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사카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사카어는 분절음뿐만 아니라 비음과 성조로도 의미를 구별하는 언어이다. 음운 체계는 자음, 모음, 성조로 구성되며, 특히 성조는 고, 저, 상승, 하강의 4가지 대조를 보인다. 문법적으로는 대명사가 인칭, 수, 성, 격에 따라 변화하며, 주어-목적어-동사 어순을 따른다. 동사는 주어와 호응하는 접두사를 가지며, 일부 자동사는 목적어를 표시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이사카어 | |
---|---|
언어 정보 | |
이름 | 이사카어 |
고유 이름 | 크리사 |
사용 지역 | 산다운 주, 파푸아뉴기니 |
화자 수 | 420명 (2003년) |
어족 | 스코어족 |
ISO 639-3 | ksi |
Glottolog | kris1246 |
Glottolog 명칭 | I'saka |
2. 음운
이사카어는 분절된 음운뿐만 아니라 비음과 성조의 여부로도 의미를 구별한다. 이사카어의 자음과 모음 체계는 아래와 같다. (자세한 내용은 하위 문단을 참고)
분절 음소 외에도, 이사카어는 성조와 비모음에서도 초분절적 구분을 한다.
2. 1. 자음
이사카어에는 다음과 같은 자음이 있다.
, 소리와 가끔 소리는 비대립적인 자유 변이를 보이며, 하나의 음소(로 표기)의 변이음이다. Donohue와 San Roque (2004)는 인접 언어인 톡 피신어의 영향으로, 융합 과정에 있는 초기 음소 또는 이음 대립이 있었을 것이라고 제안한다. 유성 파열음(및 반모음)은 비모음 앞에서 비음화된다.
2. 2. 모음
이사카어의 모음은 다섯 가지이며, 나이든 화자들은 때로 중설 원순 고모음을 사용하기도 한다.전설 | 중설 | 후설 | |
---|---|---|---|
고모음 | () | ||
중저모음 | |||
저모음 |
대부분의 화자들은 5개의 구강 모음 음소를 구별하지만, 나이가 많은 화자들은 때때로 고중설 원순 모음도 구별한다.
모음은 또한 비음화되며, 이러한 비음은 유성 파열음 앞에서 비음화된다. 예를 들어, ''heart''(상승조)는 로 발음되는 반면, ''none''은 로 발음된다.
Donohue & San Roque (2004)는 비음을 모음이 아닌 음절의 초분절 음소 특징으로 제시한다.
2. 3. 성조
이사카어는 분절된 음운뿐만 아니라 비음과 성조의 여부로도 의미를 구별한다.톤 체계는 단일 음절에서 고, 저, 상승, 하강의 4가지 성조 대조를 이룬다. 두 음절로 된 어근에서 이론적으로 가능한 성조 패턴(4 x 4)의 절반 미만이 실제로 발견된다. 특히, 저-저는 두 개의 동일한 성조의 유일한 시퀀스이며, 고-상승 시퀀스는 관찰되지 않았다. 적어도 음성학적 저음조 윤곽선의 일부 예는 음성적으로 무성조이거나 성조 값이 지정되지 않은 음절을 나타낸다.
3. 문법
이사카어는 평서문에서 주어-목적어-동사(SOV) 구조를 취한다. 인칭 대명사는 무표, 주격, 대격, 소유격 형태를 가지며, 주격은 타동사와 자동사의 주어, 대격은 타동사의 목적어에 사용된다. 사격 대명사는 무표 격 형태이며, 무표 격은 주격이나 소유격 대신 쓰이기도 하지만 그 의미 차이는 명확하지 않다. 명사는 격에 따른 변화가 없지만, 도구격, 위치격, 술어임을 나타내는 후치사를 가질 수 있다.[1]
동사는 주어와 일치하는 접두사를 가지며, 일부 타동사는 목적어를 나타내기 위해 접미사를 붙이거나 동사 어간을 변화시킨다. 그러나 대부분의 동사는 목적어를 따로 표시하지 않는다.[1]
3. 1. 대명사
이사카어의 대명사는 단수와 복수, 1인칭과 2인칭에서 양수, 3인칭 단수에서 성, 그리고 격에 따라 변화한다. 남성은 "남성을 가진 생물체나 그와 직접적으로 연상되는 것"이며 그 외의 단어들은 여성으로 구분된다.[1]이사카어는 평서문에서 주어-목적어-동사 구조를 가진다. 대명사는 무표, 주격, 대격, 소유격의 형태를 갖는다. 주격은 타동사와 자동사의 주어로 사용되며, 대격은 타동사의 목적어이다. 사격 역할의 대명사는 무표격을 갖는다. 무표격은 때로 주격이나 소유격 대명사 대신 쓰일 수도 있으나 그 의미상의 차이는 잘 알려지지 않았다.[1] 명사는 격에 따라 변화하지 않으나 도구격, 위치격, 그리고 술어임을 나타내는 후치사를 가질 수 있다.[1]
동사는 접두사로 주어와 호응해야 한다. 일부 자동사는 동사의 어근을 변화하거나 목적어에 목적격 접두사를 붙이나, 대부분의 동사들은 목적어를 따로 표시하지 않는다.[1] 인칭 대명사는 수 (단수, 복수, 1인칭 및 2인칭의 이중수), 성 (남성 또는 비남성, 3인칭 단수 대명사에만 표시) 및 격에 대한 형태론적 변이를 나타낸다.[2] 남성 성은 '생물체인 남성 개체와 즉시 관련된 항목'을 나타내고, 비남성 성은 그 외의 모든 것, 즉 일반적인 기본 성을 나타낸다.[2]
이사카어는 서술문에서 주어-목적어-동사 어순을 가진다. 인칭 대명사는 무표, 주격, 대격 및 소유격 형태를 갖는다. 주격 대명사는 타동사와 자동사의 주어에 사용되며, 대격 대명사는 타동사의 목적어에 사용된다. 사격 역할의 대명사는 무표 격 형태를 취한다. 무표 격 형태는 주격 및 소유격 대명사 대신에도 사용될 수 있지만, 선택의 중요성은 불분명하다. 명사는 핵심 문법적 역할에서 격 표시가 없지만 도구격, 동반/위치 및 서술적 소유자를 위한 접미사가 있다.[2]
동사는 명사보다 더 많은 형태론적 표시를 갖는다. 주어와 일치하는 접두사가 있다. 타동사 하위 집합은 객체 접미사 또는 동사 어간의 보충을 통해 객체를 표시한다. 대부분의 동사는 객체 표시가 없다.[2]
3. 2. 명사
이사카어의 대명사는 단수, 복수, 1인칭 및 2인칭에서의 양수, 3인칭 단수에서의 성, 그리고 격에 따라 변화한다. 남성은 "남성을 가진 생물체나 그와 직접적으로 연상되는 것"이며, 그 외의 단어들은 여성으로 구분된다.[1]명사는 격에 따라 변화하지 않으나 도구격, 위치격, 그리고 술어임을 나타내는 후치사를 가질 수 있다.[1]
3. 3. 동사
이사카어의 동사는 명사보다 더 많은 필수적인 형태론적 표시를 갖는다. 동사는 주어와 일치하는 접두사를 가진다. 타동사 하위 집합은 객체 접미사 또는 동사 어간의 보충을 통해 객체를 표시한다. 대부분의 동사는 객체 표시가 없다. 일부 자동사는 동사의 어근을 변화하거나 목적어에 목적격 접두사를 붙이나, 대부분의 동사들은 목적어를 따로 표시하지 않는다.[1]참조
[1]
웹사이트
Papua New Guinea languages
https://www.ethnolog[...]
SIL International
2019
[2]
웹사이트
Papua New Guinea Village Coordinates Lookup
https://data.humdata[...]
2018
[3]
서적
Papuan pasts: cultural, linguistic and biological histories of Papuan-speaking peoples
Pacific Linguistic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