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스타지우 베이라히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스타지우 베이라히우는 브라질 포르투알레그레에 위치한 축구 경기장으로, SC 인테르나시오나우의 홈 구장이다. 1956년 건설이 시작되어 1969년 개장했으며, 호세 피녜이루 보르다의 주도로 건설이 진행되어 그의 이름을 따 공식 명칭이 되었다. 2014년 FIFA 월드컵 경기장으로 사용되었으며, 주요 경기 및 사건, 다양한 국제 대회를 개최했다. 또한 저스틴 비버, 로저 워터스, 롤링 스톤스 등 세계적인 아티스트들의 콘서트가 열리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포르투알레그리의 스포츠 - 1963년 하계 유니버시아드
1963년 하계 유니버시아드는 육상, 농구 등 다양한 종목이 진행되었고 소련과 헝가리가 메달 순위 상위를 차지했으며 21개 국가가 메달을 획득한 국제 스포츠 교류 대회이다. - 포르투알레그리의 스포츠 - 아레나 두 그레미우
아레나 두 그레미우는 브라질 포르투알레그리에 위치한 그레미우의 홈 구장으로, 에스타디오 올림피코 모누멘탈을 대체하기 위해 건설되어 2012년 개장한 축구 경기장이자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코파 아메리카 등 주요 경기와 콘서트가 열리는 다목적 경기장이다. - 2014년 FIFA 월드컵 경기장 - 아레나 코린치앙스
아레나 코린치앙스는 브라질 상파울루에 있는 다목적 경기장으로, SC 코린치앙스 파울리스타의 홈구장이며, 2014년 FIFA 월드컵 개막전, 2016년 하계 올림픽 축구 등 국제적인 스포츠 행사를 개최했다. - 2014년 FIFA 월드컵 경기장 - 미네이랑
미네이랑은 브라질 벨루오리존치에 있는 다목적 경기장으로, 1965년 개장하여 FIFA 월드컵 등 주요 국제 대회를 개최했으며, 브라질 축구 국가대표팀의 홈구장으로 사용되고 유명 아티스트들의 콘서트도 열린다.
이스타지우 베이라히우 - [경기장/극장]에 관한 문서 | |
---|---|
경기장 정보 | |
정식 명칭 | 이스타지우 조제 피녜이루 보르다 |
별칭 | 베이라히우, 지간치 다 베이라히우 |
![]() | |
위치 | 브라질 히우그란지두술주 포르투알레그리 프라이아데벨라스 아브. 파드레 카시케, 621-1571 |
기공 | 1956년 9월 12일 |
개장 | 1969년 4월 6일 |
보수 | 2013년 가을 |
소유주 | SC 인테르나시오나우 |
운영 | SPE 홀딩 베이라히우 S/A |
표면 | 티프그랜드 |
수용 인원 | 50,848명 |
기록적인 관중 수 | 106,554명 |
주요 임차인 | SC 인테르나시오나우 (1969년-현재) 브라질 축구 국가대표팀 (선택된 경기) |
건설 정보 | |
건축가 | Hype Studio |
보수 비용 | R$ 3억 3천만 헤알 (보수) |
기타 정보 | |
2. 역사
이스타지우 베이라히우 건설은 정확한 시작 시점이 기록되어 있지 않지만, 1956년 포르투알레그레 시의회에 경기장 부지 기증 제안이 올라오면서 본격적으로 추진되었다.[2] 부지는 구아이바 강 안에 위치해 매립이 필요했고, 1957년부터 매립 작업이 시작되었다.[2]
1960년대 초, 구아이바 강 위에 매립지가 형태를 갖추면서 건설에 긍정적인 발전이 있었다. 포르투갈 이민자이자 인테르나시오나우의 헌신적인 팬이었던 호세 피녜이루 보르다가 공사위원회를 이끌었다.[2]
팬들의 열정적인 참여는 건설의 중요한 동력이었다. 라디오 캠페인을 통해 벽돌, 시멘트, 철재 등의 자재 기부를 독려했고, 1962년에는 경기장 축소 모형을 공개하고 초석을 놓았다.[2] 모금 채권 판매도 활발했다.[2]
1965년 재정 문제로 공사가 중단되기도 했지만, 방쿠 다 프로빈시아의 지원으로 재개되었다. 같은 해 호세 피녜이루 보르다가 사망하면서, 그의 이름을 딴 경기장 명명 움직임이 일어났다.[2]
1968년, 도쿄 올림픽 경기장과 멕시코 시티의 아즈테카 경기장에서 영감을 받은 건축적 특징을 통합하여 경기장 대부분의 구조가 완성되었고, 몇 가지 마무리 작업만 남은 상태였다.[2] 1969년 4월 6일, 10만 명이 넘는 관중이 모인 가운데 베이라히우가 공식 개장했다.[2]
2. 1. 건설
1956년 9월 12일, 인테르나시오나우의 전 회장이었던 에프라임 피녜이루 카브랄은 포르투알레그레 시 의회에 새로운 경기장 건설을 위해 8헥타르 부지를 기증하는 프로젝트를 제안하면서 건설이 시작되었다.[2] 이 부지는 구아이바 강 안에 위치해 있었기 때문에, 제안이 승인된 후 매립이 필요했다.[2]1957년 말 '스터' 준설선이 도착하면서 매립이 시작되었고, 1960년대 초 구아이바 강 위 매립지에 경기장 형태가 갖춰지기 시작했다.[2] 건설은 포르투갈 이민자이자 인테르나시오나우의 열렬한 팬이었던 호세 피녜이루 보르다가 주도했으며, 그의 이름을 따 경기장 공식 명칭이 되었다.[2]

팬들의 자발적인 기부와 모금 활동은 건설에 큰 힘이 되었다.[2] 라디오 캠페인을 통해 히우그란데 전역의 지지자들에게 벽돌, 시멘트, 철재 등의 자재 기부를 촉구했고, 1962년에는 경기장 축소 모형을 공개하고 초석을 놓았다.[2] 모금 채권 판매도 활발하게 이루어졌다.[2]
1965년, 재정 문제로 공사가 중단되기도 했으나, 방쿠 다 프로빈시아의 지원으로 재개되었다.[2] 같은 해, 호세 피녜이루 보르다가 사망하며, 그의 이름을 딴 경기장 명명 움직임이 일어났다.[2]

1968년, 도쿄 올림픽 경기장과 멕시코 시티의 아즈테카 경기장에서 영감을 받은 건축적 특징을 통합하여 경기장 대부분이 완공되었고,[2] 1969년 4월 6일 공식 개장했다.[2] 개장 당일, 인테르나시오나우는 에우제비우가 속한 벤피카를 초청하여 개막전을 치렀고, 클라우디미루의 첫 골과 질송 포르투의 결승골로 2:1 승리를 거두었다.[3]
2. 2. 개장
1969년 4월 6일 일요일, 10만 명이 넘는 관중이 모인 가운데 베이라히우의 개장 경기가 열렸다. 당시 브라질에서 가장 웅장하고 화려한 경기장으로, 최첨단 시설을 갖추고 있었다. 기자석에는 런던과 리스본으로 정보를 전송하는 텔렉스 시스템을 갖추고 있었으며, 선수들을 위한 온천 시설도 마련되어 있었다. 경기장 남쪽 골대 뒤에는 전자 스코어보드가 설치되어 팬들에게 경기 상황을 실시간으로 제공했다.[2][3]개장 경기에서는 인테르나시오나우가 에우제비우가 이끄는 포르투갈의 벤피카를 초청하여 경기를 치렀다. 인테르나시오나우는 열광적인 관중들의 응원에 힘입어 2-1로 승리했다. 당시 19세였던 클라우디미루가 베이라히우의 첫 골을 기록했다.[3] 후반 23분 에우제비우가 동점골을 넣었지만, 5분도 지나지 않아 질송 포르투가 결승골을 넣어 인테르나시오나우가 승리했다.[3]
2. 3. 주요 경기 및 사건
이스타지우 베이라히우는 1975년, 1976년, 1979년 브라질 전국 선수권 대회 결승전을 개최하여 인테르나시오나우가 모두 우승했다. 특히 1975년 결승전에서는 피게로아가 크루제이루를 상대로 결승골을 넣어 인테르나시오나우의 첫 우승을 이끌었다.[4] 1976년 결승전에서는 코린치안스를 상대로 팔캉이 득점을 기록했다.[4] 1979년에는 바스쿠를 2-1로 꺾고 무패 우승을 달성했다.[4]1989년에는 '세기의 그란데(Grenal, 그레미우와 인테르나시오날의 더비)'로 불리는 브라질 전국 선수권 대회 준결승전이 열려 인테르나시오나우가 닐송의 두 골에 힘입어 2-1로 승리했다.[5] 1992년 코파 두 브라질 결승 2차전에서는 셀리우 시우바가 페널티킥 결승골을 성공시켜 인테르나시오나우가 우승했다.[6]
2000년대에 들어서 인테르나시오나우는 이 경기장에서 여러 국제 대회 우승을 차지했다. 2006년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결승전에서 상파울루 FC와 2-2로 비겨 우승했고, 페르난당과 틴가가 득점했다.[4] 2007년과 2008년, 2011년 수다메리카나 레코파 결승전을 개최하여 인테르나시오나우가 모두 우승했다. 2007년 결승전에서는 알레산드리 파투의 활약으로 파추카를 4-0으로 꺾었고,[4] 2008년 결승전에서는 연장전 끝에 닐마르의 결승골로 에스투디안테스 데 라 플라타를 꺾었다.[4] 2010년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결승전에서는 치바스 과달라하라를 3-2로 꺾고 우승했다.[4] 2011년 수다메리카나 레코파에서는 레안드루 다미앙의 활약으로 우승을 차지했다.[4]
2014년 FIFA 월드컵에서는 조별 리그 4경기와 16강전 1경기가 개최되었다.
날짜 | 시간 (UTC-3) | 팀 #1 | 결과 | 팀 #2 | 대회 | 관중 |
---|---|---|---|---|---|---|
2014-06-15 | 16:00 | France|프랑스프랑스어 | 3-0 | Honduras|온두라스es | E조 | 43,012 |
2014-06-18 | 13:00 | Australia|오스트레일리아영어 | 2-3 | Nederland|네덜란드nl | B조 | 42,877 |
2014-06-22 | 16:00 | 대한민국한국어 | 2-4 | الجزائر|알제리ar | H조 | 42,732 |
2014-06-25 | 13:00 | Nigeria|나이지리아영어 | 2-3 | Argentina|아르헨티나es | F조 | 43,285 |
2014-06-30 | 17:00 | Deutschland|독일de | 2-1 (연장) | الجزائر|알제리ar | 16강전 | 43,285 |
특히, 대한민국과 알제리의 H조 조별 리그 경기에서 대한민국이 2-4로 패배하며, 이 경기는 '알제리 쇼크'로 불리게 되었다. 2014년 FIFA 월드컵에서 대한민국 대표팀은 졸전을 거듭한 끝에 1무 2패라는 초라한 성적으로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다. 특히 알제리전 패배는 홍명보 감독의 무능함과 선수 선발, 전술 실패가 적나라하게 드러난 경기로, 한국 축구 역사에 씻을 수 없는 오점으로 남았다.
3. 경기장 시설
이스타지우 베이라히우는 2014년 FIFA 월드컵을 목표로 대대적인 현대화 과정을 거쳤다. 'Gigante Para Sempre'(영원한 거인) 프로젝트는 약 2년 동안 진행되었으며, 2010년 소규모 공사로 시작하여 Andrade Gutierrez와의 파트너십이 시작된 2012년 3월에 본격화되었다.[7] 2012년 12월부터 월드컵을 위한 개조 공사로 경기장이 완전히 폐쇄되었다. 이 기간 동안, 인테르나시오날은 노부 함부르고의 이스타지우 두 발레와 카시아스두술의 이스타지우 센테나리우와 같은 임시 홈구장을 사용해야 했다.[8]
현대화 과정을 통해 콜로라도스(인테르나시오나우의 별명)의 홈구장은 국제 축구 기준과 FIFA가 정한 요구 사항에 맞춰 편안함과 안전성을 높였다. 베이라히우는 팬들에게 많은 특별한 추억을 선사했던 바로 그 자리에 계속 남아 있다.[1]
새로운 지붕은 베이라히우의 트레이드마크이다. 65개의 인터록 모듈로 구성되어 총 4,700톤의 강철 구조로 이루어진 지붕은 현대화 과정에서 가장 매력적인 부분 중 하나이다. 강철 구조로 건설되었으며 높이 36m, 길이 53m에 달하며, 멤브레인은 PTFE(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로 제작되었다. 주요 모듈의 멤브레인은 불투명하고, 패널 사이의 공간은 반투명하여 경기장 내부 조명을 최적화한다. 이 장비는 세척이 용이한 논스틱 표면, 불연성, 화재 안전성, 자외선 방사선에 면역되고 부식성 물질에 강한 소재로 구성되어 있다. 경관 조명은 베이라히우를 다양한 색상으로 물들일 수 있으며, 41와트 프로젝터 910개를 채택하여 지붕 패널당 14개의 반사경을 분산시킨다.[9]
베이라히우의 기존 구조에서 상단 관람석 전체와 하단 관람석의 옹벽은 보존되었다. 강가와 가장 가까운 쪽에 위치한 옛 캐노피와 파드레 카시케 옆에 있는 일명 "캡"도 상단 박스 및 COC(지휘 운영 센터)를 수용하기 위해 변경되었지만 유지되었다.[10]
3. 1. 일반 정보
항목 | 내용 |
---|---|
잔디 | 티프그랜드 (겨울에는 라이그래스 추가)[11] |
매표소 | 4개, 부스 68개 |
화장실 | 81개 |
수용 인원 | 50,128명 (VIP 좌석 7,500석)[12] |
임원용 스위트룸 | 125개 (스위트룸 70개 + 스카이박스 55개)[12] |
비디오 스크린 | 2개 (각 100sqm)[11] |
주차 | 5,500대[11] |
최다 관중 | 106,554명 (1972년 6월 17일, 히우 그란지 두 술 올스타 3–3 브라질 축구 국가대표팀)[11] |
설치된 영구적인 잔디는 버뮤다 티프그랜드이며, 겨울에는 라이그래스를 심는다. 경기장의 배수 시스템은 진공 기반으로, 폭우 속에서도 경기를 할 수 있는 환경을 보장한다. 잔디 관개 시설은 각 12000L 용량의 15개의 저수지에서 작동하며, 총 180000L의 물을 비축하고 있다. 수압 분배 시스템에는 경기장 관개를 위한 24개의 스프링클러가 설치되어 있다.[11]
베이라히우는 히우그란지두술주와 브라질 남부에서 두 번째로 큰 경기장이며, 현재 관람석, 경기장 4층에 위치한 71개의 스카이박스, 2개의 라운지를 갖춘 39개의 그랜드 스탠드, 각각 18명 수용 가능한 55개의 상층 스카이박스를 포함하여 총 50,848명을 수용할 수 있다. 또한 2019년 초에 도입된 입석 구역은 현재 5,000명의 서포터를 수용할 수 있다. 비상 상황 발생 시, FIFA의 지침에 따라 경기장 전체를 8분 이내에 대피시킬 수 있다.[12]
3. 2. 세부 시설
베이라히우는 2014년 FIFA 월드컵을 위해 현대화되면서 다양한 세부 시설을 갖추게 되었다.
3. 3. 배수 및 관개 시스템
경기장의 배수 시스템은 진공 기반으로, 폭우 속에서도 경기를 할 수 있게 해준다.[11] 잔디 관개 시설은 각 12,000리터 용량의 저수지 15개에서 작동하며, 총 180000L의 물을 비축하고 있다. 수압 분배 시스템에는 경기장 관개를 위한 스프링클러 24개가 설치되어 있다.[11]4. 2014 FIFA 월드컵
이스타지우 베이라히우는 2014년 FIFA 월드컵 개최를 위해 '영원한 거인(Gigante Para Sempre)' 프로젝트로 현대화되었다. 2010년 소규모 공사로 시작하여 2012년 3월 안드라데 구티에레스와의 파트너십을 통해 본격적으로 공사가 진행되었다. 2012년 12월부터 월드컵을 위한 개조 공사로 경기장이 완전히 폐쇄되었고, 이 기간 동안 SC 인테르나시오날은 다른 경기장을 임시 홈구장으로 사용해야 했다.[7]
새 경기장의 첫 번째 테스트 이벤트는 2014년 2월 15일에 열렸고, 정식 개장 경기는 2014년 4월 6일에 개최되었다.[8] 2014년 FIFA 월드컵에서는 조별 리그 4경기와 16강전 1경기가 개최되었다. 특히, 대한민국과 알제리의 H조 경기는 알제리 쇼크로 불리며 대한민국 축구 역사에 큰 아픔을 남겼다.
4. 1. 경기 일정
날짜 | 시간 (UTC-3) | 팀 #1 | 결과 | 팀 #2 | 대회 | 관중 |
---|---|---|---|---|---|---|
2014년 6월 15일 | 16:00 | 프랑스 | 3-0 | 온두라스 | E조 | 43,012 |
2014년 6월 18일 | 13:00 | 호주 | 2-3 | 네덜란드 | B조 | 42,877 |
2014년 6월 22일 | 16:00 | 대한민국 | 2-4 | 알제리 | H조 | 42,732 |
2014년 6월 25일 | 13:00 | 나이지리아 | 2-3 | 아르헨티나 | F조 | 43,285 |
2014년 6월 30일 | 17:00 | 독일 | 2-1 (연장) | 알제리 | 16강전 | 43,063 |
2014년 FIFA 월드컵에서는 조별 리그 4경기와 16강전 1경기가 개최되었다. 특히, 대한민국과 알제리의 H조 경기는 알제리 쇼크로 불리며 대한민국 축구 역사에 큰 아픔을 남겼다.[2]
5. 콘서트
Estádio Beira-Rio영어에서는 여러 세계적인 아티스트들의 공연이 열렸다.
날짜 | 아티스트 | 투어 | 관람객 |
---|---|---|---|
2011년 10월 10일 | 저스틴 비버 | 마이 월드 투어 | 20,698 |
2012년 3월 25일 | 로저 워터스 | 더 월 라이브 | 42,436 |
2015년 4월 11일 | 호베르투 카를로스 | TBA | 40,000 |
2015년 10월 17일 | 로스 에르마노스 | Turnê de Reunião | 15,000 |
2016년 3월 2일 | 롤링 스톤스 | 아메리카 라티나 올레 투어 2016 | 49,073 |
2016년 6월 12일 | 아나 카롤리나 & 세우 조르지 | Ana & Jorge | 12,000 |
2016년 10월 11일 | 에어로스미스 | 록 앤 롤 럼블 투어 | 19,476 |
2016년 11월 8일 | 건즈 앤 로지스 | 낫 인 디스 라이프타임... 투어 | 50,567 |
2016년 12월 2일 | 난도 레이스 + 나티루츠 + 크리올루 | POA Love Festival | 8,000 |
2017년 4월 4일 | 엘튼 존 + 제임스 테일러 | 원더풀 크레이지 나잇 투어 | 17,987 |
2017년 9월 6일 | 레오나르두 e 에두아르두 코스타 | Cabaré | 5,000 |
2017년 9월 19일 | 본 조비 | 디스 하우스 이즈 낫 포 세일 투어 | 45,000 |
2017년 9월 26일 | 더 후 + 데프 레파드 | 더 후 투어 2017 | 16,000 |
2017년 10월 13일 | 폴 매카트니 | 원 온 원 투어 | 45,774 |
2017년 10월 24일 | 존 메이어 | 더 서치 포 에브리싱 월드 투어 | 20,000 |
2017년 11월 7일 | 그린 데이 | 레볼루션 라디오 투어 | 18,000 |
2018년 2월 27일 | 필 콜린스 | 낫 데드 엣 투어 | 28,000 |
2018년 3월 4일 | 푸 파이터스 + 퀸스 오브 더 스톤 에이지 | 콘크리트 앤 골드 투어 | 41,000 |
6. 갤러리
참조
[1]
웹사이트
Giganta Pra Sempre
https://internaciona[...]
2024-04-12
[2]
웹사이트
Beira Rio: Construção
https://internaciona[...]
2024-04-12
[3]
웹사이트
Beira Rio: Inauguração
https://internaciona[...]
2024-04-12
[4]
웹사이트
Templo Sagrado
https://internaciona[...]
2024-04-12
[5]
웹사이트
Aquele domingo em chamas: 30 anos do Gre-Nal do Século
https://ge.globo.com[...]
2019-02-12
[6]
웹사이트
História do Clube
https://internaciona[...]
2024-04-09
[7]
웹사이트
Pressionada, Andrade Gutierrez vê tempo hábil para obras até a Copa
https://ge.globo.com[...]
2012-02-27
[8]
웹사이트
O protagonista: D'Ale brilha, e Inter vence Peñarol na volta do Beira-Rio
https://ge.globo.com[...]
2014-04-06
[9]
웹사이트
Giganta Pra Sempre
https://internaciona[...]
2024-04-12
[10]
웹사이트
Giganta Pra Sempre
https://internaciona[...]
2024-04-12
[11]
웹사이트
Giganta Pra Sempre
https://internaciona[...]
2024-04-12
[12]
웹사이트
Giganta Pra Sempre
https://internaciona[...]
2024-04-12
[13]
웹사이트
Giganta Pra Sempre
https://internaciona[...]
2024-04-12
[14]
웹사이트
O legado da Copa: o que será dos 12 estádios usados no Mundial
http://www.espn.com.[...]
2014-07-15
[15]
웹사이트
Informações sobre o Beira-Rio
http://www.internaci[...]
[16]
웹사이트
Estádio Beira-Rio no hagah
http://www.hagah.com[...]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