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C 인테르나시오나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SC 인테르나시오나우는 1909년 브라질 포르투알레그리에서 창단된 축구 클럽이다. 1940년대 '홀루 콤프레소르' 시대를 거치며 8번의 주 리그 우승을 차지했고, 1975년, 1976년, 1979년 캄페오나투 브라질레이루 세리이 A 우승을 달성했다. 2000년대에는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2회, FIFA 클럽 월드컵 1회 우승을 하며 전성기를 맞았으나, 2016년에는 2부 리그로 강등되기도 했다. 주요 선수로는 파울루 호베르투 파우캉, 엘리아스 피게로아 등이 있으며, 역대 감독으로는 파울루 호베르투 파우캉, 마누 메네지스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SC 인테르나시오나우 - 이스타지우 베이라히우
이스타지우 베이라히우는 브라질 포르투알레그레에 있는 SC 인테르나시오나우의 홈 구장으로, 1969년에 개장하여 2014년 FIFA 월드컵 경기장으로 사용되었으며, 다양한 국제 대회와 콘서트가 개최되었다. - 캄페오나투 가우슈 구단 - 그레미우
그레미우는 1903년에 창단된 브라질의 축구 클럽으로, 인터콘티넨털컵,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레코파 수다메리카나 등 다수의 국제 대회에서 우승했으며, 캄페오나투 브라질레이루, 코파 두 브라질 등 국내 대회에서도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 캄페오나투 가우슈 구단 - EC 상조제
EC 상조제는 1913년 브라질 포르투알레그리에서 창단된 축구 클럽으로, 캄페오나투 가우슈 세리이 B에서 두 차례 우승했으며 수륙양용 비행기를 이용한 원정 기록과 13,000명 수용 홈 경기장을 보유하고 있다. - 히우그란지두술주의 축구단 - EC 주벤투지
EC 주벤투지는 1913년 브라질 카시아스두술에서 창단된 축구 클럽으로, 1994년 세리에 A 승격과 1999년 코파 두 브라질 우승을 통해 전국적인 인지도를 얻었으며, 알프레도 자코니 경기장을 홈구장으로 사용하며 꾸준한 성장을 이어가고 있다. - 히우그란지두술주의 축구단 - 그레미우
그레미우는 1903년에 창단된 브라질의 축구 클럽으로, 인터콘티넨털컵,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레코파 수다메리카나 등 다수의 국제 대회에서 우승했으며, 캄페오나투 브라질레이루, 코파 두 브라질 등 국내 대회에서도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SC 인테르나시오나우 - [스포츠팀]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별칭 | Colorado (콜로라도, 붉은색) |
약칭 | Inter (인테르) |
정식 명칭 | Sport Club Internacional (스포르트 클루비 인테르나시오나우) |
창단일 | 1909년 4월 4일 |
회장 | 알레산드루 바르셀루스 |
감독 | 호제르 마샤두 |
리그 | 캄페오나투 브라질레이루 세리이 A 캄페오나투 가우슈 |
2023년 시즌 | 세리이 A, 20개 팀 중 9위 가우숑, 12개 팀 중 3위 |
홈 경기장 | 베이라히우 |
수용 인원 | 50,128명 |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유니폼 정보 | |
![]() | |
![]() | |
![]() |
2. 역사
SC 인테르나시오나우는 20세기 초, 포르투알레그리에서 축구를 하고 싶었으나 기존 클럽들로부터 외면받았던 상파울루 출신의 젊은이들이 주축이 되어 1909년 4월 4일 설립되었다. 창립 당시부터 인종, 종교, 경제적 지위에 따른 차별 없이 누구나 함께할 수 있는 클럽을 지향했으며, 이는 구단의 중요한 정체성으로 자리 잡았다.
구단의 마스코트는 브라질 민간 전승에 등장하는 다리가 하나뿐인 흑인 소년 Saci Pererê|사시 페레레pt이다.
같은 포르투알레그리를 연고지로 하는 그레미우 FBPA와는 오랜 라이벌 관계를 형성하고 있으며, 두 팀 간의 경기는 Clássico Grenal|클라시쿠 그레나우pt라 불리며 히우그란지두술 주 전체의 큰 관심을 받는다. 인테르나시오나우는 히우그란지두술 주에서 그레미우에 이어 두 번째로 인기 있는 클럽으로 알려져 있다.[53]
재정적으로도 브라질 내에서 상위권 클럽으로 평가받는다. 2011년 기준 클럽 수입은 1.98억브라질 헤알로, SC 코린치앙스 파울리스타, 상파울루 FC에 이어 브라질 클럽 중 세 번째로 높은 수입을 기록했다.
그러나 2016년 시즌에는 부진을 겪으며 구단 역사상 처음으로 세리이 B(2부 리그)로 강등되기도 했다.
2. 1. 창단 초기 (1900년대 ~ 1930년대)

SC 인테르나시오나우의 창단은 브라질의 이탈리아계 후손인 엔히키 포페 레앙, 조제 에두아르두 포페, 루이스 마데이라 포페 세 형제로부터 시작되었다. 이들은 브라질 전역에서 축구의 인기가 높아지던 시기인 1908년경 상파울루에서 포르투알레그리로 이주했다.[6] 동생인 조제와 루이스는 상파울루에서 축구를 즐겨 하던 선수였고, 형 엔히키는 영향력을 바탕으로 새로운 클럽 창단을 주도했다.[7] 당시 포르투알레그리에는 독일계 브라질인들만을 위한 축구단인 푸스바우 포르투알레그렌시와 그레미우 두 팀만이 존재했다.[7]
1909년 4월 4일, 포페 형제들은 지역 학생들과 함께 141 헤덴상 거리(현재 1025 주앙페소아 거리)에서 모여 새로운 축구단 창단을 논의했다. 약 40명이 투표를 통해 구단 명칭을 결정했는데, 당시 상파울루주에 있던 SC 인테르나시오나우와 형제들의 고향 팀인 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의 이름을 참고하여 스포르트 클루브 인테르나시오나우로 정했다. 이는 당시 이탈리아계의 팔레스트라 이탈리아(현 SE 파우메이라스)나 포르투갈계의 CR 바스쿠 다 가마처럼 특정 혈통을 중심으로 하던 다른 클럽들과 달리, 국적과 혈통에 상관없이 모두를 위한 클럽이 되고자 하는 창립 원칙을 반영한 것이었다.[7]
클럽의 색상은 포르투알레그레의 거리 카니발에서 영감을 받았다. 당시 시내에는 녹색의 에스메랄디누스와 붉은색의 베네치아누스라는 두 개의 큰 카니발 단체가 있었는데, 투표를 통해 붉은색이 선택되었다.[7]
팀의 첫 번째 경기장은 일로타 지역에 마련되었다. 현재 스포르트 클루브 인테르나시오나우 광장으로 알려진 아를린두 거리의 축구장이 초기 훈련 장소였다. 그러나 이 지역은 잦은 침수로 인해 클럽은 이전을 해야 했고, 1910년 현재 파르크 다 헤덴상으로 불리는 캄푸 다 바르제아로 옮겼다.[6] 1912년에는 아제냐 거리 입구에 위치한 차카라 도스 에우칼립토스를 임대하여 첫 번째 전용 경기장으로 사용했다. 인테르나시오나우는 이곳에서 1913년과 1917년 시립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하며 첫 승리를 거두었다.[6]

1920년대는 인테르나시오나우에게 전환기였다. 초기 성장을 거친 후 재정적 어려움과 홈구장 상실 위기 등 상당한 어려움에 직면했다.[6] 그러나 클럽은 중요한 결정을 통해 반등했다. 1926년 인테르나시오나우는 흑인 축구 선수들의 입단을 허용하기 시작했는데, 이는 1952년에야 흑인 선수 영입 제한을 해제한 라이벌 그레미우보다 26년이나 빠른 결정이었다. 이러한 포용적인 정책은 인종을 가리지 않고 누구나 실력을 발휘할 수 있는 구단으로 성장하는 발판이 되었고, 구단은 "민중의 구단"(Clube do Povopt)이라는 별칭을 얻게 되었다.[6] 또한, 카넬라 프레타 리그(Canela Preta leaguept, 문자 그대로 "검은 정강이" 리그)의 흑인 선수들을 포함하여 다른 리그 선수들에게도 문호를 개방하며 더욱 인기를 얻었다.[6]
어려움을 극복한 인테르나시오나우는 1927년 첫 주 리그 우승을 차지했으며, 첫 자체 홈구장인 에스타지우 두스 에우칼리푸투스 건설을 시작했다.[6] 1931년 메니누 데우스 지구에 개장한 에우칼리푸투스 경기장은 이후 많은 영광의 무대가 되었고, 인테르나시오나우가 브라질 남부의 주요 클럽으로 부상하는 계기가 되었다.[6] 이 시기 일로타 출신의 실비우 피릴루, 카넬라 프레타 리그에서 발굴된 투판과 같은 재능 있는 선수들이 등장했으며, 인테르나시오나우는 훗날 Rolo Compressorpt(홀루 콤프레소르, 증기 롤러)로 불릴 강력한 팀의 기반을 다지기 시작하며 가우슈 축구에서의 지배력을 예고했다.[6]
2. 2. 홀루 콤프레소르 시대 (1940년대)
1940년대는 SC 인테르나시오나우에게 황금기였다. 1939년부터 1948년까지 이어진 이 시기 동안 팀은 막강한 공격력을 자랑하며 Rolo Compressor|홀루 콤프레소르pt라는 별칭을 얻었다. 이는 포르투갈어로 "증기 롤러"를 의미하며[10], 당시 팀의 압도적인 경기력을 상징하는 표현으로, 팬인 비센테 라오가 가우초 축구에서 비할 데 없는 성공을 거둔 팀을 칭하기 위해 만들어냈다.[10]
이 기간 동안 인테르나시오나우는 히우그란지두술 주 리그에서 총 여덟 차례 우승을 차지했으며, 특히 히우그란지두술 주에서 최초로 6회 연속 우승이라는 대기록을 세웠다.[6] 이러한 압도적인 성과의 배경에는 인종에 대한 차별 없는 선수 기용 정책이 있었다. 인테르나시오나우는 1928년부터 흑인 선수를 받아들였는데, 이는 라이벌 그레미우가 1952년까지 허용하지 않았던 일이었다. 축구가 프로화되어 선수들에게 급여를 지급하기 시작하면서, 이전까지 보너스를 지급하는 다른 리그에서 뛰던 실력 있는 흑인 선수들이 인테르나시오나우의 제안을 받아들이며 팀 전력 강화에 크게 기여했다.[10]
당시 팀에는 구단 역사상 위대한 선수들로 꼽히는 아우페우, 테수리냐, 아비가이우, 카를리투스, 아당지뉴 등이 활약했다. '홀루 콤프레소르'라는 별칭은 승리를 향해 상대를 압도하는 인테르나시오나우의 강력함을 나타내는 상징이 되었다.
에우칼립투스 경기장은 항상 많은 관중으로 가득 찼으며, 팀의 첫 울트라를 창설한 비센테 라오[8]와 술에 취해 열정적으로 응원했던 서포터 샤루투[9] (훗날 작가 루이스 페르난두 베리시무가 "순수한 상태의 콜로라도"라고 묘사)는 오늘날까지 회자되는 상징적인 팬들이다.
2. 3. 성장과 전국 리그 등장 (1950년대 ~ 1970년대)
1940년대 이후, SC 인테르나시오나우는 눈부신 성장을 시작하였다. 1950년 FIFA 월드컵 개최를 위해 홈 경기장인 이스타지우 두스 이우칼립투스가 새롭게 단장되었으며, 이 경기장에서는 월드컵 본선 두 경기가 열렸다. 팬들은 1947년부터 1950년까지 이어진 이스타지우 두스 이우칼립투스의 콘크리트 관중석 건설을 적극적으로 지원하였는데, 이는 클럽 시설 개선을 위해 팬들이 직접 자원을 동원하고 자재를 구했던 구단의 역사적 노력 중 하나였다.[11] 이 경기장에서 열린 월드컵 경기는 멕시코 대 유고슬라비아, 멕시코 대 스위스 경기였다.[11]경기장 안에서도 인테르나시오나우는 성공을 이어갔다. 1950년대는 파울리뉴, 플로린두, 오레코, 치네지뉴, 오도리코, 살바도르, 제로니무, 루이징유, 카뇨티뉴와 같은 뛰어난 선수들이 활약했던 시기로 기억된다. 이들은 테테 감독의 지휘 아래 1940년대의 강력했던 팀을 연상시키는 "롤링유"(작은 롤러)라는 별명으로 불렸다.[11][6] 이 시기의 대표적인 스타 선수로는 공격수 보딩유와 래리가 있었다. 1950년대의 주요 성과로는 5번의 주 챔피언십 우승과, 라이벌 팀 그레미우의 새로운 홈 구장인 올림피코 경기장 개장 경기에서 거둔 6-2 대승이 있다.[6] 또한, 1956년 멕시코에서 열린 범아메리카 게임에서 우승한 브라질 대표팀 선수단의 상당수를 인테르나시오나우 선수들이 차지했다는 점은 당시 팀의 높은 수준을 보여준다.[11] 실제로 1956년에는 브라질 대표팀에 8명의 인테르나시오나우 선수가 선발되기도 하였다.
1960년대에 들어서면서 기존의 홈구장인 이우칼립투스 경기장은 늘어나는 팬들을 모두 수용하기에는 부족해졌다. 이에 구단의 팬들이 새로운 경기장 건설을 위한 자금과 물품을 기부하며 다시 한번 힘을 모았고, 마침내 1969년 4월 6일 새로운 홈구장인 이스타지우 베이라히우가 문을 열었다. 베이라히우(Beira-Rio|베이라히우pt)는 포르투갈어로 강기슭을 의미한다.
2. 4. 국제 무대 진출과 좌절 (1980년대 ~ 1990년대)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1980년대와 1990년대 SC 인테르나시오나우의 국제 무대 진출과 좌절에 대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원본 소스는 주로 1970년대까지의 구단 역사, 특히 경기장 건설과 국내 리그에서의 성공을 다루고 있습니다. 따라서 해당 섹션의 내용을 주어진 원본 소스만으로는 작성할 수 없습니다.2. 5. 영광의 시대와 충격의 강등 (2000년대 ~ 2010년대)
2000년대는 SC 인테르나시오나우의 역사상 가장 빛나는 시기 중 하나로 기록된다. 페르난두 카르발류 회장의 주도 아래, 구단은 유소년 시스템 강화에 힘썼고, 이는 곧 성과로 이어졌다. 2002년부터 2005년까지 캄페오나투 가우슈(히우그란지두술 주 리그)에서 4년 연속 우승을 차지하며 지역 내 최강자임을 다시 한번 입증했다.국제 무대에서의 활약은 더욱 눈부셨다. 2006년, 인테르나시오나우는 남미 클럽 축구 최고 권위 대회인 코파 리베르타도레스에서 상파울루 FC를 꺾고 창단 첫 우승을 차지하는 쾌거를 이루었다. 같은 해 연말 일본에서 열린 FIFA 클럽 월드컵에서는 결승전에서 FC 바르셀로나를 1-0으로 제압하고 세계 챔피언의 자리에 올랐다. 이 우승은 구단 역사상 가장 영광스러운 순간 중 하나로 팬들에게 기억되고 있다.
인테르나시오나우의 국제 대회 성공은 여기서 멈추지 않았다. 2007년에는 레코파 수다메리카나에서 우승컵을 들어 올렸고, 2008년에는 코파 수다메리카나 정상에 오르며 남미 주요 클럽 대회를 석권하는 기염을 토했다. 2009년에는 J리그컵 / 코파 수다메리카나 챔피언십에서도 우승하며 아시아 챔피언과의 대결에서도 승리했다. 2010년에는 다시 한번 코파 리베르타도레스에서 우승을 차지하며 2000년대 남미 축구를 대표하는 강팀 중 하나임을 증명했다.
그러나 영광의 시대 이후, 인테르나시오나우는 예상치 못한 시련을 맞이하게 된다. 2016년 시즌, 팀은 극심한 부진에 빠지며 캄페오나투 브라질레이루 세리이 A에서 17위를 기록, 구단 역사상 처음으로 2부 리그인 캄페오나투 브라질레이루 세리이 B로 강등되는 충격을 겪었다. 이는 클럽 역사에 큰 오점으로 남았으나, 인테르나시오나우는 좌절하지 않았다. 바로 다음 시즌인 2017년, 세리이 B에서 2위를 차지하며 한 시즌 만에 1부 리그 복귀에 성공했다.
3. 엠블럼
SC 인테르나시오나우의 첫 번째 엠블럼은 흰색 바탕에 빨간색으로 클럽 이름의 첫 글자인 'SCI'를 새긴 디자인이었다. 이후 곧 빨간색 테두리가 추가되었다. 1950년대에는 색상이 반전되어 빨간색 바탕에 흰색 글자가 들어갔다.
1975년과 1976년 브라질 전국 리그 우승 이후 엠블럼에 별이 추가되기 시작했다. 1979년 무패 우승을 달성한 후에는 세 번째 별과 함께 은색 월계관이 엠블럼 위에 추가되었으나, 월계관은 1980년대에 사라졌다. 1992년 코파 두 브라질 우승 후 네 번째 별이 추가되었다.
2006년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우승 후에는 기존의 네 개 별보다 50% 더 큰 다섯 번째 별이 추가되었다. 같은 해 FIFA 클럽 월드컵에서 우승하자,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우승을 상징하던 큰 별은 전국 리그 우승을 나타내는 네 개의 별 사이 아래쪽으로 이동했고, 클럽 월드컵 우승을 기념하는 새로운 다이아몬드 모양의 별이 그 위에 자리 잡았다. 2007년 레코파 수다메리카나 우승 후에는 세 개의 국제 대회 우승을 상징하는 왕관이 엠블럼에 추가되었고, 브라질 전국 리그 우승을 나타내는 은색 월계관도 엠블럼 아래에 다시 등장했다.
그러나 이 엠블럼은 오래 사용되지 않았다. 2009년 클럽 창단 100주년을 맞아 엠블럼 디자인이 변경되었다. 전통적인 엠블럼 문양과 함께 그 주위를 클럽 이름과 창립 연도가 원형으로 감싸는 형태로 바뀌었으며, 기존의 왕관, 월계관, 별들은 모두 제거되었다.[47]
4. 선수단
인테르나시오나우는 캄페오나투 브라질레이루 세리이 A 2016 시즌 도중 14경기 연속 무승을 기록하는 등 부진을 겪으며 구단 역사상 처음으로 캄페오나투 브라질레이루 세리이 B로 강등되는 아픔을 겪었다.[42] 하지만 캄페오나투 브라질레이루 세리이 B 2017 시즌에서 2위를 차지하며 한 시즌 만에 다시 1부 리그로 복귀하는 데 성공했다.
4. 1. 1군 선수단 (2023년 11월 11일 기준)
등번호 | 국적 | 포지션 | 이름 | 비고 [52] |
---|---|---|---|---|
1 | -- 우루과이 | 골키퍼 | 세르히오 로셰 | |
5 | -- 브라질 | 미드필더 | 페르난두 | |
6 | -- 브라질 | 수비수 | 헤네 | |
7 | -- 브라질 | 미드필더 | 히오란 | |
8 | -- 브라질 | 미드필더 | 브루누 엔히키 | |
10 | -- 브라질 | 미드필더 | 알란 파트리크 | 주장 |
11 | -- 벨기에 | 공격수 | 완데르손 | |
13 | -- 에콰도르 | 공격수 | 에네르 발렌시아 | |
15 | -- 브라질 | 미드필더 | 브루누 고메스 | |
17 | -- 브라질 | 미드필더 | 브루누 타바타 | |
18 | -- 우루과이 | 수비수 | 아구스틴 로헬 | 헤르타에서 임대 |
19 | -- 콜롬비아 | 공격수 | 라파엘 산토스 보레 | |
20 | -- 브라질 | 수비수 | 클레이턴 삼파이우 | |
21 | -- 브라질 | 공격수 | 웨슬리 | |
22 | -- 브라질 | 골키퍼 | 이반 | |
23 | -- 브라질 | 수비수 | 나탕 산투스 | 산투스에서 임대 |
24 | -- 브라질 | 골키퍼 | 안토니 | |
25 | -- 아르헨티나 | 수비수 | 가브리엘 메르카도 | 부주장 |
26 | -- 아르헨티나 | 수비수 | 알렉산드로 베르나베이 | 셀틱에서 임대 |
29 | -- 브라질 | 미드필더 | 치아고 마이아 | |
31 | -- 아르헨티나 | 공격수 | 루카스 알라리오 | |
34 | -- 브라질 | 미드필더 | 가브리엘 카르발류 | |
35 | -- 아르헨티나 | 수비수 | 브라이안 아기레 | |
40 | -- 브라질 | 미드필더 | 로물로 | |
44 | -- 브라질 | 수비수 | 비통 | |
45 | -- 브라질 | 공격수 | 루카 | |
47 | -- 브라질 | 미드필더 | 구스타부 프라도 | |
49 | -- 브라질 | 공격수 | 히카르두 마티아스 |
4. 2. 임대 선수 명단
''2023년 11월 11일 기준''포지션 | 국적 | 이름 | 임대 팀 | 임대 기간 |
---|---|---|---|---|
GK | -- 브라질 | 에메르송 주니오르 | 아틀레치쿠 고이아니엔시 | 2024년 12월 31일까지 |
GK | -- 브라질 | 케이예르 | 바스쿠 다 가마 | 2024년 12월 31일까지 |
DF | -- 브라질 | 헤이토르 | 구아라니 FC | 2024년 11월 30일까지 |
MF | -- 브라질 | 에스테방 | 구아라니 FC | 2024년 11월 30일까지 |
MF | -- 브라질 | 가브리엘 | 아틀레치쿠 파라나엔시 | 2024년 12월 31일까지 |
MF | -- 브라질 | 구스타보 캄파냐로 | 아틀레치쿠 고이아니엔시 | 2024년 12월 31일까지 |
MF | -- 브라질 | 마테우스 디아스 | CD 나시오날 | 2025년 6월 30일까지 |
FW | -- 브라질 | 다비드 | 바스쿠 다 가마 | 2024년 12월 31일까지 |
FW | -- 브라질 | 가브리엘 바로스 | 아바이 FC | 2024년 11월 30일까지 |
4. 3. 역대 주요 선수
'''역대 최고 득점자'''이름 | 활동 연도 | 골 | |
---|---|---|---|
1 | 카를리투스 | 1938–51 | 325 |
2 | 보디뉴 | 1951–58 | 235 |
3 | 클라우디미루 | 1967–74, 1979 | 210 |
4 | 발도미루 | 1968–79, 1982 | 191 |
5 | 테소우리냐 | 1939–49 | 178 |
6 | 래리 | 1954–61 | 176 |
7 | 호세 비야바 | 1941–44, 1946–49 | 153 |
8 | 이부 | 1955–60 | 118 |
9 | 자이르 | 1974–81 | 117 |
10 | 아다웅지뉴 | 1943–51 | 108 |
'''역대 최다 출장 선수'''
이름 | 활동 연도 | 출장 | |
---|---|---|---|
1 | 발도미루 | 1968–79, 1982 | 803 |
2 | 비비아누 폰테스 | 1965–75 | 523 |
3 | 안드레스 달레산드로 | 2008–16, 2017–20, 2022– | 523 |
4 | 도리뉴 | 1964–75 | 460 |
5 | 루이스 카를루스 윙크 | 1981–89, 1991, 1994 | 453 |
6 | 클라우디미루 | 1967–74, 1979 | 420 |
7 | 가이네치 | 1962–64, 1966–71 | 410 |
8 | 마우루 갈바웅 | 1979–86 | 393 |
9 | 인디오 | 2005–14 | 391 |
10 | 팔캉 | 1972–80 | 387 |
'''브라질 챔피언십 최고 득점자'''
이름 | 활동 연도 | 골 | |
---|---|---|---|
1 | 발도미루 | 1971–79, 1982 | 59 |
2 | 크리스티안 | 1992, 1995–99, 2007 | 42 |
3 | 페르낭당 | 2004–08 | 42 |
4 | 안드레스 달레산드로 | 2008–16, 2017-20 | 40 |
5 | 자이르 | 1974–81 | 37 |
6 | 닐마르 | 2002–04, 2007–09, 2014-15 | 35 |
7 | 라파엘 소비스 | 2004–06, 2010 | 34 |
8 | 에스쿠리뉴 | 1971–77 | 34 |
9 | 비라 | 1979–82 | 35 |
10 | 레안드루 다미앙 | 2010–13 | 33 |
'''브라질 챔피언십 최다 출장'''
이름 | 활동 연도 | 출장 | |
---|---|---|---|
1 | 안드레스 달레산드로 | 2008–16, 2017–20, 2022 | 250 |
2 | 클레메르 | 2002–09 | 210 |
3 | 발도미루 | 1971–79, 1982 | 208 |
4 | 인디오 | 2005–14 | 190 |
5 | 에디뉴 | 2003–08 | 172 |
6 | 팔캉 | 1972–80 | 158 |
7 | 파블로 기냐수 | 2007–12 | 157 |
8 | 클레베르 | 2009–13 | 143 |
9 | 볼리바르 | 2003–06, 2009–12 | 141 |
10 | 엘리아스 피게로아 | 1971–77 | 139 |
'''주요 선수 명단'''
- 지우마르 (브라질) 1978-1985
- 클라우디오 타파렐 (브라질) 1985-1990
- 세르히오 고이코체아 (아르헨티나) 1996-1997
- 알리송 베케르 (브라질) 2013-2016
- 세르히오 로셰 (우루과이) 2023
- 오레코 (브라질) 1950-1957
- 엘리아스 피게로아 (칠레) 1971-1976
- 마우루 가우봉 (브라질) 1979-1986
- 블랑코 (브라질) 1980-1981, 1995
- 카를로스 가마라 (파라과이) 1995-1996
- 루시우 (브라질) 1998-2000
- 안드레 크루스 (브라질) 2003-2004
- 구스타부 네리 (브라질) 2008-2009
- 가브리엘 메르카도 (아르헨티나) 2021-
- 파우캉 (브라질) 1972-1980
- 둥가 (브라질) 1980-1984, 1999
- 루벤 파스 (우루과이) 1982-1986
- 파비우 로켄바흐 (브라질) 2000-2001
- 파비안 바르가스 (콜롬비아) 2006-2007
- 파블로 기냐수 (아르헨티나) 2007-2012
- 안드레스 다시산드로 (아르헨티나) 2008-2020, 2022
- 오스카르 (브라질) 2010-2012
- 마리오 보라티 (아르헨티나) 2011-2015
- 아란 파트리키 렌소 (브라질) 2013-2014, 2022-
- 니우통 (브라질) 2015-2016
5. 역대 감독
감독 | 임기 |
---|---|
파울루 호베르투 파우캉 | 1993 |
네우시뉴 바프치스타 | 1996 |
파울루 호베르투 파우캉 | 2011 |
둥가 | 2013 |
파울루 호베르투 파우캉 | 2016 |
마누 메네지스 | 2022 ~ 2023 |
호제르 마샤두 마르케스 | 2024 ~ |
6. 수상
SC 인테르나시오나우는 브라질 국내외 주요 축구 대회에서 수많은 우승컵을 들어 올린 클럽이다.
국내에서는 최상위 리그인 캄페오나투 브라질레이루 세리이 A와 코파 두 브라질에서 우승 경험이 있으며, 특히 연고지 주 리그인 캄페오나투 가우슈에서는 최다 우승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국제 무대에서도 남미 최고 권위의 대회인 코파 리베르타도레스를 비롯하여 코파 수다메리카나, 레코파 수다메리카나 등 주요 대륙 대항전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또한 FIFA 클럽 월드컵 정상에 오르며 세계적인 명성을 얻었다. 1980년대에는 코파 리베르타도레스와 캄페오나투 브라질레이루 세리이 A에서 준우승을 기록하고, 주안 감페르 트로피(1982), 기린컵(1984) 등 여러 국제 친선 대회에서 우승하기도 했다.
자세한 우승 기록은 아래 하위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6. 1. 국제 대회
2000년대 들어 페르난두 카르발류 회장 체제 하에서 구단은 유소년 육성과 시설 현대화를 통해 새로운 도약을 준비했다. 캄페오나투 가우슈 4연패(2002~2005) 이후, 인테르나시오나우는 남미 최고 권위의 대회인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제패에 나섰다.2006년 코파 리베르타도레스에서 인테르나시오나우는 조별 예선을 8승 6무 1패로 통과하고, 8강에서 LDU 키토, 4강에서 클루브 나시오날을 차례로 꺾으며 결승에 진출했다. 결승 상대는 같은 브라질의 강호 상파울루 FC였다. 이스타지우 두 모룸비에서 열린 1차전에서 하파에우 소비스의 두 골 활약으로 2-1 승리를 거두었고, 홈 구장 베이라-리우에서 열린 2차전에서는 페르난당의 결승골에 힘입어 구단 역사상 첫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우승컵을 들어 올렸다.
같은 해 2006년 FIFA 클럽 월드컵에 남미 챔피언 자격으로 참가하여 결승전에서 유럽 챔피언 FC 바르셀로나를 꺾고 세계 정상에 올랐다. 2007년에는 레코파 수다메리카나 결승에서 멕시코의 CF 파추카를 만났다. 원정 1차전에서 1-2로 패했지만, 홈 2차전에서 알레샨드리 파투의 결승골 등을 묶어 4-0 대승을 거두며 우승을 차지했다. 이는 대회 역사상 최다 점수 차 승리 기록이다.
2008년에는 코파 수다메리카나에 출전하여 결승에서 아르헨티나의 에스투디안테스 데 라플라타를 꺾고 브라질 클럽 최초로 이 대회 우승을 차지하는 기록을 세웠다. 2009년에는 스루가 은행 챔피언십에서 우승하며 국제 대회 트로피를 추가했다.
2010년 코파 리베르타도레스에서도 인테르나시오나우의 상승세는 이어졌다. 조별 예선을 무패(3승 3무)로 통과한 뒤, CA 반피엘드, 에스투디안테스 데 라플라타, 상파울루 FC를 차례로 꺾고 다시 결승에 올랐다. 특히 에스투디안테스와의 8강 2차전에서는 경기 막판 지울리아누의 극적인 골로 4강 진출을 확정 지었다. 결승에서는 멕시코의 CD 과달라하라를 상대로 1, 2차전 합계 5-3으로 승리하며 통산 두 번째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우승을 달성했다.

그러나 2010년 FIFA 클럽 월드컵에서는 4강에서 콩고민주공화국의 TP 마젬베에게 0-2로 패배하는 이변의 희생양이 되었다. 2011년에는 레코파 수다메리카나에서 다시 한번 우승을 차지하며 국제 무대에서의 경쟁력을 입증했다.
전 세계 | ||
---|---|---|
대회 | 우승 | 시즌 |
FIFA 클럽 월드컵 | 1 | 2006 |
국제 | ||
대회 | 우승 | 시즌 |
J리그컵 / 코파 수다메리카나 챔피언십 | 1 | 2009 |
대륙별 | ||
대회 | 우승 | 시즌 |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 2 | 2006, 2010 |
코파 수다메리카나 | 1 | 2008 |
레코파 수다메리카나 | 2 | 2007, 2011 |
6. 2. 국내 대회
- '''캄페오나투 브라질레이루 세리이 A''' : 3회
- * 1975, 1976, 1979
- '''코파 두 브라질''' : 1회
- * 1992
- '''캄페오나투 가우슈''' : 45회
- * 1927, 1934, 1940, 1941, 1942, 1943, 1944, 1945, 1947, 1948, 1950, 1951, 1952, 1953, 1955, 1961, 1969, 1970, 1971, 1972, 1973, 1974, 1975, 1976, 1978, 1981, 1982, 1983, 1984, 1991, 1992, 1994, 1997, 2002, 2003, 2004, 2005, 2008, 2009,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참조
[1]
웹사이트
Alario fue presentado en el Inter de Porto Alegre
https://www.ole.com.[...]
2024-01-12
[2]
웹사이트
Inter acompanha finais e mira vaga direta na Libertadores para facilitar início de 2025
https://ge.globo.com[...]
2024-11-06
[3]
웹사이트
Quais os times brasileiros com mais títulos internacionais? Confira!
https://www.90min.co[...]
2019-03-27
[4]
웹사이트
FourFourTwo's 50 Biggest Derbies in the World, No.8: Gremio vs Internacional
https://www.fourfour[...]
2019-03-26
[5]
웹사이트
Official Twitter Account
https://twitter.com/[...]
2024-04-12
[6]
웹사이트
História do Clube
https://internaciona[...]
2024-04-09
[7]
웹사이트
História do Clube
http://www.internaci[...]
2024-04-09
[8]
웹사이트
Conheça a história de Vicente Rao, torcedor símbolo da essência popular colorada e que completaria hoje 112 anos
https://internaciona[...]
2024-04-09
[9]
웹사이트
Dia do Torcedor Colorado: Charuto, a personificação do Clube do Povo
https://internaciona[...]
2024-04-09
[10]
웹사이트
Surge o Rolo Compressor
http://www.internaci[...]
2024-04-21
[11]
웹사이트
História dos Anos 1950
http://www.internaci[...]
2024-04-10
[12]
웹사이트
Beira-Rio
http://www.internaci[...]
2024-04-10
[13]
웹사이트
História dos Anos 1970
http://www.internaci[...]
2024-04-11
[14]
웹사이트
O caminho até o topo: relembre a trajetória colorada rumo ao primeiro Brasileirão
https://internaciona[...]
2024-04-17
[15]
웹사이트
Morre Rubens Minelli, técnico bicampeão brasileiro pelo Inter
https://www.correiod[...]
2024-04-18
[16]
간행물
Brilha a primeira estrela
Sport Club Internacional
2015-07
[17]
뉴스
Toda a campanha do Inter até a grande decisão com o Cruzeiro
1975-12-14
[18]
웹사이트
Com golaço de Carpegiani, Inter venceu Fluminense em campanha do título de 75; relembre
https://ge.globo.com[...]
2022-04-23
[19]
웹사이트
Saudade do Esporte: relembre o primeiro Brasileirão conquistado pelo Inter em 1975
https://gauchazh.cli[...]
2024-04-17
[20]
웹사이트
O Internacional Que Pintou o Brasil de Vermelho em 1975 e 1976
https://www.ofutebol[...]
2024-04-18
[21]
웹사이트
Esquadrão Imortal – Internacional 1975-1976
https://www.imortais[...]
2024-04-11
[22]
웹사이트
O adeus a Rubens Minelli
https://internaciona[...]
2024-04-18
[23]
웹사이트
Título brasileiro invicto completa 41 anos
https://internaciona[...]
2020-12-23
[24]
웹사이트
Esquadrão Imortal - Internacional 1979-1980
https://imortaisdofu[...]
2024-04-12
[25]
웹사이트
História dos Anos 1980
http://www.internaci[...]
2024-04-12
[26]
웹사이트
Na Memória: Com gol de Bebeto, Fla bate o Inter, e polêmica de 87 começa
https://sportv.globo[...]
2024-04-12
[27]
웹사이트
Aquele domingo em chamas: 30 anos do Gre-Nal do Século
https://ge.globo.com[...]
2019-02-12
[28]
웹사이트
Um título de glória! Há 30 anos, o Bahia chegava ao topo do país
https://www.lance.co[...]
2024-04-12
[29]
웹사이트
Da bicicleta no Paraguai ao trauma no Beira-Rio, colorados lembram queda para o Olimpia
https://ge.globo.com[...]
2024-04-17
[30]
웹사이트
De volta ao Inter após 12 anos, Dunga encerrou carreira em litígio com o clube
https://www.uol.com.[...]
Uol
2024-04-12
[31]
웹사이트
Veterano Dunga salva o Inter no final
https://www1.folha.u[...]
Folha de São Paulo
2024-04-12
[32]
웹사이트
E se... o Inter não tivesse vencido o Paysandu em 2002?
https://gauchazh.cli[...]
2020-01-03
[33]
웹사이트
Inter vence Paysandu e escapa do rebaixamento
https://www.uol.com.[...]
2024-04-19
[34]
웹사이트
Morte de Librelato completa cinco anos
https://ge.globo.com[...]
2024-04-19
[35]
웹사이트
TBT colorado: o nosso primeiro ídolo nesse século
https://www.arquiban[...]
2024-04-19
[36]
웹사이트
Exclusivo: Fernando Carvalho, homem da 'retomada' do Inter, diz que título não viria com Fossati
http://www.espn.com.[...]
2010-08-19
[37]
웹사이트
Third Uniform
http://www.internaci[...]
Sport Club Internacional Official web site
2009-10-07
[38]
웹사이트
D´Alessandro: "Había perdido la esperanza"
https://www.lanacion[...]
Canchallena
2019-01-11
[39]
웹사이트
Internacional crowned South American kings
https://www.fifa.com[...]
FIFA
2010-08-19
[40]
간행물
Internacional's trophy remains nothing short of remarkable
http://sportsillustr[...]
2019-08-19
[41]
뉴스
TP Mazembe make history to reach Club World Cup final
http://news.bbc.co.u[...]
2021-09-06
[42]
웹사이트
Da liderança ao rebaixamento; A dramática trajetória do Inter no Brasileirão
https://www.correiod[...]
2016-12-12
[43]
웹사이트
Pressionada, Andrade Gutierrez vê tempo hábil para obras até a Copa
https://ge.globo.com[...]
2012-02-27
[44]
웹사이트
O protagonista: D'Ale brilha, e Inter vence Peñarol na volta do Beira-Rio
https://ge.globo.com[...]
2014-04-06
[45]
웹사이트
Giganta Pra Sempre
https://internaciona[...]
2024-04-12
[46]
웹사이트
Templo Sagrado
https://internaciona[...]
2024-04-12
[47]
웹사이트
O Escudo
http://www.internaci[...]
2014-10-05
[48]
웹사이트
Bandeira
http://www.internaci[...]
2015-03-16
[49]
웹사이트
O Mascote Saci
https://memoriadoint[...]
2015-10-31
[50]
웹사이트
Como um jogo com o Aimoré se tornou responsável pelo hino do Inter, e o que Paulo Sant'Ana tem a ver com isso
https://gauchazh.cli[...]
2023-02-25
[51]
웹사이트
O Hino
http://www.internaci[...]
2015-03-16
[52]
웹사이트
Futebol Masculino
https://internaciona[...]
2022-12-16
[53]
문서
Flamengo, el equipo más popular de Brasil
http://www.lanacion.[...]
[54]
문서
https://www.interna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