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틸라피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틸라피아는 시클리드과의 물고기로, '물고기'를 뜻하는 츠와나어 단어에서 유래했다. 고대 이집트 시대부터 양식되었으며, 다산과 풍요를 상징하는 등 역사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틸라피아는 다양한 환경에 적응하며, 입으로 알을 품는 특징이 있다. 아프리카와 레반트가 원산지이며, 현재는 아시아 등지에서 양식되어 식용으로 널리 이용된다. 틸라피아는 저렴한 단백질 공급원으로 소개되었으나, 침입종으로서 생태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또한, 틸라피아 피부는 화상 치료 및 피부 이식에 사용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프세우도크레닐라브루스아과 - 키포틸라피아 프론토사
    키포틸라피아 프론토사는 동아프리카 탕가니카호의 고유종으로, 최대 33cm까지 성장하며 흰색 또는 파란색 몸통과 검은색 줄무늬, 머리의 혹이 특징인 시클리드과의 물고기이다.
  • 프세우도크레닐라브루스아과 - 람프롤로구스 오켈라투스
    람프롤로구스 오켈라투스는 탕가니카 호수에 사는 작은 시클리드 물고기로, 조개껍데기를 은신처로 사용하며 공격적인 성향을 가지고 있고 수족관 환경에서는 수질 관리가 중요하며 번식 시 치어 관리에 주의해야 한다.
  • 필리핀의 물고기 - 고래상어
    고래상어는 세계에서 가장 큰 어류로 플랑크톤 등을 먹으며 열대 및 온대 해역에 널리 분포하지만, 혼획, 선박 충돌, 서식지 파괴, 해양 오염 등으로 개체 수가 감소하여 멸종위기종으로 분류되어 보호받고 있다.
  • 필리핀의 물고기 - 뱀장어
    뱀장어는 뱀장어목 뱀장어과에 속하는 민물고기로, 원통형 몸에 미끈한 피부를 가지며, 배지느러미가 없고 등지느러미, 뒷지느러미, 꼬리지느러미가 연결된 형태를 가지며, 산란 후 죽고, 멸종 위기종으로 지정되었으며, 동아시아에서 식용으로 양식된다.
  • 양식업 - 수산양식
    수산 양식은 수생 생물을 인공적으로 사육하여 식량 생산, 해양 생태계 복원, 경제적 이익 창출 등을 목적으로 하는 기술이며, 다양한 품종과 여러 방식이 사용되지만, 환경 문제와 지속 가능성에 대한 노력이 필요하다.
  • 양식업 - 바다 새우 양식
    바다 새우 양식은 새우를 인공적으로 길러 식용으로 생산하는 산업으로, 생애 주기, 양식 방법, 공급망 등을 거쳐 이루어지며, 환경 및 사회적인 문제와 함께 지속 가능한 양식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틸라피아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나일 틸라피아
나일 틸라피아, Oreochromis niloticus
다른 이름카와스즈메, 티라피아
생물 분류동물계
척삭동물문
조기어류강
농어목
시클리드과
역돔속


티라피아속
번역 확장 필요en
혼동피라니아
주의느슨한 분류
전세계 틸라피아 어획고 FAO 보고서, 1950년 ~ 2009년, (단위: 백만톤, 양식, 어업)
특징
어류조기어류
스즈키목
시클리드목 (카와스즈메목)
카와스즈메과
학술적 정보
논문 정보author1: Andreas R.Dunz
author2: Ulrich K.Schliewen
name-list-style: amp
year: 2013
title: Molecular phylogeny and revised classification of the haplotilapiine cichlid fishes formerly referred to as Tilapia
journal: Molecular Phylogenetics and Evolution
volume: 68
issue: 1
pages: 64–80
doi: 10.1016/j.ympev.2013.03.015
pmid: 23542002
양식 및 연구
연구 정보저자1: 김동수
저자2: 방인철
저자3: 김인배
날짜: 1988-11
제목: 나일틸라피아의 성분화와 호르몬에 의한 성전환
저널: 한국수산과학회 양식분과
권:
호:
issn:
url:
기타: 한국양식학회지
저자1: 김동수
저자2: 박인석
날짜: 1990-05
제목: 양식 틸라피아에 대한 유전학적 동정
저널: 한국수산과학회 양식분과
권:
호:
issn:
url:
기타: 한국양식학회지
추가 정보
외부 링크틸라피아

2. 어원

일반적인 명칭인 "틸라피아"는 시클리드 인 ''틸라피아''(Tilapia)에서 유래했는데, 이는 "물고기"를 뜻하는 츠와나어 단어 ''tlhapi''[4] 또는 아리스토텔레스가 언급한 어류를 가리키는 그리스어 "tilon"과 "먼"을 뜻하는 "apios"를 결합한 라틴어화된 표현이다.[5] 스코틀랜드의 동물학자인 앤드루 스미스가 1840년에 이 속을 명명했다.[6]

3. 역사

나일틸라피아 양식은 고대 이집트 시대부터 시작되었으며, 가디너 목록의 상형 문자 K1(𓆛)로 표현되었다.

이 물고기는 이집트 미술에서 환생을 상징했고, 이집트 신앙 체계에서는 다산과 풍요의 여신인 하토르와 관련이 있었다.[7] 나일틸라피아는 또한 태양신이 매일 하늘을 가로질러 여행하는 동안 동행하고 보호한다고 여겨졌다. 무덤 벽에 그려진 나일틸라피아는 사망자가 태양선에 자신의 자리를 차지하기를 바라는 ''죽은 자의 서''의 주문 15부분을 상기시킬 수 있다. "당신은 터키석 연못에서 나일틸라피아를 [진정한] 모습으로 봅니다." 그리고 "나는 [진정한] 본성으로 빠른 배를 물에서 인도하는 나일틸라피아를 봅니다."[8]

나일틸라피아는 탈무드 시대에 갈릴리 호수에서 잡힌 세 가지 주요 어종 중 하나였으며, 특히 갈릴리 빗살무늬틸라피아(''Sarotherodon galilaeus'')였다. 오늘날 현대 히브리어로 이 어종은 ''amnoon''(아마도 "어미"를 뜻하는 ''am''과 "물고기"를 뜻하는 ''noon''의 합성어)이라고 불린다. 영어로는 때때로 "성 베드로의 물고기"라고 알려져 있는데, 이는 사도 베드로가 입에 동전을 문 물고기를 잡았다는 마태복음의 이야기에서 유래한다. 이 구절에는 물고기의 종류가 명시되어 있지 않지만,[9] 갈릴리 호수에는 여러 종류의 나일틸라피아(''Sarotherodon galilaeus'', ''Oreochromis aureus'', ''Coptodon zillii'', ''Tristramella'')가 서식하고 있으며, 마태복음 저자는 이 사건이 일어난 곳으로 이 호수를 언급한다. 이 종들은 수천 년 동안 이 지역의 소규모 수공업 어업의 대상이 되어 왔다.[10][11]

기원전 1500년경의 낙트의 무덤에는 중앙에 있는 키 큰 인물의 머리 바로 위 오른쪽에 나일틸라피아 상형 문자가 새겨져 있다.

4. 특징

나일 틸라피아(Oreochromis niloticus)는 비교적 크기가 크며, 성장이 빨라 열대아열대 지역 뿐 아니라 대한민국에서도 양식 대상종으로 많이 쓰인다. 부화된 지 4~5개월 만에 성숙이 이루어지며, 번식력이 매우 강하다. 암컷은 수컷에 비해 성장률이 떨어져 수컷을 주로 양식한다.[83]

틸라피아는 일반적으로 측편된 깊은 몸체를 가지고 있다. 다른 시클리드과 어류처럼, 아래쪽 인두골은 단일 치아 지지 구조로 융합되어 있다. 복잡한 근육 세트를 통해 위쪽과 아래쪽 인두골을 음식물을 처리하는 두 번째 턱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갯장어 참조), 이로써 "진짜 턱"(하악)과 "인두턱" 사이의 노동 분담이 가능해진다. 이는 다양한 종류의 먹이를 포획하고 처리할 수 있는 효율적인 먹이 섭취 방식을 의미한다.[12] 입은 돌출형이며, 보통 넓고 종종 부풀어 오른 입술로 둘러싸여 있다. 턱에는 원뿔 모양의 이빨이 있다. 일반적으로 틸라피아는 긴 등지느러미와, 종종 등지느러미 끝쪽에서 끊어지고 비늘 2~3줄 아래에서 다시 시작되는 측선을 가지고 있다. 일부 나일틸라피아는 최대 약 0.61m까지 자랄 수 있다.[13]

틸라피아는 입으로 알을 품는 종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는 수정란과 치어를 노른자낭이 흡수된 후 며칠 동안 입에 넣고 다닌다는 것을 의미한다.[13]

담수, 기수의 다양한 환경에 적응하지만, 수온이 10도 이하가 되는 지역에서의 서식은 확인되지 않았다. 잡식성으로 입에 들어가는 동식물을 생사를 불문하고 먹는다. 성질이 사나운 종이 많아, 세력권에 침입하는 다른 물고기를 종종 집요하게 공격한다.

5. 종류

역사적으로 모든 틸라피아는 그 이름을 딴 티라피아 속에 포함되었다.[2] 그러나 최근 수십 년 동안 일부 종들은 오레오크로미스속 (Oreochromis),[15] 사로테로돈속 (Sarotherodon)[16] 등 다른 속으로 이동되었다. 2013년 주요 분류학적 검토를 통해 기존 *티라피아* 속에 속했던 대부분의 종들을 다른 여러 속으로 이동시켜, 경제적으로 중요한 종들은 콥토돈속 (Coptodon), *오레오크로미스속*, *사로테로돈속*으로 분류되었다.[2]

일본에 도입된 틸라피아 3종은 모두 당시 *Tilapia* 속으로 분류되었으나, 현재는 그중 2종이 *Oreochromis* 속으로 변경되었다. 따라서 2014년 현재 일본어 이름에 "티라피아"를 붙이는 종과 분류학적 집단 Tilapia는 반드시 일치하지 않는다.

틸라피아의 원산지는 아프리카중동이지만, 식용으로 세계 각지의 하천에 도입되어 분포역이 현저하게 확대되고 있다. 담수나 기수 등 다양한 환경에 적응하지만, 수온이 10도 이하가 되는 지역에서는 서식이 확인되지 않았다. 틸라피아는 잡식성이며, 입에 들어가는 동식물을 가리지 않고 먹는다. 성질이 사나운 종이 많아, 세력권에 침입하는 다른 물고기를 공격하기도 한다.

5. 1. 주요 상업용 틸라피아

필리핀 클라크국립대학교(CLSU)에서 실험 중인 레드 나일 틸라피아


틸라피아 중 대표적인 종인 나일 틸라피아(Oreochromis niloticus)는 비교적 크기가 크고 성장이 빨라 열대아열대 지역 뿐 아니라 대한민국에서도 양식 대상종으로 많이 쓰인다. 부화된 지 4~5개월 만에 성숙이 이루어지며, 번식력이 매우 강하다. 암컷은 수컷에 비해 성장률이 떨어져 수컷을 주로 양식한다.[83]

양식할 때는 낮은 수온에 약해 일반적으로 노지 양식이 아닌 순환여과식 양식시스템을 이용한다.[85] 대한민국에는 1955년 태국에서 도입되었다가 1980년대에 이후 생산량이 급격하게 늘어났다.[84] 틸라피아는 원래 아프리카와 레반트 지역이 원산지이며 양식되었다. 빠르게 성장하고, 높은 밀도의 사육에도 잘 견디며, 적응력이 뛰어난 틸라피아는 아시아의 많은 지역에 도입되어 광범위하게 양식되고 있으며, 다른 지역에서도 양식 대상으로 점점 더 흔해지고 있다.

주요 상업용 틸라피아 종
일반적인 이름학명최대
길이
일반적인
길이
최대
무게
최대
수명
영양
단계
피시
베이스
FAOWoRMSIUCN 등급
나일틸라피아Oreochromis niloticus (Linnaeus, 1758)60cmstyle="text-align:right;"|4.324kg9년2.0[26][27][44][28]
NT IUCN 3 1.svg
관심대상종[29]
청색틸라피아Oreochromis aureus
(Steindachner, 1864)
45.7cm16cm2.01kgstyle="text-align:right;"|2.1[30]style="text-align:center;"|[31]-- 관심대상종[32]
나일틸라피아 + 청색틸라피아 잡종style="text-align:right;"|style="text-align:right;"|style="text-align:right;"|style="text-align:right;"|style="text-align:center;"|style="background:#eee;" colspan="4"|
모잠비크틸라피아Oreochromis mossambicus (Peters, 1852)39cm35cm1.13kg11년2.0[33][34][35]
NT IUCN 3 1.svg
취약종[36]



2002년 전 세계 틸라피아 양식 생산량은 연간 약 1500000ton으로, 약 18억달러의 가치를 지녔다.[37] 이는 연어송어의 생산량과 가치와 거의 동일하다. 육식성 어류와 달리 틸라피아는 조류나 식물성 먹이를 먹을 수 있다. 이는 틸라피아 양식 비용을 절감하고 먹이 종에 대한 어획 압력을 줄이며 먹이 사슬의 상위 수준에서 축적되는 독소의 농축을 피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이유로 틸라피아는 "물속의 닭"으로 불리며 선호되는 어종이다.[38]

틸라피아 시클리드는 크기가 크고 성장이 빠르며 맛이 좋아 대규모 양식의 대상이 되고 있다. 특히 ''Oreochromis'', ''Sarotherodon'', ''Coptodon'' 속의 여러 종이 양식의 중심이다 (이전에는 모두 ''Tilapia'' 속에 속해 있었습니다).[2] 다른 대형 어류와 마찬가지로 틸라피아는 단백질의 좋은 공급원이며, 소규모 및 대규모 어업에서 인기가 많다. 이러한 어업은 원래 아프리카에서 많이 발견되었지만, 파푸아뉴기니, 필리핀, 인도네시아와 같은 열대 국가의 야외 어류 양식장이 담수호에서 운영되고 있다.[39] 온대 지역에서는 틸라피아 양식은 열대 기온으로 물을 데우는 데 에너지가 필요하다.

연간 1300000ton으로 중국이 세계 최대 틸라피아 생산국이며, 이집트가 500000ton으로 그 뒤를 잇고 있다.[41] 미국은 10000ton을 생산하는 반면 소비량은 2500000ton에 달한다.[42]

현대 양식업에서는 야생 나일 틸라피아는 그다지 많이 볼 수 없다. 어육의 어두운 색깔이 많은 소비자에게 선호되지 않고, 가난과 관련된 "조악한 어종"이라는 평판이 있기 때문이다.[43] 하지만 성장이 빠르고 좋은 생선 필레를 제공한다. 육색이 밝은 백색종("레드") 품종이 개발되어 매우 인기가 있다. 양식에는 잡종도 사용된다. 나일 틸라피아 × 블루 틸라피아 잡종은 일반적으로 다소 어둡지만, "로키 마운틴 화이트" 틸라피아로 알려진 밝은 색깔의 잡종 품종은 매우 밝은 육색과 저온 내성으로 인해 종종 양식된다.[43]

상업적으로 양식되는 틸라피아는 거의 전적으로 수컷이다. 일반적으로 틸라피아 치어의 사료에 수컷 성호르몬을 첨가하여 암컷이 수컷으로 성전환하도록 한다.[44][45] 특정 틸라피아 종의 잡종화 또는 동형접합 수컷 성염색체를 가진 소위 "슈퍼 수컷"을 사용하여 달성할 수도 있다(모든 자손이 수컷 성염색체를 받아 수컷이 됨).[45][46] 수컷이 암컷보다 훨씬 더 빨리 자라기 때문에 선호된다.[44] 또한 틸라피아는 다산하기 때문에 암컷이 있으면 수확 가능한 크기의 개체군 대신 작은 물고기의 개체수가 급격히 증가한다.[47]

틸라피아 개체군 관리의 다른 방법으로는 틸라피아와 함께 포식자를 양식하는 다양한 양식이나 다른 종과의 잡종화가 있다.[49]

6. 양식

길이일반적인
길이최대
무게최대
수명영양
단계
피시
베이스
FAOWoRMSIUCN 등급나일틸라피아Oreochromis niloticus (Linnaeus, 1758)60cmstyle="text-align:right;"|4.324kg9년2.0[26][27][44][28] 관심대상종[29]청색틸라피아Oreochromis aureus
(Steindachner, 1864)45.7cm16cm2.01kgstyle="text-align:right;"|2.1[30]style="text-align:center;"|[31]-- 관심대상종[32]나일틸라피아 + 청색틸라피아 잡종style="text-align:right;"|style="text-align:right;"|style="text-align:right;"|style="text-align:right;"|style="text-align:center;"|style="background:#eee;" colspan="4"|모잠비크틸라피아Oreochromis mossambicus (Peters, 1852)39cm35cm1.13kg11년2.0[33][34][35] 취약종[36]



2002년 전 세계 틸라피아 양식 생산량은 연간 약 1500000ton (약 18억 달러)이었다.[37] 이는 연어송어의 생산량 및 가치와 거의 동일하다.

틸라피아는 조류나 식물성 먹이를 먹을 수 있어 육식성 어류와 달리 양식 비용이 절감되고, 먹이 종에 대한 어획 압력을 줄이며, 먹이 사슬 상위 단계에서 축적되는 독소 농축을 피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틸라피아는 "물속의 닭"으로 불리며 선호되는 어종이다.[38]

틸라피아 시클리드는 크기가 크고 성장이 빠르며 맛이 좋아 대규모 양식의 대상이 되고 있다. 특히 ''Oreochromis'', ''Sarotherodon'', ''Coptodon'' 속의 여러 종이 양식의 중심이다 (이전에는 모두 ''Tilapia'' 속에 속해 있었다).[2] 틸라피아는 소규모 및 대규모 어업에서 인기가 많은 좋은 단백질 공급원이다. 이러한 어업은 원래 아프리카에서 많이 발견되었지만, 파푸아뉴기니, 필리핀, 인도네시아와 같은 열대 국가의 야외 어류 양식장이 담수호에서 운영되고 있다.[39] 온대 지역에서는 틸라피아 양식을 위해 열대 기온으로 물을 데우는 데 에너지가 필요하며, 공장 및 발전소의 폐열을 이용하는 방법이 활용되기도 한다.[40]

중국은 연간 130만 톤으로 세계 최대 틸라피아 생산국이며, 이집트가 50만 톤으로 그 뒤를 잇고 있다.[41] 미국은 1만 톤을 생산하는 반면 소비량은 250만 톤에 달한다.[42]

현대 양식업에서 야생 나일 틸라피아는 어육의 어두운 색깔과 "조악한 어종"이라는 평판 때문에[43] 많이 사용되지 않지만, 성장이 빠르고 좋은 생선 필레를 제공하며 육색이 밝은 백색종("레드") 품종이 개발되어 인기가 높다. 양식에는 잡종도 사용되는데, 나일 틸라피아 × 청색틸라피아 잡종은 일반적으로 다소 어둡지만, "로키 마운틴 화이트" 틸라피아는 밝은 육색과 저온 내성으로 인해 종종 양식된다.[43]

상업적으로 양식되는 틸라피아는 거의 전적으로 수컷인데, 이는 수컷이 암컷보다 훨씬 빨리 자라기 때문이다.[44] 틸라피아 치어의 사료에 수컷 성호르몬을 첨가하여 암컷을 수컷으로 성전환시키거나,[44][45] 특정 틸라피아 종을 잡종화하거나 동형접합 수컷 성염색체를 가진 "슈퍼 수컷"을 사용하기도 한다.[45][46] 틸라피아는 다산하기 때문에 암컷이 있으면 수확 가능한 크기의 개체군 대신 작은 물고기의 개체수가 급격히 증가한다.[47]

1950년 모잠비크틸라피아필리핀에 처음 소개되었고, 1972년 태국에서 나일 틸라피아가 도입되었다. 테라폰(궁꽁)과 흰망둑(비양푸티)와 같은 계통은 라구나데베이에 풍부했다. 1988년 월드피시(WorldFish), 필리핀 및 노르웨이 연구원들은 유전적으로 개선된 양식 틸라피아(GIFT)의 양식을 시작했다.[48] 틸라피아 개체군 관리의 다른 방법으로는 틸라피아와 함께 포식자를 양식하거나 다른 종과의 잡종화가 있다.[49] 틸라피아는 아시아에서 남아메리카북아메리카에 이르기까지 전 세계적으로 도입되었다.

6. 1. 대한민국 양식

나일 틸라피아는 비교적 크기가 크고 성장이 빨라 열대아열대 지역 뿐 아니라 대한민국에서도 양식 대상종으로 많이 쓰이고 있다. 부화된 지 4~5개월 만에 성숙이 이루어지며, 번식력이 매우 강하다. 암컷은 수컷에 비해 성장률이 떨어져 수컷을 주로 양식한다.[83]

양식할 때는 낮은 수온에 약해 일반적으로 노지 양식이 아닌 순환여과식 양식시스템을 이용한다.[85] 대한민국에는 1955년 태국에서 도입되었으며, 1980년대 이후 생산량이 급격하게 늘어났다.[84]

7. 이용



나일틸라피아 양식은 고대 이집트 시대부터 시작되었으며, 가디너 목록의 상형 문자 K1(𓆛)로 표현되었다. 이 물고기는 이집트 미술에서 환생을 상징했고, 이집트 신앙에서는 다산과 풍요의 여신 하토르와 관련이 있었다.[7] 또한 태양신이 하늘을 가로지를 때 동행하며 보호한다고 여겨졌다. 무덤 벽에 그려진 나일틸라피아는 사망자가 태양선에 자신의 자리를 차지하기를 바라는 ''죽은 자의 서'' 주문 15부분을 상기시킨다.[8]

나일틸라피아는 탈무드 시대 갈릴리 호수에서 잡힌 세 가지 주요 어종 중 하나였으며, 특히 갈릴리 빗살무늬틸라피아(''Sarotherodon galilaeus'')가 그러했다. 오늘날 현대 히브리어로 ''amnoon''(아마도 "어미"를 뜻하는 ''am''과 "물고기"를 뜻하는 ''noon''의 합성어)이라고 불린다. 영어로는 "성 베드로의 물고기"라고도 하는데, 이는 베드로가 입에 동전을 문 물고기를 잡았다는 마태복음 이야기에서 유래한다.[9]

틸라피아는 상업적으로 중요한 양식 종 중 하나이며, 이취에 취약하다. '진흙 맛' 또는 '퀴퀴한 맛'은 게오스민과 2-메틸이소보르네올에 의해 발생하는데, 이는 물과 토양에 흔히 존재하거나 산발적으로 번성하는 시아노박테리아의 유기체이다. 이러한 맛은 생선의 신선도나 안전성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지만, 소비자에게는 매력을 떨어뜨린다.[54]

틸라피아는 수은 함량이 매우 낮고,[55] 포화 지방, 칼로리, 탄수화물, 나트륨이 적으며, 좋은 단백질 공급원이다. , 니아신, 셀레늄, 비타민 B12, 칼륨 등 미량 영양소도 함유하고 있다.[56]

일부에서는 틸라피아가 영양가가 낮을 수 있다고 주장한다. 다른 어종보다 오메가-3 지방산 함량이 낮고, 오메가-6 지방산 수치는 높기 때문이다. 양식 틸라피아 사료에 아마씨 유도체(오메가-3 지방산의 식물성 공급원)를 첨가하면 ALADHA, EPA)이 증가한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57][58]

틸라피아(100g)의 주요 지방산 종류[75]
항목분량(g)
지방1.7
포화지방산0.585
16:0(팔미트산)0.424
18:0(스테아르산)0.107
단일불포화지방산0.498
18:1(올레인산)0.379
다가불포화지방산0.363
18:2(리놀레산)0.158
18:3(α-리놀렌산)0.033
22:5(도코사펜타엔산(DPA))0.043
22:6(도코사헥사엔산(DHA))0.086



틸라피아 살은 비린내가 없고 맛이 좋아 여러 나라에서 식용으로 사용된다. 야생, 양식 모두 활발하다. 민물고기지만 비린내가 없고 맛이 좋으나, 내장은 매우 비리므로 세토로 치지 않고 등과 꼬리만 잘라내는 손질법이 좋다.

무지개송어, 브라운송어 등 담수어류나 정어리, 고등어, 연어, 대구, 참치, 도미, 농어 등 해수어와 함께 여러 국가에서 식재료로 유통된다.

전 세계적으로 붉은색으로 선별된 나일 틸라피아(Nile tilapia)와 나일 틸라피아 x 블루 티라피아(Blue tilapia) 잡종 개체가 양식되고 있다.

7. 1. 한국에서의 이용

나일 틸라피아는 성장 속도가 빨라 열대아열대 지역뿐만 아니라 대한민국에서도 양식 대상종으로 많이 쓰이고 있다. 부화된 지 4~5개월 만에 성숙이 이루어지며 번식력이 매우 강하다. 암컷은 수컷에 비해 성장률이 떨어져 수컷을 주로 양식한다.[83]

대한민국에는 1955년 태국에서 도입되었으며, 낮은 수온에 약해 일반적으로 노지 양식이 아닌 순환여과식 양식시스템을 이용한다.[85] 1980년대에 이후 생산량이 급격하게 늘어났다.[84]

7. 2. 기타 국가

틸라피아는 원래 아프리카와 레반트 지역이 원산지로 양식되었다. 빠르게 성장하고, 높은 밀도의 사육에도 잘 견디며, 적응력이 뛰어난 틸라피아는 아시아의 많은 지역에 도입되어 광범위하게 양식되고 있으며, 다른 지역에서도 양식 대상으로 점점 더 흔해지고 있다.

틸라피아의 도입은 아시아에서 남아메리카와 북아메리카에 이르기까지 전 세계적으로 이루어졌다.

예수 그리스도와 관련된 장소로 알려진 갈릴리 호수에 많이 서식하며, 현지의 별미 요리이다. 칼집을 넣고 통째로 튀긴 후 레몬을 뿌려 먹는 것이 일반적이다. 예수의 제자 성 베드로가 은화를 물고 있는 티라피아를 낚았다는 일화(『헌금의 돈』)에서 "세인트 피터스 피시(St. Peter's Fish)"라고 불린다.[77][78]

1960년대, 어류학자이기도 했던 명치 친왕(현 상황)은 태국의 식량 사정이 어렵다는 것을 알고 태국 국왕에게 나일틸라피아(Nile tilapia) 50마리를 선물하며 "틸라피아 양식"을 제안했다. 태국 정부는 이를 받아들였고, 현재 태국에서는 틸라피아가 널리 소비되고 있다. 이 일화를 기념하여 태국에서는 화교에 의해 "仁魚(인어)"라는 한자 이름이 붙여졌고, 태국어로는 프라 닌(ปลานิล)이라고 불린다. 1973년 방글라데시의 식량 위기에 직면해서는 태국이 방글라데시에 자국에서 양식한 틸라피아 종묘 50만 마리를 지원했다.

1946년에 틸라피아가 싱가포르에서 도입되어, 도입자인 오진휘(呉振輝)와 과개장(郭啓彰)의 성을 따서 '오과어(呉郭魚)'라는 이름으로 양식되어 식재료로 중요해졌다. 1969년에는 나일틸라피아와의 교배가 이루어져 '복수어(福寿魚)'(즉, '대만송어(台湾鯛)')라 명명되었다. 현재는 양식장 내에서 교잡이 진행되고 있다. 일본과 유럽으로의 수출도 이루어지고 있다.

1970년대에 후베이성(湖北省)에서 나일틸라피아(尼羅羅非魚)가 도입되었는데, 나일강(尼羅川)과 아프리카(非洲)에서 유래하여 ‘뤄페이위(羅非魚)’라고 명명되었다. 이후 화난(華南)을 중심으로 양식이 활발해져 현재는 일반적인 식재료로 유통되고 있다. 튀김, 찜, 조림, 탕 등에 널리 사용된다.

차드 남부에서는 오크라 등의 으깬 채소와 함께 땅콩버터에 넣고 끓인 "다라바"라는 요리에 사용되기도 한다. NHK 드라마 「꿈 식당의 요리사~1964 도쿄 올림픽 선수촌 이야기~」에서는 차드 출신 선수를 위해 당시 일본에서는 티라피아를 구할 수 없어 대신 참돔을 넣은 다라바 만들기에 분투하는 요리사가 그려졌다.

일본계 양식장이 틸라피아를 '남국다이(南国鯛, 상표등록済)'라는 이름으로 캄보디아 국내에서 유통시키고 있다.

8. 생태계 영향

틸라피아는 특정 수생 식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용되기도 한다. 틸라피아는 개구리밥과 같은 떠다니는 수생 식물을 좋아하며, 일부 실 모양의 조류도 먹는다.[18] 케냐에서는 말라리아를 옮기는 모기를 줄이기 위해 틸라피아를 도입했다. 틸라피아는 모기 유충을 먹어 성체 암컷 모기(질병 매개체)의 수를 줄인다.[63] 그러나 이러한 장점은 틸라피아가 침입종으로서 가지는 문제점 때문에 가려지기도 한다.[19]

틸라피아는 따뜻한 물에서 살기 때문에 온대 기후에서는 생존하기 어렵다. 푸른 틸라피아(''Oreochromis aureus'')는 약 7.2°C에서 죽는 반면, 다른 틸라피아 종은 약 11.1°C에서 약 16.7°C 범위에서 죽는다. 따라서 틸라피아는 온대 지역의 생태계를 침범하여 교란할 수 없다. 그러나 열대 및 아열대 지역의 담수 및 기수 서식지에서는 널리 퍼져 고유종을 크게 교란시키기도 한다.[20] 이 때문에 틸라피아는 IUCN에서 지정한 세계 최악의 침입 외래종 100종 목록에 포함되어 있다.[21]

미국에서는 틸라피아가 남부 지역, 특히 플로리다주텍사스주, 그리고 아이다호주의 발전소 배출수 지역에서 발견된다.[22] 애리조나주 피닉스 운하 시스템에서는 조류 성장을 조절하기 위해 틸라피아를 사육하고 있다. 2024년 6월 21일, 워싱턴 D.C.의 포토맥 강 우드로 윌슨 브리지 아래 존스 포인트 공원에서도 틸라피아가 잡혔다는 보고가 있었다.[23] 미국, 호주, 남아프리카 공화국 등 많은 국가의 어류 및 야생 동물 기관은 틸라피아를 침입종으로 간주한다.[24]

한국에서는 틸라피아의 생태계 영향에 대한 직접적인 언급은 없지만, 일본의 사례를 통해 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일본에서는 틸라피아가 류큐 열도와 온천 지역 등에서 정착하여 생태계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특히 오키나와 제도의 하천과 호수, 아이치현 나고야시 나카가와구·미나토구의 아라코가와, 오와리 온천 주변에서는 나일틸라피아가 극단적인 우점종이 되어 생태계를 압박하고 있다.

이 때문에 나일틸라피아와 카와스즈메는 일본 외래생물법에 의해 주의해야 할 외래생물로 지정되었으며,[80][81] 2015년 3월 26일부터는 「생태계 피해 방지 외래종」으로 변경되었다.[82]

9. 기타

브라질에서는 2017년 임상 시험에서 닐 타이라피아(*오레오크로미스 닐로티쿠스*)의 피부를 붕대로 사용하여 화상 치료에 처음으로 사용되었으며,[64] 이는 쥐를 대상으로 한 성공적인 시험 이후였다.[65] 미국에서는 캘리포니아주 토머스 산불에 걸린 두 마리의 흑곰의 발에 3도 화상을 치료하는 데 성공적으로 타이라피아 피부가 사용되었고,[66][67] 캐어 산불에서 온 흑곰의 발 화상 치료에도 사용되었다.[68] 닐 타이라피아 피부는 표재성 부분 두께 화상에 대한 3상 임상 시험을 완료했다. 어류 피부 그룹은 실버 설파디아진 크림 대조군에 비해 치유 속도가 빠르고 통증이 적으며 드레싱 교체 횟수가 적고 치료 비용이 낮았다.[69]

닐 타이라피아 피부는 신질조성술에서 피부 이식편 재료로도 사용되었으며, 뮬러관 무형성증, 질 협착증, 성전환 수술에 사용되었다.[70][71]

타이라피아 피부의 피부 성장 특성은 높은 I형 콜라겐 함량과 인간 피부와의 구조적 유사성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이 재료는 두께가 얇음에도 불구하고 매우 강하다.[72] 현재 피부 사용 절차[69]는 클로르헥시딘을 이용한 화학적 살균, 글리세롤에 담그기, 감마선 살균, 그리고 그 사이에 생리식염수로 몇 번 세척하는 것을 포함한다.[73]

참조

[1] 웹사이트 Fisheries and Aquaculture Department Statistics http://faostat.fao.o[...] UN Food and Agriculture Department
[2] 논문 Molecular phylogeny and revised classification of the haplotilapiine cichlid fishes formerly referred to as ''Tilapia''
[3] 웹사이트 Tilapia http://www.daff.qld.[...] Department of Agriculture, Fisheries and Forestry 2013-01-01
[4] 웹사이트 Culture of Hybrid Tilapia: A Reference Profile http://edis.ifas.ufl[...] University of Florida, Institute of Food and Agricultural Sciences 1992-07-01
[5] 웹사이트 Tilapia https://www.etymonli[...] 2024-07-18
[6] 웹사이트 Genera Summary: Tilapia http://www.fishbase.[...] FishBase 2007-06-01
[7] 서적 Tilapia Farming: Exploring the Science and Technology of Cultivating a Global Aquaculture Staple https://books.google[...] Red Dot Publications 2023-10-02
[8] 서적 Women in Ancient Egypt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9] 성경
[10] 서적 Simply Fish Faber & Faber
[11] 뉴스 Tilapia is a farmed fish of biblical fame http://www.cincypost[...] E. W. Scripps Company 2003-07-16
[12] 서적 The Cichlid Aquarium Tetra Press
[13] 웹사이트 What Is the Origin of Tilapia Fish? http://animals.mom.m[...]
[14] 웹사이트 The Salton Sea: Fishing for Answers http://blogs.calstat[...]
[15] ITIS 2007-08-16
[16] ITIS 2007-08-16
[17] 논문 Classification and Phylogenetic Relationships of African Tilapiine Fishes Inferred from Mitochondrial DNA Sequences
[18] 웹사이트 Aquatic Weed Control http://www.mobot.org[...] Mobot.org 2013-08-13
[19] 웹사이트 Oreochromis aureus http://www.issg.org/[...]
[20] 웹사이트 Global Invasive Species Programme, Invasive Species Information, Tilapia http://www.gisp.org/[...]
[21] 웹사이트 100 of the World's Worst Alien Invasive Species http://www.issg.org/[...] IUCN Species Survival Commission
[22] 웹사이트 NAS – Nonindigenous Aquatic Species https://nas.er.usgs.[...] USGS
[23] 뉴스 District Fishing Report https://doee.dc.gov/[...] 2024-06-21
[24] 웹사이트 Oreochromis mossambicus (fish) http://www.issg.org/[...] IUCN Species Survival Commission
[25] 웹사이트 Keeping Tilapia in Aquariums http://www.aquaticco[...] AC Tropical Fish
[26] FishBase 2012-09-01
[27] 웹사이트 ''Oreochromis niloticus'' Linnaeus, 1758) http://www.fao.org/f[...]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28] WoRMS ''Oreochromis niloticus''
[29] IUCN ''Oreochromis niloticus'' 2020-01-01
[30] FishBase 2012-09-01
[31] WoRMS ''Oreochromis aureus''
[32] IUCN ''Oreochromis aureus'' https://www.iucnredl[...]
[33] FishBase 2012-09-01
[34] 웹사이트 ''Oreochromis mossambicus'' (Peters, 1852) http://www.fao.org/f[...]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35] WoRMS ''Oreochromis mossambicus'' (Peters, 1852)
[36] IUCN Oreochromis mossambicus 2019-11-11
[37] 웹사이트 Tilapias as Alien Aquatics in Asia and the Pacific: A Review http://www.fao.org/d[...] FAO Fisheries Technical Paper – No. 453
[38] 서적 The Cichlid Fishes https://archive.org/[...] Perseus Publishing
[39] 웹사이트 Title unknown http://www.fao.org/d[...]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40] 뉴스 GO FISH, Egyptian Style http://www.auri.org/[...] Agricultural Utilization Research Institute
[41] 웹사이트 Finding more fish, between Egypt and Vietnam http://www.eco-busin[...] eco-business.com 2010-10-28
[42] 웹사이트 FishStat database http://faostat.fao.o[...]
[43] 웹사이트 Tilapia Aquaculture http://www.miami-aqu[...] Miami Aqua-culture, Inc.
[44] 웹사이트 Oreochromis niloticus (Linnaeus, 1758) http://www.fao.org/f[...]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United Nations
[45] 논문 Genes for sexual body size dimorphism in hybrid tilapia (Oreochromis sp. x Oreochromis mossambicus)
[46] 논문 Tilapia sex determination: Where temperature and genetics meet http://agritrop.cira[...]
[47] 웹사이트 Fact about Tilapia Fish (Oreochromis spp.) http://www.mytilapia[...]
[48] 뉴스 Tilapia, a history https://opinion.inqu[...] The Philippine Star 2024-08-02
[49] 서적 Multivariate methods in aquaculture research: case studies of Tilapias in experimental and commercial systems International Center for Living Aquatic Resources Management (ICLARM) ; Agricultural Research Organization ; Bundesministerium für Wirtschaftliche Zusammenarbeit und Entwicklung 1993
[50] 뉴스 Chennai Agency Culls African-Origin Fish to Save Adyar Creek https://timesofindia[...] 2024-10-18
[51] 간행물 https://eparlib.nic.[...]
[52] 논문 Genomic prediction for commercial traits using univariate and multivariate approaches in Nile tilapia (Oreochromis niloticus) https://www.biorxiv.[...] 2019-08-05
[53] 논문 Maternal, dominance and additive genetic effects in Nile tilapia; influence on growth, fillet yield and body size traits 2018-05-01
[54] 논문 Off flavor characterization and origin in French trout farming
[55] 웹사이트 Mercury Levels in Commercial Fish and Shellfish (1990–2010) https://www.fda.gov/[...]
[56] 웹사이트 Nutrition Facts and Analysis for Fish, tilapia, cooked, dry heat http://nutritiondata[...]
[57] 논문 n-3 PUFA fortification of high n-6 PUFA farmed tilapia with linseed could significantly increase dietary contribution and support nutritional expectations of fish 2009-03-01
[58] 논문 Effect of flaxseed oil in diet on fatty acid composition in the liver of Nile tilapia (Oreochromis niloticus) 2007-09-01
[59] 논문 Can Atlantic salmon (Salmo salar) grow on diets devoid of fish meal? 2006-05-01
[60] 웹사이트 Aquatic Weed Control http://www.mobot.org[...]
[61] 논문 The biology and management of Tilapia mariae (Pisces: Cichlidae) as a native and invasive species: a review. 2011-04-02
[62] 논문 Invasive tilapia juveniles are associated with degraded river habitats. https://www.research[...] 2008-04-02
[63] 논문 Interactions between fish and aquatic macrophytes in inland waters. A review. http://www.fao.org/d[...]
[64] 뉴스 Why this Brazilian city uses tilapia fish skin to treat burn victims https://www.pbs.org/[...] PBS
[65] 논문 Uso da pele de tilápia (Oreochromis niloticus), como curativo biológico oclusivo, no tratamento de queimaduras http://rbqueimaduras[...] 2017
[66] 뉴스 Two bears were badly burned in wildfires, and fish skin helped heal them https://www.washingt[...]
[67] 뉴스 Bears Burned in California Wildfires Healed With Fish Skins, Released to Wild https://www.ucdavis.[...] UC Davis
[68] 뉴스 WILDFIRES: Bear Treated With Fish Skins; Firefighters Return https://www.ucdavis.[...] UC Davis
[69] 논문 Nile Tilapia Fish Skin-Based Wound Dressing Improves Pain and Treatment-Related Costs of Superficial Partial-Thickness Burns: A Phase III Randomized Controlled Trial. 2021-05-01
[70] 논문 Tilapia fish skin as a new biologic graft for neovaginoplasty in Mayer-Rokitansky-Kuster-Hauser syndrome: A video case report
[71] 논문 Male-to-Female Gender-Affirming Surgery Using Nile Tilapia Fish Skin as a Biocompatible Graft
[72] 논문 Innovative treatment using tilapia skin as a xenograft for partial thickness burns after a gunpowder explosion. 2019-06-00
[73] 논문 Use of Tilapia Skin as a Xenograft for Pediatric Burn Treatment: A Case Report 2019-08-14
[74] 논문 Monogenean fauna of alien tilapias (Cichlidae) in south China
[75] 웹사이트 USDA Food Composition Databases https://ndb.nal.usda[...]
[76] 웹사이트 環境にやさしいASC認証 - いずみ鯛 - トップバリュ - イオンのプライベートブランド TOPVALU(トップバリュ) https://www.topvalu.[...] 2024-03-00
[77] 뉴스 うまい!エルサレム 『聖なる魚』の素揚げ 読売新聞 2010-04-09
[78] 웹사이트 地中海にすむ魚<サン・ピエトロ> イエス・キリストの使徒の名を冠している理由とは? https://sakanato.jp/[...]
[79] 논문 Centroidal Voronoi Tessellations: Applications and Algorithms
[80] 웹사이트 外来生物法 要注意外来生物リスト:魚類(詳細)ナイルティラピアの項 http://www.env.go.jp[...]
[81] 웹사이트 外来生物法 要注意外来生物リスト:魚類(詳細)カワスズメの項 http://www.env.go.jp[...]
[82] 웹사이트 生態系被害防止外来種リスト https://www.env.go.j[...]
[83] 논문 나일틸라피아의 성분화와 호르몬에 의한 성전환 2013-12-17
[84] 논문 양식 틸라피아에 대한 유전학적 동정 2013-12-17
[85] 논문 동절기 순환여과식 시스템 내 틸라피아 Oreochromis miloticus 치어의 성장과 사료효율에 미치는 사료 공급 비율의 영향 2013-12-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