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우옌푹홍바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응우옌푹홍바오는 민망 황제의 장손으로, 안풍정후와 안풍공에 봉해졌으나, 황태자 자리를 잃고 황위 찬탈을 시도하다 실패했다. 그는 황위에 대한 야망을 품고 여러 차례 반역을 꾀했으나, 결국 체포되어 자결했다. 사후에는 명예가 회복되어 안풍군왕으로 추봉되었으며, 그의 후손들이 제사를 받들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54년 사망 - 사카이 다다카타
사카이 다다카타는 마쓰야마 번주 사카이 다다노리의 아들로 태어나 쇼나이번 번주로서 번교 창설, 간척 사업, 양잠업 장려, 덴포 대기근 구제, 덴포 의민 사건 농민 요구 수용 등 번정 운영에 힘썼다. - 1854년 사망 - 게오르크 옴
게오르크 옴은 독일의 물리학자로, 전기 회로에서 전압, 전류, 저항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옴의 법칙을 발견했으며, 음향학 분야에서 옴의 음향 법칙을 제시했고, 뉘른베르크 공과대학교 교수 및 뮌헨 대학교 교수를 역임했다. - 1825년 출생 - 요한 슈트라우스 2세
오스트리아의 작곡가 요한 슈트라우스 2세는 아버지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500곡이 넘는 왈츠와 폴카를 작곡하여 "왈츠의 왕"으로 불리며 빈 왈츠의 유행을 선도했고, 오페레타 발전에도 기여하여 그의 음악은 현재까지도 전 세계적으로 사랑받고 있다. - 1825년 출생 - 페르디난트 라살
페르디난트 라살은 19세기 독일의 법학자이자 사회주의 사상가, 정치가로서 전독일 노동자 동맹을 창설하여 독일 노동 운동에 영향을 미쳤으며, 마르크스와의 협력 및 갈등 속에서 독자적인 사회주의 노선을 추구하고 비스마르크와의 협력 가능성을 모색했으나 결투로 사망하여 사회주의 이론가이자 정치 운동가로서 논쟁적인 평가를 받는다. - 자살한 사람 - 이선장
이선장은 명나라 초 주원장의 참모로, 뛰어난 계략과 법가 사상으로 명나라 건국에 기여했으나, 호유용의 옥에 연루되어 숙청된 인물이다. - 자살한 사람 - 조소앙
조소앙은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이자 대한민국 정치인으로,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에 참여하여 삼균주의에 입각한 임시 헌장을 기초하고 임시정부 외무부장, 한국독립당 부위원장 등을 역임하며 독립운동을 이끌었으며, 광복 후에는 남북협상에 참여하고 제2대 국회의원에 당선되었으나 한국 전쟁 중 납북되어 북한에서 사망했다.
응우옌푹홍바오 | |
---|---|
기본 정보 | |
작위명 | 안풍공 (安豐公) |
작위명 (추증) | 안풍군왕 (安豐郡王) |
휘 | 응우옌푹홍바오 (阮福洪保) |
출생 | 1825년 4월 19일 |
사망 | 1854년 1월 |
왕조 | 응우옌푹 씨 (완복 씨) |
아버지 | 티에우찌 황제 |
어머니 | 딘티한 (Đinh Thị Hạnh) |
시호 | 도안짱 (端莊) |
2. 생애
응우옌푹홍바오는 띠에우찌 황제와 딩 티 한(정씨한, 丁氏嫻)의 장남이었다. 민망 21년(1840년) 민망 황제의 장손 신분으로 안풍정후(An Phong Đình Hầu|안풍정후vi)에 봉해졌고, 티에우찌 3년(1843년) 안풍공(安豐公)으로 진봉되었다.[8] 응우옌 푹 미엔 브어우는 홍바오와 그의 동생 홍념(이후 뜨득 황제)의 스승이었다.
응우옌 왕조 공식 기록에 따르면, 홍바오는 황장자(皇長子)였음에도 행동이 방탕하고 학문에 뜻이 없어 티에우찌가 그를 싫어했다. 반면 이복동생 응우옌푹홍념은 총명하고 박학하여 티에우찌는 임종 전 그에게 황위를 물려주기로 결정했다.[9] 역사학자 쩐쫑킴은 《베트남사략》에서 홍바오를 "무식하고 학문을 싫어하는 사람"으로 묘사했다.
티에우찌가 장자 계승 원칙을 따르지 않은 이유는 불분명하다. 역사학자 팜반선은 쯔엉당꾸에가 홍바오와 사이가 좋지 않았고, 홍념과 친밀하여 음모를 꾸몄다는 설을 제시했다.[10] 뜨득이 쯔엉당꾸에와 가유태후(慈裕太后)의 사생아라는 주장도 있지만, 증명할 사료는 없다.[11]
홍바오는 황위를 잃자 분노하며 황위 탈환을 시도했다. 1848년 펠르랭 주교는 홍바오가 천주교 포교 자유와 베트남의 천주교 국가화를 약속했다고 전했다.[12] 1851년 싱가포르로 도망쳐 영국에 도움을 요청하려다 체포되었고, 프랑스로 가서 평민으로 살고 싶었다고 변호하며 뜨득에게 용서를 구했다.[13]
1854년 무리를 모아 맹세하고 사람을 모집했으나, 승려의 고발로 체포되어 능지형을 선고받았다. 자유태후의 요청으로 종신형을 받았으나, 그해 음력 2월 감옥에서 자살했다(향년 29세).[14] 뜨득은 홍바오의 자식들을 사형 대신 카인호아성으로 유배하였다.
1866년 홍바오의 아들 딘다오(丁導)가 반란을 일으켰으나 실패하고, 뜨득은 홍바오의 모든 자손을 교살했다.
2. 1. 초기 생애와 황위 계승 실패
민망 21년(1840년)에 민망 황제의 장손으로서 '''안풍정후'''(An Phong Đình Hầu|안풍정후vie)에 봉해졌다. 티에우찌 3년(1843년)에는 '''안풍공'''(An Phong Công|안풍공vie)으로 작위가 올라갔다.[8]응우옌 왕조의 공식 역사 기록에 따르면, 홍바오는 황제의 장남이었지만 행동이 방탕하고 배우지 않으며 재주도 없어 티에우찌 황제가 매우 싫어했다. 반면, 홍바오의 이복동생인 응우옌푹홍념(이후의 뜨득 황제)은 총명하고 학식이 높아 티에우찌 황제는 임종 전에 그에게 황위를 물려주기로 결정했다.[9] 티에우찌 황제는 쯔엉당꾸에, 부반자이, 응우옌찌프엉, 럼주이히엡 4명을 보정대신(輔政大臣)으로 임명하여 홍념을 보좌하게 했다. 그러나 티에우찌 황제가 왜 장자 계승의 원칙을 따르지 않았는지는 여전히 불분명하다. 역사학자 팜반선은 당시 서양 선교사들이 주장한 쯔엉당꾸에가 홍바오와 사이가 좋지 않았고, 홍념과는 친밀했기 때문에 음모를 꾸며 홍념이 황위를 계승하게 했다는 설을 제시했다.[10] 심지어 뜨득이 사실은 쯔엉당꾸에와 가유태후(慈裕太后) 사이에서 태어난 사생아였다는 주장도 있지만, 이를 증명할 역사적 자료는 없다.[11]
홍바오는 황위를 잃게 되자 항상 분노하고 불만을 품었다. 그는 스스로 적법한 황위 계승자라고 생각했고, 줄곧 황위를 되찾으려고 했다. 후에에 있던 펠르랭(Pellerin) 주교는 1848년 11월 26일에 작성한 서신에서 홍바오가 계속 황위를 되찾으려 하고 있으며, 선교사들에게 자신이 황제가 된다면 천주교를 자유롭게 전파할 권리를 줄 것이며, 심지어 베트남을 천주교 국가로 만들 수도 있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이에 대해 펠르랭 주교는 선교사들에게 어떠한 정치적 문제에도 개입하지 말 것을 요구했다.[12]
서양 선교사들의 지지를 얻지 못하게 되자, 홍바오는 외국 세력의 지지를 얻고자 했다. 1851년 정월, 홍바오는 싱가포르로 도망쳐 영국인들의 도움을 받으려 했으나 체포되었다. 홍바오는 자살을 시도했지만 부하들이 말렸다. 그는 상복을 입고 머리를 풀어 헤친 뒤 두 아들을 데리고 궁궐로 가서 뜨득에게 용서를 빌었다. L. 카디에르(L. Cadière)에 따르면, 홍바오는 자신이 외국인과 결탁하려 한 적이 없으며, 빈궁하고 사람들에게 경시를 받았기 때문에 프랑스로 가서 평민으로 살고 싶었기 때문이라고 변호했다. 뜨득은 그의 말을 믿지 않았지만, 용서를 빌자 마음이 움직여 그를 용서하고 많은 금과 은을 하사했다.[13]
그러나 홍바오는 황위 탈환 음모를 포기하지 않았다. 1854년, 그는 무리를 모아 삽혈(歃血)로 맹세하고, 국외로 파견해 사람을 모집하게 했다. 그중 한 사람이 타이와 캄보디아의 변경 지역에서 한 승려를 모집하여 후에로 보내 홍바오와 만나게 했다. 그러나 홍바오가 승려를 존중하지 않자 승려는 조정에 그의 역모를 고발했다. 홍바오는 체포되어 재판을 받았고, 혹형을 받고 죄를 자백하여 율에 따라 능지형이 선고되었다. 자유태후는 뜨득에게 그를 능지형 대신 종신토록 감옥에 가두도록 했다. 그해 음력 2월, 홍바오는 감옥에서 스스로 목을 매 자살하니, 향년 29세였다. 그의 시신은 장례 절차도 없이 간략하게 매장되었다.[14] 뜨득은 홍바오의 자식들을 모두 사형에서 면제하는 대신 홍바오와 함께 종적(宗籍)에서 삭제하고, 홍바오의 어머니 성인 딘(丁)으로 성씨를 바꾸고 카인호아성으로 유배하였다.
1866년, 홍바오의 첫째 아들 딘다오(丁導)가 도안흐우쯩, 도안흐우아이(段有愛), 도안뜨쯕(段司直), 쯔엉쫑호아(張仲和), 팜르엉 등과 함께 만년기(萬年基)를 건설하는 공인들을 선동하여 반란을 일으켰지만 실패하고 체포되었다. 그해 9월 24일, 뜨득은 홍바오의 모든 자손들을 교살하였다.
역사가 쩐쫑킴은 그의 저서 《베트남사략》에서 홍바오를 "무식하고 학문을 싫어하는 사람"으로 묘사했으며, 티에우찌 황제는 그를 좋아하지 않았다.[1]
2. 2. 황위 탈환 시도와 최후
티에우찌 황제가 장자 상속의 원칙을 따르지 않고 이복동생 응우옌푹홍념에게 황위를 물려준 이유에 대해서는 정확히 알려지지 않았다. 역사학자 팜반선은 서양 선교사들이 주장한, 쯔엉당꾸에가 홍바오와 사이가 좋지 않아 홍념을 옹립했다는 설을 제시하였다.[10] 심지어 뜨득이 쯔엉당꾸에와 가유태후(慈裕太后) 사이의 사생아라는 주장도 있지만, 이를 증명할 사료는 없다.[11]황위를 잃은 홍바오는 항상 분노하며 불만을 품었다. 그는 스스로 적법한 황위 계승자라 여기며 황위 탈환을 시도했다. 후에의 펠르랭(Pellerin) 주교는 1848년 11월 26일 서신에서, 홍바오가 황위 탈환을 계속 시도하며 선교사들에게 자신이 황제가 되면 천주교 포교 자유를 주고 베트남을 천주교 국가로 만들 수도 있다고 말했다고 전한다. 펠르랭 주교는 선교사들에게 정치 문제에 개입하지 말 것을 요구하였다.[12]
서양 선교사들의 지지를 얻지 못하자, 홍바오는 1851년 정월 싱가포르로 도망쳐 영국인의 도움을 받으려다 체포되었다. 그는 자살을 시도했지만 부하들이 말렸다. 홍바오는 상복을 입고 머리를 풀어 헤친 채 두 아들을 데리고 궁전에서 통곡하며 뜨득에게 용서를 구했다. L. 카디에르(L. Cadière)에 따르면, 홍바오는 외국인과 결탁하려 한 적이 없으며, 빈궁하고 사람들에게 경시를 받아 프랑스에서 평민으로 살고 싶었기 때문이라고 변호했다. 뜨득은 믿지 않았지만 용서를 빌자 마음이 움직여 그를 용서하고 많은 금과 은을 주었다.[13]
그러나 홍바오는 황위 탈환 음모를 포기하지 않았다. 1854년, 그는 무리를 모아 삽혈(歃血)로 맹세하고 국외로 파견해 사람을 모집하게 했다. 그중 한 명이 타이와 캄보디아 변경에서 승려를 모집해 후에로 보내 홍바오와 대면시켰다. 그러나 홍바오가 승려를 존중하지 않자 승려는 조정에 그의 역모를 고발했다. 홍바오는 체포되어 재판을 받았고, 혹형을 받고 자백하여 능지형이 선고되었다. 자유태후는 뜨득에게 종신형을 요청했다. 그해 음력 2월, 홍바오는 미소(縻所)에서 목을 매 자살했고, 향년 29세였다. 시신은 장례 절차 없이 간략하게 매장되었다.[14] 뜨득은 홍바오의 자식들을 사형 대신 홍바오와 함께 종적(宗籍)에서 삭제하고, 모친의 성인 딘(丁)으로 성씨를 바꾼 뒤 카인호아성으로 유배하였다.
1866년, 홍바오의 첫째 아들 딘다오(丁導)가 도안흐우쯩 등과 함께 만년기(萬年基) 건설 공인들을 선동해 반란을 일으켰지만 실패하고 체포되었다. 그해 9월 24일, 뜨득은 홍바오의 모든 자손들을 교살하였다.
2. 3. 사후
1866년, 홍바오의 첫째 아들 딘다오(丁導)가 도안흐우쯩, 도안흐우아이(段有愛), 도안뜨쯕(段司直), 쯔엉쫑호아(張仲和), 팜르엉 등과 함께 만년기(萬年基)를 건설하던 공인들을 선동하여 반란을 일으켰지만 실패하고 체포되었다. 그해 9월 24일, 뜨득은 홍바오의 모든 자손들을 교살하였다.[14]타인타이 10년(1898년), 타인타이 황제는 홍바오의 명예를 회복시켰다. 봉작인 안풍공을 회복시켰으며, 진성군왕(泰盛郡王) 응우옌푹홍포의 8번째 아들인 응우옌푹응떤(Nguyễn Phúc Ưng Tân|阮福膺騂vi)을 봉국랑(奉國郞)으로 삼아 홍바오의 제사를 주관하게 하였다. 타인타이 11년(1899년), 시호를 '''공숙'''(恭肅)이라고 하였다.[15]
카이딘 연간에 조정은 그를 '''안풍군왕'''(An Phong Quận Vương|安豐郡王vi)에 추봉하였고,[16] 시호를 고쳐 '''단장'''(端莊)이라고 하였다.[17] 이후 응우옌푹응떤을 홍바오의 후사로 입양보냈고, 이름을 고쳐 응톤(Ưng Thôn|膺村vi)이라고 한 뒤 안풍현공(安豐縣公)에 봉하였다.[18]
홍바오의 네 아들인 응우옌 푹 응 다오(阮福膺導), 응우옌 푹 응 뚜(阮福膺寺), 응우옌 푹 응우옌 쮜엔(阮福膺傳), 응우옌 푹 응 뜨엉(阮福膺將)은 왕실에서 추방되었고, 각각 딘 다오(丁導), 딘 뚜(丁寺), 딘 쮜엔(丁傳), 딘 뜨엉(丁將)으로 개명된 후 카인호아성으로 유배되었다. 1866년, 딘 다오는 도안 후 쯩 (段有徵), 도안 후 아이 (段有愛), 도안 뜨 쯕 (段司直), 쯔엉 쫑 호아 (張仲和), 팜 르엉 (范梁)과 함께 뜨득에 대항하여 반란을 일으켰으나 곧 진압되었다. 그 결과, 홍바오의 네 아들은 어머니인 쩐 티 투이(陳氏瑞)와 함께 처형되었다.[1]
3. 자녀
응우옌푹홍바오는 아들 9명과 딸 8명을 두었다. 안풍공방(安豐公房)의 자손들은 뜨득 황제가 하사한 촌(寸) 자부(字部)를 따라 이름의 둘째 글자를 지었다.
홍바오의 네 아들 응우옌 푹 응 다오(阮福膺導), 응우옌 푹 응 뚜(阮福膺寺), 응우옌 푹 응우옌 쮜엔(阮福膺傳), 응우옌 푹 응 뜨엉(阮福膺將)은 왕실에서 추방되어 각각 딘 다오(丁導), 딘 뚜(丁寺), 딘 쮜엔(丁傳), 딘 뜨엉(丁將)으로 개명된 후 카인호아로 유배되었다. 이들은 1866년 반란을 일으켰으나 실패하여 어머니 쩐 티 투이(陳氏瑞)와 함께 처형되었다.[1]
1898년, 홍바오는 타인 타이 황제에 의해 사후 복권되었다.
3. 1. 아들
- 첫째 딘다오(Đinh Đạo|정도vi) - 본명은 응우옌푹응푹(Nguyễn Phúc Ưng Phúc|완복응복vi)이다. 후에 촌 자부를 따라 응우옌푹응다오(Nguyễn Phúc Ưng Đạo|완복응도vi)로 개명하였다. 생모는 쩐티투이(陳氏瑞)이다. 뜨득 20년(1866년) 모반하여 모친, 동생 3명, 전처 및 자녀 2명과 함께 살해되었다.[19][20][21]
- 둘째 딘뜨(Đinh Tự|정사vi) - 본명은 응우옌푹응뜨(Nguyễn Phúc Ưng Tự|완복응사vi)이다. 1866년에 살해되었다.[19][20][21]
- 셋째 딘쭈옌(Đinh Chuyên|정전vi) - 본명은 응우옌푹응쭈옌(Nguyễn Phúc Ưng Chuyên|완복응전vi)이다. 1866년에 살해되었다.[19][20][21]
- 넷째 딘뜨엉(Đinh Tương|정장vi) - 본명은 응우옌푹응뜨엉(Nguyễn Phúc Ưng Chuyên|완복응장vi)이다. 1866년에 살해되었다.[19][20][21]
- 양자 응우옌푹응톤(阮福膺村) - 주이떤 4년(1910년)에 안풍현공에 봉해졌다.
홍바오의 네 아들인 응우옌 푹 응 다오(阮福膺導), 응우옌 푹 응 뚜(阮福膺寺), 응우옌 푹 응우옌 쮜엔(阮福膺傳), 응우옌 푹 응 뜨엉(阮福膺將)은 왕실에서 추방되었고, 각각 딘 다오(丁導), 딘 뚜(丁寺), 딘 쮜엔(丁傳), 딘 뜨엉(丁將)으로 개명된 후 카인호아로 유배되었다.
1866년, 딘 다오는 도안 후 쯩(段有徵), 도안 후 아이(段有愛), 도안 뜨 쯕(段司直), 쯔엉 쫑 호아(張仲和), 팜 르엉(范梁)과 함께 뜨득(Tự Đức)에 대항하여 반란을 일으켰다. 반란은 곧 진압되었다. 그 결과, 홍바오의 네 아들은 어머니인 쩐 티 투이(陳氏瑞)와 함께 처형되었다.[1]
참조
[1]
문서
Việt Nam sử lược
[2]
서적
Quốc triều sử toát yếu
Nhà xuất bản Văn Học
[3]
서적
Việt sử tân biên, quyển 5 (tập 5 thượng)
Tác giả giữ bản quyền
[4]
웹사이트
Vua Tự Đức con ai?
https://nghiencuulic[...]
[5]
간행물
Annales Propagation Foi
[6]
서적
Tâm trạng Tương An quận vương
Trung tâm học liệu xuất bản
[7]
간행물
Annales Propagation Foi
[8]
문서
《大南實錄正編列傳第二集》載洪保初封建豐公,'''建'''字為'''安'''字之誤。
[9]
서적
《越南史略》(或譯《越南通史》)
商務印書館
[10]
서적
Việt sử tân biên, quyển 5 (tập 5 thượng)
Tác giả giữ bản quyền
[11]
웹인용
Vua Tự Đức con ai?
https://nghiencuulic[...]
[12]
간행물
Annales Propagation Foi
[13]
서적
Tâm trạng Tương An quận vương
Trung tâm học liệu xuất bản
[14]
간행물
Annales Propagation Foi
[15]
문서
越南文《大南實錄》正編第六紀附編
[16]
문서
《阮福族世譜》,順化出版社,1995年,350頁。
[17]
문서
據阮福洪保墓碑“安豐郡王謚端莊之寢”。洪保墓前有两块墓碑,一块如前述,另一块作“安豐郡王恭莊之寢”,其中“郡王”和“莊”字係挖去原字後重新填補上去的,而且缺少“諡”字,疑是由啟定朝追封為郡王之前的墓碑“安豐公諡恭肅之寢”改刻。
[18]
문서
《欽定大南會典事例續編》(第二部)卷三十·制文·過繼開復制文式
[19]
웹인용
TÙNG THIỆN VƯƠNG VỚI NHỮNG GIAI THOẠI(從善王佳話)
https://web.archive.[...]
2019-12-03
[20]
문서
《Việt Nam Thời Pháp Đô-Hộ》
[21]
문서
《Nhà Nguyễn: 9 chúa - 13 vu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