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야기 속의 이야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야기 속의 이야기》는 유리 노르슈테인이 감독하고 류드밀라 페트루셰프스카야와 노르슈테인이 각본을 맡은 1979년작 소련의 애니메이션 영화이다. 인간의 기억을 연상시키는 비선형적 서사 구조를 특징으로 하며, 제2차 세계 대전 중 소련의 피해를 주요 주제로 다룬다. 영화는 여러 등장인물과 상징을 통해 전쟁의 참혹함과 삶에 대한 희망을 동시에 보여준다.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 등의 음악과 러시아 자장가가 사용되었으며, 터키 시인 나짐 히크메트의 시에서 제목을 가져왔다. 1980년 릴 국제 영화제 심사위원 대상, 자그레브 세계 애니메이션 영화제 대상 등을 수상했으며, 역대 최고의 애니메이션 영화로도 여러 번 선정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소련의 단편 애니메이션 영화 - 제비는 왜 뿔이 달린 꼬리가 있을까?
카자흐 민담을 원작으로 한 1968년 소련 애니메이션 영화 "제비는 왜 뿔이 달린 꼬리가 있을까?"는 젊음을 되찾으려는 세 머리 용을 악당으로 등장시켜 소련 애니메이션 전문가와 관객들에게 호평을 받았으며, 아멘 샤이다로프가 감독과 미술 감독을 맡아 여러 영화제에서 수상했다. - 소련의 단편 애니메이션 영화 - 안개에 싸인 고슴도치
유리 노르슈테인 감독의 1975년작 소련 애니메이션 영화인 안개에 싸인 고슴도치는 라즈베리 잼을 들고 숲길을 나선 고슴도치가 짙은 안개 속에서 모험하는 이야기를 묘사하며, 독특한 제작 기법으로 안개 효과를 표현하여 여러 영화제에서 수상하고 사회적으로 큰 영향을 미쳤다. - 늑대를 소재로 한 애니메이션 영화 - 발토 (영화)
1995년 개봉한 애니메이션 영화 《발토》는 1925년 알래스카 놈에서 발생한 실제 사건을 바탕으로, 혼혈 늑대개 발토가 디프테리아 혈청을 운반하는 개썰매 팀을 도와 맹렬한 눈보라 속에서 험난한 여정을 거치며 편견과 방해를 극복하고 마을을 구하는 이야기를 그린다. - 늑대를 소재로 한 애니메이션 영화 - 빨간 모자의 진실 2
빨간 모자의 진실 2는 2011년 개봉한 미국의 컴퓨터 애니메이션 영화이자 2005년 영화 《빨간 모자의 진실》의 속편으로, 마이크 디사가 감독을 맡았고 헤이든 패네티어, 글렌 클로스, 패트릭 워버턴 등이 목소리 연기를 맡았으며, 전작의 주요 등장인물들이 마녀 베루스카와 거대해진 헨젤과 그레텔에 맞서 싸우는 이야기를 다루지만 비평가들의 부정적인 평가와 흥행 실패를 겪었다.
이야기 속의 이야기 - [영화]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영화 정보 | |
감독 | 유리 노르슈테인 |
프로듀서 | 소유즈멀트필름 |
각본 | 류드밀라 페트루셰프스카야 유리 노르슈테인 |
출연 | 알렉산드르 칼랴긴 |
음악 | 미하일 메예로비치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 |
촬영 | 이고르 스키단-보신 |
편집 | 나데즈다 트레셰바 나탈리야 아브라모바 |
배급사 | (정보 없음) |
개봉일 | 1979년 1월 5일 |
상영 시간 | 29분 |
국가 | 소비에트 연방 |
언어 | 러시아어 |
제작비 | (정보 없음) |
2. 제작 배경
《이야기 속의 이야기》는 유리 노르슈테인 감독이 제작한 애니메이션 영화이다. 류드밀라 페트루셰프스카야와 유리 노르슈테인이 각본을 썼고, 프란체스카 야르부소바가 미술 감독을 맡았다. 이고르 스키단-보신이 촬영을, 미하일 메예로비치가 음악을, 보리스 필치코프가 음향을 담당했다.
2. 1. 감독 및 제작진
역할 | 이름 |
---|---|
감독 | 유리 노르슈테인 |
작가 | 류드밀라 페트루셰프스카야, 유리 노르슈테인 |
미술 감독 | 프란체스카 야르부소바 |
애니메이터 | 유리 노르슈테인 |
촬영 | 이고르 스키단-보신 |
제작 프로듀서 | G. 코브로프 |
작곡가 | 미하일 메예로비치 |
음향 담당 | 보리스 필치코프 |
각본 편집 | 나탈리아 아브라모바 |
성우 | 알렉산드르 칼랴긴 (작은 회색 늑대 역) |
편집 | 나데즈다 트레셰바 |
《이야기 속의 이야기》는 유리 노르슈테인이 잡지 '이скус스트보 키노'에 쓴 글에서 "삶에 힘을 주는 간단한 개념들에 대한 것"이라고 평했다.[14] 이 작품은 안드레이 타르콥스키의 《거울》처럼 기억의 회상을 따라가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5] 기억은 연대기적 순서가 아니라 관련된 여러 기억이 뒤섞여 떠오르기 때문에, 영화는 전통적인 내러티브 대신 여러 이야기를 장면 간에 흩뜨려 놓는 방식을 택했다.
3. 구성 및 줄거리
3. 1. 비선형적 서사 구조
《이야기 속의 이야기》는 안드레이 타르코프스키의 《거울》처럼 인간 기억의 흐름을 따라가는 방식을 채택하여, 전통적인 내러티브 구조에서 벗어나 여러 개의 얽힌 이야기들을 보여준다.[5] 기억은 연대순이 아니라, 특정한 대상이나 사건에 의해 연쇄적으로 떠오르기 때문에, 영화는 이러한 기억의 특성을 반영하여 여러 장면들을 흩뜨려 놓았다. 주요 주제 중 하나는 전쟁이며,[6] 특히 소련이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동부 전선에서 겪은 막대한 손실을 강조한다. 시인, 어린 소녀와 황소, 어린 소년과 까마귀, 무용수와 군인, 기차, 사과, 특히 작은 회색 늑대(се́ренький волчо́к|세렌키 볼초크ru) 등 여러 등장인물과 그들의 상호 작용이 영화의 상당 부분을 차지한다.[7]
3. 2. 주요 등장인물 및 상징
유리 노르슈테인 감독의 작품 《이야기 속의 이야기》에 등장하는 주요 등장인물과 상징은 다음과 같다.
이러한 등장인물들과 상징들은 서로 얽혀 있는 시퀀스들을 통해 영화의 주제를 표현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7]
3. 3. 전쟁의 상흔과 희망
《이야기 속의 이야기》는 제2차 세계 대전의 동부 유럽 전선에서 소련이 겪은 막대한 피해를 중요한 주제로 다룬다.[14] 전쟁의 참혹함 속에서도 삶의 의지와 희망을 잃지 않는 인간의 모습을 보여주며, 작품 속에서 생명, 희망, 잠재성 등을 상징하는 초록빛 사과는 여러 주제들을 연관시켜주는 상징으로 등장한다.[14]
4. 음악 및 시
《이야기 속의 이야기》에는 미하일 메예로비치가 작곡한 음악 외에도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의 음악과 제2차 세계 대전 시기의 탱고 음악 등 다양한 음악이 사용되었다. 특히 중요한 음악적 영감은 러시아 자장가인데, 이 곡은 악기 연주와 노래로 모두 삽입되었다. 영화 속 많은 상황은 이 자장가와 작은 회색 늑대 캐릭터에서 비롯되었다. 원래 영화 제목은 《작은 잿빛 늑대가 온다》였지만 소련 검열 당국에 의해 거부되었다.[4][10] 영화 제목은 1962년부터 노르슈테인이 좋아했던 터키 시인 나짐 히크메트의 시에서 따왔다.
4. 1. 사용된 음악
《이야기 속의 이야기》는 미하일 메예로비치가 작곡한 음악 외에도 여러 음악 작품을 사용하고 있다.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특히 평균율 클라비어 곡집 중 E 플랫 단조 전주곡 BWV 853)와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피아노 협주곡 4번 G장조, K41의 안단테 2악장)의 음악, 제2차 세계 대전 시기의 탱고 음악 (예르지 페테르스부르스키 작곡의 ''지친 태양'') 등이 사용되었다.[4][10]그러나 가장 중요한 음악적 영감은 러시아 자장가로, 악기 연주와 노래가 모두 삽입되어 있다.
러시아어 | 한국어 번역 |
---|---|
작은 잿빛 늑대를 포함한 영화에 나타난 많은 상황들은 이 자장가로부터 유래하였다.
4. 2. 러시아 자장가
се́ренький волчо́к, syeryenkiy volchokru 작은 잿빛 늑대를 포함한 영화에 나타난 많은 상황들은 이 자장가로부터 유래하였다.[14] 사실 이 영화의 원래 제목 또한 《작은 잿빛 늑대가 온다》였지만, 이 제목은 소련의 검열 당국에 의해서 거부당했다.러시아어 | 로마자 표기 | 한국어 번역 |
---|---|---|
4. 3. 나짐 히크메트의 시
영화 제목 "이야기 속의 이야기"는 1962년부터 노르슈테인이 좋아했던 터키 시인 나짐 히크메트의 동명의 시에서 따왔다.[4][10]러시아어 | 로마자 표기 | 영어 번역 |
---|---|---|
5. 수상 경력
연도 | 수상 내역 | 영화제 | 비고 |
---|---|---|---|
1980년 | 심사위원 대상 | 릴 국제 영화제 | |
1980년 | 대상 | 자그레브 세계 애니메이션 영화제 | |
1980년 | 3분 이상 최우수 영화상 | 오타와 국제 애니메이션 영화제 | |
1984년 | 역대 최고의 애니메이션 영화 | 로스앤젤레스 올림픽 예술 축제 | 대규모 국제 심사위원단 선정[11] |
2002년 | 역대 최고의 애니메이션 영화 | 자그레브 세계 애니메이션 영화제 | 대규모 국제 심사위원단 선정 |
6. 대중문화에 미친 영향
오스트레일리아의 전자 음악 듀오 더 프레세츠는 앨범 ''빔스''의 수록곡 "소녀와 바다" 뮤직 비디오에서 《이야기 속의 이야기》에 경의를 표했다.[12]
참조
[1]
웹사이트
Book Review: 'Yuri Norstein and Tale of Tales: An Animator's Journey - Animation World Network
https://www.awn.com/[...]
[2]
웹사이트
12 Totally Strange and Underseen Animated Films
https://www.popmatte[...]
[3]
웹사이트
Animating by Candlelight - Animation Obsessive
https://animationobs[...]
[4]
뉴스
Sweet little mystery
http://arts.guardian[...]
2005-04-16
[5]
웹사이트
Tale of Tales (1979) - Movie Review
https://www.alternat[...]
2016-10-10
[6]
웹사이트
The New Yorker
https://www.newyorke[...]
[7]
웹사이트
Why you should watch 'Tale of Tales', the surreal Soviet animation by Yuri Norstein - Russia Beyond
https://www.rbth.com[...]
[8]
웹사이트
Teller of Tales
http://context.themo[...]
2005-04-08
[9]
간행물
Снег на траве
http://kinoart.ru/ma[...]
2003-02
[10]
웹사이트
Russian Madison | Новости русскоязычного Мэдисона | Article
http://www.russianma[...]
[11]
웹사이트
The Olympiad of Animation: An Interview With Fini Littlejohn
http://www.awn.com/m[...]
[12]
웹사이트
Cartoon Brew: Leading the Animation Conversation » Lee Lennox’s “Girl and the Sea”
http://www.cartoonbr[...]
[13]
웹사이트
Sweet little mystery | | guardian.co.uk Arts
http://arts.guardian[...]
[14]
웹인용
CONTEXT - This Week in Arts and Ideas from The Moscow Times
http://context.themo[...]
2008-06-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