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랄어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우랄어족은 핀어, 헝가리어 등을 포함하는 어족으로, 9개의 어파로 구성된다. 언어학적 분류에 대한 합의는 없으며, 전통적으로 핀-페름어군, 우그리아어군 등으로 분류하기도 한다. 우랄어족 언어들은 교착어적 특징을 가지며 모음조화, 후치사, 이중수, 중설모음 [ɨ] 등의 특징을 보인다. 어순은 동부에서 SOV형, 서부에서 SVO형이 주로 나타난다. 우랄어족의 기원과 관련하여 다양한 가설이 존재하며, 다른 어족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도 진행되고 있다. 또한, 한국어와의 관련성에 대한 가설도 제시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우랄어족 - 리보니아어
리보니아어는 발트해 연안의 리보니아인들이 사용했던 핀우그리아어족에 속하는 멸종된 언어로, 역사적 요인으로 쇠퇴하여 마지막 원어민 화자 사망 후 멸종되었으나, 현재 라트비아 대학교 리보니아 연구소 등을 중심으로 부활을 위한 연구와 교육이 진행 중이다. - 우랄어족 - 우랄알타이어족
우랄알타이어족은 우랄어족과 알타이어족의 유사성을 바탕으로 19세기 중반에 제시된 가설적인 어족이었으나, 알타이어족 자체의 존재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면서 현재는 주류 언어학계에서 거의 지지를 받지 못하고 있다. - 어족 - 파푸아 제어
파푸아 제어는 뉴기니섬과 주변 지역에 분포하며 여러 어족과 고립된 언어를 포함하는 언어 집단으로, SOV 어순을 주로 사용하며 트랜스뉴기니어족이 가장 큰 어족에 속한다. - 어족 - 대안다만어족
대안다만어족은 안다만 제도에서 사용되었던 언어 어족으로, 18세기 후반 대안다만족이 사용했으나 인구 감소와 혼합어 사용으로 멸망 위기에 처했으며, 신체 부위를 기반으로 한 독특한 명사 체계를 가진다. - 교착어 - 에스토니아어
에스토니아어는 우랄어족 핀우그리아어파에 속하며 에스토니아의 공용어이자 유럽 연합의 공용어 중 하나로, 독일어의 영향을 받아 어휘와 통사론에서 흔적을 찾을 수 있고, 형태론적으로 교착어에서 굴절어로 변화하는 과도기적 특징을 보이는 언어이다. - 교착어 - 한국어
한국어는 한국과 북한에서 주로 사용되는 한국어족 언어로, 대한민국에서는 한국어 또는 한국말, 북한에서는 조선어 또는 조선말이라 불리며, 훈민정음으로 표기되는 독자적인 문자 체계, 교착어적 특징, 유연한 어순, 복잡한 존칭 체계를 가진다.
우랄어족 | |
---|---|
지도 | |
![]() | |
언어 정보 | |
이름 | 우랄어족 |
다른 이름 | 우랄어족 |
지역 | 중앙유럽, 북유럽, 동유럽, 북아시아 |
어족 | 세계 주요 어족 중 하나 |
조어 | 우랄조어 |
하위 어파 | 사미어파 핀어파 모르드바어파 마리어 페름어파 헝가리어 만시어 한티어 사모예드어파 |
ISO 639-5 | urj |
Glottolog | ural1272 |
Glottolog 이름 | Uralic |
계통 관련 논의 | |
유카기르어족 | 유카기르어족과의 동계설이 있다. |
알타이어족 | 알타이어족과 우랄알타이어족을 이룬다는 설이 있다. |
인도유럽어족 | 인도유럽어족과 인도우랄어족을 이룬다는 설이 있다. |
기타 | 위의 설들은 모두 증명되지 않았다. |
기타 정보 | |
우랄어족의 기원 | 랴오허 지역 ~ 사얀산맥 |
2. 분류
우랄어족은 크게 사모예드어파와 핀우그르어파로 나뉜다. 20세기 들어 여러 문제점이 지적되면서 보편적으로 받아들여지지는 않고 있으나, 명확히 동떨어진 사모예드어파를 제외한 언어들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은 전통적 구분이 흔히 사용되기도 한다.[1]
마리어
모르도바어
- ** 핀-사미어
사미어
핀어
각 어군의 계통 관계에 대한 합의는 이루어지지 않았지만, 핀페름어군, 핀사미어군과 같은 계통 관계 가설이 있다.
2. 1. 사모예드어파
툰드라 네네츠어
숲 네네츠어
2. 2. 핀우그르어파
- 사모예드어파 - SN: 북부 사모예드어군, SS: 남부 사모예드어군
- 핀우고르어파 - FU: 우고르어군, FP: 페름어군, FW: 볼가-핀어군, FS: 사미어, FO: 발트-핀어군
- (J: 유카기르어)
핀우고르어파는 우랄어족의 한 어파이다.
- 우고르어군
- * 오비우고르어군
- ** 한티어 - 구칭 오스차크어
- ** 만시어 - 구칭 보굴어
- * 헝가리어 - 마자르어라고도 불린다.
- 페름어군
- * 우드무르트어 - 과거 보차크어라고 불렸다.
- * 코미어 - 과거 지리옌어라고 불렸다.
- ** 코미-페르미악어
- ** 코미-요드작어
- ** 코미-지리옌어
- 핀볼가어군
- * 마리어 - 과거 체레미스어라고 불렸다.
- * 모르도바어
- ** 에르자어
- ** 목샤어
- 사미어 - 랩어라고도 불린다.
- 발트-핀어군 - 발트 해안, 핀란드 만, 리가 만에서 사용된다. 핀어군이라고도 한다.
- * 핀란드어 - 수오미어라고도 한다.
- * 에스토니아어
- * 카렐리어
- * 베프스어
- * 잉그리아어
- * 보트어
- * 리보니아어
2. 3. 기타
메리야어, 무롬어, 메슈체라어는 16세기까지 존재했던 것으로 추정된다.3. 특징
우랄어족 언어들은 다음과 같은 유형론적 특징을 공유하는 경향이 있다.[104]
특징 | 사모예드어파 | 오브우그르어파 | 헝가리어 | 페름어파 | 마리어 | 모르도바어파 | 핀어파 | 사미어파 |
---|---|---|---|---|---|---|---|---|
구개음화 | + | + | + | + | − | + | − | + |
자음의 장단 | − | − | + | − | − | − | + | + |
자음 단계 교체 | −1 | − | − | − | − | − | + | + |
모음 조화 | −2 | −2 | + | − | + | + | + | − |
문법적 모음 교체 (아블라우트나 움라우트) | + | + | − | − | − | − | −3 | + |
쌍수 | + | + | − | − | − | − | − | + |
내부와 외부 장소격 구분 | − | − | + | + | + | + | + | − |
한정 굴절 (동사로 한정성 표현) | + | + | + | − | − | + | − | − |
수동태 | − | + | + | − | − | + | + | + |
부정 동사 | + | − | − | + | + | ± | + | + |
SVO형 어순 | − | − | − | ±4 | − | + | + | + |
주석:
# 응아나산어에만 명확히 존재
# 시베리아의 우랄어족 언어에서 모음조화는 소수 고언어형에만 존재(응아나산어, 남부 만시어, 동부 한티어)
# 리보니아어에 움라우트 현상이 절대다수 존재
# 코미어에는 있으나 우드무르트어에는 부재
세계인권선언 제1조를 주요 우랄어족 언어들로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87][88]
- 핀란드어: Kaikki ihmiset syntyvät vapaina ja tasavertaisina arvoltaan ja oikeuksiltaan. Heille on annettu järki ja omatunto, ja heidän on toimittava toisiaan kohtaan veljeyden hengessä.fi
- 에스토니아어: Kõik inimesed sünnivad vabadena ja võrdsetena oma väärikuselt ja õigustelt. Neile on antud mõistus ja südametunnistus ja nende suhtumist üksteisesse peab kandma vendluse vaim.et
- 북사미어: Buot olbmot leat riegádan friddjan ja olmmošárvvu ja olmmošvuoigatvuođaid dáfus. Sii leat jierbmalaš olbmot geain lea oamedovdu ja sii gálggaše leat dego vieljačagat.se
- 에르지아어: Весе ломантне чачить олякс ды правасост весе вейкетекс. Сынст улить превест-чарьксчист ды визькстэ чарькодемаст, вейке-вейкень коряс прясь тенст ветяма братонь ёжо марто.|Veśe lomańt́ne čačit́ oĺaks di pravasost veśe vejket́eks. Sinst uĺit́ pŕevest-čaŕksčist di viźkste čaŕkod́emast, vejke-vejkeń koŕas pŕaś t́eń vet́ama bratoń jožo marto.myv
- 코미-페르먄크어: Быдӧс отирыс чужӧны вольнӧйезӧн да ӧткоддезӧн достоинствоын да правоэзын. Нылӧ сетӧм мывкыд да совесть овны ӧтамӧдныскӧт кыдз воннэзлӧ.|Bydös oťirys ćužöny voľnöjjezön da ötkoďďezön dostoinstvoyn da pravoezyn. Nylö śetöm myvkyd da sovesť ovny ötamödnysköt kydź vonnezlö.koi
- 헝가리어: Minden emberi lény szabadon születik és egyenlő méltósága és joga van. Az emberek, ésszel és lelkiismerettel bírván, egymással szemben testvéri szellemben kell hogy viseltessenek.hu
하지만, 어떤 언어도 우랄어족의 유형론적 특징을 모두 가지고 있지는 않다.
3. 1. 문법
우랄어족에 속하는 언어들은 몇 가지 공통적인 문법 특징을 보인다.- 교착어적 성격: 접미사를 사용하여 문법적 기능을 나타낸다.
- 풍부한 격 체계: 평균 13~14개의 문법적 격을 가지며, 일부 언어(코미어 방언)에서는 최대 27개까지 나타난다. 우랄조어는 6개의 격으로 재구된다.
언어 | 격 개수 |
---|---|
에르자어 | 12개 |
에스토니아어 | 14개 (수단격 포함 15개) |
핀란드어 | 15개 |
헝가리어 | 18개 (유사 격접미사까지 합하면 34개) |
이나리 사미어 | 9개 |
코미어 | 일부 방언에서 최대 27개 |
목샤어 | 13개 |
네네츠어 | 7개 |
북부 사미어 | 6개 |
우드무르트어 | 16개 |
벱스어 | 24개 |
- 격 체계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보인다.
- * 주격 단수는 표시가 없다.
- * 대격과 속격 접미사는 비음(-n, -m 등)을 포함한다.
- * 장소격은 '-에서'(탈격), '-로'(향격), '-에'(처격)의 세 가지 형태로 나타난다. (헝가리어, 핀란드어, 에스토니아어에서 두드러짐)
- * 우랄어의 장소격 접미사는 여러 우랄어족 언어에서 다양한 격으로 존재한다. (헝가리어 상격(superessive), 핀란드어 양격(essive; -na), 북부 사미어 양격, 에르자어 내격, 네네츠어 장소격)
- * 우랄어의 향격 접미사는 여러 우랄어족 언어에서 다양한 격으로 존재한다.(헝가리어 입격(illative), 핀란드어 향격(lative; ulos '밖으로'나 rannemmas '바닷가/물가 쪽으로 더 가까이'의 -s), 에르자어 입격, 코미어 근접격, 북부 사미어 장소격)
- 문법적 성 부재: 3인칭 대명사를 포함하여 문법적 성 구분이 없다. (핀란드어 hän, 보트어 tämä, 에스토니아어 tema, 코미어 sijə 헝가리어 ő)
- 부정 동사: 대부분의 우랄어족 언어에 존재한다. (헝가리어는 예외)
- 후치사 사용: 전치사는 드물게 사용된다.
- 소유 접미사: 일부 언어에서는 소유 표현에 속격도 사용한다. ('나의 개': 에스토니아어 mu koer, 구어체 핀란드어 mun koira, 북부 사미어 mu beana)
- 쌍수: 사모예드어파, 오브우그르어파, 사미어파에 존재하며, 우랄조어에서도 재구된다.
- 복수 표지: -j (i)와 -t (-d, -q)는 같은 기원을 가진다. (핀란드어, 에스토니아어, 버로어, 에르자어, 사미어파, 사모예드어파; 헝가리어는 소유 접미사 앞에서 -i-가 오고 나머지 경우에는 -k를 쓴다.)
- 소유 표현: 소유주는 처소격이나 여격을 취하고, 계사("be" 동사)가 사용되며, 피소유물은 소유 접사가 선택적으로 붙는다. (핀란드어: 처소격, 헝가리어: 여격)
- 수사: 수사가 들어가는 표현은 단수형을 사용한다. (헝가리어: "négy csomó", 북부 사미어: "njeallje čuolmma", 에스토니아어: "neli sõlme", 핀란드어: "neljä solmua" - '네 개의 매듭', 명사는 모두 단수 형태)
우랄어족 언어들의 유형론적 특징은 다음과 같다.[57]
특징 | 사모예드어파 | 오브-우그르어파 | 헝가리어 | 페르미어파 | 마리어 | 모르도바어 | 핀란드어파 | 사미어 |
---|---|---|---|---|---|---|---|---|
구개음화 | + | + | + | + | − | + | − | + |
자음 길이 | − | − | + | − | − | − | + | + |
자음 축약 | −1 | − | − | − | − | − | + | + |
모음조화 | −2 | −2 | + | − | + | + | +3 | − |
문법적 모음 변화 (음절변화 또는 음절변화) | + | + | − | − | − | − | −4 | + |
이중수 | + | + | − | − | − | − | − | + |
내적 및 외적 조격의 구분 | − | − | + | + | + | + | + | − |
결정적 굴절 (정관사)의 동사 표지 | + | + | + | − | − | + | − | − |
수동태 | − | + | + | − | − | + | + | + |
부정 동사 | + | − | − | + | + | ± | + | + |
SVO 어순 | − | − | − | ±5 | − | + | + | + |
세계인권선언 제1조를 주요 우랄어족 언어들로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87][88]
- 핀란드어: Kaikki ihmiset syntyvät vapaina ja tasavertaisina arvoltaan ja oikeuksiltaan. Heille on annettu järki ja omatunto, ja heidän on toimittava toisiaan kohtaan veljeyden hengessä.fi
- 에스토니아어: Kõik inimesed sünnivad vabadena ja võrdsetena oma väärikuselt ja õigustelt. Neile on antud mõistus ja südametunnistus ja nende suhtumist üksteisesse peab kandma vendluse vaim.et
- 북사미어: Buot olbmot leat riegádan friddjan ja olmmošárvvu ja olmmošvuoigatvuođaid dáfus. Sii leat jierbmalaš olbmot geain lea oamedovdu ja sii gálggaše leat dego vieljačagat.se
- 에르지아어: Весе ломантне чачить олякс ды правасост весе вейкетекс. Сынст улить превест-чарьксчист ды визькстэ чарькодемаст, вейке-вейкень коряс прясь тенст ветяма братонь ёжо марто.|Veśe lomańt́ne čačit́ oĺaks di pravasost veśe vejket́eks. Sinst uĺit́ pŕevest-čaŕksčist di viźkste čaŕkod́emast, vejke-vejkeń koŕas pŕaś t́eń vet́ama bratoń jožo marto.myv
- 코미-페르먄크어: Быдӧс отирыс чужӧны вольнӧйезӧн да ӧткоддезӧн достоинствоын да правоэзын. Нылӧ сетӧм мывкыд да совесть овны ӧтамӧдныскӧт кыдз воннэзлӧ.|Bydös oťirys ćužöny voľnöjjezön da ötkoďďezön dostoinstvoyn da pravoezyn. Nylö śetöm myvkyd da sovesť ovny ötamödnysköt kydź vonnezlö.koi
- 헝가리어: Minden emberi lény szabadon születik és egyenlő méltósága és joga van. Az emberek, ésszel és lelkiismerettel bírván, egymással szemben testvéri szellemben kell hogy viseltessenek.hu
3. 2. 음운론
모음조화는 많은 우랄어족 언어에 존재하지만 전부는 아니다. 헝가리어와 핀어파의 여러 언어에 존재하며, 모르도바어파, 마리어, 동부 한티어, 사모예드어파 등의 다른 언어에도 어느 정도 존재한다.[102][103] 사미어파, 페름어파, 표준 에스토니아어에는 없으며, 버로어와 남부 에스토니아어에는 존재한다.[102][103]모음 음소의 수가 많은 것도 특징이다. 예를 들어 셀쿱어 방언들은 단순모음이 20가지 이상 있고, 에스토니아어는 이중모음이 20가지 이상 있다.
자음의 구개음화는 헝가리어를 포함한 일부 사미어파 언어들에 나타난다. 원래 우랄어의 구개음화는 우랄조어에서부터 음소적이었고 후행하는 모음과는 관련이 없었다. 핀어파는 구개음화를 상실했지만, 동부의 언어들은 후행 모음에 의해 구개음화를 재획득했다.[102][103]
음운론적으로 변별적인 성조는 존재하지 않는다.
많은 우랄어족 언어들에서 강세는 항상 첫 음절에 오지만, 응아나산어는 기본적으로 뒤에서 두 번째 음절에 강세가 오고, 중부 지역의 여러 언어(에르자어, 마리어, 우드무르트어, 코미페르먀크어)는 어휘적인 악센트가 나타난다. 에르자어는 단어의 강세를 통해 문장의 의미에 특별한 뉘앙스를 준다.
다음은 우랄어족에 속한 어떤 언어도 이 어족의 이상적인 유형론적 특징을 완벽하게 보여주지는 않는다는 것을 보여주는 표이다.
특징 | 사모예드어파 | 오브-우그르어파 | 헝가리어 | 페르미어파 | 마리어 | 모르도바어 | 핀란드어파 | 사미어 |
---|---|---|---|---|---|---|---|---|
구개음화 | + | + | + | + | − | + | − | + |
자음 길이 | − | − | + | − | − | − | + | + |
자음 축약 | − | − | − | − | − | − | + | + |
모음 조화 | − | − | + | − | + | + | + | − |
문법적 모음 변화 (음절변화 또는 음절변화) | + | + | − | − | − | − | − | + |
이중수 | + | + | − | − | − | − | − | + |
내적 및 외적 조격의 구분 | − | − | + | + | + | + | + | − |
결정적 굴절 (정관사)의 동사 표지 | + | + | + | − | − | + | − | − |
수동태 | − | + | + | − | − | + | + | + |
부정 동사 | + | − | − | + | + | ± | + | + |
SVO 어순 | − | − | − | ± | − | + | + | + |
- 각주
- 응가산어에서만 명확하게 나타남.
- 모음 조화는 시베리아의 우랄어에서 일부 한정적인 고어 방언(응가산어, 남만시어, 동칸트어)에서만 나타남.
- 현대 에스토니아어에서 최근에 사라짐.
- 여러 음절 변화 과정이 리보니아어에서 발견됨.
- 코미어에서는 나타나지만 우드무르트어에서는 나타나지 않음.
우랄어족의 모음조화는 우랄 조어 시대부터 존재했던 것으로 생각된다. 발트 핀어파, 모르도바어파, 헝가리어, 마자르어(Magyar), 가나산어 등에서 나타나며, 대부분은 전설모음과 후설모음의 대립에 의한 “혀의 조화”이다.[91] 모음조화에 관여하지 않는 모음도 존재한다. 모음조화는 접미사나 접두사를 포함한 전체 단어에 걸친다.[92]
3. 3. 어휘론
우랄어족에 속하는 언어들은 기초 어휘에서 약 200여 개를 공유한다. 여기에는 신체 부위(눈, 심장, 머리, 발, 입 등), 친족 관계(아버지, 장모 등), 동물(살무사, 자고새, 물고기 등), 자연물(나무, 돌, 둥지, 물 등), 기초 동사(살다, 떨어지다, 달리다, 만들다, 보다, 빨다, 가다, 죽다, 헤엄치다, 알다 등), 기초 대명사(누구, 무엇, 우리, 너, 나 등), 수사(둘, 다섯 등) 등이 포함되며, 파생을 통해 공통 어휘가 더 늘어난다.[22]수 | 핀우그리아어파 | 사모예드 원어 | ||||||
---|---|---|---|---|---|---|---|---|
핀볼트 원어 | 사미 원어 | 페름 원어 | 모르도바 원어 | 마리 원어 | 우고르 원어 | 핀우그리아 원어 | ||
'1' | *yk-si | *(w)ɘkʰ-tə | *ɵk-ti | *vejk- | *ik-tə | *əgʲ- | *wik-tɨ | *ŋoːpʔ/ *uk- |
'2' | *kak-si | *kuokʰ-tə | *kɨk | *kavto | *kok-tə | *ket- | *kek-tɨ | *sid- |
'3' | *kolme | *kolˠm | *kujim | *kolma | *kom- | *qoːləm | *koləm | *nagur |
'4' | *nʲelja | *nʲelje | *nʲɨlʲ- | *nʲilʲa | *nɘl- | *nʲel- | *ńeljä | *tʲet- |
'5' | *viisi | *vɨtʰ-tə | *vit- | *vetʲæ | *βiʦ- | *wet | *wit-tɨ | *somplaŋk |
'6' | *kuuzi | *kutʰ-tə | *kwatʲ | *koto | *kud- | *qot | *kwaðʲ-tɨ | *motuq |
'7' | *seiʦemæn | *kieʧʲəm | *sʲizʲɨm | *sʲizʲem | *ʃɘm- | *sæːt | *śećɨm | *seqw |
'8' | *kah-(dekʃan) | *kakʰ(-ʦɛ) | *kɨk-jamɨs | *kav-kso | *kan-(dekʃ) | *nʲol- | 2x4 | |
'9' | *yh-(dekʃan) | *(w)ɘkʰ(-ʦɛ) | *ɵk-mɨs | *vej-kse | *(ɘn-dekʃ) | 10-1 | 10-1 | *10-1 |
'10' | *kymmenæn | *lɔːkʲe | (*das) | *kemenʲ | *lu | *low? | *loki | *juq? |
영어 | 우랄 조어 | 핀란드어 | 이나리 사미어 | 에르자어 | 마리어(Meadow) | 코미어 | 우드무르트어 | 헝가리어 | 만시어(북부) | 헌티어(Kazym) | 네네츠어(툰드라) |
---|---|---|---|---|---|---|---|---|---|---|---|
fire | *tuli | tuli (tule-) | tulla | tol | tul | tyl- | tyl | – | – | – | tuu |
water | *weti | vesi (vete-) | – | ved´ | wüt | va | vu | víz | wit | – | jiʔ |
ice | *jäŋi | jää | jieŋa | ej | i | ji | jə | jég | jaaŋk | jeŋk | – |
fish | *kala | kala | kyeli | kal | kol | – | – | hal | xuul | xŭɬ | xalʲa |
nest | *pesä | pesä | peesi | pize | pəžaš | poz | puz | fészek | pitʲi | – | pʲidʲa |
hand, arm | *käti | käsi (käte-) | kieta | ked´ | kit | ki | ki | kéz | kaat | – | – |
eye | *śilmä | silmä | čalme | śeĺme | šinča | śin | śin, śinm- | szem | sam | sem | sæwə |
fathom | *süli | syli (syle-) | solla | seĺ | šülö | syl | sul | öl(el) | tal | ɬăɬ | tʲíbʲa |
vein / sinew | *sï(x)ni | suoni (suone-) | suona | san | šün | sən | sən | ín | taan | ɬɔn | teʔ |
bone | *luwi | luu | – | lovaža | lu | ly | ly | – | luw | ɬŭw | le |
liver | *mïksa | maksa | – | makso | mokš | mus | mus | máj | maat | mŏxəɬ | mudə |
urine / to urinate | *kunśi | kusi (kuse-) | kužža | – | kəž | kudź | kyź | húgy | xuńś- | xŏs- | – |
to go | *meni- | mennä (men-) | moonnađ | – | mija- | mun- | myn- | menni | men- | măn- | mʲin- |
to live | *elä- | elää (elä-) | eelliđ | – | ila- | ol- | ul- | él- | – | – | jilʲe- |
to die | *ka(x)li- | kuolla (kuol-) | – | kulo- | kola- | kul- | kul- | hal- | xool- | xăɬ- | xa- |
to wash | *mośki- | – | – | muśke- | muška- | myśky- | myśk- | mos- | – | – | masø- |
3. 3. 1. 동근어 예시
한국어 | 우랄조어 | 핀란드어 | 에스토니아어 | 헝가리어 | 네네츠어 |
---|---|---|---|---|---|
불 | *tuli | tuli | tuli | tűz | tuu |
물 | *weti | vesi | vesi | víz | jiʔ |
물고기 | *kala | kala | kala | hal | xalʲa |
눈(신체 부위) | *śilmä | silmä | silm | szem | sæwə |
4. 기원과 역사
우랄어족의 기원과 관련해서는 여러 학설이 존재한다.
언어학적 지식으로는 사모예드 조어와 핀-우그르 조어의 분기 시기는 기원전 4000년경으로 추정된다.[93]
분자 인류학적 지식으로는 우랄어족 화자와 관련된 유전자로 Y염색체 하플로그룹 N이 있다. 하플로그룹 N은 동아시아 기원으로 여겨지며,[94] 대부분의 우랄계 민족에서 고빈도로 관찰된다. 중국 동북부의 요하문명 시대 인골에서 Y염색체 하플로그룹 N이 60% 이상의 고빈도로 검출되었고,[95] 핀-우그르계 민족과 관련된 빗살무늬토기의 가장 오래된 것이 요하 지역의 흥륭와 문화(기원전 6200년 - 기원전 5400년) 유적에서 발견되었다는 점[96]을 함께 고려하면, 우랄계 민족과 요하문명의 담당 집단의 관련성이 시사된다.
또한, mtDNA 하플로그룹 Z는 극북 지역을 중심으로 사미인, 핀란드인, 시베리아, 동북아시아, 중앙아시아, 중국, 한국, 일본 등에서 관찰되며,[97] Y염색체 하플로그룹 N과 비슷한 흐름이 예상되고,[98] 우랄어족의 확산과의 관련성을 시사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한국(한반도)에서는 기원전 4000년부터 기원전 1500년에 걸쳐 빗살무늬토기가 발견된다. 더욱이 우랄어족에 널리 보이는 중설모음 [ɨ]가 고대 한국어에 존재했다고 생각되는 것으로부터, 과거 한반도에 우랄계 언어가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또한, 일본의 동해 쪽이나 도호쿠 지방에서 관찰되는 중설모음 [ɨ](소위 즈즈벤)에 대해서도, 우랄어족의 음성 특징에 유래하는 가능성이 있다.[99]
4. 1. 기원지
원시 우랄어족의 추정 고향은 다음과 같다.- 우랄 산맥 서쪽, 볼가 강 주변, 인도유럽어족의 어원 지역(Urheimat)과 가까운 곳, 또는 우랄 산맥 동쪽과 남동쪽. 역사학자 라슬로 죄뇬(Gyula László)는 오카 강과 중부 폴란드 사이의 삼림 지대에 그 기원을 두었다고 본다. E. N. 세텔래(Setälä)와 M. 지라이(Zsirai)는 볼가 강과 카마 강 사이에 그 기원을 두었다고 본다. E. 이트코넨(Itkonen)에 따르면, 원시 우랄어족의 조상 지역은 발트 해까지 확장되었다고 한다.[8]
- 하이두 페테르(Péter Hajdú)는 서시베리아와 북서 시베리아를 고향으로 추정했다.[9][10]
- 유하 야누넨(Juha Janhunen)은 중앙 시베리아의 오브 강과 예니세이 강 유역 사이를 고향으로 추정한다.[41]
- 그룬탈(Grünthal), 헤이드(Heyd), 홀로파이넨(Holopainen), 야누넨(Janhunen) 등을 포함한 학자 그룹은 언어학적, 고기후학적, 고고학적 자료를 사용하여, 유하 야누넨(Juha Janhunen)을 포함한 연구에서 원시 우랄어족의 고향을 우랄 산맥 동쪽, 특히 미누신스크 분지 부근의 시베리아로 추정하며 볼가/카마 지역을 고향으로 보는 것을 반박했다. 그들은 또한 우랄어족의 여러 특징들이 "서유라시아에서는 독특하며... 전체적으로 동쪽을 향하는 형태론적 특성은 동북 아시아, 시베리아 또는 북태평양 연안에 잘 맞는다"고 지적했다.[11]
- 우랄어족 사용자들은 세이마-투르비노 문화 경로를 통해 서쪽으로 퍼져나갔을 가능성이 있다.[12]
4. 2. 우랄어족 연구사
초기 기록은 타키투스의 『게르마니아』(서기 98년경)에서 찾을 수 있는데, 여기에는 페니(Fenni, 일반적으로 사미족을 가리키는 것으로 해석됨)와 스칸디나비아 최북단에 거주하던 우랄어족 부족이 언급되어 있다.[13]15세기 후반, 유럽 학자들은 우랄 산맥 동쪽의 정착지 이름인 '헝가리아(Hungaria)'와 '유그라(Yugra, Yugria)'의 유사성을 발견하고 연관성을 추측했지만, 언어적 증거를 찾지는 못했다.[14]

17세기 후반, 헝가리어와 핀란드어의 유사성이 처음으로 제기되었다. 1717년, 올로프 루드베크는 핀란드어와 헝가리어를 연결하는 약 100개의 어원을 제안했는데, 그중 약 40개는 여전히 유효한 것으로 간주된다.[33]
1730년, 필립 요한 폰 슈트라렌베르크는 그의 저서 Das Nord- und Ostliche Theil von Europa und Asiade(''유럽과 아시아의 북동부 지역'')를 출판하여 러시아의 지리, 사람들, 언어를 조사했는데, 우랄어족의 주요 그룹은 모두 여기에서 확인되었다. 1770년, 야노시 사이노비치는 막시밀리안 헬과 함께 헝가리어와 사미어의 관계를 조사하여 여러 문법적 특징을 바탕으로 관계를 주장하는 결과를 발표했다. 1799년, 헝가리의 사무엘 겨르마티는 그 당시까지 가장 완벽한 핀우그리아어 연구 논문을 발표했다.
19세기에는 안데르스 요한 셰그렌이 베프스인을 일반적으로 알려지게 했고 핀란드어와 코미어의 관련성을 자세히 설명했다. 1840년대에 마티아스 카스트렌 (1813–1852)과 안탈 레굴리 (1819–1858)가 수행한 현장 조사는 훨씬 더 광범위했는데, 그들은 각각 사모예드어와 옵어파에 중점을 두었다. 레굴리의 자료는 헝가리 언어학자와 독일의 요제프 부덴츠 (1836–1892)가 연구했는데, 그들은 모두 헝가리어의 우랄어족 친족 관계를 지지했다. 부덴츠는 이 결과를 헝가리에서 대중의 인식에 처음으로 알리고 원시 핀우그리아어 문법과 어휘를 재구성하려고 시도한 첫 번째 학자였다. 19세기 후반의 또 다른 헝가리 기여는 1890년대에 핀우그리아어와 사모예드어의 광범위한 비교 자료를 발표했고,[16][17][18][19] 그의 연구는 오늘날 사모예드어를 우랄어족의 일부로 포함하는 것을 널리 받아들이는 기초가 되었다.[20] 한편, 자치령인 핀란드 대공국에서는 1850년 헬싱키 대학교에 핀란드어 및 언어학 교수직이 신설되었고, 첫 번째 교수는 카스트렌이었다.
1883년, 핀우그리아 학회는 오토 도너의 제안에 따라 헬싱키에서 설립되었고, 이는 헬싱키가 우랄어족 연구의 주요 북부 중심지로서 상트페테르부르크를 대체하는 결과를 가져왔다.
5. 다른 어족과의 관계
우랄어족과 다른 어족 간의 관계에 대해서는 여러 가설이 제기되었지만, 언어학자들 사이에서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는 것은 없다. 이러한 가설들은 현재 우랄어 연구에서 소수 의견에 불과하다.[58]
- 우랄-유카기르어족: 유카기르어족과의 유사성은 고대 접촉의 결과로 보는 것이 일반적이다.[58]
- 에스키모-우랄어족: 에스키모-알류트어족과의 관련성을 주장하는 오래된 가설이다.[59]
- 우랄-시베리아어족: 유카기르어족, 추코트카-캄차카어족, 에스키모-알류트어족을 포함한다.[60]
- 우랄알타이어족: 알타이어족과의 관계는 과거에 널리 받아들여졌으나, 현재는 언어 접촉이나 우연의 일치로 설명되는 경우가 많다.[62]
- 인도-우랄어족: 인도유럽어족과의 가까운 관계를 주장한다.
- 우랄드라비다어족: 드라비다어족과의 유사성은 과거 장기간의 접촉을 시사한다는 가설이 제기되었으나, 일부 학자들은 이 가설을 배척한다.[63]
- 노스트라트어족: 인도유럽어족, 알타이어족, 드라비다어족, 아프로아시아어족 등을 포함하는 대어족 가설이다.[71]
- 유라시아어족: 인도유럽어족, 알타이어족 외에도 추코트카-캄차카어족, 니브흐어, 아이누어족, 에스키모-알류트어족을 포함한다.[72]
5. 1. 우랄유카기르어족
우랄-유카기르어족 가설은 우랄어족과 유카기르어족을 단일 어족으로 보는 가설이다. 현재 우랄어족과 유카기르어족의 유사성은 고대의 접촉 때문이라는 것이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다.[58] 이 가설은 소수의 언어학자들이 지지하고 있으며, 다수의 언어학자들에게 매력적인 가설로 여겨지고 있다.유카기르어와 우랄어족은 인칭대명사 등이 명백히 동계어이며, 부정동사가 존재하는 등 유형적 특징도 유사하여 우랄-유카기르어족으로 묶는다는 설이 유력하다. 유카기르인은 과거 서쪽으로 바이칼호까지 분포했다고 알려져 있으며, 요하와 몽골 부근에서 우랄어족과 분기하여 동쪽으로 이동했을 것으로 추측된다. Y염색체 하플로그룹 N이 유카기르인에게서도 31% 관찰된다는 점[100]에서 유전적 측면에서도 두 언어의 동원성이 시사된다.
5. 2. 에스키모우랄어족
에스키모-우랄어족 가설은 우랄어족과 에스키모-알류트어족을 관련짓는 가설이다. 이 가설은 18세기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오래된 가설이다. 베르그슬란드 (1959)는 이 가설을 재검토하였다.[59]5. 3. 우랄시베리아어족
우랄-시베리아어족은 에스키모-우랄어족 가설의 확장된 형태이다. 이는 우랄어족을 유카기르어족, 추코트카-캄차카어족, 에스키모-알류트어족과 연결짓는다. 이 가설은 1998년 마이클 포테스큐에 의해 제시되었다.[60] 마이클 포테스큐는 2017년에 우랄어족과 다른 시베리아 고대어족 간의 연관성을 지지하는 새로운 증거를 제시했다.[61]5. 4. 우랄알타이어족
우랄어족과 알타이어족의 밀접한 관계를 제시하는 이론들은 과거에 널리 받아들여졌다. 어휘뿐 아니라 문법적 및 음운론적 특징, 특히 우랄어족과 알타이어족의 인칭대명사 유사성, 그리고 두 어족 모두에서 나타나는 교착어 현상과 일부에서 나타나는 모음조화 등의 유사성에 기초한 것이다. 예를 들어, "언어"를 뜻하는 단어는 에스토니아어(''keel'')와 몽골어(''хэл'' (''hel''))에서 유사하다. 그러나 이러한 이론들은 현재 대체로 받아들여지지 않고 있으며,[62] 대부분의 유사성은 언어 접촉이나 우연의 일치로 설명된다.우랄알타이어족을 형성한다는 설이 오래전부터 있었으나, 어족으로서의 조건을 충족하지 않아 현재는 기각되었다. 화자의 관점에서도 알타이어족은 Y염색체 하플로그룹 C2, 우랄어족은 Y염색체 하플로그룹 N으로 다르다. 그러나 우랄어족과 알타이어족의 유형적 유사성은 매우 크며, 아마도 알타이 산맥 부근에 분포했던 원 알타이어가 요하 방면에서 확산해 온 우랄어족을 상층 언어로 혼합하여, 우랄어족의 유형적 특징을 가진 현재의 알타이어가 형성된 것으로 보인다.
5. 5. 인도우랄어족
인도-우랄어족(또는 "인도-유랄어족") 가설은 우랄어족과 인도유럽어족이 상당히 가까운 관계이거나, 더 나아가 다른 어떤 어족보다 서로 더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고 주장한다.인도유럽어족과의 동계설은 일부 형태소의 뚜렷한 일치로 인해 제기되었다. 그러나 인도유럽어족의 원향은 흑해 북쪽 해안으로, 두 어족이 같은 기원을 가진다고 보기는 어렵다. 쿠르간 가설에 따르면 고대에 인도유럽조어족이 북방 삼림 지대의 우랄계 민족과 활발하게 교류했으며, 인도유럽어족의 성립 과정에서 우랄어족과의 접촉으로 언어 혼합이 일어났을 것으로 추정된다. 핀-우고르어파에서 인도유럽어족과의 형태소 유사성이 사모예드어나 유카기르어에서보다 높은 것은 인도유럽조어와의 접촉이 핀-우고르어파에 국한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5. 6. 우랄드라비다어족
드라비다어군이 우랄어족과 유사성을 보이며 과거 장기간의 접촉을 시사한다는 가설[63]은 로버트 캘드웰[64], 토머스 버로우[65], 카밀 즈벨레빌[66], 미하일 안드로노프[67] 등 여러 학자들의 지지를 받고 있다. 그러나 이 가설은 일부 우랄어 전문가들에 의해 배척되었으며,[68] 최근에는 Bhadriraju Krishnamurti[69]와 같은 다른 드라비다어 언어학자들에 의해서도 비판받고 있다.[70]5. 7. 노스트라트어족
노스트라트어족은 우랄어족, 인도유럽어족, 알타이어족, 드라비다어족, 아프로아시아어족 등 여러 어족을 연결하는 가설이다. 홀거 페데르센이 1903년에 처음 제기했으며,[71] 1960년대에 블라디슬라프 일리치-스비티치와 아하론 돌고폴스키가 이 가설을 다시 발전시켰다.5. 8. 유라시아어족
우랄알타이어족은 우랄어족, 인도유럽어족, 알타이어족을 포함하는 점에서 노스트라틱어족과 유사하지만, 남캅카스어족, 드라비다어족, 아프로아시아어족을 제외하고 추코트카-캄차카어족, 니브흐어, 아이누어족, 에스키모-알류트어족을 포함하는 점에서 다르다. 이 가설은 조셉 그린버그에 의해 2000년에서 2002년 사이에 제기되었다.[72][73] 1933년 하인리히 코펠만(Heinrich Koppelmann)과 1965년 비외른 콜린더(Björn Collinder)에 의해 비슷한 아이디어가 이전에 제시되었다.[74][75]6. 한국어와의 관련성 (가설)
한반도 빗살무늬토기 유적(기원전 4000년~1500년)은 우랄계 민족과의 관련성을 시사한다. 고대 한국어에 중설모음 [ɨ]가 존재했을 가능성은 우랄어족의 영향일 수 있다. 일본 동해 및 도호쿠 지방의 중설모음 [ɨ](즈즈벤) 역시 우랄어족 음성 특징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1]
약 200개의 기본 어휘는 다음과 같다.
신체 부위 | 가족 구성원 | 동물 | 자연물 | 기본 동사 | 기본 대명사 | 숫자 |
---|---|---|---|---|---|---|
눈, 심장, 머리, 발, 입 | 아버지, 시어머니 | 살모사, 꿩, 물고기 | 나무, 돌, 둥지, 물 | 살다, 떨어지다, 달리다, 만들다, 보다, 빨다, 가다, 죽다, 헤엄치다, 알다 | 누구, 무엇, 우리, 너희, 나 | 둘, 다섯 |
참조
[1]
논문
Best practices for spatial language data harmonization, sharing and map creation—A case study of Uralic
2022-06-08
[2]
논문
Geographical database of the Uralic languages
2021-05-25
[3]
웹사이트
Uralic
https://www.ethnolog[...]
2024-01-22
[4]
서적
Asia Polyglotta
https://hdl.handle.n[...]
A. Schubart
[5]
서적
Finnisch-ugrische Sprachforschung von der Renaissance bis zum Neupositivismus
https://www.sgr.fi/s[...]
Suomalais-Ugrilainen Seura
[6]
논문
The Uralic Languages
https://www.persee.f[...]
2012
[7]
서적
Mood in the Languages of Europe
John Benjamins Publishing Company
[8]
블로그
On the homeland of the Uralic language family
http://anthropogenes[...]
2019-03-21
[9]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Early Inner Asia
Cambridge University Press
[10]
서적
Finno-Ugrian Languages and Peoples
http://archive.org/d[...]
Deutsch
[11]
논문
Drastic demographic events triggered the Uralic spread
2022-08-29
[12]
논문
Integrating linguistic, archaeological and genetic perspectives unfold the origin of Ugrians
2023-07
[13]
서적
Germania
Clarendon Press
[14]
서적
Portrait Of Linguists
https://books.google[...]
Bloomsbury Publishing
2002-08-15
[15]
서적
A Guide to the World's Languages
Stanford University Press
[16]
논문
Az ugor-szamojéd nyelvrokonság kérdése
http://www.nytud.hu/[...]
[17]
논문
Az ugor-szamojéd nyelvrokonság kérdése II
http://www.nytud.hu/[...]
[18]
논문
Az ugor-szamojéd nyelvrokonság kérdése III
http://www.nytud.hu/[...]
[19]
논문
Az ugor-szamojéd nyelvrokonság kérdése IV
http://www.nytud.hu/[...]
[20]
논문
Die Erforschung der Verhältnisses Finnougrisch–Samojedisch
[21]
웹사이트
Lexica Societatis Fenno-Ugricae XXXV
http://www.sgr.fi/le[...]
[22]
문서
Russian figures from the 2010 census. Others from EU 2012 figures or others of comparable date.
[23]
웹사이트
Uralic (Finno-Ugrian) languages
https://web.archive.[...]
2019-01-10
[24]
서적
The Slavicization of the Russian North (Slavica Helsingiensia 27)
Department of Slavonic and Baltic Languages and Literatures
[25]
서적
The Uralic Language Family: Facts, Myths and Statistics
Blackwell
[26]
웹사이트
Problems in the taxonomy of the Uralic languages in the light of modern comparative studies
http://www.helsinki.[...]
2002
[27]
서적
Die gegenseitige Verwandtschaft der Finnisch-ugrischen sprachen
[28]
서적
Finnisch-ugrische Sprachwissenschaft
G. J. Göschen'sche Verlagshandlung
[29]
서적
Suomensukuiset kansat
Tietosanakirjaosakeyhtiö
[30]
서적
Suomen suku
Otava
[31]
서적
Finnugor népek és nyelvek
[32]
서적
Finno-Ugric Languages and Peoples
André Deutch Ltd.
[33]
서적
An Introduction to the Uralic language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34]
서적
Suomalais-ugrilaisen kielen- ja historiantutkimuksen alalta
Suomalaisen kirjallisuuden seura
[35]
백과사전
[36]
서적
Classification and Index of the World's Languages
https://archive.org/[...]
Elsevier
[37]
서적
Ennen, muinoin. Miten menneisyyttämme tutkitaan
Suomalaisen Kirjallisuuden Seura
[38]
논문
Kantauralin murteutuminen vokaalivastaavuuksien valossa
http://urn.fi/URN:NB[...]
Helsingin yliopiston Suomalais-ugrilainen laitos
[39]
서적
Kielen vuosituhannet
Suomalaisen Kirjallisuuden Seura
[40]
서적
Encyclopedia of the world's endangered languages
https://archive.org/[...]
Routlegde
[41]
서적
The Quasquicentennial of the Finno-Ugrian Society
Société Finno-Ougrienne
[42]
논문
Wäre es schon an der Zeit, den Stammbaum zu fällen?
[43]
논문
Kantauralin ajoitus ja paikannus: perustelut puntarissa
http://www.sgr.fi/su[...]
[44]
서적
Mordvalaiskielten rakenne ja kehitys
Suomalais-Ugrilainen Seura
[45]
논문
The Classification of the Uralic Languages: Lexical Evidence from Finno-Ugric
[46]
논문
Keelesugulus ja soome-ugri keelepuu
[47]
논문
Finnic Affinity
[48]
서적
The Uralic Languages: Description, History and Foreign Influences
https://archive.org/[...]
E.J. Brill
[49]
저널
Proto-Uralic gradation: Continuation and traces
https://web.archive.[...]
2012-02-24
[50]
저널
Cultural and climatic changes shape the evolutionary history of the Uralic languages
[51]
웹사이트
Livonian pronouns
http://virtuallivoni[...]
2020-02-08
[52]
서적
Uralic Languages
Oxford University Press
[53]
웹사이트
Estonian Language
https://web.archive.[...]
Estonian Institute
2013-04-16
[54]
웹사이트
Kihnu murraku vokaalidest
http://www.murre.ut.[...]
University of Tartu
[55]
뉴스
The Finno-Ugrics: The dying fish swims in water
http://www.economist[...]
2006-01-06
[56]
웹사이트
The Udmurtian code: saving Finno-Ugric in Russia
http://itre.cis.upen[...]
2005-12-26
[57]
저널
Arealógia és urálisztika
http://archive.nytud[...]
[58]
저널
Zu den uralisch-jukagirischen Sprachkontakten
[59]
저널
The Eskimo-Uralic hypothesis
1959
[60]
서적
Language Relations Across Bering Strait: Reappraising the Archaeological and Linguistic Evidence
Cassell
[61]
웹사이트
Correlating Palaeo-Siberian languages and populations: Recent advances in the Uralo-Siberian hypothesis
https://www.research[...]
2019-03-22
[62]
저널
Telling general linguists about Altaic
https://www.research[...]
1999-03
[63]
저널
Dravidian and Uralian: The lexical evidence
[64]
저널
Evidences of the Scythian Affinities of the Dravidian Languages, Condensed and Arranged from Rev. R. Caldwell's Comparative Dravidian Grammar
[65]
저널
Dravidian Studies IV: The body in Dravidian and Uralian
[66]
백과사전
[67]
학회
Comparative studies on the nature of Dravidian-Uralian parallels: A peep into the prehistory of language families
[68]
서적
Comparative Dravidian Phonology
Mouton
[69]
서적
The Dravidian Languages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70]
백과사전
Routledge
[71]
논문
Türkische Lautgesetze
1903
[72]
서적
Indo-European and Its Closest Relatives: The Eurasiatic Language Family
Stanford University Press
[73]
서적
Indo-European and Its Closest Relatives: The Eurasiatic Language Family
Stanford University Press
[74]
서적
Die Eurasische Sprachfamilie: Indogermanisch, Koreanisch und Verwandtes
Carl Winter
[75]
서적
An Introduction to the Uralic Language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76]
서적
The Uralic Language Family: Facts, Myths and Statistics
Blackwell
[77]
논문
Angela Marcantonio, The Uralic Language Family: Facts, Myths and Statistics
[78]
논문
The Uralic Language Family. Facts, Myths and Statistics
https://www.research[...]
[79]
논문
Marcantonio, Angela: The Uralic Language Family. Facts, Myths and Statistics
[80]
논문
The Uralic Language Family: Facts, Myths and Statistics. Angela Marcantonio.
[81]
논문
Myyttejä uralistiikasta. Angela Marcantonio. The Uralic Language Family: Facts, Myths and Statistics
[82]
논문
Sprachwissenschaftliche Spiegelfechterei (Angela Marcantonio: The Uralic language family. Facts, myths and statistics)
https://www.academia[...]
[83]
서적
The History of Basque
Routledge
[84]
서적
Etrusco: Una forma arcaica di ungherese
Il Mulino
[85]
웹사이트
Uralic languages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4-04-10
[86]
논문
Establishing the West-Ugric language family with Minoan, Hattic and Hungarian by a decipherment of Linear A
https://www.academia[...]
2017-01-01
[87]
웹사이트
UN Human Rights
http://www.ohchr.org[...]
2023-02-20
[88]
웹사이트
Article 1 of the UDHR in Uralic languages
http://omniglot.com/[...]
[89]
논문
Мā янытыл о̄лнэ мир мāгыс хансым мāк потыр - Всеобщая декларация прав человека
https://khanty-yasan[...]
2014-09-17
[90]
논문
Хӑннєхә вәԯты щир оԯӑңӑн декларация нєпек - Всеобщая декларация прав человека
https://khanty-yasan[...]
2014-09-17
[91]
서적
ウラル語のはなし
大学書林
[92]
서적
言語学大辞典
[93]
서적
言語学大辞典
[94]
논문
Phylogeography of Y-chromosome haplogroup I reveals distinct domains of prehistric gene flow n Europe
[95]
논문
Y Chromosome analysis of prehistoric human populations in the West Liao River Valley, Northeast China
http://bmcevolbiol.b[...]
[96]
웹사이트
中国北方新石器文化研究の新展開【詳細報告】「東北アジアにおける先史文化の交流」 王 巍(中国社会科学院考古研究所・副所長)
https://web.archive.[...]
[97]
서적
日本人になった祖先たち - DNAから解明するその多元的構造
NHK出版
[98]
서적
DNA・考古・言語の学際研究が示す新・日本列島史
勉誠出版
[99]
서적
新日本人の起源
勉誠出版
[100]
논문
Investigating the Prehistory of Tungusic Peoples of Siberia and the Amur-Ussuri Region with Complete mtDNA Genome Sequences and Y-chromosomal Markers
[101]
서적
Language Relations across Bering Strait: Reappraising the Archaeological and Linguistic Evidence
Cassell
[102]
서적
Uralic Languages
Oxford University Press
[103]
웹인용
Estonian Language
http://www.utlib.ee/[...]
Estonian Institute
2013-04-16
[104]
논문
Arealógia és urálisztika
http://www.nytud.hu/[...]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