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무성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무성음은 음성학에서 성대가 떨리지 않고 소리를 내는 자음을 의미한다. 고전 음성학에서는 허파에서 나온 공기가 후두를 통과할 때 성대가 열려 있어 거의 진동하지 않는 소리로 정의하며, p, f, t, s, k 등이 대표적이다. 현대 음성학에서는 발성 시작부터 성대 진동 시점까지의 시간(VOT)을 기준으로 무성음을 구분하며, VOT가 긴 특징을 보인다. 한국어, 영어, 중국어, 일본어, 독일어, 러시아어, 티베트어 등 여러 언어에서 무성음의 특징이 나타나며, 특히 한국어는 유기음과 무기음의 차이로 의미를 구분하는 특징을 보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자음 - 유성음
    유성음은 허파에서 나온 공기가 성대를 진동시켜 만들어지는 소리이며, 모음과 일부 자음이 이에 해당하고, 언어에 따라 유성음과 무성음의 구별이 단어의 의미를 구분하는 기준이 되기도 한다.
  • 자음 - 성문음
    성문음은 성문의 조음 상태에 따라 생성되는 음운으로, 성문 폐쇄음과 성문 마찰음 등을 포함하며, 성문 마찰음은 실제 마찰음과 달리 접근음으로 간주되고, 성문 폐쇄음은 성문이 완전히 닫히는 소리이며, 성문 폐쇄 정도에 따라 무성음과 유성음으로 구분되기도 한다.
  • 언어학에 관한 - 중설 모음
    중설 모음은 혀의 위치가 입의 중앙에 위치하여 발음되는 모음으로, 혀의 높이, 앞뒤 위치, 입술의 둥글림 여부에 따라 여러 종류로 구분된다.
  • 언어학에 관한 - 유성음
    유성음은 허파에서 나온 공기가 성대를 진동시켜 만들어지는 소리이며, 모음과 일부 자음이 이에 해당하고, 언어에 따라 유성음과 무성음의 구별이 단어의 의미를 구분하는 기준이 되기도 한다.
  • 언어학에 관한 - 세례명
    세례명은 기독교에서 세례를 받을 때 받는 새로운 이름으로,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새롭게 태어남을 의미하며, 성경 속 인물들의 이름 변화에서 유래하여 중세 이후 유럽에서 일반적인 이름 형태로 정착되었고, 수호성인의 이름에서 따와 이름 축일로 기념되기도 한다.
  • 언어학에 관한 - 개명
    개명은 개인이나 법인이 이름을 바꾸는 행위로, 결혼, 이혼, 이민, 종교 개종, 성 정체성 확인, 사회적 이미지 개선, 범죄 회피 등 여러 이유로 행해지며, 절차는 국가별로 다르지만 법적 제약과 고려 사항이 따른다.
무성음
무성 성문 파열음
무성 성문 파열음
국제 음성 기호◌̥
설명
소리가 만들어질 때 성대가 진동하지 않는 음성
조음 방법
장애음파열음
불파음
마찰음
파찰음
치찰음
공명음비음
탄음
전동음
유음접근음
홀소리
반모음
공명강구강음
비음
비모음
기류의 방향설측음
치측음
중설음
기류의 근원폐장기류음
고립기류음(비 폐장기류음)
흡착음
방출음
내파음
성대의 울림유성음
무성음
기식유기음
무기음
긴장도연음
경음
그 외유성유기음
R음

2. 음성학적 특징

성대의 진동 없이 만들어지는 소리를 말한다. 무성음은 여러 언어에서 유성음과 대립하여 의미를 구별하는 데 쓰이지만, 그 방식은 언어마다 다르다.

한국어영어 등에서는 파열음마찰음에서 유성음과 무성음의 대립이 의미 구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반면 중국어한국어에서는 유성음/무성음 대립보다는 유기음무기음의 대립이 의미 구별에 더 중요하게 작용하기도 한다.

일본어 표준어동일본 지역 방언에서는 무성 자음 사이에 오거나 뒤따르는 좁은 모음(i, u 등)이 무성음으로 변하는 모음의 무성화 현상이 나타난다 (예: 쿠사([kɯsa]), 시타([ɕita]), 데스([desɯ])). 독일어러시아어 등에서는 단어 끝에 오는 유성 자음이 무성 자음으로 발음되는 어말 무성화 현상이 있다.

또한, 티베트어처럼 일반적이지 않은 무성음이 나타나는 경우도 있는데, 무성음 l̥이나 m̥ 등이 사용된다 (예: ལྷ་ས་|라사bod).

2. 1. 고전 음성학

허파로부터 나온 공기가 후두를 통과할 때 2개의 성대 사이가 열려 있으면 성대는 아주 약간의 진동이 있거나 거의 진동이 없으며 내쉬는 숨이 그대로 밖으로 나간다. 여기서 들리는 소리가 무성음(혹은 반유성음)이다. 주로 자음에 나타나고 [p], [f], [t], [s], [k] 등이 이에 속한다.

자음 체계에서 무성음과 유성음의 대립 구조를 가진 언어가 많다. 그러나 한국어태국어 등은 무성음과 유성음의 차이로 뜻을 구별하는 기능이 보다 덜 발달된 언어로 다루어진다.

2. 2. 음향 음성학

현대 음향 음성학에서는 발성 시작부터 성대 진동 시점까지의 시간, 즉 성대진동시점 (Voice Onset Timing, VOT)을 기준으로 무성음과 유성음을 구분한다. 무성음으로 분류되는 자음군은 이 VOT가 길고, 유성음은 상대적으로 짧은 특징을 보인다. 한국어에서는 이 VOT가 예사소리(유성음), 된소리(무성음), 거센소리(무성 유기음)를 구분하는 중요한 음성학적 자질로 작용한다.

3. 여러 언어의 무성음

많은 언어의 자음 체계에서는 유성음과 무성음의 대립 구조가 나타난다. 예를 들어 영어에서는 파열음마찰음에서 유성음과 무성음의 차이가 단어의 의미를 구별하는 중요한 기능을 한다.

그러나 한국어태국어와 같은 언어에서는 유성음과 무성음의 차이로 뜻을 구별하는 기능이 상대적으로 덜 발달하였다. 한국어중국어의 경우에는 유성음과 무성음의 대립보다는 유기음무기음의 차이가 의미 구별에 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일본어 표준어동일본 지역 방언에서는 무성 자음 주변의 좁은 모음(i, u)이 무성화되는 모음의 무성화 현상이 나타난다(예: '''쿠'''사(kusa), '''시'''타(shita), 데'''스'''(desu)). 또한 독일어러시아어 등에서는 단어 끝에 오는 유성 자음이 무성 자음으로 발음되는 자음의 무성화가 일어난다.

티베트어에서는 무성음 l(l̥)이나 m(m̥)과 같은 무성음이 존재한다(예: lhasa, 라사).

3. 1. 한국어

한국어태국어 등과 같이 유성음과 무성음의 차이로 뜻을 구별하는 기능이 보다 덜 발달된 언어로 다루어진다. 한국어에서는 성대진동시점(Voice Onset Timing, VOT)이 예사소리(유성음), 된소리(무성음), 거센소리(무성 유기음)를 구분해 주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된소리와 거센소리는 무성음으로 분류되며, VOT 값에서 차이를 보인다.

파열음마찰음에 있어서, 한국어영어처럼 유성음과 무성음의 차이로 의미를 구분하는 측면도 있지만, 중국어처럼 유기음무기음의 차이가 의미를 구분하는 데 더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3. 2. 영어

영어에서는 파열음마찰음에서 유성음과 무성음의 대립이 단어의 의미를 구별하는 중요한 기능을 한다.

3. 3. 중국어

한국어영어 등의 언어에서는 유성음과 무성음의 차이가 단어의 의미를 구별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반면 중국어에서는 유성음과 무성음의 구별보다는 유기음(숨소리를 강하게 내는 소리)과 무기음(숨소리를 약하게 내거나 내지 않는 소리)의 차이가 의미를 구별하는 데 더 중요한 기능을 한다.

3. 4. 일본어

일본어 표준어동일본 지역의 대부분 방언에서는 무성 자음으로 둘러싸인, 또는 무성 자음 뒤에 오는 좁은 모음(u, i 등)이 무성화되는 경향이 있으며, 이를 모음의 무성화라고 한다(사, 타, 데 등).

3. 5. 독일어와 러시아어

독일어, 러시아어 등에서는 어말의 유성 자음이 무성 자음으로 발음되는데, 이를 자음의 무성화라고 한다.

3. 6. 티베트어

티베트어에는 무성음 l(l̥) (예: lhasa 라사)이나 m(m̥)이 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