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구아수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구아수강은 브라질 파라나주의 세라 도 마르 해안 산맥에서 발원하여 서쪽으로 흐르는 강이다. 브라질 파라나주를 관통하며, 아르헨티나와의 국경을 이루다가 파라나강으로 합류한다. 이구아수 폭포를 형성하며, 약 100종의 어류가 서식하고 그중 70%는 고유종이다. 2000년에는 원유 유출 사고가 발생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파라나주 (브라질)의 강 - 파라나강
    파라나강은 브라질, 파라과이, 아르헨티나를 흐르며 대규모 수력 발전 댐과 다양한 생태계를 포함하고 람사르 협약 및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으로 지정되어 보호받는 남아메리카의 주요 강이다.
  • 브라질-아르헨티나 국경 - 우루과이강
    우루과이강은 브라질에서 발원하여 아르헨티나와 우루과이를 거쳐 라플라타강 하구로 흘러드는 약 1,838km 길이의 강으로, 과라니어에서 유래한 이름과 독특한 지형적 특징을 가지며, 다양한 경제적 가치를 지니고 국제적인 협력 및 쟁점의 대상이 된다.
  • 브라질-아르헨티나 국경 - 이구아수 폭포
    아르헨티나와 브라질 국경에 위치한 이구아수 폭포는 '큰 물'이라는 뜻의 이름에서 유래되었으며, 약 2.7km에 걸쳐 275개의 폭포와 섬, 그리고 '악마의 목구멍' 협곡으로 이루어져 이구아수 국립공원과 함께 유네스코 세계 유산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이구아수강
개요
이름이구아수강
원어 이름 (포르투갈어)Rio Iguaçu
원어 이름 (스페인어)Río Iguazú
기타 이름이구아수 리오, 이구아수
지리
이구아수 폭포 바로 위 흐린 강
이구아수 폭포 바로 위 흐린 강
위치브라질, 아르헨티나
도시쿠리치바
캄푸 Largo, 파라나
포스 두 이구아수
발원지세라 두 마르
발원지 위치쿠리치바 근처, 파라나 주, 브라질
발원지 좌표25°23′30″S 49°00′11″W
발원지 고도1,200m
하구파라나강
하구 위치포스 두 이구아수, 미시오네스 주와 파라나 주 사이, 아르헨티나와 브라질 국경
하구 좌표25°35′33″S 54°35′30″W
하구 고도110m
강 체계라플라타 강
길이1,320km
유역 면적62,000km2
왼쪽 지류리우 네그루 (이구아수)
리우 Xopim
오른쪽 지류리우 데 아레이아
수문학적 데이터
하구 근처 유량 측정 위치포스 두 이구아수
평균 유량 (1971–2000년)1,835.9 m3/s
이구아수 폭포 유량 측정 위치이구아수 폭포
최소 유량200 m3/s
평균 유량1,746 m3/s
최대 유량12,799 m3/s
기타 정보
라플라타 강 진행파라나강 → 리오 데 라 플라타 → 대서양
[[라플라타 강]] 유역 지도, 이구아수 강이 상류의 [[우루과이 강]] 북쪽에서 파라나 강과 합류하는 모습이 나타나 있음
라플라타 강 유역 지도, 이구아수 강이 상류의 우루과이 강 북쪽에서 파라나 강과 합류하는 모습이 나타나 있음

2. 코스

이구아수강은 파라나주의 세라 도 마르 해안 산맥에서 발원하며, 쿠리치바와 가깝다.[11] 1205km에 걸쳐 이구아수강은 산안토니오강과 합류할 때까지 브라질 파라나주를 관통하여 서쪽으로 흐른다. 합류 지점부터 이구아수강은 브라질과 아르헨티나의 미시오네스주 사이의 경계를 이룬다.[1] 계속 서쪽으로 흐르면서 강은 고원에서 떨어져 나와 이구아수 폭포를 형성하며, 이는 열대우림 생태 기차를 통해 접근할 수 있다. 폭포는 브라질의 이과수 국립공원과 아르헨티나의 이구아수 국립공원에 있는 국립공원 내에 위치해 있다. 이 강은 아르헨티나, 브라질, 그리고 파라과이의 국경이 만나는 지점인 삼국 접경에서 파라나강으로 흘러 들어간다.

3. 생태

연간 기온 변화가 상대적으로 제한된 열대 남아메리카의 강과 달리, 아열대 기후에 속하는 이구아수강의 수온은 계절에 따라 크게 변동한다. 폭포 바로 위와 아래 지점에서 측정한 수온은 약 15.5°C에서 29°C 사이에서 변화하며, 평균 수온은 22°C보다 약간 낮다.[12] pH는 일반적으로 5.9에서 8.7 사이로 중성에 가깝다.[12]

이구아수강에는 약 100종의 어류가 자생하며, 아직 학계에 보고되지 않은 미기재종도 여러 종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3][14] 강에 서식하는 주요 어종은 메기, 카라신, 키클라과이다.[14][15] 이 중 약 70%는 이구아수강에서만 발견되는 고유종인데, 이는 이구아수 폭포가 물살이 빠른 환경을 선호하는 류수성 어종의 서식지 역할을 하는 동시에, 폭포 상류와 하류 간 어종의 이동을 막아 종 분화를 촉진했기 때문으로 보인다.[14][15] 이러한 지리적 격리 때문에, 파라나강 유역 대부분에서 발견되는 대형 회유성 어종은 이구아수강에서는 자연적으로 찾아보기 어렵다. 다만 하류 지역에서 서식하는 멸종위기종인 ''Steindachneridion melanodermatum''은 예외이다.[13][16]

한편, 이구아수강에는 약 30종의 외래종 어류도 서식하고 있다. 이들 외래종의 유입 경로는 다음과 같이 구분할 수 있다.[13][14][17][18]

이구아수강의 주요 외래종
기원종 목록
다른 대륙 (약 1/3)잉어, 큰입배스, 틸라피아, 아프리카메기
남아메리카 다른 지역도라도, Cichla kelberi, 파쿠, Brycon hilarii, Prochilodus lineatus, Odontesthes bonariensis



어류 외에도, 특이한 형태의 ''Aegla'' 속 갑각류가 이구아수강 유역에서 흔하게 발견된다.[19]

4. 환경 문제

2000년 7월, 쿠리치바 인근 아라우카리아시에 있는 국영 정유 공장에서 400만L 이상의 원유가 강으로 유출되는 사고가 발생했다.[20]

파라나강(가운데)과 합류하는 이구아수 강(오른쪽)

참조

[1] 서적 Management of Transboundary Rivers and Lakes https://books.google[...] Springer
[2] 웹사이트 Parana (La Plata) https://www.riversne[...]
[3] 문서 "[[GEOnet Names Server|GNS]] coordinates adjusted using [[Google Maps]] and [http://tools.freeside.sk/geolocator/geolocator.html GeoLocator]"
[4] 서적 Management of Transboundary Rivers and Lakes https://books.google[...] Springer
[5] 웹사이트 Parana (La Plata) https://www.riversne[...]
[6] 문서 "{{GEOnet2|32FA88410F3E3774E0440003BA962ED3|Rio Iguaçu}}"
[7] 문서 "{{GEOnet2|32FA88410F3D3774E0440003BA962ED3|Río Iguazú}}"
[8] 문서 "{{GEOnet2|32FA88410F3C3774E0440003BA962ED3|Rio Iguassu}}"
[9] 웹사이트 Iguazú y la tierra del agua grande https://www.lavangua[...] 2018-05-04
[10] 서적 Management of Transboundary Rivers and Lakes https://books.google[...] Springer
[11] 간행물 PES Serra da Baitaca https://uc.socioambi[...] ISA: Instituto Socioambiental 2016-09-20
[12] 논문 "Structure and dynamics of the planktonic diatom community in the Iguassu River, Paraná State, Brazil." http://www.scielo.br[...]
[13] 논문 "Non-native fish invasion of Neotropical ecoregion with high endemism: a review of the Iguaçu River."
[14] 서적 Peixes do baixo rio Iguaçu. http://books.scielo.[...] EDUEM
[15] 논문 "Description of two new species of Crenicichla (Teleostei: Cichlidae) from the lower Iguazú River with a taxonomic reappraisal of C. iguassuensis, C. tesay and C. yaha."
[16] 웹사이트 Igussu. http://www.feow.org/[...] 2010
[17] 논문 "Impact assessment of the introduction of Cichla kelberi in a large Neotropical reservoir and its lateral lagoons (Upper Paraná River Basin, Brazil)."
[18] 논문 "Occurrence of the non-native fish Salminus brasiliensis (Cuvier, 1816), in a global biodiversity ecoregion, Iguaçu River, Paraná River basin, Brazil."
[19] 서적 Feeding and Digestive Functions of Fishes. Science Publishers
[20] 뉴스 Brazil battles oil spill threat http://news.bbc.co.u[...] 2000-07-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