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노그리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노그리드는 클라우드 기반 빅데이터 연구를 수행하는 기업으로, 2011년 기술특례 코스닥 상장을 시도했으나 실패했다. 2016년 핫텍에 매각되었으며, 현재는 적자가 지속되어 완전자본잠식 상태이다. 2017년과 2022년에 각각 시리즈 A, B 투자를 유치하여 총 169억 원을 투자받았다. 한국투자증권을 상장 주관사로 하여 상장을 추진했으나, 2024년 1월 상장예비심사를 승인받은 후 최대주주 지위 분쟁 관련 사항을 누락하여 승인이 취소되었다. 이로 인해 향후 1년 이내에 상장예비심사를 신청할 수 없게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클라우드 인프라스트럭처 - 클라우드 컴퓨팅
클라우드 컴퓨팅은 인터넷을 통해 컴퓨팅 자원을 서비스 형태로 제공하는 모델로, 다양한 서비스 및 배치 모델을 가지며 비용 효율성과 확장성을 제공하지만 보안 및 의존성 문제도 존재하며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다. - 클라우드 인프라스트럭처 - 마이크로소프트 애저
마이크로소프트 애저는 전 세계 데이터 센터를 통해 600개 이상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마이크로소프트의 클라우드 컴퓨팅 플랫폼으로, 다양한 컴퓨팅, 데이터베이스, 스토리지, AI, IoT 기능과 개발자 지원 서비스를 제공하지만 복잡한 가격 모델과 서비스 장애 및 보안 문제가 우려된다. - 클라우드 컴퓨팅 - 데이터 센터
데이터센터는 컴퓨터 시스템 및 관련 장비와 지원 인프라를 수용하는 시설로, 기술 발전에 따라 규모와 중요성이 확대되었으며, 에너지 효율과 보안을 고려하여 설계 및 운영되고, TIA-942 표준에 따른 티어 분류와 친환경 기술 도입이 이루어지고 있다. - 클라우드 컴퓨팅 - 구글 드라이브
구글 드라이브는 2012년 구글에서 출시한 파일 저장 및 동기화 서비스로, 클라우드 저장, 다중 장치 접근, 파일 공유 기능을 제공하며, 다양한 플랫폼 지원 및 구글 워크스페이스 앱과의 통합을 통해 협업 기능을 제공하고, 개인 사용자에게 15GB의 무료 저장 공간을 제공한다. - 클라우드 컴퓨팅 제공자 - 구글
구글은 래리 페이지와 세르게이 브린이 개발한 웹 검색 엔진에서 출발하여 검색 기술 혁신을 통해 유튜브, 안드로이드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세계적인 기술 기업으로 성장했지만, 개인정보보호 및 독점 논란에도 직면하고 있다. - 클라우드 컴퓨팅 제공자 - 마이크로소프트
마이크로소프트는 빌 게이츠와 폴 앨런이 1975년에 설립한 미국의 다국적 기술 기업으로, 윈도우 운영체제, 오피스 제품군, 엑스박스, 애저, 인공지능 투자 등을 통해 사업 영역을 확장하며 세계 최대 기술 기업 중 하나로 자리매김했다.
이노그리드 - [회사]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이노그리드 |
원어 | Innogrid Co. Ltd. |
형태 | 주식회사 |
산업 | 시스템 소프트웨어 개발 및 공급업 |
창립 | 2006년 10월 2일 |
장소 |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대로 314 정보통신공제조합 빌딩 10층 (서초동 1674-1) |
대표 | 대표이사 김명진 |
대표 제품 | 클라우드 솔루션 및 서비스 |
재무 정보 (2022년) | |
자본금 | 18억 9,846만원 |
매출액 | 141억 5,015만원 |
순이익 | - 46억 7,750만원 |
영업 이익 | - 46억 5,103만원 |
주주 정보 | |
주주 | 김명진 (20.50%) KAI-EVO클라우드 신기술투자조합 (11.31%) 오령아 (5.00%) 오픈워터 Pre-IPO 투자조합10호 3.31% |
기타 정보 | |
종업원 | 175명 (2022년) |
웹사이트 | 이노그리드 |
2. 역사
(내용 없음)
2. 1. 초기 역사 및 경영 변화
2011년 기술특례 코스닥 상장을 시도했으나, 상장예비심사를 통과하지 못했다[2]. 이후 클라우드 기반 빅데이터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은[3] 김명진이 CTO로 영입되었고, 3년 뒤부터 CEO를 맡아 회사를 경영하고 있다[4].2016년에는 당시 이노그리드를 소유하고 있던 핫텍이 에스앤알코퍼레이션에 회사를 44억원에 매각하였다[5]. 회사는 이후 상장을 위한 기술성 평가를 통과하기도 했으나[6], 누적 결손금이 159억원에 달하는 등 적자가 지속되어 완전자본잠식 상태에 이르렀다[7][8].
2. 2. 인수 합병 및 재정 상황
2016년 이노그리드를 소유하고 있던 핫텍은 44억원에 에스앤알코퍼레이션으로 회사를 매각하였다.[5] 누적 결손금은 159억원에 달하며, 적자가 지속되어 완전자본잠식 상태에 있다.[7][8]3. 투자 유치
이노그리드는 시리즈 A와 시리즈 B 투자를 통해 총 169억원 규모의 투자를 유치하였다.[9]
3. 1. 시리즈 A 투자
2017년, KB인베스트먼트와 네오플럭스로부터 시리즈 A 단계에서 50억원 규모의 투자를 유치하였다.[9]3. 2. 시리즈 B 투자
2022년 라이프자산운용, 우신벤처투자, 오픈워터인베스트, 한국투자증권, 제이비인베스트 그리고 이베스트투자증권이 시리즈 B 투자로 참여하여 총 119억원을 유치하였다.[9]4. 상장 과정 및 문제점
이노그리드는 한국투자증권을 상장 주관사로 선정하여 기업공개(IPO)를 추진하였다.[10] 2023년 한국거래소에 상장예비심사를 신청하였고, 당시 신청 기업 중 심사 대기 시간이 가장 길었으나 2024년 1월 한국거래소로부터 상장예비심사 승인을 받았다.[11]
그러나 이후 최대주주 지위 분쟁과 관련된 중요 정보를 사전에 인지하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상장예비심사 신청 서류 등에 이를 기재하지 않은 사실이 드러났다. 한국거래소는 이를 상장예비심사 결과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거짓 기재 또는 중요사항 누락으로 판단하여, 2024년 6월 이노그리드의 상장 예비심사 승인을 취소하였다. 이 결정으로 이노그리드는 향후 1년간 상장예비심사를 다시 신청할 수 없게 되었다.[12]
4. 1. 상장 추진 경과
한국투자증권을 상장 주관사로 하여 상장을 추진하였다. 2023년에는 한국거래소에 상장예비심사를 신청했으나, 당시 신청 기업 중 가장 긴 대기 시간을 가졌다.[10] 이후 2024년 1월, 한국거래소로부터 상장예비심사 승인을 받았다.[11] 그러나 2024년 6월, 최대주주 지위 분쟁과 관련된 사항을 사전에 인지하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상장예비심사 신청서 등에 이를 기재하지 않은 사실이 드러났다. 한국거래소는 이를 상장예비심사 결과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거짓 기재 또는 중요사항 누락으로 판단하여 상장 예비심사 승인을 취소하였다. 이 결정으로 인해 향후 1년 동안 상장예비심사를 신청할 수 없게 되었다.[12]4. 2. 상장 예비심사 승인 및 취소
한국투자증권을 상장 주관사로 하여 기업공개(IPO)를 추진하였다. 2023년에는 한국거래소의 상장예비심사 대기 시간이 신청 기업 중 가장 길었으나,[10] 2024년 1월 한국거래소로부터 상장예비심사를 승인받았다.[11]그러나 2024년 6월, 최대주주 지위 분쟁과 관련된 중요 사항을 사전에 인지하고 있었음에도 상장예비심사신청서 등에 이를 누락한 사실이 드러났다. 한국거래소는 이를 '심사 결과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거짓 기재 또는 중요사항 누락'으로 판단하여 상장 예비심사 승인을 취소하였다. 이 결정에 따라 이노그리드는 향후 1년 동안 상장예비심사를 다시 신청할 수 없게 제한되었다.[12]
4. 3. 상장 과정에서의 문제점과 교훈
한국투자증권을 상장 주관사로 하여 코스닥 상장을 추진하던 이노그리드는 2023년 한국거래소의 상장예비심사 대기 시간이 신청 기업 중 가장 길었으나[10], 2024년 1월 상장예비심사를 통과하며 상장 가능성을 높였다.[11]그러나 2024년 6월, 한국거래소는 이노그리드의 상장예비심사 승인을 전격 취소했다.[12] 취소 사유는 이노그리드가 최대주주 지위 분쟁과 관련된 잠재적 위험을 인지하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상장예비심사신청서 등 관련 서류에 제대로 기재하지 않았다는 점이다. 한국거래소는 이를 '상장예비심사 결과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심사신청서의 거짓 기재 또는 중요사항 누락'으로 판단했다.[12] 이 결정으로 이노그리드는 향후 1년간 상장예비심사를 다시 신청할 수 없게 되었다.[12]
이 사건은 특히 기술특례상장 제도를 통해 증시 입성을 준비하는 기업들에게 중요한 교훈을 남겼다. 기업 경영의 투명성 확보와 공시 의무 준수가 상장 과정뿐만 아니라 기업의 지속 가능한 성장에 얼마나 중요한지를 보여주는 사례로 평가된다. 일부에서는 이번 일을 계기로 일부 기업에서 나타나는 불투명한 경영 관행에 대한 비판과 함께, 중소·벤처기업의 건전한 발전을 위해 투명한 정보 공개와 책임 경영 문화 정착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제기되기도 한다.
참조
[1]
뉴스
이노그리드 “대체불가 클라우드 풀스택, AI·지능화 품는다”
https://www.hellot.n[...]
헬로티
2023-08-24
[2]
뉴스
이노그리드, 이달 말 기술평가…코스닥 상장 재도전 성공할까
https://mobile.newsi[...]
뉴시스
2022-12-16
[3]
뉴스
박사 학위 받은 육군 중사, 스타트업 CEO가 되다
https://www.hankooki[...]
한국일보
2020-11-02
[4]
뉴스
이노그리드 "클라우드 R&D 3관왕 달성···매출 300억 달성 무난"
https://zdnet.co.kr/[...]
지디넷
2023-05-10
[5]
뉴스
핫텍, 계열사 이노그리드 지분 44억원에 매각
https://www.yna.co.k[...]
연합뉴스
2016-07-29
[6]
뉴스
예심청구 임박 이노그리드, '수주잔고'로 밸류 어필
https://www.thebell.[...]
더벨
2023-02-17
[7]
뉴스
이노그리드, '2022년도 서울형 강소기업' 선정
https://www.koit.co.[...]
정보통신신문
2022-10-26
[8]
뉴스
이노그리드, 상반기 매출 3배 뛰었지만… 적자지속으로 완전자본잠식
https://ddaily.co.kr[...]
디지털데일리
2023-08-17
[9]
간행물
이노그리드 대신증권 기업분석
https://money2.daish[...]
대신증권
2023-01-26
[10]
뉴스
상장예비심사 ‘거북이 걸음’… 기한 지킨 건 5%뿐
https://www.chosun.c[...]
조선일보
2023-07-18
[11]
뉴스
토종 클라우드 '이노그리드' 상반기 기술특례로 증시 입성 추진
https://www.the-stoc[...]
더스탁
2024-02-02
[12]
뉴스
이노그리드 코스닥상장 예비 승인 취소…"중요사항 누락"
https://www.yna.co.k[...]
연합뉴스
2024-06-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