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동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동춘은 대한민국의 프로 복싱 선수로, 1980년 프로 데뷔하여 1995년 사망했다. 한국 밴텀급과 슈퍼플라이급, 일본 밴텀급 챔피언을 지냈으며, 통산 전적은 57전 45승(26KO) 2무 10패이다. 1992년 일본 밴텀급 챔피언에 등극했으며, 7차 방어에 성공했으나, 1995년 9월 일본 밴텀급 타이틀 탈환에 실패한 후 급성 경막하혈종으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경기 중 사망한 권투 선수 - 김득구
    가난을 극복하고 한국과 동양 챔피언에 오른 프로 복싱 선수 김득구는 1982년 레이 맨시니와의 세계 선수권 경기에서 사망 후 권투 안전 규정 강화에 영향을 주었다.
  • 경기 중 사망한 권투 선수 - 최요삼
    최요삼은 대한민국의 프로 권투 선수로, WBC 라이트플라이급 세계 챔피언에 올라 3차 방어에 성공하는 등 화려한 경력을 쌓았으나, WBO 인터콘티넨탈 플라이급 챔피언 1차 방어전 직후 뇌출혈로 사망 후 체육훈장 백마장 추서와 장기 기증으로 기려지고 리쌍의 추모곡 '챔피언'으로도 기억되는 인물이다.
  • 대한민국의 남자 권투 선수 - 박찬희 (권투 선수)
    1976년 올림픽 국가대표이자 WBC 플라이급 세계 챔피언이었던 박찬희는 5차 방어에 성공한 후 1982년 은퇴한 대한민국의 권투 선수이다.
  • 대한민국의 남자 권투 선수 - 조인주
    조인주는 1992년 프로 복싱 선수로 데뷔하여 1998년 WBC 슈퍼플라이급 챔피언에 올랐고, 5차 방어에 성공했으나 홍창수에게 2연패하며 은퇴했다.
  • 1995년 사망 - 이종성 (1924년)
    이종성은 충남방적을 설립하여 국내 최대 섬유류 제조업체로 성장시키고 1억불 수출탑을 수상하는 등 대한민국 경제 발전에 기여했으며, 국회의원과 청운여고, 혜전대학, 청운대학교 등의 설립을 통해 교육 사업에도 헌신한 기업인이자 교육자, 정치인이다.
  • 1995년 사망 - 김상협
    김상협은 삼양그룹 창업주의 아들이자 독립운동가의 조카로, 도쿄대 졸업 후 고려대 교수와 총장, 문교부 장관, 국무총리, 대한적십자사 총재 등을 역임한 정치인이자 교육자이며, 친일 행적 논란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가 요구된다.
이동춘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본명이동춘 (李東春)
출생일1963년 3월 8일
출생지경상북도 대구광역시
사망일1995년 9월 9일
사망지도쿄도
링네임그레이트 김산
스타일우 복서파이터
선수 경력
체급밴텀급
프로 데뷔1980년
은퇴1995년
총 경기 수57
승리45
KO승26
패배10
무승부2

2. 생애

대구광역시에서 태어났다. 1980년 11월 18일 대한민국에서 프로 무대에 데뷔했으며, 1981년 11월 18일 OPBF 밴텀급 경기에서 오장균을 상대로 승리했다. 1983년 7월 26일 대한민국 밴텀급 챔피언에 올랐다.

1989년 일본에 진출하여 1992년 6월 6일 일본 밴텀급 챔피언이 되었다.

통산 전적은 57전 45승(26KO) 2무 10패이며, 1995년 9월 5일 도쿄도 고라쿠엔 경기장에서 세가와 세쓰오와의 경기에서 판정패한 뒤 급성 경막하혈종으로 쓰러져 4일 후인 9월 9일 사망했다.[3]

2. 1. 한국에서의 활동

대구광역시에서 태어났다. 1980년 11월 18일, 서울특별시에서 프로 데뷔전을 가졌으나 2R 실격패했다.[3] 1981년 11월 18일, 오장균에게 판정승하며 OPBF 밴텀급 챔피언 타이틀 도전 자격을 얻었다.[3]

1983년 7월 26일, 한국 밴텀급 타이틀을 획득했고(4R KO승),[3] 같은 해 10월 21일, 6R TKO승으로 타이틀 1차 방어에 성공했다.[3] 1984년에는 마루오 타다시, 신자키 미츠루 등 일본 선수들에게 KO승을 거두었다.[3]

1985년 3월 6일, 태국 방콕의 라자담넌 스타디움에서 카오사이 갤럭시에게 패하며(7R KO패) WBA 세계 슈퍼플라이급 타이틀 획득에 실패했다.[3] 하지만 같은 해 5월 18일, 와타나베 무츠오 (일본)에게 2R TKO승을 거두었고,[3] 8월 17일에는 한국 슈퍼플라이급 타이틀을 획득했다(10R 판정승).[3]

1986년 12월 3일, 인도네시아 자카르타겔로라 붕 카르노 스타디움에서 엘리 피칼에게 패하며(10R KO패) IBF 세계 슈퍼플라이급 타이틀 획득에 실패했다.[1][2][3] 이후 한국에서 4경기 연속 KO승을 기록했다.[1][2]

1989년 1월 24일, 일본에서의 첫 경기에서는 하타나카 키요시에게 판정패했지만,[1][2] 같은 해 12월 12일, 오자키 케이이치에게 판정승했다.[2]

2. 2. 일본에서의 활동

1989년 일본에 진출하였다. 1989년 1월 24일, 일본에서의 첫 경기에서 하타나카 키요시에게 10R 판정패를 당했다.[1][2] 1989년 12월 12일에는 전 일본 밴텀급 챔피언 오자키 케이이치에게 10R 판정승을 거두었다.

1992년 6월 6일, 일본 밴텀급 챔피언 야마오카 마사키에게 도전하여 9R KO승을 거두며 일본 밴텀급 챔피언에 등극했다.[2] 이 승리로 동일본 복싱 협회의 1992년 6월 월간 최우수 선수상을 받았다. 1993년 2월 6일, 세 번째 방어전에서 오타카 에이이치에게 8R TKO 승리를 거두며 동일본 복싱 협회의 1993년 2월 월간 최우수 선수상을 받았다.

1995년 2월 28일, 챔피언 카니발에서의 8번째 방어전에서 가와마스 세츠오에게 1-2 판정패를 당하며 타이틀을 잃었다. 이 판정은 논란을 불러일으켰고[1], JBC는 재경기를 지시했다.

1995년 9월 5일, 가와마스와의 두 번째 방어전에서 다시 한번 일본 밴텀급 타이틀 탈환에 도전했지만, 0-3 판정패를 당했다. 경기 직후, 건강 이상을 호소하였고, 4일 후인 9월 9일 급성 경막하혈종으로 사망했다. 고향 대구광역시에 있는 묘 옆에는 일본 팬들의 기금으로 석비가 건립되었다.[1]

3. 사망 이후

1995년 9월 5일 도쿄도 고라쿠엔 경기장에서 벌어진 세가와 세쓰오와의 경기에서 판정패한 뒤 급성 경막하혈종으로 쓰러져 4일 후인 9월 9일 사망했다.[3]

4. 경기 스타일 및 평가

이동춘은 왼손 훅을 주무기로 사용하는 공격적인 선수였다. 챔피언 카니발에서 논란이 된 판정으로 타이틀을 잃은 것은 그의 불운을 상징하는 사건으로 회고된다.[3]

5. 타이틀

이동춘은 대구광역시에서 태어났다. 1980년 11월 18일 대한민국에서 프로 무대에 데뷔했으며, 1981년 11월 18일 OPBF 밴텀급 경기에서 오장균을 상대로 승리했다. 1983년 7월 26일 대한민국 밴텀급 챔피언에 올랐으며, 1992년 6월 6일 일본 밴텀급 챔피언에 올랐다.[3]

통산 전적은 57전 45승(26KO) 2무 10패이며, 1995년 9월 5일 도쿄도 고라쿠엔 경기장에서 벌어진 세가와 세쓰오와의 경기에서 판정패한 뒤 급성 경막하혈종으로 쓰러져 4일 후인 9월 9일 사망했다.[3]

6. 관련 서적


  • 분게이슌주에서 펴낸 스포츠 그래픽 넘버 베스트 셀렉션 III, 「라스트 라운드 - 비운의 한국인 복서, 그레이트 가네야마」
  • 단행본: 1998년 9월 ISBN 978-4-1635-4400-7
  • 문춘 문고 plus: 2003년 6월 ISBN 978-4-1676-6054-3

참조

[1] 서적 日本プロボクシングチャンピオン大鑑 [[ベースボール・マガジン社]] 2004-03-01
[2] 간행물 金山“残り39秒”逆転KOで王座獲得!! [[日本スポーツ出版社]] 1993-11-30
[3] 뉴스 韓國프로복싱선수,日링서 쓰러져 사망서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1995-09-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