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라시아어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라시아어족은 여러 언어들을 묶어 하나의 어족으로 분류하려는 가설이다. 1990년대 메릿 룰렌과 조지프 그린버그는 유라시아어족 가설을 제안했으며, 형태론적 특징과 대량 비교 이론을 근거로 제시했다. 그러나 그린버그의 대량 비교 이론은 신빙성이 떨어진다는 비판을 받았다. 1980년대에는 니콜라이 드미트리예비치 안드레예프가 인도유럽어족, 우랄어족, 알타이어족을 연결하는 보레아어족 가설을 제시하기도 했다. 2013년 Mark Pagel 등은 통계적 증거를 제시하며 가설을 뒷받침하려 했으나, 주류 학계에서는 여전히 비판적인 시각이 존재한다. 대한민국 학계에서도 유라시아어족 가설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주류 학설로 인정받지는 못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언어학 가설 - 노스트라트어족
노스트라트어족은 홀거 페데르센이 제안하고 일리치-스비티치와 돌고폴스키가 발전시킨 가설적인 대어족으로, 인도유럽어족, 우랄어족, 알타이어족 등을 포함하지만, 주류 비교 언어학에서는 널리 인정받지 못하고 구성 어족 범위와 재구 방법에 대한 비판이 있다. - 언어학 가설 - 인류 조어
인류 조어는 언어학에서 전 세계 언어의 공통 어휘를 분석하여 언어의 기원을 추적하는 시도이지만, 증거 부족과 방법론적 문제 등으로 학계에서 널리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 - 제안된 어족 - 오스트로어족
오스트로어족은 오스트로아시아어족과 오스트로네시아어족을 하나의 어족으로 묶으려는 가설이었으나, 현재는 어휘적 증거 부족으로 지지를 받지 못한다. - 제안된 어족 - 인도태평양어족
유라시아어족 | |
---|---|
지도 | |
개요 | |
어족 유형 | 가설적인 어족 |
사용 지역 | 유라시아 |
사용 인구 | 약 50억 명 이상 |
언어 수 | 약 600개 이상 (추정) |
하위 어족 (제안) | |
주요 제안 | 인도유럽어족 알타이어족 (논쟁 중) 우랄어족 축치캄차달어족 에스키모-알류트어족 한국어족 일본어족 니브흐어 (고립어) 아이누어족 부라슈스키어 (고립어) 티레니아어족 (에트루리아어 등) 코카서스 제어 오스트로아시아어족 오스트로네시아어족 데네-예니세이어족 시노-티베트어족 |
논쟁 및 비판 | |
주요 쟁점 | 어족 간의 계통 관계 증명 부족 언어 접촉으로 인한 유사성 가능성 방법론적 문제 (예: 대량 비교) |
연구 역사 | |
초기 제안자 | 알프레도 트롬베티 홀거 페데르센 메릿 룰렌 |
최근 연구 동향 | 전산언어학을 이용한 연구 시도 유전학과의 연계 연구 |
관련 인물 | |
주요 언어학자 | 조지 스타로스틴 세르게이 스타로스틴 블라디슬라프 일리치-스비티치 |
기타 | |
관련 개념 | 노스트라트 어족 보레아 어족 |
2. 역사
유라시아어족 가설은 여러 언어학자들에 의해 다양한 방식으로 제기되고 연구되어 왔다. 1980년대 러시아의 니콜라이 드미트리예비치 안드레예프( Николай Дмитриевич Андреев|니콜라이 드미트리예비치 안드레예프rus )는 인도유럽어족, 우랄어족, 알타이어족을 연결하는 보레아어족 가설을 독자적으로 제시하며 관련 논의의 기초를 마련했다. 이후 1994년 메릿 룰렌은 명사의 복수형(-t)과 쌍수형(-k) 형성 방식에 나타나는 특정 문법적 패턴을 근거로 유라시아어족 가설을 뒷받침하려 시도했다.[2]
1998년 조지프 그린버그는 대량 비교 방법론을 적용하여 유라시아어족 가설을 체계적으로 제안했다. 이는 그가 1950년대 아프리카 언어 분류에 사용했던 방식이다. 2000년에는 저서 ''Indo-European and Its Closest Relatives: The Eurasiatic Language Family''를 통해 음성적, 문법적 증거, 특히 여러 어족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난다고 본 72가지 형태론적 특성을 제시하며 주장을 확장했다.[3][4] 그린버그의 연구는 학계의 큰 주목을 받았으나, 그가 사용한 대량 비교 방법론의 신뢰성에 대한 비판 역시 광범위하게 제기되었다.[5]
21세기에 들어서도 유라시아어족 가설에 대한 연구는 계속되었다. 2013년 마크 파젤 등은 통계적 증거를 통해 가설을 뒷받침하고자 했으나[6], 이들의 방법론 역시 주류 언어학계로부터 회의적인 시각과 비판을 받았다.[7] 이처럼 유라시아어족 가설은 제안 이후 지속적인 논쟁과 연구의 대상이 되고 있다.
2. 1. 초기 가설 (19세기 말 ~ 20세기 초)
1980년대 러시아의 니콜라이 드미트리예비치 안드레예프( Николай Дмитриевич Андреев|니콜라이 드미트리예비치 안드레예프rus )는 인도유럽어족, 우랄어족, 알타이어족을 연결하는 보레아어족 가설을 독자적으로 제시했으며, 이 가설은 이후 Sorin Paliga 등에 의해 확장되었다.1994년 메릿 룰렌은 유라시아어족 가설이 특정 문법적 패턴으로 뒷받침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명사의 복수형은 명사 어근에 접미사 '-t'를 붙여 형성되고, 명사의 쌍수형은 접미사 '-k'를 붙여 형성된다"는 공통점을 근거로 들었다.[2]
1998년 조지프 그린버그는 대량 비교 방법론을 이용해 유라시아어족 가설을 체계적으로 제안했다. 이는 그가 1950년대 아프리카 언어 분류에 처음 사용했던 방식이다. 2000년에는 ''Indo-European and Its Closest Relatives: The Eurasiatic Language Family''라는 책을 통해 자신의 주장을 더욱 발전시켰다. 이 책에서 그는 여러 어족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난다고 판단한 72가지 형태론적 특징을 포함하여, 어족의 타당성을 입증하기 위한 음성적, 문법적 증거들을 제시했다.[3][4] 그린버그의 가설은 큰 주목을 받았지만, 그가 사용한 대량 비교 방법론의 신뢰성에 대한 의문 때문에 많은 언어학자들로부터 비판을 받았다.[5]
2013년에는 Mark Pagel 등이 통계적 증거를 제시하며 이러한 비판에 반박하고 가설을 뒷받침하려 시도했다.[6] 그러나 이들의 통계적 비교 방법론 역시 주류 학계에서는 여전히 회의적인 시각으로 받아들여지며 비판받았다.[7]
2. 2. 그린버그의 연구 (20세기 중후반)
1998년 조지프 그린버그는 그가 1950년대에 아프리카 언어를 분류하며 처음 사용한 방법론인 대량 비교 이론의 일환으로 유라시아어족 가설을 제안했다. 2000년에 그는 이 주장을 확장하여 ''Indo-European and Its Closest Relatives: The Eurasiatic Language Family''라는 장편 도서에서 이 어족의 타당성을 입증하기 위한 음성적, 문법적 증거들을 제시했다. 그의 주장의 핵심은 다양한 어족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난다고 판단되는 72가지의 형태론적 특성이다.[3][4] 그의 가설은 가장 주목을 끌었음에도 많은 언어학자들에 의해 부정되었는데, 그 이유는 그의 대량 비교 이론의 신빙성이 떨어진다는 것이었다.[5]2. 3. 안드레예프의 연구 (20세기 후반)
1980년대에 러시아의 언어학자 Николай Дмитриевич Андреев|니콜라이 드미트리예비치 안드레예프rus는 인도유럽어족, 우랄어족, 알타이어족을 연결하는 보레아어족 가설을 제시하였다. 이 가설은 이후 Sorin Paliga 등 다른 학자들에 의해 확장되었다.2. 4. 파젤 등의 연구 (21세기 초)
2013년 마크 파젤 등은 통계적 증거를 발표하여 유라시아어족 가설을 뒷받침하려 하였다.[6] 그러나 이들이 사용한 통계적 비교 방법론에 대해 회의적인 입장을 가진 주류 학계에서는 여전히 비판받았다.[7]참조
[1]
서적
Historical linguistics : an introduction
https://www.worldcat[...]
2013
[2]
서적
The Origin of Language: Tracing the Evolution of the Mother Tongue
https://archive.org/[...]
John Wiley & Sons, Inc
[3]
서적
Indo-European and Its Closest Relatives: The Eurasiatic Language Family. Volume 1, Grammar
Stanford University Press
2000
[4]
서적
Indo-European and Its Closest Relatives: The Eurasiatic Language Family. Volume 2, Lexicon
Stanford University Press
2002
[5]
저널
Ultraconserved words point to deep language ancestry across Eurasia
2013-05-06
[6]
저널
Ultraconserved words point to deep language ancestry across Eurasia
2013-05-06
[7]
저널
Ultraconserved words and Eurasiatic? The "faces in the fire" of language prehistory
2013-08-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