드의 종교개혁은 종교 개혁가들의 영향을 받아 16세기에 지속되었다.
칼뱅주의가 프로테스탄트 종교 개혁의 교리 발전에 미친 국제적인 영향은 25세 때 시작되었다. 그의 저서 『기독교 강요』는 1536년에 출판되었으며, 프랑스어 번역본을 포함하여 여러 차례 개정판이 출간되었다. 그의 논쟁적, 목회적인 활동과 성경 주해는 교회 신앙 고백 문서에 큰 영향을 미쳤다. 칼뱅은 가장 뛰어났지만, 개혁파 교회의 교리에 영향을 준 많은 사람들 중 한 명이다.
개혁파 교회와 칼뱅은 프로테스탄트 종교 개혁의 두 번째 단계에 위치한다. 마르틴 루터가 로마 가톨릭으로부터 파문당했을 때, 복음주의 교회가 형성되기 시작했다. 칼뱅은 제네바의 프랑스인망명자였으며, 멜란히톤에 의해 수정된 루터파의 아우크스부르크 신앙 고백에 서명했지만, 루터보다는 스위스 종교 개혁의 츠빙글리의 노선에 있었다. 개혁파 교회의 교리가 루터파와는 별개로 발전했다는 것은 초기부터 분명했다. 이후 칼뱅의 명성으로 인해, 개혁파 교회의 교리는 칼뱅주의라고 불리게 되었다.
2. 1. 종교 개혁
16세기 로마 가톨릭교회의 교리와 전통에 반대하며 이를 개혁하고자 했던 종교 개혁은 개신교의 시작을 가져왔다. 종교개혁의 주요 인물 중 장 칼뱅의 영향은 매우 컸는데, 이는 1536년에 출판된 《기독교 강요》를 통해 알 수 있다. 이 책에서 칼뱅은 개혁교회의 관점에서 기독교 진리를 체계적으로 설명하려 했다.[114]칼뱅은 프랑스 출신이지만 주로 스위스 제네바에서 활동했고, 마르틴 루터는 독일 비텐베르크에서, 울리히 츠빙글리는 스위스 취리히에서 활동했다. 종교개혁의 열풍이 유럽 전역으로 확산되면서 개신교 신학은 점차 칼뱅의 신학 쪽으로 기울었다. 그 결과 루터교가 뿌리내린 독일 및 스칸디나비아 지역을 제외하고 칼뱅주의가 개신교 신학의 주류로 자리 잡았다.[115] 칼뱅주의의 역사는 이렇게 시작되었다. 유럽에 자리 잡은 개신교회가 개혁교회이며, 칼뱅의 영향을 받은 존 녹스가 스코틀랜드에 개혁주의를 전파하여 장로교가 설립되었다.[116] 이들 교회의 성장과 함께 체계화된 신학 사상 및 전통을 개혁주의라고 부른다. 오늘날까지 칼뱅주의를 표방하는 교회를 개혁교회라 부르며, 칼뱅주의 신학을 '개혁주의'라고도 한다.
마르틴 루터로부터 시작하여 츠빙글리가 1519년 취리히에서 칼뱅주의 교리의 첫 번째 형식을 설교하기 시작한 스위스 종교개혁의 협력 속에서 개혁주의는 기원했다. 츠빙글리와 요하네스 외콜람파드는 루터의 성만찬 교리에서 그리스도의 실재적 임재에 관한 논쟁으로 인해 루터파와 개혁파 사이에 분열이 발생했다. 하인리히 불링거, 피터 버미글리 등 여러 신학자들이 츠빙글리를 계승했으며, 제네바의 장 칼뱅과 같은 종교 개혁가들이 종교 개혁가들의 신학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
개혁신앙은 16세기에 유럽 곳곳으로 확산되며 여러 국가에서 다양한 특성을 갖게 되었다. 칼뱅주의는 프랑스에서 개신교의 지배적인 형태였으며, 투쟁의 기간 후 공식적으로 용인되었다. 존 녹스의 지도 아래 스코틀랜드 교회는 개혁되었고, 스코틀랜드의 국가교회가 되었다. 네덜란드에서는 칼뱅주의가 공식적인 국가 교회가 되었다. 종교 개혁 동안 칼뱅주의는 벨기에의 중요한 개신교 신앙이었으나, 반종교 개혁으로 인해 약화되었다. 독일은 16세기에 주로 루터교에 머물렀지만, 개혁된 예배는 팔츠 선제후, 브란덴부르크 선제후 등 신성 로마 제국의 다른 변경백들에 의해 간헐적으로 발전되었다. 개혁주의 사상은 동유럽 개신교, 특히 헝가리와 루마니아에도 영향을 미쳤다. 잉글랜드의 종교개혁은 종교 개혁가들의 영향을 받아 16세기에 지속되었다.
2. 2. 개혁주의와 동의어로서 칼뱅주의
칼뱅주의는 칼뱅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지만, 1552년 루터교 신학자가 처음 사용한 용어이다. 칼뱅은 이 명칭을 비난했지만, 부정적인 의미에도 불구하고 칼뱅주의는 칼뱅주의자를 루터교 및 다른 개신교 분파와 구별하기 위해 점차 널리 사용되었다.[2] 대부분의 장로교, 회중주의 등 칼뱅에게서 기원한 교회들은 "개혁파"(Reformed)라는 명칭을 더 선호하며, 이는 영어권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이들은 칼뱅의 말처럼 "복음의 참된 질서에 따라 새롭게 되었다"고 주장한다.[7]아르미니우스주의 논쟁 이후, 개혁주의 전통은 루터교와 구별되는 개신교의 한 분파로서 아르미니우스주의와 칼뱅주의 두 그룹으로 나뉜다. 그러나 오늘날 대부분의 아르미니우스주의자들이 감리교, 일반침례교 또는 오순절 교회 회원이 되면서, 아르미니우스주의자를 개혁주의 전통의 일부라고 부르는 것은 드물다.
개혁주의 신학 전통은 기독교 신학의 모든 주제를 다루지만, "칼뱅주의"라는 단어는 때때로 구원론과 예정론에 대한 특정한 칼뱅주의적 견해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며, 이는 칼뱅주의 5대 강령으로 요약된다. 칼뱅주의 전체는 구원을 포함한 모든 것에서 하나님의 주권적 통치를 강조한다고 주장하는 사람들도 있다.
칼뱅은 '칼뱅주의'라는 용어를 사용하지 않았지만, 후대에 아르미니우스주의에 대항하여 개혁주의 신학을 체계화하면서 칼뱅의 신학을 빌려와 '칼뱅주의'라는 용어가 등장했다. 도르트 신조는 칼뱅주의 5대 강령(인간의 전적인 타락, 무조건적 선택, 제한 속죄, 불가항력적 은혜, 성도의 견인)을 제시하며 칼뱅주의 신학을 요약했다.
칼뱅주의는 존 녹스의 스코틀랜드 장로교회, 잉글랜드 청교도들의 장로교회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 1647), 회중 교회(사보이 신앙고백, 1658), 개혁 침례교회(1689 침례신앙고백) 등 영미권으로 전파되었다. 미국에서는 회중교회와 장로교회가 칼뱅주의의 영향을 받았다. 대륙에서는 스위스 제네바에서 시작된 칼뱅주의가 독일, 네덜란드(아브라함 카이퍼, 헤르만 바빙크, 헤릿 벌카워), 남아프리카 공화국, 인도네시아 등으로 확산되었다. 독일은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을, 네덜란드는 벨직 신앙고백과 도르트 신조를 만들어냈다. 이들은 모두 칼뱅의 신학을 계승한 칼뱅주의 유산이다.
개혁주의는 마르틴 루터의 종교 개혁과 5대 솔라 정신에 뿌리를 두고, 울리히 츠빙글리의 영향을 받아 칼뱅에 의해 체계화되고 집대성되었다. 종교개혁은 아우구스티누스와 크리소스톰 등의 영향을 받았고, 종교개혁 이전의 개혁가 피터 왈도, 존 위클리프에게서 개혁 정신을 이어받았다. 칼뱅주의는 유럽과 영미를 거쳐 전 세계로 퍼져나갔으며, 장로교 출신 선교사들을 통해 한국에도 전파되었다.
2. 3. 개혁주의에 대한 정의
개혁주의는 성경에 근거하여 교회, 신학, 그리고 삶을 항상 개혁해야 한다는 사상이다. 이 사상은 '개혁된 교회는 항상 개혁되어야 한다(ecclesia reformata semper reformanda)'는 정신을 강조한다.[1] 개혁주의를 따르는 주요 교단은 다음과 같다.교단 명칭 | 주요 지역 |
---|---|
개혁교회 | 독일, 네덜란드, 남아프리카 공화국, 미국, 헝가리 |
장로교회 | 스코틀랜드, 잉글랜드, 미국, 캐나다, 호주, 한국 |
회중교회 | 잉글랜드, 미국, 호주, 캐나다, 아일랜드, 남아프리카 공화국 |
개혁파 침례교회 | 잉글랜드, 스코틀랜드, 미국, 캐나다, 이탈리아, 프랑스, 스위스, 잠비아, 브라질 |
칼뱅주의는 신학적으로 다양한 특징을 가지지만, 특정 주제를 중심으로 단정하기는 어렵다. 칼뱅은 25세 때부터 『기독교 강요』를 저술하고, 논쟁, 목회 활동, 성경 주해를 통해 개혁파 교회의 신앙 고백 문서에 큰 영향을 미쳤다. 그는 마르틴 루터가 로마 가톨릭에서 파문당한 후 복음주의 교회가 형성되기 시작한 프로테스탄트 종교 개혁의 두 번째 단계에 위치한다. 칼뱅은 프랑스 망명자였지만, 스위스 종교 개혁의 츠빙글리 노선을 따랐으며, 개혁파 교회의 교리는 루터파와는 별개로 발전했다.
이들 교단은 민족, 언어, 지역적 차이와 더불어 각기 다른 신앙고백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칼뱅의 신학에 근거한 핵심 사상은 대체로 동일하게 유지되고 있다.[1] 예를 들어, 장로교회는 장로 중심의 정치 형태를 가지면서 칼뱅주의를 실천하는 교회라고 할 수 있다.
3. 개혁주의 신학적 특징
개혁주의 신학은 다음과 같은 특징들을 가진다.
초기 칼뱅주의 교회는 단순하고 장식이 없는 것이 특징이었다.
3. 1. 성경 중심의 신학(sola scriptura) 신학 방법론과 해석 방법론
츠빙글리와 칼뱅은 성경을 하나님의 말씀으로 강조하며, 성경이 모든 것의 최고 권위의 근거가 된다고 보았다.[17] 칼뱅은 《기독교강요》에서 성경의 저자는 하나님이며, 성경의 가르침은 하늘로부터 왔다고 기록했다.[18]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 1장 10절에서는, 조직 교회와 교리 위에 권위가 있고, 종교회의나 논쟁에 있어서도 최종 심판자는 성경이며, 성경은 모든 문제에 최고 권위를 가진다고 말한다.[19]
칼뱅은 성경을 성경으로 해석하는 방법을 사용했으며, 간결성과 용이성을 추구했다. 그는 자신의 방법이 성경 자체에서 사용되었다고 확신했으며, 로마서 주석 초문에서 이 방법을 설명했다.[20]
3. 2. 하나님 중심의 사상
개혁주의는 삼위일체 하나님의 주권과 섭리를 강조하며, 인간은 전적으로 타락했다고 본다. 루터교가 인간의 경험을, 침례교는 구원의 신비를, 감리교는 죄인의 구원을, 로마 가톨릭교회는 교회의 보편성을 강조하는 것과 구별된다.[17] 초기 칼뱅주의는 단순하고 장식이 없는 교회를 특징으로 했다.
3. 3. 계약 신학(언약 신학, Covenant Theology)
계약 신학(언약 신학, Covenant Theology)은 개혁주의 신학의 중심으로 여겨지며, 하나님과 인간의 관계를 계약적인 관점에서 설명한다. 계약 신학에는 내재적 삼위일체의 개념이 포함되어 있다.[17] 삼위일체에서 3위는 인격적 관계에서 상호관련성을 가지고 있다. 하나님은 인간 관계에 있어서도 계약적이다. 아담의 행위계약에서 예수 그리스도의 은혜계약에서 나타난다.[17] 주요 계약으로는 구속 언약, 행위 언약, 은혜 언약이 있으며, 칼뱅주의자들은 이 세 가지 언약을 통해 하나님의 구원 계획을 이해한다.[17]
개혁주의 신학자들의 계약사상은 다음과 같다.
본격적으로 계약사상은 요한 코케이우스에 의해 절정을 이루었다.[17] 언약은 성경에 등장하는 개념으로서 하나님이 택하신 자녀들에게 하신 약속이다. 그 내용은 지켜야 할 의무 조항들로 이루어지며 의무를 불이행할 경우 언약은 파기된다. 칼뱅주의자들은 인간의 요구 조건 없이 하나님의 선언과 함께 바로 체결된다고 말한다.[17] 칼뱅주의자들은 성경의 여러 가지 언약이 결국 세 가지로 요약된다고 본다:[17]
16, 17세기 신학자들은 "언약 신학" 또는 "연방 신학"이라고 불리는 특별한 신학 체계를 발전시켰고, 이는 많은 보수적인 개혁교회들이 계속해서 옹호하고 있다. 이 틀은 하나님과 인간의 관계를 주로 두 가지 언약, 즉 행위 언약과 은혜 언약으로 정리한다.
행위 언약은 아담과 이브와 에덴 동산에서 맺어졌다. 언약의 조건은 아담과 이브가 하나님의 율법을 완벽하게 순종하는 조건으로 하나님께서 동산에서 복된 삶을 제공하시는 것이다. 아담과 이브는 선악과를 먹음으로써 언약을 깨뜨렸고, 죽음에 처하게 되었으며 동산에서 쫓겨났다. 이 죄는 모든 사람에게 전해졌는데, 모든 사람이 언약적 또는 "연방적" 머리로서 아담 안에 있다고 여겨지기 때문이다. 연방 신학자들은 일반적으로 아담과 이브가 완벽하게 순종했다면 불멸을 얻었을 것이라고 암시한다.
두 번째 언약은 은혜 언약이라고 불리며, 아담과 이브가 죄를 지은 직후에 맺어졌다고 한다. 이 언약에서 하나님은 하나님에 대한 믿음을 조건으로 죽음으로부터의 구원을 은혜롭게 제공하신다. 이 언약은 구약과 신약을 통해 다양한 방식으로 시행되지만, 완전한 순종의 요구로부터 자유롭다는 본질을 유지한다.
칼 바르트의 영향으로 많은 현대 개혁신학자들은 연방 신학의 다른 개념들과 함께 행위 언약을 버렸다. 바르트는 행위 언약을 그리스도와 복음으로부터 분리된 것으로 보고, 하나님께서 이런 방식으로 사람들과 함께 일하신다는 생각을 거부했다. 대신 바르트는 하나님께서 항상 은혜 언약 아래에서 사람들과 상호 작용하며, 은혜 언약은 모든 조건으로부터 자유롭다고 주장했다. 바르트의 신학과 그를 따르는 신학은 고전 연방 신학의 "양 언약" 체계와 대조적으로 "단일 언약"이라고 불려왔다. 존 머레이와 같은 보수적인 현대 개혁신학자들 또한 은혜가 아닌 율법에 기초한 언약의 개념을 거부했다. 그러나 마이클 호튼은 행위 언약이 율법과 사랑의 원리를 결합한다고 옹호했다.
3. 4. 철학 사상 - 유한은 무한을 수용하지 못한다는 사상 (finitum non capax infiniti)
개혁주의는 인간이 하나님의 본질을 완벽하게 이해할 수 없다고 본다. 이는 '유한은 무한을 수용할 수 없다'(finitum non capax infiniti)는 라틴어 표현으로 요약된다. 이 사상은 하나님의 초월성과 주권을 강조하며, 개혁신학의 철학적 원리로서 신학, 정치, 예배, 특히 성만찬에서 주의 임재 방식을 이해하는 데 영향을 미쳤다.[17]
이러한 철학적 배경 하에, 1529년 마르부르크 회담에서 울리히 츠빙글리는 이 사상을 바탕으로 성만찬을 해석하여, 그리스도의 현재 몸이 빵에 육신의 형태로 존재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18] 반면, 마르틴 루터는 편재설(그리스도의 몸이 어디에나 존재한다는 믿음)을 바탕으로 성만찬을 해석하여 츠빙글리와 의견 일치를 보지 못했다.[19] 루터는 '유한이 무한을 포함할 수 있다'는 생각에 근거하여 성만찬 신학을 설명했고, 이는 현재까지 루터교의 교리로 남아있다.[20]
필리프 멜란히톤은 개혁파를 의식하여 아우크스부르크 신앙고백 10항(1540년)에서 "떡과 포도주와 함께 그리스도의 몸과 피가 참으로 나타난다(vere exhibeantur)"라는 타협적인 표현을 사용했다.[21] 그러나 '참으로 임재한다(vere adsint)'는 교리를 주장하는 철저한 루터교는 1540년도 신앙고백을 버리고, 그 물질들 안에, 함께, 위에 참으로 계신다고 주장했다.[22]
루터교는 이후 루터의 성만찬 공재설(그리스도의 몸과 피가 빵과 포도주와 함께, 그 안에, 그 아래에 실재한다는 믿음)을 확립했다.[23] 루터는 속성의 전달(communicatio idiomatumla)을 주장하여 그리스도 인성의 편재설을 주장했다.[24] 속성의 전달이란 신성과 인성의 속성이 서로 교류한다는 의미이다.[25] 루터는 성만찬에서 영화(榮化)된 몸의 실체적 임재가 가능하다고 보았다.[26] 일치신조는 인격의 통일, 속성의 교통, 그리고 그리스도의 인성이 편재하는 신적 속성에 참여한다는 것을 명시한다.[27] 즉, 그리스도의 신적 본성에 속하는 일부 속성(전지, 전능, 편재)이 인간적 본성에 전달되어, 그리스도는 그가 임재하시기로 약속하신 곳에 나누이지 않는 한 인격으로 임재하실 수 있다는 것이다.[28]
3. 5. 예정론
존 칼뱅의 신학에서 유래하여, 개혁 신학자들은 죄가 인간 본성에 너무 큰 영향을 미쳐 인간이 스스로의 의지로 그리스도를 믿는 믿음을 행사할 수 없다고 가르친다. 사람들은 자유 의지를 유지하고, 고의로 죄를 짓는다고 하지만, 원죄로 인한 본성의 부패 때문에 죄를 짓지 않을 수 없게 된다.[27]
개혁교회 신자들은 하나님이 어떤 사람들은 구원받도록, 다른 사람들은 영원한 저주를 받도록 예정하셨다고 믿는다.[27] 이 하나님의 구원 선택은 무조건적인 것으로 여겨지며 선택된 사람의 어떤 특징이나 행동에 근거하지 않는다.
도르트 신조와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에는 이중 예정이 나타나는데, 이는 하나님께서 구원받을 자와 유기될 자를 미리 정하셨다는 교리이다.
칼 바르트는 이중 예정론을 비판하고,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선택과 유기가 이루어진다고 주장했다. 개별 인간은 오직 그리스도 안에 있음으로써 선택받는다고 여겨진다. 위르겐 몰트만 등을 포함하여 바르트를 따르는 개혁 신학자들은 전통적인 개혁교회의 예정 개념이 사변적이며, 대안적인 모델들을 제안해 왔다. 이들은 모든 사람을 사랑하는 하나님의 자유를 강조하며, 죄인에 대한 하나님의 정의는 그들에 대한 하나님의 사랑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말한다.
하나님께서 인간의 타락을 작정하신 논리적 순서와 관련하여 초월설과 종속설 두 가지 학설이 있다. 초월설은 타락이 구원을 받을 일부 개인과 멸망을 받을 일부를 선택하려는 하나님의 목적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일어났다고 주장하는 반면, 종속설은 타락이 실제로 계획되었지만, 누가 구원받을지에 관해서는 계획되지 않았다는 입장이다. 도르트 신조는 종속설을 지지하였으며,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 또한 종속설을 가르치지만, 초월설을 지지하는 사람들에게는 신중한 입장을 취한다.[41]
3. 6. 신앙고백서들
네덜란드 개혁파는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 도르트 신조, 벨직 신앙고백서를 사용하고, 영어권에서는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 및 대소요리문답을 사용한다.[17] 이 외에도 제2스위스 신앙고백(츠빙글리 전통), 프랑스 신앙고백, 스코틀랜드 신앙고백 등 다양한 신앙고백서들이 개혁주의 신학을 반영하고 있다.[17]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을 기초로 작성된 개혁파 침례교회의 1689 신앙고백은 침례신앙에서 개혁주의를 표방하고 있다.[17]
3. 7. 해석학적인 특징
칼뱅주의는 성경 해석에 있어 몇 가지 독특한 특징을 보인다. 우선 "성경은 성경으로 해석한다(scriptura sui ipsius interpres)"는 원칙을 중요하게 여긴다.[17] 이는 성경 본문이 다른 성경 본문을 통해 가장 잘 이해될 수 있다는 의미이다. 울리히 츠빙글리와 장 칼뱅은 모두 성경이 하나님의 말씀이며, 모든 것의 최고 권위를 가진다고 강조했다.[18] 칼뱅은 《기독교강요》에서 성경의 저자는 하나님이며, 성경의 가르침은 하늘로부터 왔다고 말했다.[19]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에서도 성경을 모든 문제에 대한 최종 심판자로 언급하며, 성령이 성경 안에서 말씀하신다고 명시한다.[20]
또한 칼뱅주의는 성령의 내적 조명(testimonium spirtus sancti internum)을 강조한다.[21] 이는 성령이 신자들의 마음속에서 역사하여 성경을 이해하고 받아들일 수 있도록 돕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칼뱅주의자들은 성경(말씀)은 객관적인 진리를 제공하고, 성령은 주관적인 이해를 돕는다고 믿는다.[22] 이러한 성령의 조명은 인간의 부패성과 이성의 한계를 극복하는 데 도움을 준다고 여겨진다.[23]
초기 칼뱅주의 교회들은 단순하고 장식이 없는 것이 특징이었다. 1661년 암스테르담 Oude Kerk 내부를 묘사한 아래 초상화에서 이를 확인할 수 있다.
3. 8. 일반적인 특징
개혁주의는 장로제를 채택하여 당회, 노회, 총회를 통해 교회를 운영하며, 이는 회중교회와 구별되는 특징이다.[85] 사회는 하나님의 주권이 실현되는 영역으로, 네덜란드 신학자 아브라함 카이퍼는 영역주권사상을 주장하며 네덜란드 정치에 참여했다.[79]
막스 베버는 저서 ''프로테스탄트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에서 칼뱅주의가 예정론 사상에 따라 신의 소명과 직업에 대한 근면, 정직, 절약을 강조하여 자본주의 발전에 기여했다고 주장했다.[74] 리처드 니버는 칼뱅의 변혁적 문화관을 강조하며, 이는 하나님의 주권이 인간 사회의 모든 문화를 변혁해야 한다는 주장이다.[89]
1545년 칼뱅은 친구에게 보낸 편지에서 고리대금에 대한 성경 구절 해석을 제시하며, 돈 자체는 무익하지만 유익하게 사용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절실한 사람에게는 이자를 받지 않고 돈을 빌려줘야 하며, 다른 경우에는 5%의 적절한 이자율을 허용해야 한다고 덧붙였다.[72][73]
개혁 교회는 병원, 장애인 또는 노인을 위한 요양원, 모든 수준의 교육 기관을 운영하며 사회에 기여하고 있다. 예를 들어, 미국의 회중교회는 하버드 대학교(1636), 예일 대학교(1701) 등을 설립했다.[109]
4. 개혁 교회의 가지들
초기 미국 이주민들은 잉글랜드의 청교도들과 네덜란드 이주민들을 포함하여 대부분 칼뱅주의를 따르는 개신교회 신도들이었다. 17세기 초 남아프리카에 정착한 네덜란드 이민자들은 개혁주의를 전파하였으나, 안타깝게도 남아공의 개혁교회는 인종차별을 정당화하는 데 개혁파 교회 교리를 악용하는 오류를 범하였다. 이들은 바벨탑 이야기에서 사람들이 흩어지는 것을 근거로 백인, 흑인, 아시아인이 서로 흩어져 살아야 한다는 자의적인 성서해석을 하거나, 구원에 대한 하나님의 은혜와 주권을 강조하는 교리를 왜곡하여 백인만 구원받을 예정이라고 주장했다.[117] 물론 이러한 잘못에 대해 개혁교회는 흑백통합정부가 들어선 뒤 과거사 청산을 위한 죄책고백을 실천하며 사과했다.[117]
개혁주의 전통은 역사적으로 다음과 같이 분류될 수 있다.
- '''대륙 개혁 교회''': 유럽 대륙에서 유래했으며, 헬베티크 신앙 고백과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을 따른다.[44] 미국에서는 네덜란드 개혁교회와 성공회에 합류했다.[45]
- '''장로교''': 장로들의 회의에 의한 통치 질서를 따르며, 존 녹스의 영향을 받아 스코틀랜드 교회에 도입되었다. 웨스트민스터 신앙 고백을 지지한다.
- '''개혁 성공회'''
- '''회중 교회''': 청교도주의에서 기원하며, 지역 교회의 자율성을 강조한다. 사보이 선언을 주요 신앙 고백으로 삼는다.[46]
- '''개혁 침례교'''

가장 큰 교단 연합은 전 세계 211개 회원 교단에 1억 명 이상의 회원을 보유한 세계 개혁 교회 연맹이다.[42][43] 더 작고 보수적인 개혁주의 연합으로는 세계 개혁 교우 협회와 국제 개혁 교회 회의가 있다.
5. 칼뱅주의 5대 교리와 5대 강령
칼뱅주의의 근간을 이루는 것은 다섯 솔라, 언약신학, 그리고 칼뱅주의 5대 강령이다. 도르트 신조에서 나온 5대 강령은 앞 글자를 따서 영어로 TULIP이라고도 한다. 이는 개신교의 다른 여러 신학 유파와 칼뱅주의를 구분짓는 내용들이다.
개혁 신학자들은 하나님이 자신의 지식을 말씀(Word of God)을 통해 사람들에게 전달하며, 사람들은 이 자기 계시를 통해서만 하나님에 대해 알 수 있다고 믿는다. 하나님이 그의 말씀으로 계시하지 않은 것에 대한 추측은 정당화되지 않는다. 하나님은 무한하시고, 유한한 사람들은 무한한 존재를 이해할 수 없기 때문에, 사람들이 하나님에 대해 가지고 있는 지식은 다른 어떤 것에 대해 가지고 있는 지식과는 다르다. 하나님이 사람들에게 계시하신 지식은 결코 틀리지 않지만, 또한 결코 완전하지도 않다.
개혁 신학자들에 따르면, 하나님의 자기 계시는 항상 그의 아들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이루어진다. 왜냐하면 그리스도는 하나님과 사람들 사이의 유일한 중재자이기 때문이다. 그리스도를 통한 하나님의 계시는 창조와 섭리, 그리고 구속의 두 가지 기본적인 채널을 통해 온다.
개혁 신학에서 하나님의 말씀은 여러 형태를 취한다. 예수 그리스도는 성육신하신 말씀이시다. 구약에는 그에 대한 예언이, 사도들의 사역에는 그를 보고 그의 메시지를 전달한 내용이 있으며, 이 또한 하나님의 말씀이다. 더 나아가, 하나님에 대한 목사들의 설교는 하나님이 그들을 통해 말씀하신다고 여겨지기 때문에 바로 하나님의 말씀이다. 하나님은 또한 성경의 인간 저자들을 통해서도 말씀하시는데, 개혁 신학자들은 성경을 하나님이 사람들과 소통하는 독특하고 중요한 수단으로 강조한다. 사람들은 성경으로부터 다른 어떤 방법으로도 얻을 수 없는 하나님의 지식을 얻는다.
개혁 신학자들은 성경이 진실임을 긍정하지만, 그 진실성의 의미와 범위에 대해서는 그들 사이에서 차이가 나타난다. 프린스턴 신학자들을 따르는 보수적인 견해는 성경이 모든 곳에서 진실하며 무오하거나 오류나 거짓이 없다고 본다. 반면, 칼 바르트와 신정통주의의 가르침에 영향을 받은 미국 장로교회의 1967년 고백서에서는 성경을 하나님에 대한 지식의 주요 원천으로 믿지만, 성경의 일부가 거짓일 수 있고, 그리스도의 증인이 아니며, 교회에 규범이 되지 않는다고 본다. 이 견해에서, 그리스도는 하나님의 계시이며, 성경은 계시 자체가 아니라 이 계시를 증거한다.
5. 1. 다섯 솔라
칼뱅주의는 다른 개신교와 마찬가지로 다섯 솔라(Sola Scriptura|솔라 스크립투라la, Solus Christus|솔루스 크리스투스la, Sola Gratia|솔라 그라티아la, Sola Fide|솔라 피데la, Soli Deo Gloria|솔리 데오 글로리아la)를 강조한다.[17] 이는 각각 오직 성경, 오직 그리스도, 오직 은혜, 오직 믿음, 오직 하나님께 영광을 의미한다.- '''Sola Scripturala'''(오직 성경): 성경만이 유일한 권위를 가진다는 의미이다.
- '''Solus Christusla'''(오직 그리스도): 예수 그리스도의 공로를 통해서만 구원을 받는다는 의미이다.
- '''Sola Gratiala'''(오직 은혜): 구원은 전적으로 하나님의 선물이며, 인간의 노력과는 무관하다는 의미이다.
- '''Sola Fidela'''(오직 믿음): 구원은 오직 믿음을 통해서만 받으며, 다른 어떤 것도 요구되지 않는다는 의미이다.
- '''Soli Deo Gloriala'''(오직 하나님께 영광): 구원은 하나님께서 시작하고 완성하시며, 인간은 참여하지 않는다는 의미이다.
5. 2. 5대 강령
칼뱅주의의 5대 강령은 각 항목의 영어 첫 글자를 따 TULIP이라고도 부른다. 각 항목은 도르트 신조에 대한 요약이며,[118] TULIP이라는 명칭은 1963년부터 사용되었다.[119]- '''전적 타락'''('''T'''otal Depravity): 모든 자연인은 그 본성이 타락하여 구원에 필요한 믿음을 만들어내지 못한다는 것이다. '전적 무능력'이라고도 하는데, 사람이 하나님을 믿을 수 있는 기능을 잃었다는 뜻이 아니라 영혼이 타락하여 참된 믿음을 가질 수 없다는 것이다. 성경에 나오는 예수 그리스도의 말씀("나를 보내신 아버지께서 이끌지 아니하시면 아무도 내게 올 수 없으니")으로 보건대 하나님이 참된 믿음을 주시기 전에는 아무도 예수 그리스도를 진실되게 믿을 수 없다.
- '''무조건적 선택'''('''U'''nconditional Election): '전적 타락'설에 의하면 참된 믿음은 하나님이 주셔야만 얻게 되는 것인데, 누구에게 참된 믿음을 줄 것인지에 대한 하나님의 선택에는 아무런 조건이 없다는 것이다.
- '''제한적 속죄'''('''L'''imited Atonement): '무조건적 선택'을 받은 사람이 결국 '구속의 언약' 또는 '은혜의 언약'에서 그리스도의 백성에 해당한다는 것이다. 즉, 예수 그리스도의 속죄의 실효는 하나님의 선택을 받은 사람들을 위한 것이라는 내용이다.
- '''불가항력적 은혜'''('''I'''resistible Grace): 성경에 나오는 예수 그리스도의 말씀(요한복음 6:37 "아버지께서 내게 주시는 자는 다 내게로 올 것이요")으로 보건대 하나님이 믿음을 주시기로 작정하신 사람이 그리스도를 믿지 않을 수는 없다는 것이다. 이것은 '구속의 언약'과도 연관이 있다.
- '''성도의 견인'''('''P'''erseverance of Saints): 성경에 나오는 예수 그리스도의 말씀("나를 보내신 이의 뜻은 내게 주신 자 중에 내가 하나도 잃어버리지 아니하고 마지막 날에 다시 살리는 이것이니라")으로 보건대 하나님의 선택을 받은 사람은 하나님의 심판을 받는 자리로 결코 떨어지지 않고 구원이 반드시 성취된다는 것이다. 이것 역시 '구속의 언약'과 연관이 있다.
6. 예배의 규정적 원리
칼뱅주의는 예배의 규정적 원리에서 예배를 성경, 기도, 찬송, 헌상, 성찬과 세례와 더불어 하나님께서 은혜를 내리시는 방도로 본다. 이것들을 은혜의 방도라고 부르는데, 칼뱅주의는 어떠한 것들이 은혜의 방도인가 뿐만 아니라 그 방도들을 사람이 어떻게 대해야 하는가 또한 성경에 계시되어 있다고 본다. 이는 Sola Scriptura 정신과 부합된다. 예배에 해당하는 도리들을 묶어 '''예배의 규정적 원리'''라고 부른다. 예를 들어, 예배할 때 예수님을 상상하여 만든 그림이나 조각상을 사용하지 않는 것이 대표적인 규정적 원리의 하나이다.[120]
예배의 규정적 원리에 대한 근거로 사용되는 성경 구절은 십계명 중 둘째 계명인 "우상을 만들어 그것을 예배하지 말라"이다.[120] 둘째 계명이 야훼 하나님 외에 다른 신을 섬기지 말라는 뜻이 아닌 이유는, 다른 신을 두지 말라는 것은 이미 첫째 계명[121]에서 명시되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둘째 계명의 뜻은 야훼 하나님을 섬기겠다고 할 때 그분의 형상이라고 무엇을 만들지 말라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야훼 하나님의 형상을 만든 역사가 성경 출애굽기 32장 4절에서 볼 수 있다. 그러므로 둘째 계명에서 발견할 수 있는 것은 하나님께서는 하나님을 예배하는 방식에 대해서도 어떤 기준을 내리고 계시다는 것이다.
예배 규례 원리는 일부 칼뱅주의자와 재세례파가 성경이 공적 예배를 어떻게 규정하는지에 대해 공유하는 가르침이다. 예배에 관한 이 교리의 핵심은 하나님이 교회에서의 예배에 필요한 모든 것을 성경에 명시하셨고, 그 외의 모든 것은 금지된다는 것이다. 칼뱅 자신의 생각에도 반영된 이 규례 원리는 로마 가톨릭 교회와 그 예배 관행에 대한 명백한 반감에서 비롯되었으며, 그는 악기를 우상과 연결시켰는데, 이는 그가 십계명의 우상 숭배 금지를 위반하는 것으로 간주했기 때문이다.[34]
이러한 근거에 따라, 많은 초기 칼뱅주의자들은 또한 악기를 사용하지 않고 예배에서 아카펠라 시편 찬송(exclusive psalmody)을 옹호했다.[35] 하지만 칼뱅 자신은 시편뿐만 아니라 다른 성경적인 찬송가도 허용했으며,[34] 이러한 관행은 한동안 장로교 예배와 다른 개혁 교회의 예배를 특징지었다. 존 칼뱅이 설계한 최초의 주일 예배는 신조, 헌금, 고백과 사죄, 주의 만찬, 송영, 기도, 시편 찬송, 주기도문, 축도로 구성된 매우 전례적인 예배였다.[36]
그러나 19세기 이후, 일부 개혁 교회는 규례 원리에 대한 이해를 수정하여 악기를 사용하게 되었는데, 칼뱅과 그의 초기 추종자들이 성경적 요구 사항을 넘어섰으며, 이러한 것들은 명시적인 명령보다는 성경적 지혜가 필요한 예배의 상황이라고 믿기 때문이다.[34] 규례 원리에 대한 엄격한 견해를 고수하는 사람들의 항의에도 불구하고, 오늘날 찬송가와 악기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며, 찬양 예배 음악 스타일도 워십 밴드(worship band)와 같은 요소들과 함께 널리 사용된다.[37]
7. 자유 의지와 칼뱅주의
칼뱅주의는 인간의 자유 의지를 부정하는 것이 아니라, 인간이 타락한 본성 때문에 스스로 하나님을 선택할 수 없다고 본다. 루터는 《노예의지론》에서 에라스무스의 주장에 반박하며 '전적 타락'설을 주장했다.[26] 칼뱅주의는 구원이 전적으로 하나님의 은혜에 달려 있다는 단독설(monergism)을 주장하며, 이는 에라스무스, 알미니안주의, 존 웨슬리 등의 합력설(synergism)과 대립한다.[25]
구분 | 내용 |
---|---|
합력설(synergism) | 구원은 하나님과 사람의 합작이라는 견해이다. 하나님이 구원의 길을 마련하시지만, 사람이 그것을 취하는 것은 인간에게 달려있다. |
단독설(monergism) | 구원은 전적으로 하나님께만 달려있다는 견해이다. 하나님이 구원의 길을 마련하실 뿐만 아니라, 사람이 그것을 취하는 것도 하나님이 해주셔야 가능하다. |
펠라기우스는 인간의 자력 구원 가능성을 주장하는 합력설을 주장하였으나, 어거스틴은 하나님의 전적인 은혜를 강조하는 단독설을 주장했고, 카르타고 회의는 펠라기우스 사상을 정죄하였다.[25]
다음은 합력설/단독설과 관련하여 잘 알려진 신학자 또는 목회자들의 표현이다.
- 마르틴 루터: "그 누구라도 구원을, 아무리 작은 일부분이라도, 사람의 자유의지와 연관짓는다면, 그는 은혜를 전혀 알지 못하는 것이며, 또한 그는 예수 그리스도를 바로 배우지 못했습니다."
- 존 오언: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요구하시는 그 무엇이라도 우리가 행할 능력이 있다고 생각하는 것은 십자가와 예수 그리스도의 은혜를 무효로 만드는 것입니다."
- 조지 휘트필드: "사람은 아무것도 아닙니다. 그는 지옥으로 가고자 하는 자유의지는 있으나 천국으로 가려는 것은 전혀 없습니다. 그리고 그것은 하나님께서 그 사람 안에 그분의 선하신 뜻을 따르려는 의지와 힘을 만들어 주실 때까지 계속됩니다."
- 찰스 스펄전: "만일 우리가 죽은 사람이 자기 능력으로 무덤에서 일어나는 것을 볼 수 있다면 아마 죄인이 자기 자유 의지로 그리스도께 돌아서는 것 또한 볼 수 있을 것입니다."
- 조나단 에드워즈: "(하나님의 주권은) 수많은 사람들이 넘어지고 멸망하는 걸림돌입니다; 그리고 만일 우리가 그분의 주권과 맞선다면 그것은 우리의 영원한 멸망이 될 것입니다. 우리에게 절대적으로 필요한 것은 하나님의 절대적인 주권, 우리의 영혼에 대한 주권에 순복하는 것입니다; 곧 그 분께서 자비를 베푸시고자 하는 자에게 자비를 베푸시며 강퍅케 하시고자 하는 자에게 그렇게 하시는 분으로서입니다."
8. 칼뱅주의와 하이퍼-칼뱅주의
칼뱅주의와 하이퍼-칼뱅주의(hyper-Calvinism)의 가장 큰 차이는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 선포 대상과 속죄의 유효성과 범위에 대한 인식에서 나타난다. 칼뱅주의는 복음이 모든 계층의 사람(남자, 여자, 어른, 아이, 주인, 노예 등)에게 유효하며, 제한적 속죄를 주장한다. 여기서 '제한적'이라는 것은 양적인 의미뿐만 아니라 한정적(definite) 또는 특정적(particular) 의미를 모두 포함한다. 그러나 하이퍼-칼뱅주의는 예수 그리스도가 선택받은 사람들만을 위해 속죄했으며, 복음도 이들에게만 유효하다고 주장한다. 또한, 하이퍼-칼뱅주의는 예배의 전통과 형식, 신앙생활에 있어서 초기 종교개혁 시대의 전통을 고수하며, 하나님이 인류를 보편적으로 사랑한다는 일반은총을 부인한다.[17]
하이퍼-칼뱅주의는 18세기 초 영국 특별 침례교도들 사이에서 처음 나타난 견해이다. 이들은 "회개하고 믿으라"는 복음의 부르심이 모든 사람에게 향하는 것이 아니며, 모든 사람이 구원을 위해 그리스도를 믿어야 할 의무가 있다는 것을 부정했다. 이 용어는 신학적 및 세속적 논쟁에서 종종 사용되는데, 비판자가 무지하고, 가혹하거나, 극단적이라고 간주하는 신학적 결정론, 예정론, 복음주의 기독교나 칼뱅주의의 한 변형에 대한 부정적인 의견을 의미하기도 한다.
웨스트민스터 신앙 고백서는 복음이 죄인들에게 자유롭게 제공되어야 한다고 말하며, 대요리 문답은 복음이 택함받지 못한 자들에게도 제공된다는 것을 분명히 한다.[58]
9. 개혁 신학자
- 울리히 츠빙글리
- 장 칼뱅
- 테오도르 드 베자
- 하인리히 불링거
- 찰스 하지
- 벤자민 워필드
- 아브라함 카이퍼
- 헤르만 바빙크
- 코르넬리우스 반틸
- 울르시누스
- 올레비아누스
- 롤록
- 코크케이우스
- 베르미리
- 프랑수아 투르레티니
- 존 C. 브레킨리지
- 제임스 헨리 손웰
- W. G. T. 셰드
- 로버트 루이스 다브니
- W. 커닝햄
- 게르하르두스 보스
- J. 그레샴 메이첸
- 존 머레이
- 헤리트 코르넬리스 베르카우어
- P. 마르셀
- A. 루셀
- E. 듀메르그
분류:칼뱅주의 및 개혁 신학자
10. 어원
'칼뱅주의'라는 용어는 1552년 루터교 신학자들이 처음 사용했다. 이는 로마 가톨릭교회가 이단을 지칭할 때 창시자의 이름을 따르는 관행에서 비롯되었다.[2] 존 칼빈은 이 명칭을 비난했지만, 이 용어는 칼뱅주의자들을 루터교나 다른 개신교 분파와 구별하기 위해 널리 사용되었다.
대부분의 칼뱅주의 교회들은 '개혁파'(Reformed)라는 명칭을 선호하는데, 이는 '복음의 참된 질서에 따라 새롭게 되었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알미니안 논쟁 이후 개혁주의 전통은 알미니안과 칼뱅주의로 나뉘었지만, 현대에는 알미니안을 개혁주의 전통의 일부로 부르는 경우는 드물다.
참조
[1]
뉴스
Switzerland's Original Reformer Was Creative, Combative, and Frequently Controversial
https://www.christia[...]
2022-11-22
[2]
서적
Calvin, A Biography
https://books.google[...]
A&C Black
2003-05-22
[3]
서적
Teologins Historia
Concordia Publishing House
[4]
논문
Was Calvin a Calvinist? Or, Did Calvin (or Anyone Else in the Early Modern Era) Plant the 'TULIP'?
https://agrammatos.o[...]
[4]
논문
Was Calvin a Calvinist?
https://digitalcommo[...]
Calvin University – Calvin Theological Seminary
2009
[5]
서적
The Reformation: A History
Penguin
[6]
저널
Review of ''Calvinism: A Very Short Introduction''
2017
[7]
서적
Readings in Christianity
Cengage Learning
2014-01-01
[8]
문서
Historical Theology
https://archive.org/[...]
Blackwell Publishers
[9]
웹사이트
Reformed Churches
http://cyclopedia.lc[...]
[10]
웹사이트
Is Anglicanism Reformed?
https://northamangli[...]
2020-02-14
[11]
웹사이트
The English Reformations and the Making of the Anglican Church
https://www.perthcat[...]
2006
[12]
서적
Anti-Arminians: The Anglican Reformed Tradition from Charles II to George I
Oxford University Press
2008-05-29
[13]
서적
On Being Reformed: Debates over a Theological Identity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2018
[14]
서적
On Being Reformed: Debates over a Theological Identity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2018
[15]
뉴스
Sola Fide
https://web.archive.[...]
2016-06-16
[16]
서적
[17]
웹사이트
The Reformed Church
http://www.bocskaiha[...]
Hungarian Reformed Church of Australia
[18]
저널
John à Lasco: A Polish Religious Reformer in England, 1550–1553
1979
[19]
서적
Racovia: An Early Liberal Religious Community
Blackstone Editions
[20]
웹사이트
The Reformation in Germany And Scandinavia
https://web.archive.[...]
Vlib.iue.it
[21]
웹사이트
Touched by Devotion in South Korea
http://www.crcna.org[...]
Christian Reformed Church
2010-10-04
[22]
문서
Global Christianity
http://www.pewforum.[...]
2011-12-19
[23]
웹사이트
Major Branches of Religions
http://www.adherents[...]
[24]
웹사이트
WCRC History
http://www.wcrc.ch/n[...]
[25]
서적
Augustine's Conversion from Traditional Free Choice to 'Non-fee' Free Will: A Comprehensive Methodology
Mohr Siebeck
2018
[26]
서적
Institutes of the Christian Religion
Wm. B. Eerdmans Publishing Company
[27]
웹사이트
Institutes of the Christian Religion
https://web.archive.[...]
Eerdmans
1994
[28]
웹사이트
TULIP and The Doctrines of Grace
https://www.ligonier[...]
2019-03-18
[29]
서적
What Is Reformed Theology?: Understanding the Basics
Baker Books
[30]
서적
Calvin and the Reformed Tradition
Baker Academic
2012
[30]
잡지
The Points of Calvinism: Retrospect and Prospect
http://www.covenant.[...]
2008
[31]
서적
Crisis In The Reformed Churches: Essays in Commemoration of the Synod of Dort (1618–1619)
Reformed Fellowship, Incorporated
[32]
서적
The Five Points of Calvinism Historically Considered, The New Outlook
[33]
웹사이트
The Reformed Doctrine of Predestination
http://www.bloomingt[...]
Bloomingtonrpchurch.org
[34]
저널
Luther and Calvin on Music and Worship
http://thirdmill.org[...]
2006-06-25
[35]
웹사이트
Musical Instruments in the Public Worship of God
http://reformedonlin[...]
[36]
서적
An Outline of Christian Worship: Its Development and Forms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37]
서적
Worship in Spirit and Truth
https://archive.org/[...]
P&R Pub.
[38]
위키소스
1689 Baptist Confession of Faith
[39]
위키소스
1689 Baptist Confession of Faith
[40]
웹사이트
Systematic Theology – Volume II – Supralapsarianism
http://www.ccel.org/[...]
Christian Classics Ethereal Library
2007-06-04
[41]
웹사이트
Systematic Theology – Volume II – Infralapsarianism
http://www.ccel.org/[...]
Christian Classics Ethereal Library
2007-06-04
[42]
웹사이트
Theology and Communion
http://wcrc.ch/theol[...]
World Communion of Reformed Churches
2013-12-05
[43]
웹사이트
Member Churches
http://wcrc.ch/wcrc-[...]
World Communion of Reformed Churches
2013-12-05
[44]
서적
History of the Christian Church: Modern Christianity; the Swiss Reformation, 2d ed., rev
C. Scribner's & Sons
1898
[45]
서적
The Uneasy Center: Reformed Christianity in Antebellum America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Press
1995
[46]
서적
Puritans and Puritanism in Europe and America
ABC-CLIO
[47]
웹사이트
9 Things You Should Really Know About Anglicanism
https://www.thegospe[...]
The Gospel Coalition
2015-01-07
[48]
웹사이트
The Reformed Face of Anglicanism
http://theoldhighchu[...]
The Old High Churchman
2012-08-02
[49]
웹사이트
Heritage Baptist Church – A Brief History of Reformed Baptists
https://www.reformed[...]
2024-03-26
[50]
웹사이트
What is a Reformed Baptist?
https://founders.org[...]
Founders Ministries
2020-02-03
[51]
서적
Every Woman a Theologian
Thomas Nelson
2023-02-02
[52]
서적
Iustitia Dei: A History of the Christian Doctrine of Justification
[53]
서적
A History of Christian Doctrine
[54]
웹사이트
Systematic Theology – Volume II – Christian Classics Ethereal Library
http://www.ccel.org/[...]
Ccel.org
2013-12-05
[55]
서적
Works
[56]
서적
Four Views on Eternal Security
[57]
서적
The Plan of Salvation
Eerdmans
[58]
위키소스
Westminster Larger Catechism
[59]
서적
Dutch Calvinism in Modern America
Wipf and Stock; original Eerdmans
1984
[60]
서적
Abraham Kuyper: God's Renaissance Man
Evangelical Press
[61]
컨퍼런스
Moses' Law for Modern Government
http://www.reformed.[...]
2013-08-23
[62]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Religion and Violence
Oxford University Press
[63]
서적
Eyes Right!: Challenging the Right Wing Backlash
South End Press
[64]
서적
Evangelicals and Democracy in America: Religion and politics
Russell Sage Foundation
[65]
학술지
The Chalcedon Problem: Rousas John Rushdoony and the Origins of Christian Reconstructionism
[66]
서적
Christian Reconstruction: What it Is, what it Isn't
Institute for Christian Economics
1991
[67]
학술지
Young, Restless, Reformed
http://www.christian[...]
2009-03-13
[68]
잡지
10 Ideas Changing the World Right Now: The New Calvinism
http://www.time.com/[...]
2009-03-13
[69]
뉴스
Christian faith: Calvinism is back
http://www.csmonitor[...]
2010-03-27
[70]
뉴스
Tim Keller and the New Calvinist idea of "Gospel eco-systems"
http://christianrese[...]
Christian Research Network
2010-06
[71]
웹사이트
Calvinism Old and "New"
http://heidelblog.ne[...]
2009-03-15
[72]
서적
Main Currents of Western Thought: Readings in Western Europe Intellectual History from the Middle Ages to the Present
Yale University Press
[73]
서적
The Concept of Equity in Calvin's Ethics
Wilfrid Laurier University Press
[74]
학술지
Elective affinities of the Protestant ethic: Weber and the chemistry of capitalism
http://aura.abdn.ac.[...]
[75]
서적
Tri-Faith America: How Catholics and Jews Held Postwar America to Its Protestant Promise
[76]
서적
Obligations of Citizenship and Demands of Faith: Religious Accommodation in Pluralist Democracies
Princeton University Press
[77]
서적
The Calvinist Roots of the Modern Era
https://books.google[...]
UPNE
1997-08-27
[78]
서적
The Faiths of the Founding Fathers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USA
2006-05-01
[79]
서적
Descartes, René
[80]
서적
Kompendium der Kirchengeschichte
[81]
서적
Bayle, Pierre
[82]
연극
Leben des Galilei
[83]
서적
Toleranz
[84]
서적
Priestertum
[85]
서적
Kompendium der Kirchengeschichte
[86]
서적
Kompendium der Kirchengeschichte
[87]
서적
Anglicanism and the Christian Church: Theological Resources in Historical Perspective
https://books.google[...]
T & T Clark
[88]
서적
Calvin
[89]
서적
History of Religion in the United States
Prentice-Hall
[90]
서적
Pilgerväter
[91]
서적
History of Religion in the United States
[92]
웹사이트
Plymouth Colony Legal Structure
http://www.histarch.[...]
Histarch.uiuc.edu
2007-12-14
[93]
서적
The Story of America: Freedom and Crisis from Settlement to Superpower
https://archive.org/[...]
DK Publishing
[94]
백과사전
Connecticut
Catholic Encyclopedia
2017-07-07
[95]
서적
History of Religion in America
[96]
서적
William Penn: Apostle of Dissent
William Morrow and Company
[97]
서적
Liberty of Conscience: Roger Williams in America
Judson Press
[98]
서적
Milton, John
[99]
서적
Kompendium der Kirchengeschichte
[100]
서적
The Glorious Cause: The American Revolution, 1763–1789
Oxford University Press
[101]
서적
American Life and Institutions
[102]
서적
History of Religion in the United States
[103]
서적
Kongregationalismus
[104]
서적
Genossenschaften
[105]
서적
Genfer Konventionen
[106]
서적
Schweiz
[107]
서적
Above the fray: The Red Cross and the making of the humanitarian NGO sector
https://press.uchica[...]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20
[108]
서적
Welfare, Religion and Gender in Post-apartheid South Africa: Constructing a South-North Dialogue
https://books.google[...]
African Sun Media
2016-10-18
[109]
서적
History of Religion in the United States
[110]
백과사전
Calvinism
[111]
백과사전
Encyclopedia of Britannica
[112]
백과사전
Encyclopedia of Britannica
[113]
백과사전
Encyclopedia of Britannica
[114]
서적
기독교 강요
[115]
백과사전
Encyclopedia of Britanica
[116]
뉴스
http://www.kukinews.[...]
국민일보
2006-05-24
[117]
서적
용서없이 미래없다
홍성사
[118]
저널
The Points of Calvinism: Retrospect and Prospect
http://www.covenant.[...]
2008
[119]
서적
The five points of Calvinism : defined, defended, documented
https://www.worldcat[...]
P & R Publications
1963
[120]
성경
신명기 5장 8,9절 (개역개정)
[121]
성경
신명기 5장 7절 (개역개정)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