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우옌푹미엔미에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응우옌푹미엔미에우는 응우옌 왕조 황족으로, 민망 황제의 56번째 아들이다. 1832년에 태어나 학문을 좋아했으며, 1840년 진정군공(鎭定郡公)에 봉해졌다. 1865년에 35세의 나이로 사망했으며, 시호는 돈의(敦懿)이다. 슬하에 3남 2녀를 두었으며, 장남은 기외후(畿外侯)를 습봉했으나 죄를 지어 작위가 삭탈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32년 출생 - 허드슨 테일러
허드슨 테일러는 중국 내륙 선교회를 설립하고 중국 문화 존중과 믿음 선교 원칙을 통해 51년간 중국 선교에 헌신한 영국의 개신교 선교사이다. - 1832년 출생 - 귀스타브 에펠
프랑스의 토목기사이자 건축가인 귀스타브 에펠은 철골 구조 건축의 선구자로서 에펠탑 건설과 자유의 여신상 내부 구조 설계에 참여했으며, 후기에는 항공학 발전에도 기여했지만 파나마 운하 스캔들에 연루되기도 했다. - 1865년 사망 - 피에르조제프 프루동
피에르조제프 프루동은 19세기 프랑스의 사회주의 사상가이자 무정부주의자로, 사유 재산 제도를 비판하고 노동자 협동조합에 기반한 자유로운 사회를 옹호했으며, 반유대주의와 여성 차별적인 견해로 비판받았다. - 1865년 사망 - 로버트 피츠로이
로버트 피츠로이는 영국의 해군 장교이자 과학자로, 비글호 함장으로서 남아메리카 해안을 탐사하며 찰스 다윈의 진화론 연구에 기여했고, 뉴질랜드 총독을 역임한 후 기상 예보 시스템의 기초를 마련했으나 우울증으로 자살했다.
응우옌푹미엔미에우 | |
---|---|
기본 정보 | |
이름 | 응우옌푹미엔미에우 |
한문 표기 | 阮福綿𡩈 |
음독 | 완복면묘 |
휘 | 미에우(𡩈) |
생애 | |
출생 | 자롱(嘉隆) 19년 9월 13일(1820년 10월 19일) |
사망 | 뜨득(嗣德) 22년 9월 29일(1869년 11월 2일) |
봉작 | 안꾸어이공(安國公) |
자녀 | 3남 3녀 |
가족 관계 | |
아버지 | 민망(明命) 황제 |
어머니 | 궁인(宮人) 쩐티응옥다잉(陳氏玉映) |
형제 | 응우옌푹미엔자오(阮福綿㝑) 응우옌푹미엔찐(阮福綿𡧽) 응우옌푹미엔흐엉(阮福綿香) 응우옌푹미엔찌(阮福綿𡫢) 응우옌푹미엔쭈(阮福綿𡦹) 응우옌푹미엔꼰(阮福綿㫻) 응우옌푹미엔뜨(阮福綿𡧰) 응우옌푹미엔빈(阮福綿𡫖) 응우옌푹미엔짜(阮福綿㝵) 응우옌푹미엔쿠언(阮福綿寬) 응우옌푹미엔박(阮福綿博) 응우옌푹미엔응에(阮福綿𡫯) 응우옌푹미엔다오(阮福綿㝸) 응우옌푹미엔응안(阮福綿𡦬) 응우옌푹미엔꽌(阮福綿 administration) 응우옌푹미엔디엔(阮福綿甸) 응우옌푹미엔쭝(阮福綿𡧾) 응우옌푹미엔화인(阮福綿寴) 응우옌푹미엔또안(阮福綿㝵) 응우옌푹미엔호(阮福綿𡴯) 응우옌푹미엔반(阮福綿𡷬) 응우옌푹미엔퐁(阮福綿丰) 응우옌푹미엔응이(阮福綿宜) 응우옌푹미엔찌에우(阮福綿𡧴) 응우옌푹미엔녓(阮福綿ật) 응우옌푹미엔르엉(阮福綿 lương) 응우옌푹미엔짜익(阮福綿澤) 응우옌푹미엔꾸에(阮福綿茥) 응우옌푹미엔깟(阮福綿葛) 응우옌푹미엔허우(阮福綿厚) 응우옌푹미엔트엉(阮福綿長) 응우옌푹미엔득(阮福綿德) 응우옌푹미엔투언(阮福綿純) 응우옌푹미엔루언(阮福綿惀) 응우옌푹미엔닷(阮福綿 đạt) 응우옌푹미엔찌(阮福綿 trì) 응우옌푹미엔쩨(阮福綿薺) 응우옌푹미엔호앙(阮福綿潢) 응우옌푹미엔디엠(阮福綿恬) 응우옌푹미엔냔(阮福綿姩) 응우옌푹미엔퐁(阮福綿芃) |
기본 정보 | |
이름 | 응우옌푹미엔카우 |
한문 표기 | 阮福綿𡨃 |
음독 | 완복면구 |
2. 생애
민망 12년 음력 12월 1일(1832년 1월 3일) 후에 황성에서 태어났다. 어릴 적부터 학문을 좋아했으며, 민망 21년(1840년) 음력 4월에는 진정군공(鎭定郡公)으로 봉해졌다.[2] 뜨득 18년 음력 5월 1일(1865년 5월 25일)에 35세의 나이로 사망하였고, 시호는 돈의(敦懿)로 정해졌다.[1] 묘소는 트어티엔부 흐엉투이 끄찐총(居正總) 즈엉쑤언트엉사(楊春上社)에 조성되었으며, 흐엉짜 쯔엉숭노이읍(長銃內邑)에 사당을 세워 제사를 지냈다.
2. 1. 출생과 성장
민망 12년(1832년 1월 3일), 후에 황성에서 태어났다. 어릴 적부터 학문을 좋아하였다.민망 21년(1840년) 음력 4월, '''진정군공'''(鎭定郡公)으로 봉해졌다.[2] 아래는 민망 황제가 응우옌푹미엔미에우를 진정군공으로 봉하는 책문이다.
2. 2. 진정군공 책봉
민망 21년(1840년) 음력 4월, '''진정군공'''(Trấn Định Quận Công|진정군공vie)으로 봉해졌다.[2] 민망 황제가 응우옌푹미엔미에우를 진정군공으로 봉하면서 내린 책봉 책문에는 그의 성품과 학문에 대한 칭찬이 담겨 있다.2. 3. 사망
Tự Đức|뜨득vi 18년 (1865년 5월 25일)에 35세의 나이로 사망하였다. 시호는 돈의(敦懿)로 정해졌고, 트어티엔부 흐엉투이 끄찐총(居正總) 즈엉쑤언트엉사(楊春上社)에 묘소가 조성되었다.[1] 흐엉짜 쯔엉숭노이읍(長銃內邑)에 사당을 세워 제사를 지냈다.3. 가계
응우옌푹미엔미에우는 아들 3명과 딸 2명을 두었으며, 그의 후예들은 와(瓦) 자부(字部)를 하사받아 이름을 지었다.[3]
3. 1. 자녀
응우옌푹미엔미에우는 아들 3명과 딸 2명을 두었다. 그의 후예들은 와(瓦) 자부(字部)를 하사받아 이름을 지었다.[3]이름 | 내용 |
---|---|
응우옌푹홍투옌(阮福洪㼷) | 처음에 기외후(畿外侯)를 습봉하였으나 이후 죄를 지어 작위를 삭탈당하고 모친의 성을 따라 판투옌(潘甎)으로 개명하였다. 타인타이 원년(1889년)에 원래의 작위를 회복하였다. |
응우옌푹응쩐(阮福膺甄) | 응우옌푹홍투옌의 손자. 좌국경(佐國卿)을 습봉하였다. |
3. 2. 손자
응우옌푹홍투옌의 아들 응우옌푹응쩐(阮福膺甄)은 좌국경(佐國卿)을 습봉하였다.[3]참조
[1]
서적
완복족세보(阮福族世譜)
順化出版社
1995
[2]
서적
《[[대남식록]]》정편(正編) 제2기(第二紀) 권212(卷二百一十二) 明命二十一年四月 冊封皇子條
[3]
서적
《大南實錄》正編第五紀 卷五 作阮福洪甎,改從母姓為潘甎。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